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34B1 -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 Google Patents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34B1
KR101856734B1 KR1020160141031A KR20160141031A KR101856734B1 KR 101856734 B1 KR101856734 B1 KR 101856734B1 KR 1020160141031 A KR1020160141031 A KR 1020160141031A KR 20160141031 A KR20160141031 A KR 20160141031A KR 101856734 B1 KR101856734 B1 KR 101856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window
escape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140A (ko
Inventor
이흥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14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구비된 대피공간에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창호 프레임의 이탈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과, 상기 수직 프레임(21)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 창틀 프레임(20)과; 내측에 유리창(11)이 설치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10)과; 상기 수평 프레임(22)에 형성된 결합공(22')에 양단이 각각 삽입 결합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10)에 구비된 힌지 브래킷(12)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 바(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Separation Prevention type Window System for Safety Zone}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구비된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피공간에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창호 프레임의 이탈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화재시 긴급 대피한 후 안전한 위치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공간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의 대피공간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622호의 3조 규정에 의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대피공간은 실내의 다른 구역과 방화구역으로 구획되어야 하며, 4층 이상인 층의 각 세대가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코니에 인접 세대와 공동으로 또는 각 세대별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인접 세대와 공동으로 설치하는 대피공간은 인접 세대를 통하여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쓸 수 있는 위치에 우선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대피공간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기에 개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외부와의 단열을 위하여 창호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 창호는 외기에 개방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비상시 외부의 도움을 받아 피난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는 형태와 규격으로 설치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피공간용 창호는 구조체에 고정되는 창틀을 제외하고 폭 0.7m 이상, 높이 1.0m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여닫이 방식의 창호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통 미닫이 방식의 창호는 피난구의 개방 면적이 타 창호의 절반이어서 창호의 규격이 2배로 커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비상시 피난을 위하여 내부 방향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의 창호로 제작되어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인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구조체에 고정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60)과, 유리창(51)이 설치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50)과, 상기 창틀 프레임(60)과 창호 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50)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경첩(5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경첩(55)은 창틀 프레임(60)이나 창호 프레임(50)의 일측에 나사못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상시 피난을 위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50)을 개방하고자 할 때 상기 창호 프레임(50)이 경첩(55)을 기준으로 건물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창틀 프레임(60)의 안쪽을 개방하여, 사람들이 창틀 프레임(60)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 빠르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창호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이 경첩으로 연결되고 이 경첩이 나사못에 의해 창호 프레임이나 창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태풍 등 강한 바람에 의해 나사못이 창호 프레임이나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창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창호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에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메인 난간과; 그리고, 상기 메인 난간의 외부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일측이 상기 메인 난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자유단부가 아래층의 메인 난간으로 회전하여 피난을 유도하는 화분거치 겸용 피난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거치 겸용 피난 난간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며 좌우 양측 중 일측이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판재, 상기 메인 난간 안쪽의 베란다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자유단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프레임의 자유단부를 승강시키는 윈치, 상기 판재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힌지브래킷을 통해 상기 판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판재가 계단 형태로 배열되도록 하는 작동바로 구성됨으로써,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난간에 화분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시와 같은 비상시에는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계단을 형성하는,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베란다가 구비된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비상 시에 유아나 노약자도 안전하게 탑승하여 공동주택의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탑승구의 하면 및 측면이 화염을 차단하므로 저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대피공간 전용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로 둘러싸이는 아파트의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창틀과, 일측이 상기 창틀의 세로방향 틀과 힌지 결합하여 타측이 대피공간의 바깥쪽으로만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의 제1창호와, 상기 제1창호 개방시에 일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창호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창호 내측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1창호 폐쇄시에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2창호를 포함함으로써, 평상시 제2창호는 내부 공간의 환기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제1창호는 대피시에만 개방되는 대피 목적의 창호로 사용되어 평상시 창문의 파손 및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대피공간 전용 창호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0909447 B1 KR 10-1225755 B1 KR 10-2013-004031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창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이탈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창호를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틀 프레임과; 내측에 유리창이 설치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결합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에 구비된 힌지 브래킷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상기 창호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힌지 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상기 창호 프레임이 회전할 때 상기 수직 프레임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의 측면이 접촉되는 수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에 의해 제거되고, 모따기된 부분에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을 대신하여, 일정 길이의 안내홈이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이 사용되고, 상기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일정 길이의 안내홈이 형성된 힌지 고정블록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힌지 바는 상기 힌지 고정블록과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의 안내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상기 힌지 바를 대신하여, 끝단 부분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힌지 부재가 상기 힌지 브래킷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창호 프레임에 비해 길이가 긴 힌지 바를 이용하여 창호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되므로, 태풍 등의 강한 바람에도 창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이탈로 인해 그 주변에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힌지 바의 양단 부분에 와셔부재가 삽입되어 수평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이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창호 프레임의 회전에 따른 마찰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수직 프레임에 완충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창호 프레임이 회전될 때 수직 프레임과의 간섭이나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따르면, 안내홈이 형성된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과 힌지 고정블록을 이용하여 힌지 바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힌지 바를 결합시키기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의 회전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서 창호 프레임의 회전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수평 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과, 상기 수직 프레임(21)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 창틀 프레임(20)과; 내측에 유리창(11)이 설치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10)과; 상기 수평 프레임(22)에 형성된 결합공(22')에 양단이 각각 삽입 결합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10)에 구비된 힌지 브래킷(12)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 바(15)와; 상기 창호 프레임(10)과 창틀 프레임(2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힌지 바(15)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와셔 부재(14)와; 상기 창호 프레임(10)이 회전할 때 상기 수직 프레임(2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1)에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 바(15)는 상기 창호 프레임(10)에 구비된 힌지 브래킷(1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결합공(22')에 양단이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창호 프레임(10)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길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5)는 상기 창호 프레임(10)의 측면이 접촉되는 수직 프레임(21)의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에 의해 제거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공(22')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22)을 대신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안내홈(23')이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의 단부에 일정 길이의 안내홈(24')이 형성된 힌지 고정블록(24)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힌지 바(15)는 상기 힌지 고정블록(24)의 안내홈(24')과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의 안내홈(2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창호 프레임(10)의 길이보다 긴 힌지 바(15)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힌지 바(15)를 대신하여 끝단 부분이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결합공(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힌지 부재(도시 생략)를 상기 힌지 브래킷(12)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창틀 프레임(20)에 2개의 창호 프레임(10)이 설치된 양문형 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창틀 프레임(20)에 하나의 창호 프레임(10)이 설치된 단문형 구조 역시 마찬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형성된 대피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 대피공간으로 피한 사람들이 창호 프레임을 개방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창호 프레임
11...유리창
12...힌지 브래킷
14...와셔 부재
15...힌지 바
20...창틀 프레임
21...수직 프레임
22...수평 프레임
22'...결합공
23...가이드형 수평 프레임
23'...안내홈
24...힌지 고정블록
24'...안내홈
25...완충부재

