KR20140001045A -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 Google Patents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45A
KR20140001045A KR1020120069398A KR20120069398A KR20140001045A KR 20140001045 A KR20140001045 A KR 20140001045A KR 1020120069398 A KR1020120069398 A KR 1020120069398A KR 20120069398 A KR20120069398 A KR 20120069398A KR 20140001045 A KR20140001045 A KR 20140001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d
medicine
p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필
Original Assignee
정경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필 filed Critical 정경필
Priority to KR102012006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045A/ko
Publication of KR2014000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병에 체결되는 약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알약이 저장되는 약병의 상부와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탄성재로 이루어진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정량의 알약이 수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Medicine bottle cap for fixed quantity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병에 체결되는 약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병 뚜껑 내부에 알약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 탄성재가 부착됨으로써 손쉽게 알약을 정량으로 인출할 수 있어 실용성과 위생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약은 복용하기 쉽도록 캡슐 형태 등 타원형으로 된 알약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알약이 다량인 경우 약병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병이란 유리로 된 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약이 담겨져 있는 용기를 통칭하는 것이다.
약병에 담긴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손이나 약병 뚜껑에 약을 인출한 후 복용하게 되는데, 손으로 약을 받는 경우 위생적으로 좋지 못하며, 약병 뚜껑으로 약을 받는 경우 원하는 수량을 덜어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약이 정량으로 인출되는 약병이 필요하게 되었는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427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인출입구(21); 상기 인출입구(21) 외주연에 접힘편(22)으로 일체로 연결된 커버(23); 상기 인출입구(21) 내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절개부(32)를 갖는 통공(31)이 형성되며, 유연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조절구(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커버(23)를 밀어 올리게 되면 접힘편(22)이 탄력적으로 펴지면서 인출입구(21)가 열리게 되어 약이 통공(31)을 통해 하나씩 인출되는 구조인바, 손으로 다량의 약을 받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나, 상기 인용발명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약을 인출하기 위해 약통(10)을 기울이는 경우 약이 한 알씩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하나씩 인출되지 못하며, 상기 인용발명은 종래의 약통 뚜껑과 구조적으로 다르므로 이를 실용화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병 뚜껑 내부에 알약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 탄성재가 부착됨으로써 알약을 인출하여 정량으로 복용할 수 있는 약병 뚜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은 알약이 저장되는 약병의 상부와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탄성재로 이루어진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정량의 알약이 수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병 뚜껑의 내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안착부에 정량의 알약이 수용되는 홈인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알약을 인출하여 손쉽게 정량의 알약을 복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약병 뚜껑의 구조를 따로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부착만으로 상기의 효과가 발생가능하므로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약병 뚜껑을 이용하여 알약이 정량 인출되므로 다량의 알약이 손에 닿아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약병 뚜껑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에 적용되는 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에 덮개가 포함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의 수용부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을 사용하여 알약이 정량으로 인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손쉽게 알약을 정량인출할 수 있어 실용성과 위생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알약이 저장되는 약병의 상부와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탄성재로 이루어진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정량의 알약이 수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은 기본적으로 알약(10)이 저장되는 약병(100)의 상부와 체결되는 몸체(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병(100)의 상부로 개구된 인출구와 상기 몸체(200)의 내측면은 대부분 나사선이 형성되어 결합되나, 이러한 결합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약병(100)과 약병 뚜껑이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몸체(200)가 원형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약병(100)에 저장된 알약(10)을 복용하기 위해 인출할 경우 손으로 다량의 알약(10)을 받는 것보다 약병 뚜껑에 받는 것이 위생상 좋으므로, 약병(100)으로부터 인출되는 알약(10)이 약병 뚜껑인 상기 몸체(200) 내부에 안착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돌출되어 안착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일정 두께란 상기 몸체(200)의 상면과 하단의 중간 정도까지의 두께를 의미하며, 알약(10)의 크기에 따라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0)의 내측면에는 약병(100)의 