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55B1 -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55B1
KR101855955B1 KR1020160006376A KR20160006376A KR101855955B1 KR 101855955 B1 KR101855955 B1 KR 101855955B1 KR 1020160006376 A KR1020160006376 A KR 1020160006376A KR 20160006376 A KR20160006376 A KR 20160006376A KR 101855955 B1 KR101855955 B1 KR 10185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arium
onset
rice
seq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098A (ko
Inventor
윤성환
김희경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1/00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enzymatic activity
    • C12Q2521/10Nucleotidyl transfering
    • C12Q2521/107RNA dependent DNA polymerase,(i.e. reverse transcrip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대한 것으로,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종 복합체 소속 붉은곰팡이균인 푸자리움 그래미니아룸, 푸자리움 아시아티쿰, 푸자리움 푸자리움 부시아이에 의한 벼 이삭마름병 (Fusarium Head Blight)발생 시 발병단계에서 해당 병원균의 감염과 병 진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최적의 검정 유전자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마커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다양한 조건 아래에서 실시간 정량적 PCR에 사용되는 정규화된 검정 유전자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확인하여, 이를 포함하여 상기 균에 의한 발병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염 식물체(벼)의 total RNA 시료로부터 정량적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qRT-PCR)을 이용하여 벼 이삭마름병 원인 곰팡이인 푸자리움 그래미니아룸, 푸자리움 아시아티쿰, 푸자리움 부시아이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qRT-PCR을 적용할 수 있는 병 발생단계 특이 유전자를 밝히고 이에 상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병원성 붉은곰팡이에 의한 기주식물의 감염여부와 병 진전 가능성을 검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Diagnosis Marker Composition for Rice Fusarium Head Blight caused by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using disease development-specific genes and K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대한 것으로, 식물체(벼)의 이삭마름병(head blight)을 일으키는 붉은곰팡이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중 [푸사리움 그라미네룸(Fusarium graminearum), 푸사리움 아시아티쿰(Fusarium asiaticum), 푸사리움 부시아이(Fusarium boothii)]을 발병 단계에서 검출하기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마커 조성물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붉은곰팡이는 단일 종이 아닌 종 복합체 (species complex)의 수준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병원성 곰팡이로서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라고 하며, 맥류인 보리와 밀 뿐 아니라 벼, 옥수수 등에 붉은곰팡이병이라고 통칭되는 질병 [이삭마름병(Fusarium head blight), 이삭썩음병(Ear rot disease), 뿌리썩음병(root rot) 등]을 일으켜 수확량 감소와 품질저하를 초래하여 경제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킨다. 붉은곰팡이는 계통발생학적으로 최소 16종(lineage) 이상으로 구성된 거대한 종복합체(species complex)이다. 또한 이 병원균은 감염 식물체 내에 곰팡이독소인 트라이코세신(trichothecenes)과 지랄레논(zearalenone)등을 생산하여 이병 식물을 섭취한 사람과 가축에 치명적인 중독증을 야기한다. 전 세계적인 붉은곰팡이 피해를 인지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수 십 년 동안 붉은곰팡이 관련 기초 및 응용연구가 체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의 대표 종인 푸자리움 그래미네아룸 PH-1 균주(Fusarium graminearum PH-1), 푸자리움 아시아티쿰 SCK04 균주(Fusarium asiaticum SK04), 푸자리움 부시아이 GWS2-6-3 균주 (Fuarum boothii GWS2-6-3)의 유전체는 이미 해독되었으며, 기주 식물 내 발병과정(pathogenesis; rice), 균사체 성장(mycelia; M), 유성생식과정(sexual development; cd, kd), 무성포자 생성과정(conidiation; C), 독소 생성과정(toxin; T) 같은 다양한 생육단계의 조건에서 추출한 전사체 해독 및 비교 분석 등을 통한 유전체 차원의 생육단계 별 유전자 발현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생육 단계 특이 유전자 집단의 발현양상 상세 분석과 특정 유전자의 삭제(targeted gene deletion), 유전자 과발현(gene overexpression), GFP태킹(tagging)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 유전자의 기능분석도 진행되고 있다.
