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766B1 - 원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3766B1 KR101853766B1 KR1020160167819A KR20160167819A KR101853766B1 KR 101853766 B1 KR101853766 B1 KR 101853766B1 KR 1020160167819 A KR1020160167819 A KR 1020160167819A KR 20160167819 A KR20160167819 A KR 20160167819A KR 101853766 B1 KR101853766 B1 KR 101853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pper
- flow
- raw material
- flow hopper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using devices for tilting or rocking the 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공급장치로서,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호퍼; 및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제2 호퍼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호퍼;를 포함하고, 내부에 원료가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원료가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원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을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원료는, 주원료인 철광석, 석회석 등의 부원료, 및 소결 시 열원을 공급해주는 코크스나 무연탄 등의 결합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원료들은 조립되어 소결대차 내에 장입되고, 점화로에 의해 표층부가 착화된 상태에서 하방 흡인 과정을 거쳐 소결광으로 제조된다.
최근에는 미분 원료들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미분 원료들을 사전에 처리한 후 다른 원료들과 조립하고 있다. 사전 처리에서 미분 원료들은 교반 믹서, 및 펠렛타이저 등에 의해 물을 바인더로 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 형태로 제조된다. 펠렛 형태의 원료들은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호퍼 내부로 공급되어 저장된 후, 다른 벨트 컨베이어 의해 드럼믹서로 공급되어 다른 원료들과 혼합된다.
이때, 호퍼 내부로 펠렛 형태의 원료들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원료들이 호퍼의 내측면에 부착되면서 누적될 수 있다. 또는, 호퍼 내부에 원료들이 저장되는 동안 원료들 중 일부가 호퍼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고착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 내부의 원료들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해 작업을 지연시키고, 소결광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호퍼의 측면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호퍼 내부에 고착된 원료들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호퍼 내측면에 부착된 원료까지 진동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부착된 원료들이 쉽게 제거되지 않았다. 호퍼 내부면에 부착된 원료들이 제거되지 않으면 호퍼 내 원료들을 벨트 컨베이어의 정확한 위치로 공급하지 못해 원료들의 낙탄(또는, 낙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된 호퍼에 반복적인 진동이 가해지면서 호퍼가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원료가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원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원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명이 향상된 원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공급장치로서,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호퍼; 및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제2 호퍼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호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호퍼의 일단이 상기 유동호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 호퍼의 외측둘레와 상기 유동호퍼의 내측둘레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호퍼의 일단이 상기 제2 호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유동호퍼의 외측둘레와 상기 제2 호퍼의 내측둘레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호퍼, 상기 유동호퍼, 및 상기 제2 호퍼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동호퍼를 상기 제1 호퍼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호퍼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돌출부재; 상기 유동호퍼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돌출부재; 및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및 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동호퍼에 상기 제1 호퍼가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돌출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재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돌출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재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동호퍼에 설치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유동호퍼의 표면에 설치되는 몸체부재; 및 상기 유동호퍼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호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동호퍼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호퍼, 상기 유동호퍼, 및 상기 제2 호퍼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호퍼 내부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유동호퍼 내부면의 경사각도보다 크다.
상기 원료는 소결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호퍼에서 상기 유동호퍼의 높이까지 소결원료를 채운 후 소결원료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료 공급장치의 제1 호퍼와 제2 호퍼 사이에 유동할 수 있는 유동호퍼를 설치한다. 이에, 원료 공급장치의 내부에 원료가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경우, 유동호퍼를 유동시켜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공급장치의 내부가 막히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동호퍼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유동호퍼에 진동을 발생시켜도 유동호퍼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유동호퍼의 내측면에 부착된 원료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부착된 원료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공급장치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호퍼, 유동호퍼, 및 제2 호퍼(120)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호퍼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호퍼, 유동호퍼, 및 제2 호퍼(120)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호퍼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원료 공급장치가 소결광 제조 설비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분이 함유된 원료를 저장하는 다양한 설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설비는, 미분 원료를 조립하는 제1 조립장치(10), 제1 조립장치(10)에서 조립된 원료를 이송시키는 제1 벨트 컨베이어(20), 제1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조립된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공급장치(100), 원료 공급장치(100)에서 배출된 원료를 이송시키는 제2 벨트 컨베이어(30), 제2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원료와 다른 원료를 이용하여 소결원료를 조립하는 제2 조립장치(40), 및 제2 조립장치(40)에서 조립된 소결원료를 소결시켜 소결광을 제조하는 소결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장치(10)는 교반믹서 및 펠렛타이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장치(10)에서는 미분 또는 극미분의 철광석 등의 원료에 수분을 첨가한 후 이를 혼합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을 제조한다. 펠렛 형태로 제조된 원료는 제1 벨트 컨베이어(20)를 통해 원료 공급장치(100)로 이송된다.
