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326B1 -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 Google Patents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326B1
KR101857326B1 KR1020150089331A KR20150089331A KR101857326B1 KR 101857326 B1 KR101857326 B1 KR 101857326B1 KR 1020150089331 A KR1020150089331 A KR 1020150089331A KR 20150089331 A KR20150089331 A KR 20150089331A KR 101857326 B1 KR101857326 B1 KR 10185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llumination lens
touch sensor
touch sensing
intermedia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289A (ko
Inventor
곽병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3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와,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과,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중간 구조체에 마련된다.

Description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본 발명은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승차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차량에 다양한 편의 장치를 부착하는 것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편의 장치의 구조 단순화 및 컨버전스를 통하여 여러 편의 장치를 단일의 장치로 축약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편의 장치의 하나인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단순하게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해 주는 형태에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진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차량의 실내 루프의 중앙이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매립 설치되어 차량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과, 하우징 속에 설치되는 램프와, 램프를 덮는 조명 렌즈와,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작동 스위치로는 일정 길이 연장 돌출된 레버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작동시켜 단자의 전기 접점을 접촉 및 단락시켜 전원을 ON/OFF 하는 토글식 스위치와, 탄성 지지되는 버튼을 눌러 전기 접점을 개폐하여 전원을 ON/OFF 시키는 누름버튼식 스위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차량 주행 중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운전 주의력이 분산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야간 주행시에는 운전자가 작동 스위치를 손으로 더듬어 찾아서 조작해야 하므로 사고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종래의 작동 스위치는 주로 하우징의 일측에 조명 렌즈와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작동 스위치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룸램프 모듈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조명 렌즈의 크기를 작게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작동 스위치는 룸램프 모듈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조작이 쉬운 터치 방식의 스위치를 적용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이 개발된 바 있다.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사용자가 누르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을 하지 않고 단순히 손가락으로 터치부를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런데 종래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기판(10)에 구비된 터치 감지 전극(20)에 대응하는 다른 터치 감지 전극(30)을 조명 렌즈(40)의 내측면에 마련하여 이들 터치 감지 전극(20)(30)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따라서 조명 렌즈(40)와 전극이 형성된 제어기판(10) 사이의 거리를 일정 거리(예컨대, 5cm) 내외로 유지하기 위해 내부 구조 설계가 어렵고 조명 렌즈(40)의 구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조명 렌즈(40)에 터치 감지 전극(30)을 부착하거나 증착함에 따라 조명 렌즈(40)의 투과율이 떨어지고, 복잡한 공정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39913호 (2000. 01. 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4737호 (2012. 07. 16)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룸램프 모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조명 렌즈의 광투과율 손실없이 저비용으로 터치 센서를 마련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된다.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의 표면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중간 구조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호 이격도록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일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와,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리플렉터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일 수 있다.
상기 베젤부재는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베젤부재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배치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리플렉터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기 베젤부재 및 상기 리플렉터에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하나는 상기 베젤부재의 표면 전체를 코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을 조명 렌즈 면이 아닌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 베즐부재 등)에 마련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간격을 늘릴 수 있고,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구조를 더욱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조명 렌즈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종래 기술과 같이 조명 렌즈에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조명 렌즈의 광투과도가 떨어지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일부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일부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리플렉터(4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가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그 터치 신호에 따라 하우징(100) 내측에 설치된 광원(미도시)을 작동시켜 조명 렌즈(30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한다.
하우징(100)은 케이스(110)와, 커버(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의 내측에 광원과, 제어기판(200)과, 리플렉터(400)와, 터치 센서(500)가 설치되고, 커버(120)가 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10)를 덮는다. 하우징(100)에는 조작 버튼이나 표시 램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커버(120)에 조명 렌즈(300)가 한 쌍이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버(120)에 설치되는 조명 렌즈(3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10)와 커버(120)가 분리되는 구조 이외에, 일체형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기판(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터치 센서(500)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광원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판(200)은 터치 센서(500)의 터치 신호에 따라 광원을 온/오프시키거나 점멸시키거나, 또는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등 광원을 다양한 형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광원은 제어기판(2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 렌즈(300)는 하우징(100) 내부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커버(120)에 결합된다. 종래의 룸램프 모듈은 조명 렌즈에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이 구비되어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거리가 제한되어 설계 자유도가 떨어지고, 조명 렌즈의 형상 설계에도 많은 제한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이 조명 렌즈(300)에 구비되지 않고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리플렉터(400)에 배치되므로,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고, 조명 렌즈(300)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조명 렌즈(300)를 곡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고, 하우징(100) 상에서 조명 렌즈(300)의 위치도 보다 자유롭다. 물론, 일정 세기 이상의 터치 감도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 사이의 거리는 일정 거리 이내로 설정된다.