국내등록번호제 10-1304947호, 2013년09월06일 공고 국내등록번호제 10-1347823호, 2014년01월20일 공고
본 발명은, 실시간 정량적 PCR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벼와 같은 기주 식물 내 붉은곰팡이병 감염 및 병 발생 단계 특이 발현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 균주 유전자 집단을 선발하고, 여러 생육 단계 별 상세한 발현분석을 통해 벼 이삭마름병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자 마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벼, 밀, 보리 등 곡류에 이삭마름병(head blight)을 일으키는 붉은곰팡이[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중 [푸사리움 그라미네룸(Fusarium graminearum), 푸사리움 아시아티쿰(Fusarium asiaticum), 푸사리움 부시아이(Fusarium boothii)]을 식물체(벼) 내 발병 단계에서 검출하기 위한 최적의 검정 유전자의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발병 및 생육 조건에서 Quantitative Real time PCR(qRT-PCR) 방법을 이용하여 붉은곰팡이 검정 유전자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디자인하였다. 즉, 감염된 식물체의 발병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생육조건을 적용하여 붉은곰팡이의 각 생활사, 식물체에 감염하여 발병이 진행되는 단계 등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그로부터 식물체 감염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추출하였으며, 이 유전자에 결합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를 포함하여 상기 균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키트 등을 완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은, 서열번호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유전자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검출하는 검출제제를 포함하여 식물체에서 붉은 곰팡이병 감염 발병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유전자는,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종 복합체 소속 붉은곰팡이균인 푸자리움 그래미니아룸, 푸자리움 아시아티쿰, 푸자리움 푸자리움 부시아이에 의한 벼 이삭마름병 (Fusarium Head Blight)발생 시 발병단계에서 해당 병원균의 감염과 병 진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최적의 검정 유전자로, 위의 서열번호 1 내지 3은 각각 FGSG_03182, FGSG_11036, FGSG_11169을 나타낸다.
상기 검출제제는, 서열번호 4 내지 9의 서열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올리고누클레오티드는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 복합체에 의한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로 기능하여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 균주를 검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길이가 17 내지 24 뉴클레오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면 식물체 내 감염된 병원균인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 종 균주를 발병 날짜 별로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병원균의 감염 여부와 식물 병 진전 단계를 신속히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붉은 곰팡이병은 푸자리움 그래미네아룸 PH-1 균주(Fusarium graminearum PH-1), 푸자리움 아시아티쿰 SCK04 균주(Fusarium asiaticum SK04), 푸자리움 부시아이 GWS2-6-3 균주 (Fuarum boothii GWS2-6-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포함하는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벼일 수 있고, 상기 붉은곰팡이병은 벼이삭마름병일 수 있다.
상기 붉은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은, 정량적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qRT-PCR)을 이용하여 벼에 벼 이삭마름병 발생 시 발병단계를 검출하는 것에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이오 마커 조성물은, 벼에 벼이삭마름병 발병 시 감염 후 7 내지 14일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GSG_11036 유전자는 병 발생을 조사한 모든 단계에서 높은 발현 정도를 나타내어, 이를 검출하는 서열번호 6 및 7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나 이와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FGSG_11036 유전자를 높은 수준으로 검출하는 경우 붉은 곰팡이병 발병을 진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균 접종(감염) 후 7 내지 14일에서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 감염 시기도 진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1의 FGSG_03182과 서열번호 3의 FGSG_11169는 감염 초기단계에는 그 발현 정도가 미미하나 감염 후 7일 이후에 높은 발현수준을 보여주며, 감염 후 14일 경과 후에는 7일 경과 비교하여 다소 낮아진 발현 정도를 보여주어서, 이를 검출하는 각각 서열번호 4 및 5 그리고 서열번호 8 및 9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나 이와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1의 FGSG_03182과 서열번호 3의 FGSG_11169 유전자 발현 정도를 검출한 결과를 참고하여, 균 접종(감염) 후 경과 정도나 