원료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원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가진다. 이에, 제1 벨트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된 펠렛 형태의 원료가 원료 공급장치(10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장입될 수 있고, 원료 공급장치(100)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원료가 원료 공급장치(100)의 하부로 배출되면 제2 벨트 컨베이어(30)는 통해 제2 조립장치(40)로 이송된다.
제2 조립장치(40)에서는 주원료인 철광석, 석회석 등의 부원료, 소결 시 열원을 공급해주는 코크스나 무연탄 등의 결합재, 및 펠렛 형태의 원료를 조립하여 소결원료를 제조한다. 예를 들어, 제2 조립장치(40)는 드럼믹서일 수 있다. 이때, 제2 조립장치(40) 내의 원료들로 수분이 첨가될 수 있다. 제조된 소결원료는 소결장치(50)의 대차 내로 장입된다.
소결장치(50)는 소결광을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 대차 내에 장입된 소결원료는 점화로에 의해 표층부가 착화된 상태에서, 대차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윈드박스에 의해 하방 흡인 과정을 거쳐 소결광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소결광 제조 설비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립장치(10)에서 조립된 펠렛 형태의 원료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 공급장치(100) 내부로 투입되거나 호퍼 내에 저장되는 동안 원료 공급장치(100)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고착될 수 있다. 원료 공급장치(100) 내부에 부착된 원료들은 다른 원료들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공급장치(100) 내부에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를 제거해줄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호퍼, 유동호퍼, 및 제2 호퍼(12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공급장치로서, 제1 호퍼(110), 제1 호퍼(1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호퍼(120), 및 제1 호퍼(110)와 제2 호퍼(120)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호퍼(130)를 포함한다.
또한, 원료 공급장치는, 유동호퍼(130)를 제1 호퍼(110)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부(140)와, 제2 호퍼(120)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유동호퍼(130)에 설치되는 진동발생부(150)와, 유동호퍼(130)를 이동시키도록 유동호퍼(130)에 연결되는 구동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료는 소결원료일 수 있고, 원료 공급장치(100)는 제2 호퍼(120)에서 유동호퍼(130)의 높이까지 소결원료를 채운 후 소결원료를 배출할 수 있다. 제1 호퍼(110), 유동호퍼(130), 및 제2 호퍼(120)는 순차적으로 상측부터 하측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호퍼(11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제1 호퍼(1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호퍼(110)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호퍼(110) 내로 장입된 원료는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제1 호퍼(110)는 지지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호퍼(120)는 제1 호퍼(110)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호퍼(120)는 내부공강을 가지고, 유동호퍼(13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고, 하부에는 원료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호퍼(1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호퍼(120)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호퍼(120) 내에 장입된 원료는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 호퍼(120)는 지지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125)는 하단부가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부가 제2 호퍼(120)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125)는 제2 벨트 컨베이어(30) 상측에 제2 호퍼(120)를 위치시킬 수 있고, 제2 호퍼(120)를 고정해줄 수 있다.
개폐부(미도시)는 제2 호퍼(120)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가 배출구를 폐쇄하면 제2 호퍼(120)의 내부부터 원료가 쌓여 저장될 수 있다. 개폐부가 배출구를 개방하면 원료가 제2 호퍼(120) 하측의 제2 벨트 컨베이어(30)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다.