상부와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안착부(210)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약병(100)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0)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알약(10)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200) 내부로 알약(10)을 인출시 이격된 간격에 알약(10)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안착부(2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210)는 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200)와 별도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약병 뚜껑의 구조를 따로 변경하지 않아도 정량의 알약의 인출이 가능함으로 실용성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210)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을 가진 부재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는 약병(100)에 약을 넣어 출하시 약병(100)의 인출구를 위생막으로 막아놓는바, 약병 뚜껑을 체결시 상기 안착부(210)가 위생막에 닿아 압축되고, 약병 뚜껑을 해제시 상기 안착부(210)가 원상태로 복원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알약(10)을 상기 몸체(200) 내부로 인출시 정량의 알약(1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이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이하에서 설명할 수용부(211)에는 정량의 알약(10)이 수용되게 되고,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되지 않은 알약(10)은 완만한 경사를 이룬 안착부(210)을 따라 상기 몸체(200) 내부의 가장자리로 분리되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은 알약(10)을 정량으로 복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므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10)에는 정량의 알약(10)이 수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11)의 크기와 깊이는 수용되는 알약(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2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병(100)에서 알약(10)을 상기 몸체(200) 내부로 인출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에 정량의 알약(10)이 수용되게 되며, 복용하고자 하는 정량의 알약을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부(211)는 알약(10)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부(210)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어 압축이 가능하므로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된 정량의 알약(1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된 알약(10)을 보다 손쉽게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211)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211)에 다량의 알약(10)이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알약(10)이 수용되도록 사각형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10)이 수용부(211)에 대각선으로 수용된 경우 알약(10)의 양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바, 용이하게 알약(10)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알약(10)이 용이하게 수용되거나 이탈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가 안착부(210)의 폭방향으로 관통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알약(10)이 수용부(211)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만약 알약(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다량의 알약(10)이 상기 관통된 홈으로 수용될 염려가 있으므로, 알약(10)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약병(100)에서 알약(10)을 상기 몸체(200) 내부로 인출시 알약(10)은 불규칙적으로 인출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0)의 폭방향으로 관통된 홈을 형성함으로써 알약(10)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수용부(211)보다 손쉽게 알약(10)이 수용될 것이며, 수용된 알약(10)을 이탈시키는 것도 보다 용이하게 된다.
약의 종류에 따라 복용하는 정량이 다르므로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200)와 안착부(210)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용부(211)의 갯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211)의 크기 또한 알약(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에 끼워지도록 동일한 형성으로 된 덮개(2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에 탈착되는 덮개(212)가 포함됨으로써 다수개로 이루어진 수용부(211)에 수용되는 알약(10)의 수량이 조절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212)는 수용부(211)가 다수개인 경우 뿐만 아니라, 단일의 수용부(211)인 경우에도 포함될 수 있다. 단일의 수용부(211)에 덮개(212)가 포함된 경우 덮개(212)를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되며, 약을 장기간 복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덮개(212)를 끼워 수용부(211)가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의 수용부(211)에 끼워지는 덮개(212)가 포함되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12)에 수용부(211)보다 크기가 작은 제2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수용부(213)가 수용부(211)보다 크기가 작다는 것은 길이, 너비 및 깊이가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수용부(213)에 끼워지는 덮개(212)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12)와 제2수용부(213), 수용부(211)는 순차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덮개(212)에 또 다른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복용하고자 하는 알약(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용부(211)의 크기를 조절되게 된다. 제2수용부(213)에 끼워지는 덮개(212)에 제2수용부(213)보다 크기가 작은 제3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가 형성되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인 적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도 12 및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병(100)에 체결되어 있는 약병 뚜껑인 상기 몸체(200)를 분리시킨 후, 약병(100)을 기울여 상기 몸체(200) 내부로 알약(10)이 인출되도록 한다. 이때 인출되는 다량의 알약(10) 중 정량의 알약(10)은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되게 되며, 수용되지 못한 알약(10)은 안착부(210)에 놓여지게 된다.