감염 시기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FGSG_03182과 서열번호 3의 FGSG_11169의 유전자의 경우에는 푸자리움 아시아티쿰 SCK04 균주(Fusarium asiaticum SK04)나 푸자리움 부시아이 GWS2-6-3 균주(Fuarum boothii GWS2-6-3)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푸자리움 그래미네아룸 PH-1 균주(Fusarium graminearum PH-1)에서 그 발현 정도가 명확하게 높아서, 푸자리움 그래미네아룸 PH-1 균주의 식물체 감염 후 발병단계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로, 이를 검출하는 서열번호 4 및 5 그리고 서열번호 8 및 9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나 이와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면 감염 균주가 푸자리움 그래미네아룸 PH-1 균주인지 여부와 감염 후 발병단계인지 여부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키트는, 위에서 설명한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포함한다. 위의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위의 기재와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은 벼와 같은 식물체 내 감염된 병원균인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종복합체 종 균주를 발병 날짜 별로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병원균의 감염 여부와 식물 병 진전 단계를 신속히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서열번호 1인 FGSG_03182(1449bp)의 유전체 서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서열번호 2인 FGSG_11036(894bp)의 유전체 서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서열번호 3인 FGSG_11169(1831bp)의 유전체 서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1. 균의 종류와 성장 조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F. graminearum PH-1 균주(미국 농무성 ARS 균주보관센터 ; http://nrrl.usaur.usda.gov/cgi-bin/usda/process.html에 NRRL 31084 이름으로 등록. 이하, "PH-1"으로 약칭)는 미국 유래 균주로서 유전체의 염기서열 분석은 이미 완료되었다(http://www.broadinstitute.org/annotatin/genome/fusarium graminearum/Multihome.html). F. asiaticum SCK04균주(KACC NO : 46428. 이하, "SCK04"으로 약칭), F. boothii GWS263(KACC NO : 46432. 이하, "GWS263"으로 약칭) 균주는 우리나라 토종 붉은곰팡이 종복합체 소속 균주로써 본 발명자에 의해 유전체의 염기서열 분석이 완료되었으며, 균주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에 기탁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균주들은 -70℃에서 15% 글리세롤에 냉동 보관하였다.
본 발명자는 5가지 다양한 배양 조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1) 균사체 성장조건(mycelia; M): 균사체 생장단계로는 영양분이 풍부한 조건인 PDB(potato dextrose broth)에서 6일간 배양하였다. PDB에서 배양 3일째와 6일째에 각각 샘플링을 진행하고, 이하에서 각각 M3과 M6으로 표시했다.
2) 유성생식과정(sexual development; cd, kd): 유성생식 단계로는 당근배지 조건을 사용하여, 처음 7일 동안 공중 균사체를 형성하였다. 당근배지 조건에서 배양 3일째와 6일째에 각각 샘플링을 진행하고, 이하에서 각각 cd3과 cd6으로 표시했다. 또한, 처음 7일 동안 공중 균사체를 형성한 후 균사를 제거하고 다시 7일 동안 자낭각(자낭포자) 형성을 유도 하였다. 자낭각(자낭포자) 형성 유도 3일째와 6일째에 각각 샘플링을 진행하고 kd3과 kd6으로 표시했다.
3) 독소생성과정(toxin; T): 트리코쎄신(trichthecne) 독소 단계로는 아그마틴(Ag)을 넣은 액체배지를 사용하여 어둠조건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3일째와 6일째 각각 샘플링을 진행했고, T3과 T6으로 표시했다.
4) 무성포자 생성과정(conidiation; C): 무성포자(conidia) 생성을 위하여 균사체를 PDB 액체배지에서 4일 동안 배양한 후 YEM(yeast malt agar) 배지에서 다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3일째와 6일째 각각 샘플링을 진행했고, C3과 C6으로 표시했다.
5) 기주 식물 내 발병과정(pathogenesis; rice): 마지막으로 병 발생단계 (Rice 로 표시)를 위해 곰팡이 무성포자(1X105/ml conidia) 를 개화기 벼에 접종한 후 3일 동안 25℃에서 습식처리 후 온실에서 배양하였다. 각각 배양 3, 5, 7, 14일째에 샘플링을 진행했고, Rice3, Rice5, Rice7 및 Rice14로 표시했다.
각 생육 조건에서 샘플링한 시료는 total RNA 추출을 진행했고, 그 시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DB(M) 배지에서 3, 6일; 당근배지(Carrot media)에서 3, 6일, 균사제거 후 3, 6일; Ag 배지에서 3,6일; YEM 배지에서 3, 6일; 병 발생에서 3, 5, 7, 14일.
실시 예2. 핵산 추출 및 검정 유전자 선택
붉은곰팡이균주의 균사체 또는 자낭각(perithecia), 감염 식물체를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날짜 별로 수집하였다.
시료로부터 total RNA 의 추출은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전체 RNA 추출키트(iNtRON Biotechnolgy, Korea)를 이용하였다. 모든 RNA 샘플은 아가로오즈 겔 전기영동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나노드롭(Thermo Scientific NanoDrop Lite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cDNA의 첫번째 가닥은 ReverTraAcc qPCR RT Kit(TOYOBO, Japan)을 이용하여 전체 RNA로부터 합성하였다.