유동호퍼(130)는 제1 호퍼(110)와 제2 호퍼(120)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상측부터 하측으로 제1 호퍼(110), 유동호퍼(130), 및 제2 호퍼(1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동호퍼(13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유동호퍼(1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동호퍼(130) 내의 원료는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호퍼(11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호퍼(110)의 상부로 원료를 정확하게 장입시킬 수 있고, 제2 호퍼(120)도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벨트 컨베이어(30)로 원료를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유동호퍼(130)는 고정된 제1 호퍼(110)와 제2 호퍼(120)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원료는 제1 호퍼(110), 유동호퍼(130), 및 제2 호퍼(120) 내부로 장입될 때 고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장치(100) 내에 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때 원료가 고착되거나 부착될 수도 있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원료 공급장치(100) 길이 대비 50~60% 높이 부근까지 원료가 제2 호퍼(120)의 하측부터 쌓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공급장치(100)에서 유동호퍼(130)의 위치까지 원료가 쌓일 수 있고, 유동호퍼(130)에 원료가 가장 많이 부착되거나 고착될 수 있다. 이에, 원료가 가장 많이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부분에 유동가능한 유동호퍼(130)를 구비하여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호퍼(110)의 하단이 유동호퍼(13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유동호퍼(1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유동호퍼(130)의 하단이 제2 호퍼(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2 호퍼(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호퍼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퍼(110)와 유동호퍼(130) 사이, 및 유동호퍼(130)와 제2 호퍼(1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호퍼(110), 유동호퍼(130), 및 제2 호퍼(120)를 따라 이동하는 원료가 틈새를 통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호퍼(110)의 외측둘레와 유동호퍼(130)의 내측둘레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동호퍼(130)의 외측둘레와 제2 호퍼(120)의 내측둘레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동호퍼(130)가 제1 호퍼(110)와 제2 호퍼(120) 사이에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 호퍼(110)의 하단부 폭(L1)이 유동호퍼(130)의 상부(또는, 개구부)의 폭(L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1 호퍼(110) 하단부의 외측둘레와 유동호퍼(130) 상부의 내측둘레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호퍼(130)가 유동할 때 유동호퍼(130)는 이격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제1 호퍼(110)와 충돌하거나 서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동호퍼(130)와 제1 호퍼(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동호퍼(130)를 안정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유동호퍼(130)의 하단부 폭(L3)이 제2 호퍼(120)의 상부(또는, 개구부)의 폭(L4)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유동호퍼(130)의 하단부의 외측둘레와 제2 호퍼(120) 하부의 내측둘레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호퍼(130)가 유동할 때 유동호퍼(130)는 이격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제2 호퍼(120)와 충돌하거나 서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동호퍼(130)와 제2 호퍼(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동호퍼(130)를 안정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호퍼(110) 내부면의 경사각도(α1)가 유동호퍼(130) 내부면의 경사각도(α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선과 제1 호퍼(110) 내부의 경사면의 각도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선과 유동호퍼(130) 내부의 경사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1 호퍼(110)의 유동호퍼(130) 내로 장입된 부분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유동호퍼(130) 내부둘레와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유동할 때 제1 호퍼(110) 하단부의 외측면과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동호퍼(130) 내부면의 경사각도(α2)가 제1 호퍼(110) 내부면의 경사각도(α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선과 유동호퍼(130) 내부의 경사면의 각도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선과 제2 호퍼(120) 내부의 경사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유동호퍼(130)의 제1 호퍼(110) 내로 장입된 부분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제1 호퍼(110) 내부둘레와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유동할 때 제2 호퍼(120) 상단부 외측면과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호퍼(110)와 유동호퍼(130) 사이의 간격과, 유동호퍼(130)와 제2 호퍼(120) 사이의 간격에 각각 밀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밀폐부재는 간격을 차단할 수 있고,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동호퍼(130)가 제1 호퍼(110) 및 제2 호퍼(120)와 별도로 이동하게 해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호퍼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a)를 참조하면, 지지부(140)는 유동호퍼(130)를 제1 호퍼(110)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40)는, 제1 호퍼(11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돌출부재(141), 유동호퍼(13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돌출부재(142), 및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143)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재(141)는 