Claims (5)

  1.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과, 상기 수직 프레임(21)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의 안내홈(23`)이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 창틀 프레임(20);
    상기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의 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0)의 상기 안내홈(23`)에 대응하는 일정 길이의 안내홈(24')이 형성되는 힌지 고정블록(24);
    내측에 유리창(11)이 설치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10); 및
    상기 창호 프레임(10)에 구비된 힌지 브래킷(12)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고정블록(24)의 상기 안내홈(24`)과 상기 가이드형 수평 프레임(23)의 상기 안내홈(2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힌지 바(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0)과 창틀 프레임(2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힌지 바(15)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와셔 부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0)이 회전할 때 상기 수직 프레임(2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10)의 측면이 접촉되는 수직 프레임(21)의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에 의해 제거되고,
    모따기된 부분에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4. 삭제
  5. 삭제
KR1020160141031A 2016-10-27 2016-10-27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Active KR101856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31A KR101856734B1 (ko) 2016-10-27 2016-10-27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31A KR101856734B1 (ko) 2016-10-27 2016-10-27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40A KR20180046140A (ko) 2018-05-08
KR101856734B1 true KR101856734B1 (ko) 2018-05-10

Family

ID=6218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031A Active KR101856734B1 (ko) 2016-10-27 2016-10-27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7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3810A1 (en) 2005-10-11 2010-10-21 Jon Goldstein Hinged Window Screen
CN201714236U (zh) 2010-04-16 2011-01-19 深圳市科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全开式自动窗
CN201802194U (zh) 2010-08-23 2011-04-20 张海锋 一种门转轴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3810A1 (en) 2005-10-11 2010-10-21 Jon Goldstein Hinged Window Screen
CN201714236U (zh) 2010-04-16 2011-01-19 深圳市科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全开式自动窗
CN201802194U (zh) 2010-08-23 2011-04-20 张海锋 一种门转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40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5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난간대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20170054858A (ko)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JP6436438B2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KR101856734B1 (ko) 이탈방지형 대피공간용 창호설비
KR200420406Y1 (ko)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KR20150086596A (ko) 피난 장치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128480B1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2521315B1 (ko)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KR102602687B1 (ko) 하향식 피난구
KR200485648Y1 (ko) 난간일체형 창호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EA010895B1 (ru) Две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гранич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а и элемент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двер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та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096583B1 (ko)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EP0676529A1 (en) Grating that can be opened to receive a mosquito net for external door and window opening
CN105569501A (zh) 墙体
KR101363168B1 (ko) 안전사고 방지용 슬라이딩 창문 가이드 바
EP3768932B1 (en) Child window safety system
KR200439947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JPS6046235B2 (ja) 引違い窓
KR101757055B1 (ko) 난간대 일체형 창틀프레임
KR200450445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