정량적 실시간 PCR 분석을 통해 총 3 종의 병 발생 특이 후보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선발 유전자의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는 PrimerSelect 프로그램(lasergene7)을 이용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Cosmogentech, Seoul, Korea)에 의뢰하여 합성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번호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5' 3') 크기
(bp)
온도
(℃)
서열번호4 FGSG_03182
(서열번호 1)
q3182F2 AGGGCCAAACACGGTCTACTC 187 60.3
서열번호5 q3182R2 GCCGCCGCCAACGCATCC 63.5
서열번호6 FGSG_11036
(서열번호 2)
q11036F GATGCTCAAGTTCGCCAAGGACAA 190 60.4
서열번호7 q11036R CAACAAAGAAGCCATCGCCATCAA 65.8
서열번호8 FGSG_11169
(서열번호 3)
q11169F2 CAGCCTCCTTCCGGTCTTCTTGA 176 58.4
서열번호9 q11169R2 AGCGACAGGTCAACTTCAACAG 58.4
실시 예3. 정량적 실시간 PCR 과 후보 유전자의 발현분석
qRT-PCR은 SYBR Green Super Mix(Bio-Rad, USA)와 실시간 PCR 시스템(Bio-Rad CFX96 system, USA)으로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후보 유전자의 발현양은 각 생육 및 병 발생 단계 별로 3 반복 시료 (생물학적 반복)와 개별 PCR 반응 별로 2 반복 시료 (기술적 반복)에서 측정되었다.
유전자 유전자의 추정 기능 PCR 효율
FGSG_03182 Tubulin-tyrosine ligase 1.00
FGSG_11036 Ferulic acid esterase A 0.93
FGSG_11169 Alpha-galactosidase D 1.01
실시 예 4. 실험결과 후보 유전자 발현분석
q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조합(표 1 참조)은 평균 150 내지 200bp 크기로, DNA 조각(amplicons)을 증폭 생성하였으며, 프라이머 효율의 수치는 0.9~ 1.1 범위에 존재 하였으며(표 2 참조), 모든 후보 유전자 증폭의 실시간 녹는점 곡선 분석에서 단일 피크를 관찰하였다(데이터 표시 안 함). 이를 통해 모든 후보 유전자의 발현은 각 프라이머 조합에 의해 효과적이고 특이적으로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표2). 각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양은 PH-1 균주 M3 조건에서 발현 수준을 1 로 정한 후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GSG_03182 FGSG_11036 FGSG_11169
PH-1 SCK04 GWS263 PH-1 SCK04 GWS263 PH-1 SCK04 GWS263
Rice3 7.5 0.3 0.4 39.1 5.2 73.6 32.3 9.5 56.2
Rice5 6.5 1.2 4.1 111.9 47.8 95.9 23.5 5.1 8.3
Rice7 72.6 13 32 1455.2 103.7 157.8 826.3 9.6 59.6
Rice14 16.4 4.9 3.3 943.8 81.8 168.4 604.5 6.8 31.4
M3 1 0.4 1.3 1 1.8 1.8 1 1.5 1.8
M6 0.3 0.2 3.4 2.2 11 11.2 0.4 1.4 9.7
C3 0.6 5.3 0.6 2.1 13.6 4.4 3.3 24 1.8
C6 0.9 15.5 1.2 2.5 13.3 7 9.4 16.6 13.3
T3 7.7 0.1 0.8 2.2 1.6 1.2 5.9 0.8 8.4
T6 3.3 0.7 0.4 4 3 3.7 7.8 3.6 8.2
cd3 0.3 0.4 0.2 3.9 3.6 1.6 5.4 7.4 2.2
cd6 2.2 4 0.2 1.5 5.5 1.2 8 96.9 2.8
kd3 0.3 5.4 0.7 0.5 15.7 1.6 69.8 83.5 5.8
kd6 1.3 1.7 1.3 3.8 13.9 7.7 10 17.7 38.8
위의 표 3을 참조하면, FGSG_11036 유전자는 병 발생 조사 모든 단계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특히 병 접종 후 7일과 14일에서 가장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FGSG_03182 과 FGSG_11169 유전자는 감염 초기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 수준을 보였으나 접종 7일 후 발현 양이 급증한 후, 접종 14일에 감소하였다. 또한, 이들 두 유전자는 SCKO4 와 GWS263 균주에 비해 PH-1 균주에서 상대적으로 발현양이 높았기 때문에 (FGSG_03182 의 경우 2.3 내지 25 배, FGSG_11169 의 경우 4.6 내지 88.9 배) PH-1 균주의 병 발생 단계에 특이적이라 할 수 있다.