리플렉터(400)는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로서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한다. 외곽틀체(410)는 조명 렌즈(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내측벽(420)은 외곽틀체(4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4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 표면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플렉터(4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센서(500)는 사용자가 조명 렌즈(300)를 터치할 때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다. 터치 센서(500)는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감소하는 양을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갖는다.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 중에서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20)은 제어기판(200)에 구비된다. 이들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리플렉터(400)에 마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20)도 증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기판(200)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는 제어기판(200)에 마련된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하도록 리플렉터(400)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즉,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리플렉터(400)의 외곽틀체(410) 하단부와 복수의 내측벽(420) 각각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리플렉터(40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패턴으로 제어기판(200)에 마련된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한다.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의 구조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500)는 단일의 터치 감지 전극(510)을 구비하고, 터치 감지 전극(520)은 제어 기판(200) 상의 단순 배선으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감지 전극(510)과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이 서로 개별 형성되되 서로 접하도록 마주하여 이루어 단일의 감지 전극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감지 전극(510)과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은 직접 마주하여 접촉될 수도 있고, 솔더링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전도성 수지 등으로 마주하여 직접적 접촉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다른 터치 감지 전극이 배제되는 단일의 터치 감지 전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에 전압이 인가되면 터치 감지 전극(510)(520) 주위에 전기장 형성에 따라 정전용량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조명 렌즈(300)의 외측에는 전기장 형성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에 위치시키면 정전용량이 변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한다. 터치 센서(500)는 그 터치 신호를 제어기판(200)에 송신하여 광원을 작동시킨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신호는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두 터치 감지 전극(510)(520)의 패턴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광원의 작동 모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병렬식 또는 격자식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하고,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대응되는 광원의 작동 모드는 제어기판(200)에 미리 입력되며, 제어기판(200)은 감지된 터치 모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작동 모드로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을 조명 렌즈(300) 면이 아닌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간격을 늘릴 수 있고,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구조를 더욱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렌즈(300)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디자인 품질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종래 기술과 같이 조명 렌즈(300)에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조명 렌즈(300)의 광투과도가 떨어지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과 비교하여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의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의 사이에는 중간 구조체인 리플렉터(400)가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일부가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하도록 리플렉터(400)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센서(500)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역시,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조명 렌즈(300)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과 비교하여 리플렉터(400)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의 결합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의 사이에는 중간 구조체로서 리플렉터(400)가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리플렉터(400) 내측에 제어기판(200)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조명 렌즈(300)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과 비교하여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하고,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의 사이에 중간 구조체로서 리플렉터(400)가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리플렉터(400) 하단면의 동일 평면 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에 전압이 인가되면 터치 감지 전극(510)(520) 주위에 전기장 형성되고 조명 렌즈(300)의 외측에는 전기장 형성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명 렌즈(300)에 가까이하면 정전용량이 변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한다. 터치 센서(500)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리플렉터(400)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면에는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이 리플렉터(400)의 하단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리플렉터(400) 속에 매립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는 중간 구조체로서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 사이에 배치된다.
리플렉터(400)는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내측벽(420)은 외곽틀체(4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4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 표면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젤부재(600)는 외곽틀체(610)와 복수의 내측벽(620)을 포함한다. 외곽틀체(610)는 조명 렌즈(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내측벽(620)은 외곽틀체(6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6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리플렉터(400)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는 리플렉터(400)의 외곽틀체(410) 하단부와 복수의 내측벽(420) 각각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리플렉터(40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패턴을 갖는다.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은 도전체 물질을 베젤부재(600)의 표면에 증착법이나 도금법을 통해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전극(520)은 베젤부재(6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턴을 갖게 된다.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메탈 소재로 하면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장식성을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주위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조명 렌즈(300)의 외측에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이 마련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에 위치시키면 정전용량이 변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 및 베젤부재(6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명 렌즈(300)를 더욱 자유로운 모양으로 설계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는 중간 구조체로서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 사이에 배치된다.
리플렉터(400)는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내측벽(420)은 외곽틀체(4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4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 표면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젤부재(600)는 외곽틀체(610)와 복수의 내측벽(620)을 포함한다. 외곽틀체(610)는 조명 렌즈(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내측벽(620)은 외곽틀체(6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6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마련할 수 있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제어기판(2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이 조명 렌즈의 일면이 아닌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중간 구조체에 구비됨으로써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이는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중간 구조체로서 베즐부재만 구비되고 베즐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이 마련되어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도시된 것과 같은 리플렉터(400)나 베젤부재(600) 이외에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다양한 다른 중간 구조체에 터치 감지 전극을 마련하여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도 있다.
100...하우징 110...케이스
120...커버 200...제어기판
300...조명 렌즈 400...리플렉터
410, 610...외곽틀체 420, 620...내측벽
500...터치 센서 510, 520...터치 감지 전극
600...베젤부재