그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의 알약(10)만 남도록 상기 몸체(200)를 기울여 안착부(210)에 놓여져 있는 알약(10)을 다시 약병(100)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 안착부(210)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착부(210)를 압축시켜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된 알약(10)을 꺼내 복용하면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약병 뚜껑인 상기 몸체(200)의 내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안착부(210)에 정량의 알약(10)이 수용되는 홈인 수용부(211)가 형성됨으로써, 알약을 인출하여 손쉽게 정량의 알약을 복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약병 뚜껑의 구조를 따로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부착만으로 상기의 효과가 발생가능하므로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 : 알약 100 : 약병
200 : 몸체 210 : 안착부
211 : 수용부 212 : 덮개
213 : 제2수용부

Claims (6)

  1. 알약(10)이 저장되는 약병(100)의 상부와 체결되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탄성재로 이루어진 안착부(210)와;
    상기 안착부(210)에 정량의 알약(10)이 수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211)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1)가 안착부(210)의 폭방향으로 관통된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알약(10)이 용이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1)가 다수개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용하는 정량에 맞게 알약(10)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1)에 끼워지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된 덮개(212)가 더 포함되되, 상기 덮개(212)를 탈착함으로써 수용부(211)에 수용되는 알약(10)의 수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1)에 끼워지는 동일한 형상으로 된 덮개(212)가 더 포함되되,
    상기 덮개(212)에 수용부(211)보다 크기가 작은 제2수용부(213)가 형성됨으로써, 알약(10)의 크기에 따라 수용부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이 완만한 경사를 이룸으로써,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된 알약(10)과 수용되지 않은 알약(10)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KR1020120069398A 2012-06-27 2012-06-27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KR20140001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98A KR20140001045A (ko) 2012-06-27 2012-06-27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98A KR20140001045A (ko) 2012-06-27 2012-06-27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45A true KR20140001045A (ko) 2014-01-06

Family

ID=5013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398A KR20140001045A (ko) 2012-06-27 2012-06-27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0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259A (zh) * 2018-03-12 2018-06-22 江西博雅欣和制药有限公司 一次性定量给药的胶囊包装瓶
US10219164B2 (en) 2014-11-06 2019-02-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CN112357372A (zh) * 2020-11-19 2021-02-12 泰州职业技术学院 一种定量取药的药品存放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164B2 (en) 2014-11-06 2019-02-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CN108190259A (zh) * 2018-03-12 2018-06-22 江西博雅欣和制药有限公司 一次性定量给药的胶囊包装瓶
CN112357372A (zh) * 2020-11-19 2021-02-12 泰州职业技术学院 一种定量取药的药品存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295B1 (en) Prescription cap with transparent daily dosage compartment
CA2175939C (en) Manual capsule filling device
RU201010605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фасовки и сублингва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активных начал
KR20050029204A (ko) 액체 영양 보충제를 계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01045A (ko)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CN204192208U (zh) 储物药盒水杯
JP2022126694A (ja) 瓶のための把持用取り付け具
JPH11189280A (ja)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CN205345628U (zh) 一种消毒棉球盒
KR101926480B1 (ko) 알약 정량 배출용기
US20130152515A1 (en) Tablet storage system and use thereof
CN210028539U (zh) 一种带长条勺的药瓶盖
CN202314426U (zh) 辅助吞服药物的杯盖
KR101130603B1 (ko) 정량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
KR102089966B1 (ko) 집게가 구비된 정량 인출 약통
JP2007161298A (ja) 容器ユニット
CN210000904U (zh) 一种定量药瓶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102042435B1 (ko)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CN205923638U (zh) 一种带有储物槽的杯子
US20180273889A1 (en) Cell seeding device and method
CN2527272Y (zh) 带自动定量容器的口服药剂瓶
CN201267615Y (zh) 新式药瓶
CN207562108U (zh) 一种可拆卸式药盒
KR101483409B1 (ko) 수납함을 갖는 의약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