한 편 나머지 생육 조건인 균사 영양생장 단계, 생식 생장 단계, 무성포자 생성단계, 독소 생성단계에서는 모든 후보 유전자의 발현양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결론적으로, 위의 3 종의 후보 유전자는 모두 벼 이삭마름병 발생 단계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표 1의 서열번호로 표시되는 프라이머는 이들 3종의 후보 유전자의 효율적인 발현양 검출에 유용하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Diagnosis Marker Composition for Rice Fusarium Head Blight caused by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using disease development-specific genes and Kit comprising the same <130> DP20150420 <160> 9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49 <212> DNA <213> Fusarium graminearum <400> 1 atgcacgtat atgtacacag cgccaacccc tggctcgacc aacacattga gacatgcatc 60 aaacgacatg taaaagacgc catatgctac gaggactgct ccagcatccc gcatgatgcc 120 gaagcagtgt ttcagttcct taatggctgg gagctcaacc atcactttgc tgtgttgaat 180 agggccaaac acggtctact caacgcgtat cccaacagcg atgcgcttgc aagaaaggac 240 cacatggcta ctgttgtaga ttactgggtt accaagaggc cagacagcat cctcaaggga 300 cacagtcctg ctactgtcaa gttgtcgctg gactatagcg agtatgtgga ggatgcgttg 360 gcggcggccg atgacttgac tttgatgtac tctttggagg acaatgaaac taaggatgcc 420 tcagagcgag attggtggat cttgaagcct gctatgattg attgtggtca tggaattcga 480 atattcagca caattgacga gctggctaat aaccttgagc tcgctgctga tatctcagag 540 gaggacgagg atacagaaga ggaagcagag gttgaagttg aagccatcaa gtctaaagat 600 gaaagtgact cggactcgga tggcttccac cccagcctct caacaccagg tctcaactcg 660 ttggacgctc tgatcaccgc aagtggtaaa ctctccatca atgcgttaga gagtgaaacc 720 atgagcgacg cagaaaagat acaaaatatt gttattggcg agaatgaaag gatcccatcg 780 gctctcttga gagagtttgt cgctcagcag tacatcgttt ccatcccccc ggtcgacggt 840 cgcaaatggc atgtccgtgc atacgttctt tcagttggcc gactcaaagt acacgttttc 900 gacgagatgc tcgccctact agccctcgac gactatgagc cgccgtggaa gaaccccagt 960 ctcaagtctt ctcttaccaa cactgcacta caggatgaag aggagtttat gagcagagag 1020 tcaatgcgag atttctggaa gatggatgat gatttgctac ctggcgattg gaagaagaat 1080 gtctttgacc aagcatgcca aatttcgggc gaactcttgc gcgcggctgc tcataccatg 1140 gcggacaagt tcacgccgtt ggataagtgc tatgaactct ttgcgatcga ctttctggtc 1200 gataccaagg gaacggcgtg gttgctggag gtcaacgaga caccggcgtt ctacgaacag 1260 ggttacgcag gggagttggc acagagactg atggagtcgg tgatttgtgt gacgttggag 1320 catatgggga gggctgactt gagtgatgaa aacaacgcaa atgctagagg gcgcatggta 1380 gaggttttag atgcgagcaa cgagttggcc aagagtaaca ttactgagat tttgccaggg 1440 gcgatttaa 1449 <210> 2 <211> 894 <212> DNA <213> Fusarium graminearum <400> 2 atgcgctcac ctatcgcttt ctgcctcgcc ctcctgggcg ctgctcagct tggagacgcc 60 gcctcagctg gctgtggcaa ggctcctcag tccagcggca ccaagtccat gcaggtcaac 120 ggcaagaacc gccagtacat cctccaggtt cccaacaact accagaacaa caagccccac 180 cgccttgttt tcggctacca ctggcgtgat ggcaacatga acaacgttgc ccagggtggc 240 ttctacggcc tccagggtct tgctggcgac tctaccatct tcatcgcccc caacggtctc 300 aacgctggtt gggccaacaa cggtggtgag gatatcactt tcaccgacca gatgctcaag 360 ttcgccaagg acaacctttg catcgacgag aagcaagtct ttgctaccgg ttggagttac 420 ggtggttcca tgagccacag cgtcgcttgc tcgcgaccca gtatgttaca accttgaact 480 ctcacaagct acatcatgct aacatttata acagatgact tcgctgctgt cgcagtcatc 540 tccggtgctc agctctccgg ctgcaacgga ggaaactccc ccgtcgccta cctcggcatc 600 cacggtgctg ccgacaacgt tctcggaatc aacctcggcc gccagctccg cgacaagtgg 660 attggtaccg acggctgcca gcagaagaac gtcaacgacc ccggcccagg tgctcagaac 720 cacgtcaaga ctacctacac ctgcagccgc aagcccgtta cctggatcgc ccacggtggt 780 ggccacgttc ccgaccctac tggcaccaac ggtgtcaagt ttgctcccgg tgagacctgg 840 tcattcttca