제1 호퍼(110) 하단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재(14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호퍼(110)의 하단부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제1 돌출부재(141)의 외경은 제1 호퍼(110)의 하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제1 돌출부재(141)는 제1 호퍼(11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재(142)는 유동호퍼(130) 상단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재(1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호퍼(120)의 상단부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제2 돌출부재(142)의 외경은 유동호퍼(130)의 상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제2 돌출부재(142)는 유동호퍼(13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재(142)의 외경은 제1 돌출부재(141)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141)는 제1 호퍼(11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제2 돌출부재(142)는 유동호퍼(130)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43)는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를 연결해주어, 제1 호퍼(110)에 유동호퍼(130)를 지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143)는 유동호퍼(130)가 제1 호퍼(110)와 별도로 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이에, 제1 호퍼(110)는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호퍼(130)가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연결부재(143)는 유동호퍼(130)가 제1 호퍼(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43)는 와이어 및 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43)는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를 관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43)는 일단과 타단이 분리될 수도 있고,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143)는 로프나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는 연결부재(143)에 의해 제1 호퍼(110)에 유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3)는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 호퍼(110) 및 유동호퍼(1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유동호퍼(130)가 유동하여 연결부재(143)의 형상이 변하거나 이동하는 경우, 연결부재(143)가 제1 호퍼(110) 및 유동호퍼(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충돌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143)의 수명이 연장되고, 작업 중 연결부재(143)가 끊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호퍼(110)와 유동호퍼(130)가 손상되는 것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와 같이 연결부재(143')는 스프링이나 신장수축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일 수도 있다. 이에, 연결부재(143')가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를 연결해주면서, 제2 돌출부재(142)가 제1 돌출부재(141)와 별도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43)가 와이어 및 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지지부(140)는, 유동호퍼(130)에 제1 호퍼(110)가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연결부재(143)에 설치되는 조절부재(146)와, 연결부재(143)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돌출부재(14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돌출부재(141)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144), 및 연결부재(143)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돌출부재(14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 돌출부재(142)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1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절부재(146)는 연결부재(143)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46)에 연결부재(143)의 일단과 타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조절부재(146)에 의해 연결부재(143)가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절부재(146)에 연결부재(143)의 양단이 삽입되는 정도를 증가시키면 연결부재(143)의 길이가 짧아져 유동호퍼(1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호퍼(110)의 하단이 유동호퍼(130) 내로 더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조절부재(146)에 연결부재(143)의 양단이 삽입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면 연결부재(143)의 길이가 길어져 유동호퍼(1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호퍼(110)의 하단이 유동호퍼(130) 내로 삽입되는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46)에 의해 유동호퍼(130)가 상하로 이동하면 유동호퍼(130)가 제2 호퍼(120) 내에 삽입되는 정도도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조절부재(146)를 이용하여 제1 호퍼(110)와 제2 호퍼(120) 사이에 적정위치에 유동호퍼(13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44)는 제1 돌출부재(141)에 연결부재(14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재(144)는 와셔일 수 있고, 제1 돌출부재(141)에 설치되어 연결부재(143)의 제1 돌출부재(141)를 관통하는 부분을 잡아줄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45)는 제2 돌출부재(142)에 연결부재(14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부재(145)는 와셔일 수 있고, 제2 돌출부재(142)에 설치되어 연결부재(143)의 제2 돌출부재(142)를 관통하는 부분을 잡아줄 수 있다. 그러나 제1 고정부재(144)와 제2 고정부재(145)가 연결부재(143)를 제1 돌출부재(141) 또는 제2 돌출부재(142)에 고정시켜주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재(143)가 제1 고정부재(144)와 제2 고정부재(145)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부재(143)가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 내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3)가 고정되기 때문에, 제1 돌출부재(141)와 제2 돌출부재(142)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증가하지는 못할 수 있다. 