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250B1 -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250B1
KR101854250B1 KR1020160100550A KR20160100550A KR101854250B1 KR 101854250 B1 KR101854250 B1 KR 101854250B1 KR 1020160100550 A KR1020160100550 A KR 1020160100550A KR 20160100550 A KR20160100550 A KR 20160100550A KR 101854250 B1 KR101854250 B1 KR 10185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food waste
supply pipe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784A (ko
Inventor
최선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휴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휴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휴먼
Priority to KR102016010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2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싱크대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호기성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처리하며, 윗면에 공기 투입구멍이 형성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공기 투입구멍과 통하도록 음식물 처리기의 윗면에 설치되는 아크릴관과, 아크릴관의 내면에 설치되는 공기 필터부재와, 아크릴관에 삽입되어 공기 필터부재를 관통하면서 설치되고, 공기 투입구멍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된 제1공급관과, 아크릴관과 제1공급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이동공간과, 제1공급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노즐에 물을 공급해주는 호스가 타단에 연결 설치된 제2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Air supply structure for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를 소음없이 호기성 미생물에 자연 공급해주면서, 공기 투입구멍이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에 막히지 않게 해주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바, 예전에는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섞어서 배출하므로 생활하수 및 토양을 오염시키는 환경 문제를 유발하였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고자 싱크대의 배수구에 음식물 처리기를 설치하였고, 내부에 갖춰진 호기성 미생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부피가 작은 고형물과 오수로 각각 배출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호기성 미생물은 음식물 쓰레기의 더 효과적인 분해를 위해 공기를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종래에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투입구멍으로 호스 또는 팬 등으로 공기를 투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음식물 쓰레기에도 적용되는 특허문헌1은 상측에는 유기성폐기물이 유입되는 투입구와, 처리시 발생되는 수증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처리된 유기성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에 횡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교반날개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회전축 구동수단; 호기성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호기성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를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일측면에는 상기 처리조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다수의 미세 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공급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된 공기유로관의 끝단부가 상기 공기공급실 안으로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 시스템이 구비된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종래와 특허문헌1의 경우, 음식물 처리기에 호스 또는 팬 또는 공기펌프 등으로 공기를 투입하면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공기 투입구멍이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에 종종 막혀서, 공기 투입의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미생물이 사멸되는 경우도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133925호 ( 2012. 3. 30. 등록 )
이에 본 발명은, 공기를 소음없이 호기성 미생물에 자연 공급해주면서, 공기 투입구멍이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에 막히지 않게 해주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급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싱크대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호기성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처리하며, 윗면에 공기 투입구멍이 형성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공기 투입구멍과 통하도록 음식물 처리기의 윗면에 설치되는 아크릴관과, 아크릴관의 내면에 설치되는 공기 필터부재와, 아크릴관에 삽입되어 공기 필터부재를 관통하면서 설치되고, 공기 투입구멍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된 제1공급관과, 아크릴관과 제1공급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이동공간과, 제1공급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노즐에 물을 공급해주는 호스가 타단에 연결 설치된 제2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관과 제1공급관 사이에 형성된 공기 이동공간을 통해 공기가 음식물 처리기의 호기성 미생물에 자연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팬 또는 펌프 등에 의한 소음 발생 및 공기 과다주입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 필터부재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필터부재로 외부 공기에 섞인 유해성분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 및 활성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공기 필터부재가 활성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악취 및 유해성분 제거가 더 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고형물에 공기 투입구멍이 막히더라도, 노즐의 물 분사로 고형물에 막힌 공기 투입구멍을 뚫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투입의 어려움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노즐이 공기 투입구멍에 삽입되어 공기 투입구멍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공기 투입구멍에 끼어져 있는 고형물에 대한 노즐의 물 분사가 더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투명한 아크릴관으로 공기 투입구멍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기 투입구멍에 대한 노즐의 물 분사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처리기(10)는 싱크대(1)의 배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호기성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처리하며, 윗면에 '+' 형태의 공기 투입구멍(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처리기(10)는 내부에 갖춰진 호기성 미생물을 성장 및 활성화 시켜주는 공기 공급구조(20)와, 상기 호기성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켜주는 교반구조와, 상기 공기 공급구조(20) 및 교반구조를 작동시켜주는 제어장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공급구조(20)는 공기 투입구멍(11)과 통하도록 음식물 처리기(10)의 윗면에 설치되는 아크릴관(21)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아크릴관(21)은 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구조(20)는 아크릴관(21)의 내면에 설치되는 공기 필터부재(2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필터부재(22)는 활성탄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구조(20)는 아크릴관(21)에 삽입되어 공기 필터부재(22)를 관통하면서 설치되고, 공기 투입구멍(11)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23a)이 구비된 제1공급관(23)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관(21)과 제1공급관(23) 사이에 공기 이동공간(24)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이동공간(24)은 공기 공급구조(20)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노즐(23a)은 공기 투입구멍(11)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투입구멍(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분사구멍이 측면 즉 상기 공기 투입구멍(11)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구조(20)는 제1공급관(23)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노즐(23a)에 물을 공급해주는 호스(25)가 타단에 연결 설치된 제2공급관(26)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25)는 음식물 처리기(10)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음식물 처리기(10)는 내부에 갖춰진 호기성 미생물에 공기 공급구조(20)를 통해서 공기가 공급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아크릴관(21)과 제1공급관(23) 사이에 형성된 공기 이동공간(24)으로 외부 공기가 이동하면서 공기 필터부재(22)를 지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필터부재(22)는 활성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에 섞인 유해성분을 제거해준다.
그리고, 상기 유해성분이 제거된 외부 공기는 음식물 처리기(10)의 내부와 통하는 공기 투입구멍(11)을 통과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기(10)의 내부에 갖춰진 호기성 미생물에 공급된다.
그래서, 상기 호기성 미생물은 성장 및 활성화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활발하게 호기성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처리해준다.
그러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악취가 발생되고, 상기 악취는 음식물 처리기(10)의 내부에 있던 내부 공기와 섞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악취가 섞인 내부 공기는 공기 투입구멍(11)을 지나 공기 이동공간(24)을 통해 공기 필터부재(22)를 지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필터부재(22)는 활성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부 공기에 섞인 악취를 제거해준다.
그리고, 상기 악취가 제거된 내부 공기는 공기 이동공간(24)을 지나 아크릴관(21)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의 작은 고형물 중 일부가, 교반구조의 교반하는 외력에 의해 공기 투입구멍(11)에 끼게 된다.
그래서, 상기 고형물에 의해 공기 투입구멍(11)이 막히면, 호스(25)를 통해 물을 공급한다.
이때, 투명한 상기 아크릴관(21)을 통해 공기 투입구멍(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된 상기 물은 제1,2공급관(23)(26)을 지나 공기 투입구멍(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노즐(23a)을 통해 상기 공기 투입구멍(11)으로 분사되며, 상기 노즐(23a)의 물 분사력에 의해 고형물은 공기 투입구멍(11)에서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23a)의 물 분사는 one cycle 당 43분에 작동되도록 음식물 처리기(10)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음식물 처리기 11 : 공기 투입구멍
20 : 공기 공급구조 21 : 아크릴관
22 : 공기 필터부재 23 : 제1공급관
23a : 노즐 24 : 공기 이동공간
25 : 호스 26 : 제2공급관