Claims (14)

  1.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의 표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중간 구조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호 이격도록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와,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리플렉터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8. 삭제
  9.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이고,
    상기 베젤부재는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베젤부재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10.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배치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리플렉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11.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기 베젤부재 및 상기 리플렉터에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하나는 상기 베젤부재의 표면 전체를 코팅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KR1020150089331A 2015-06-23 2015-06-23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KR10185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31A KR101857326B1 (ko) 2015-06-23 2015-06-23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31A KR101857326B1 (ko) 2015-06-23 2015-06-23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89A KR20170000289A (ko) 2017-01-02
KR101857326B1 true KR101857326B1 (ko) 2018-05-11

Family

ID=5781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331A KR101857326B1 (ko) 2015-06-23 2015-06-23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60A (ko) 2021-11-23 2023-05-31 (주)대한솔루션 이탈 방지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룸램프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8365B2 (en) * 2018-02-12 2020-03-24 Grakon, LLC Proximity sensor switched automotive lamp comprising an electrode to sense an electric field through the sensing location from the facing surface of a lens
CN110285395B (zh) * 2019-03-28 2024-02-23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触控式汽车用照明装置和具有其的车辆
CN109854999A (zh) * 2019-03-28 2019-06-07 海星海事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仿生照明灯具
KR102278394B1 (ko) * 2021-01-11 2021-07-16 주식회사 삼원파워텍 자동차용 실내 조명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450A (ja) * 2006-03-02 2007-09-13 Kojima Press Co Ltd 車室内用照明装置
JP2012001190A (ja) * 2010-06-21 2012-01-05 Shin Etsu Polymer Co Ltd 車室用の照明装置
JP2012061997A (ja) * 2010-09-17 2012-03-29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室内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13B1 (ko) 1997-09-24 2000-01-15 유성용 거푸집 자동 상승장치
KR101164737B1 (ko) 2010-02-19 2012-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거푸집 자동 상승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450A (ja) * 2006-03-02 2007-09-13 Kojima Press Co Ltd 車室内用照明装置
JP2012001190A (ja) * 2010-06-21 2012-01-05 Shin Etsu Polymer Co Ltd 車室用の照明装置
JP2012061997A (ja) * 2010-09-17 2012-03-29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室内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60A (ko) 2021-11-23 2023-05-31 (주)대한솔루션 이탈 방지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룸램프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89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326B1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CN203504520U (zh) 接近开关、灯和接近开关组件
US8878438B2 (en)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KR101804636B1 (ko) 터치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조명 장치
KR101198497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8757825B2 (en) Control device with rotary switch back-lit by a light guide
CN208128217U (zh) 接近开关组件
JP5476263B2 (ja) 車室内照明装置
US20100238677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with touch sensitive controls and overhead console using the module
JP5753515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US20150353005A1 (en) Thin overhead console
US10476501B2 (en) Capacitive sensor and switch assembly with decorative conductive component
EP2943374A2 (en) A thin overhead console for a vehicle
KR20180073792A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JP5626868B2 (ja) 車両用室内照明灯
KR100872742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WO2018038291A1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JP5763582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102119664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KR101093993B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548030B2 (ja) 車両用室内灯
JP2012040970A (ja) 車両用室内灯
JP2018041690A (ja) 電子機器スイッチおよび弾性体
CN204425309U (zh) 触摸开关及具有其的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