이에, 유동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좌우로는 진동할 수 있지만 상하로 진동하는 것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상하방향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여 제1 호퍼(110)나 제2 호퍼(120)와 분리되거나, 다른 호퍼들과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발생부(150)는 유동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유동호퍼(1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발생부(15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유동호퍼(130)의 표면에 설치되는 몸체부재(152), 유동호퍼(130)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몸체부재(152)의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재(151)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발생부(150)는 신장수축 가능하고 몸체부재(152)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타격부재(151)와 연결되는 가압부재(153), 및 몸체부재(152)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152)는 유동호퍼(130)의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재(152)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유동호퍼(130)와 접촉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타격부재(151)는 몸체부재(152)의 내부에 배치되고, 몸체부재(15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타격부재(151)가 유동호퍼(130)를 향하여 이동하면 유동호퍼(130)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유동호퍼(13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호퍼(130)가 유동하면서 유동호퍼(130) 내에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가 진동에 의해 유동호퍼(130)의 내측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가압부재(153)는 타격부재(151)를 유동호퍼(130) 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53)는 스프링일 수 있고, 몸체부재(152) 내에서 몸체부재(152)의 연장방향으로 신장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가압부재(153)의 일단은 타격부재(151)와 연결되고, 타측은 몸체부재(152)에 연결된다. 이에, 타격부재(151)는 타격부재(151)에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유동호퍼(130)와 충돌할 수 있다.
이동부재(미도시)는 가압부재(153)의 신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타격부재(15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타격부재(151)는 금속 성분을 함유하고, 이동부재는 전자석일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면 자기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타격부재(151)를 끌어당길 수 있다. 이동부재가 타격부재(151)를 끌어당기는 힘이 가압부재(153)가 타격부재(151)를 밀어내는 힘보다 크기 때문에, 가압부재(153)가 수축하면서 타격부재(151)가 유동호퍼(13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로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감소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가압부재(153)의 탄성력이 이동부재가 타격부재(151)를 끌어당기는 힘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53)가 타격부재(151)를 유동호퍼(130) 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타격부재(151)가 유동호퍼(130)의 외측벽 충돌하여 유동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재가 타격부재(151)를 유동호퍼(130)의 외측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나 유압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부(150)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전자기펄스(EMP) 등을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진동발생부(150)가 유동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유동호퍼(130)를 이동시키도록 유동호퍼(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의 로드가 유동호퍼(13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로드가 일측을 향하여 전진하면 유동호퍼(130)도 일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로드가 타측을 향하여 후진하면 유동호퍼(130)도 타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의 로드가 연속적으로 전후로 이동하면 유동호퍼(130)가 이동하면서 유동호퍼(130)가 흔들릴 수 있고, 유동호퍼(130) 내부에 부착된 원료가 분리될 수 있다.
구동부와 진동발생부(150)는 함께 구비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만 구비되어 유동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유동호퍼(130)를 흔들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가 유동호퍼를 흔드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150)와 구동부는 제2 호퍼(120)의 배출구가 개방되면 작동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원료 공급장치(100) 내에서 원료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유동호퍼(130)는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원료 공급장치(100) 내에서 부착된 원료들이 유동호퍼(130)의 유동에 의해 분리되어 다른 원료들과 함께 원료 공급장치(100)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호퍼(110)와 제2 호퍼(120) 사이에 유동할 수 있는 유동호퍼(130)를 설치하기 때문에, 내부에 원료가 부착되거나 고착되더라도 유동호퍼(130)를 유동시켜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공급장치(100)의 내부가 부착되거나 고착된 원료에 의해 막히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원료 공급장치(100)가 내부에 저장된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유동호퍼(13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유동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켜도 유동호퍼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유동호퍼(130)의 내측면에 부착된 원료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부착된 원료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공급장치(100)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제1 조립장치 40: 제2 조립장치