Claims (4)

  1. 싱크대(1)의 배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호기성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처리하며, 윗면에 공기 투입구멍(11)이 형성된 음식물 처리기(10)에 있어서,
    상기 공기 투입구멍(11)과 통하도록 음식물 처리기(10)의 윗면에 설치되는 아크릴관(21)과,
    상기 아크릴관(21)의 내면에 설치되는 공기 필터부재(22)와,
    상기 아크릴관(21)에 삽입되어 공기 필터부재(22)를 관통하면서 설치되고, 공기 투입구멍(11)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23a)이 구비된 제1공급관(23)과,
    상기 아크릴관(21)과 제1공급관(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이동공간(24)과,
    상기 제1공급관(23)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노즐(23a)에 물을 공급해주는 호스(25)가 타단에 연결 설치된 제2공급관(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관(21)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부재(22)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3a)은 공기 투입구멍(11)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투입구멍(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KR1020160100550A 2016-08-08 2016-08-08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KR10185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550A KR101854250B1 (ko) 2016-08-08 2016-08-08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550A KR101854250B1 (ko) 2016-08-08 2016-08-08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784A KR20180016784A (ko) 2018-02-20
KR101854250B1 true KR101854250B1 (ko) 2018-05-11

Family

ID=6139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550A KR101854250B1 (ko) 2016-08-08 2016-08-08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2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54B1 (ko) * 2004-12-08 2005-07-18 유한회사 전일환경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620575B1 (ko) * 2015-08-17 2016-05-12 주식회사 멈스전자 호루라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54B1 (ko) * 2004-12-08 2005-07-18 유한회사 전일환경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620575B1 (ko) * 2015-08-17 2016-05-12 주식회사 멈스전자 호루라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784A (ko)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57338B1 (ko) 음식물 처리기
WO2018203381A1 (ja) 水中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水質改善方法、及び、水中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水質改善装置
KR1018542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공기 공급구조
JP2007245118A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219728B1 (ko) 톱밥 탈취기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343535B1 (ko)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KR10227993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557111B1 (ko) 생물 반응조를 이용한 복합악취 제거시스템
KR10029850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2990B1 (ko) 일체형 악취 제거 시스템
CN214052983U (zh) 厨余垃圾分解仓清洗装置
KR20220167889A (ko) 복합형 음식 폐기물의 처리 장치
JP2002316016A (ja) 脱臭システム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1306905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KR20150019456A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494843B1 (ko) 바이오 탈취기
KR200187971Y1 (ko) 고농도 하수처리용 제트 루프 리액터
KR200342196Y1 (ko) 잔반처리기
KR20090106969A (ko) 폐기물 처리 방법 및 폐기물 처리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