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567B1 - 방열 장치 - Google Patents

방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567B1
KR101853567B1 KR1020160161415A KR20160161415A KR101853567B1 KR 101853567 B1 KR101853567 B1 KR 101853567B1 KR 1020160161415 A KR1020160161415 A KR 1020160161415A KR 20160161415 A KR20160161415 A KR 20160161415A KR 101853567 B1 KR101853567 B1 KR 10185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ng fin
flow path
radiating
flow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서
신동호
모도윤
장동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장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프레임, 유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체의 흐름을 일으키는 팬, 유로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방열핀 및 유로의 가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방열핀을 포함하고, 제 1 방열핀은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면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 장치{HEAT RADI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핀을 이용하여 열원의 열을 방열시키되 유로 내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비는 동작 중 많은 열을 발생하며, 발생된 열은 전자 장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자 장비에는 방열 장치가 필수적이다.
전자 장비의 소형화 추세와 더불어 초소형 전자 소자의 집적 밀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나, 점점 소형화되고 용량이 커지면서 열 집적도가 증가하여 전자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많아지게 되었으며, 이 열을 외부로 충분히 배출하지 않는다면 전자 장비의 성능과 수명이 낮아지고 열로 인한 변형으로 인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비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역시 소형화 및 성능 향상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열원과 히트싱크의 구조적인 최적 설계를 통해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에 집중되었으나, 공간 활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구조적인 최적 설계와 소형화를 동시에 구현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와이어 전극을 이용하여 이온풍을 발생시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노력도 있었으나, 소형화된 공간 내에 별도의 와이어 전극을 형성해야 하는 제작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0825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 내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여 방열핀에 의한 열전달 및 국소 대류 연전달 계수를 향상시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프레임; 상기 유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체의 흐름을 일으키는 팬;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방열핀; 및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열핀은 상기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면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열핀과 상기 제 2 방열핀은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열핀 또는 상기 제 2 방열핀 중 어느 하나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전극, 나머지 방열핀은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방열핀과 상기 제 2 방열핀 사이에 이온풍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열핀의 양 측면은 상기 유로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열핀의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열핀의 후면은 상기 제 1 방열핀의 양 측면에 직교하는 면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열핀의 후면에는 양쪽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열핀의 측면은 상기 유로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일측부는 날카롭게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이온풍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프레임;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방열핀; 및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열핀은 상기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면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방열장치가 수평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측에는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체의 흐름을 일으키는 팬이 형성되는 방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열 장치에 따르면 팬에 의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중앙에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곡면을 가지는 제 1 방열핀을 형성하여 유로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2 방열핀을 향하여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고 제 1 방열핀의 후단에서는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방열핀에 의한 열전달과 국소 대류 열전달 계수를 향상시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로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방열핀과 유로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2 방열핀을 각각 이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으로 활용하여 이온풍에 의한 국소 대류 열전달 계수를 향상시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제 1 방열핀 또는 제 2 방열핀을 고전압 전극 및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이온풍을 발생시키므로, 이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극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형성을 위해 방열핀의 형태가 다른 방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유로 내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 경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방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도 1의 방열 장치가 복수 개 배열된 또 다른 형태의 방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방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형성을 위해 방열핀의 형태가 다른 방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유로 내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 경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방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100)는 방열 프레임(110), 제 1 방열핀(120), 제 2 방열핀(130), 및 팬(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방열 프레임(110)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C)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ㄷ'자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형태로 유로(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열 프레임(110)은 상면과 일체로 단면이 'ㅁ'자의 형태로 개방된 면이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열원(미도시)은 아래의 가로면(112)과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가 있으며, 이때 방열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부면에는 별도의 덮개 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는, 도 1의 개방된 상부면에 열원(미도시)이 위치하도록 하여 직접 후술할 방열핀(120, 130)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열을 전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방열 프레임(110) 자체로 상하좌우면이 밀폐된 유로를 형성하거나 방열 프레임(110)과 열원(미도시)이 조합하여 상하좌우면이 밀폐된 유로(C)를 형성할 수가 있다.
방열 프레임(110)은 열 전도성이 좋은 금속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에서는 가로 20mm, 세로 10mm이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본 발명의 방열 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6을 참조로 후술할 내용이지만, 방열 장치(100)와 접촉하는 열원(미도시)의 단면적이 큰 경우에는 도 1의 단위 방열 장치(100)를 복수 개 배열하여 도 6과 같은 방열 장치(200)로 사용할 수도 있다.