100: 원료 공급장치 110: 제1 호퍼
120: 제2 호퍼 130: 유동호퍼
140: 지지부 150: 진동발생부
100: 원료 공급장치 110: 제1 호퍼
120: 제2 호퍼 130: 유동호퍼
140: 지지부 150: 진동발생부
Claims (12)
- 내부에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공급장치로서,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호퍼; 및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제2 호퍼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호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호퍼의 일단이 상기 유동호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 호퍼의 외측둘레와 상기 유동호퍼의 내측둘레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호퍼의 일단이 상기 제2 호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유동호퍼의 외측둘레와 상기 제2 호퍼의 내측둘레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유동호퍼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유동호퍼와 상기 제2 호퍼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 탄성력을 가지는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원료 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호퍼, 상기 유동호퍼, 및 상기 제2 호퍼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동호퍼를 상기 제1 호퍼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호퍼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돌출부재;
상기 유동호퍼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돌출부재; 및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및 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동호퍼에 상기 제1 호퍼가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돌출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재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돌출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재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동호퍼에 설치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유동호퍼의 표면에 설치되는 몸체부재; 및
상기 유동호퍼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호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동호퍼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퍼, 상기 유동호퍼, 및 상기 제2 호퍼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호퍼 내부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유동호퍼 내부면의 경사각도보다 작은 원료 공급장치. -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소결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호퍼에서 상기 유동호퍼의 높이까지 소결원료를 채운 후 소결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819A KR101853766B1 (ko) | 2016-12-09 | 2016-12-09 | 원료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819A KR101853766B1 (ko) | 2016-12-09 | 2016-12-09 | 원료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3766B1 true KR101853766B1 (ko) | 2018-05-02 |
Family
ID=6218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819A KR101853766B1 (ko) | 2016-12-09 | 2016-12-09 | 원료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376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0115B1 (ko) * | 2019-06-07 | 2020-10-26 | 주식회사 포스코 | 건조 장치 |
KR102523987B1 (ko) * | 2022-08-16 | 2023-04-19 | 권태양 | 사출기 원료 주입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80845A1 (en) | 2006-06-21 | 2009-07-16 | Paul Wurth S.A. | Charging device for a shaft furnace |
-
2016
- 2016-12-09 KR KR1020160167819A patent/KR1018537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80845A1 (en) | 2006-06-21 | 2009-07-16 | Paul Wurth S.A. | Charging device for a shaft furna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0115B1 (ko) * | 2019-06-07 | 2020-10-26 | 주식회사 포스코 | 건조 장치 |
KR102523987B1 (ko) * | 2022-08-16 | 2023-04-19 | 권태양 | 사출기 원료 주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3766B1 (ko) | 원료 공급장치 | |
CN102806143A (zh) | 一种废钢、钢渣的分筛磁选系统及其分筛磁选方法 | |
KR20140070038A (ko) | 원료 처리 장치 | |
KR101290247B1 (ko) | 슬래그 선별장치 | |
CN106735122B (zh) | 物料分离设备 | |
CN1051578C (zh) | 应用磁力装入烧结原料的方法 | |
CN106111526A (zh) | 一种振动式分选筛 | |
CN203112091U (zh) | 送料缓冲装置 | |
KR101719517B1 (ko) | 원료 장입 장치 | |
KR20140134450A (ko) | 원료 처리 장치 | |
CN206215521U (zh) | 振动式分选筛 | |
CN108713062A (zh) | 装载用于散装物料热处理的移动炉排的托盘车的方法和设备 | |
CN209326471U (zh) | 一种烟花外筒填药生产线 | |
RU2683796C1 (ru) | Бокс выгрузки смешанного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из контейнера | |
CN209922339U (zh) | 一种自动筛选及输送扎带的盘面 | |
KR101723447B1 (ko) |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처리설비 | |
KR101318776B1 (ko) | 철광석 수송설비의 마모방지장치 | |
JP2006063375A (ja) | 焼結用原料の製造方法 | |
KR101735002B1 (ko) | 운송물 장입장치 | |
KR102008372B1 (ko) | 원료 처리 장치 | |
WO2016016966A1 (ja) | 部品供給装置および方法 | |
KR101070105B1 (ko) | 슈트 내의 운송물 고착 방지 장치 | |
KR20170119926A (ko) | 호퍼장치 | |
CN215825584U (zh) | 一种自动化瓷坯搬运设备 | |
CN201190043Y (zh) | 电动簸箕式装车闸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