acgctgccgt tggtggtggc cgcagcactg gacgtcgctg ctag 894 <210> 3 <211> 1831 <212> DNA <213> Fusarium graminearum <400> 3 atgtcggcac tcgcttttgc agtacttctt gctagcatcg ggggcacgtc tggcaagaca 60 gttaggtctc cgactcctcc gatgggatgg aattcctaca accactataa ctgcaatcct 120 tcggaggaga ttatcaagat caatgccaaa ggattggtag atctggggtt tctagatttg 180 ggctacagta ttgtcactgt cgactgtggg tggccttcga gagaccggga cagcgaggga 240 agactccagt ggaatgagac tttgttccct tctggcccaa aggctcttgg cgactacatt 300 cacgacttag gattggagtt tgggctttat tctggagcgg gatatcttca atgtggatcc 360 caggatatcc ctgcgtccct tggtatgtct atcattctac agatgaccca tgaaggtggc 420 tgatcaacca aaccaggata tgaggaaatt gacgcaaagt catttgctga gtggggaggc 480 gataccctca agtaacacac tctcaacttt gtcatgatgc attcagctaa tattgataga 540 tacgacaact gctatgccac gtccaagact gatatggttg actcggactc tgccgaagca 600 aagagcccag accggtttat caagatggct gcagctatca acgagactga tcgtgacatc 660 aagtacttcc tatgccagtg gggtattggt gaagacgtcc cgcaatggtg tgtatcaact 720 ctcatatact acgtgctctc tctaactcca tggcagggcc accaaggttg gaaattcgtg 780 gagaatgagc aacgacatct tcaatgcatg gagagcaatc tggcgcatca ccaatcaggc 840 tgttgctcac tccaagtaca atcaccctgg cgcgttcgca gaccttgata tgctcatgta 900 agttcccaac cgagtcattc cgtgacagct tcttaacaat agtagtattg gtctcggtgc 960 tctctcctac gaagaagagc gtttccactt cggcttttgg tcaatgatga aatctcctct 1020 cattatcgga ggcgtaatgg acgccaagca gatcccttcc cactctctcg aagtcatgtc 1080 caacaaagaa gccatcgcca tcaaccaaga cgctctaggt caagcagcag agctagtcat 1140 tcgatataca gaagaacagt gggatgtctg gtccggtaac ctgacatcaa accgcaaggt 1200 tctcggcgtt gcgaactgga agaacgaaac tcagactgtt gaagttgacc tgtcgcttat 1260 tggtgttgca aaggcgaagg cacgagatgt ctgggcccat gaagacctta ctatctctgg 1320 tactcagaag tttgagctga aacctcatga gctgcgactt ctcgtactat ccgatatcac 1380 tcagactccc aaacccaagc aatgggggta ttatgcagca cctaaagcgg cactgggagg 1440 ttccgcttcc cttgtcgact gcggagcaaa cgaatgttta ccagtcaaca aaaagatcaa 1500 gtccatcggt aaagatgcca aggccacgtt caagtttgtc agcgctccca aggatggccc 1560 attatacgtc ggcgtcgact acatcaacca cgaataccac cacacgattg gtgactggga 1620 aacaaacacg cgaaacatgt ccatctctgt caatggagag gatgccaagc gatgggcatt 1680 cccgaacgct ggtggcgatt ggttcgagag tgatcgtatg acgatccttc tagacgggtt 1740 caagaagggt aaagataaca ctgtcacctt tactgcttct ccttctggag gttgggcgcc 1800 tgatttagtt gcctttgagg ttctggcata g 1831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gggccaaac acggtctact c 21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ccgccgcca acgcatcc 18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atgctcaag ttcgccaagg acaa 24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caacaaagaa gccatcgcca tcaa 24 <210> 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cagcctcctt ccggtcttct tga 23 <210> 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agcgacaggt caacttcaac ag 22

Claims (4)

  1. 서열번호 1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유전자를 검출하는 검출제제를 포함하여 식물체에서 붉은 곰팡이병 감염 발병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유전자를 검출하는 검출제제는,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유전자를 검출하는 검출제제는,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길이가 17 내지 24 뉴클레오티드인 것이고, 상기 식물체는 벼이고, 상기 붉은 곰팡이병은 벼 이삭마름병 (Fusarium Head Blight)이며, 상기 붉은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은, 정량적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qRT-PCR)을 이용하여 벼에 벼 이삭마름병 발생 시 발병단계를 검출하는 것인,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붉은 곰팡이병 발병 진단용 키트.
KR1020160006376A 2016-01-19 2016-01-19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85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376A KR101855955B1 (ko) 2016-01-19 2016-01-19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376A KR101855955B1 (ko) 2016-01-19 2016-01-19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98A KR20170087098A (ko) 2017-07-28
KR101855955B1 true KR101855955B1 (ko) 2018-05-11

Family

ID=5942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376A KR101855955B1 (ko) 2016-01-19 2016-01-19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794A (ko) 2021-12-10 2023-06-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붉은 곰팡이 유래 진균 프로모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ungal Biology, Vol. 116, pp. 478-488 (2012.02.01.)*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 154, pp. 59-65 (2011.12.21.)
J. Plant Pathol. Microb., Vol. 6, pp. 1000287 (2015.07.08.)*
NCBI Reference Sequence No. NC_026476.1 (2015.02.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98A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131B2 (en) PCR diagnostics of dermatophytes and other pathogenic fungi
Hsiao et al. Identification of medically important molds by an oligonucleotide array
Suarez et al. Development of real-time PCR (TaqMan®) assays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Botrytis cinerea in planta
Myburg et al. Pathogenicity associated genes in Fusarium oxysporum f. sp. cubense race 4
Abd-Elmagid et al. Discriminatory simplex and multiplex PCR for four species of the genus Sclerotinia
US6469156B1 (en)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detecting histoplasma capsulatum
Zhang et al. Antibiosis functions during interactions of Trichoderma afroharzianum and Trichoderma gamsii with plant pathogenic Rhizoctonia and Pythium
JP2006304763A (ja) オリゴヌクレオチド、オリゴヌクレオチドを用いた真核生物の検出方法及び同定方法
Asl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nvironmental Cladosporium species isolated from Iran
Németh et al. Green fluorescent protein transformation sheds more light on a widespread mycoparasitic interaction
Durai et al. Genetic diversity analysis and development of SCAR marker for detection of Indian populations of Fusarium oxysporum f. sp. ciceris causing chickpea wilt
Delye et al. Nested allele-specific PCR primers distinguish genetic groups of Uncinula necator
KR101855955B1 (ko) 벼 이삭마름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Liu et al.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An efficient tool for insertional mutagenesis and targeted gene disruption in Harpophora oryzae
Li et al. Transformation of Corynespora cassiicola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CN111876514A (zh) 水稻恶苗病菌中产生赤霉素小种的快速检测方法
Atkins et al. Use of real‐time quantitative PCR to investigate root and gall colonisation by co‐inoculated isolates of the nematophagous fungus Pochonia chlamydosporia
KR101855965B1 (ko) 붉은 곰팡이병 진단용 조성물
CN105463105B (zh) 鉴定北京泛菌的方法及其所用成对dna分子
KR101999070B1 (ko) 새우 조기폐사 증후군(Early mortality syndrome)과 새우흰점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병원체의 동시 진단용 멀티플렉스(Multiplex)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961763B1 (ko) 버섯의 푸른곰팡이 병원균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푸른곰팡이 병원균 검출 방법
Hynes et al. Development of AFLP-derived, functionally specific markers for environmental persistence studies of fungal strains
CN114032334A (zh) 一种检测藜麦茎腐病菌的引物组和试剂盒及其检测方法
KR101573824B1 (ko) 벼 흰잎마름병균의 K3a 레이스의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101608402B1 (ko)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종 복합체에 의한 붉은곰팡이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