팬(140)은 방열 프레임(110)이 형성하는 유로(C)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로(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체의 유동을 형성하는데, 이때 유체는 공기일 수가 있다.
제 1 방열핀(120)은 유로(C)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방열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 2 방열핀(130)은 유로(C)의 가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방열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가 있다. 제 1 방열핀(120)과 제 2 방열핀(130)은 방열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방열 프레임(110)의 내측에 별도로 형성하여 접합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방열핀(120)과 제 2 방열핀(130)은 유로(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내용이지만, 제 1 방열핀(120)과 제 2 방열핀(130)은 이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열 전도성 높고 동시에 전기 전도성도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방열핀(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팬(140)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인 전면(121)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이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곡면에 의해 유로(C)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유로(C)의 가장자리로 퍼지도록 안내하여 방열핀과의 접촉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유도할 수가 있어서 방열핀에 의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1 방열핀(120)이 유로(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는 경우, 제 1 방열핀(120)의 양 측면(122)과 제 2 방열핀(130) 사이의 유로(C)를 통과한 유체가 제 1 방열핀(120)의 후단에 도달하였을 때 유로(C)의 단면적의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로 와류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와류에 의한 유체의 유동은 국소 대류 열전달 계수를 향상시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제 1 방열핀(120) 또는 제 2 방열핀(130)을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방열핀을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고전압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고전압으로 이온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온풍이란 두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시킬 때 발생하는 공간 전하에 의해 유도되는 유동을 일컫는다. 하나의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시키고 다른 전극을 접지시키면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에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플라즈마가 발생하며, 이때 양성자는 음극인 접지 전극으로 전자는 양의 고전압 전극으로 이동하며 공간 전하가 발생하게 된다. 접지 전극 쪽으로 향하는 양성자는 부딪치는 주변 유체의 중성자를 밀어내며 유체에 관성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중성자의 흐름을 이온풍이라고 일컫는다.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고전압 전극을 날카롭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2 방열핀(130)의 측면(131)은 유로(C)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측면(131)의 일단에서 안쪽으로 음각의 홈(132)이 형성되도록 하면 일측부에 날카로운 돌출부(133)를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돌출부(133)를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하고 제 1 방열핀(120)을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제 2 방열핀(130)에서 제 1 방열핀(120)을 향하는 이온풍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방열핀(130)을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 2 방열핀(130)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가 있다.
또는, 제 1 방열핀(120)을 고전압 전극으로 제 2 방열핀(130)을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제 1 방열핀(120)에서 제 2 방열핀(130)을 향하는 이온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방열핀(120)의 양 측면(122)은 유로(C)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하여 제 1 방열핀(120)과 제 2 방열핀(130)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고, 제 1 방열핀(120)의 후면(123) 양쪽 가장자리를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방열핀(120)의 후면(123)을 제 1 방열핀(120)의 양 측면(122)에 직교하도록 형성하여, 측면(122)과 후면(123)이 사이에 직교하는 모서리부(124)를 고전압 전극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도 2에서 제 1 방열핀(120)을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 2 방열핀(130)은 접지 전극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또 다른 형태의 제 1 방열핀(1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 1 방열핀(120)의 후면(123)에 안쪽으로 만곡된 홈을 형성하도록 하여, 후면(123)의 양쪽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돌출되도록 돌출부(125)를 형성하여 돌출부(125)를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방열핀(120)을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 1 방열핀(120)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가 있다.
제 1 방열핀(120)의 후면(123) 양쪽 가장자리의 고전압 전극은 유로(C)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2 방열핀(130)의 접지 전극 사에서 이온풍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유로(C)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유로(C)의 표면에 속도 경계층이 형성된다. 또한, 열원(미도시)과 유체 사이의 대류 열전달에 의해 열 경계층이 형성되며, 종단 방향으로 유체가 유동함에 따라서 속도 및 열 경계층이 발달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종단 방향으로 유체의 유동이 진행될수록 유체 영역의 온도 구배가 발달하고, 이에 따라 온도 경계층이 형성된다. 이때, 열원(미도시)으로부터의 열전달 영향이 자유 흐름 영역인 중앙으로 침투되면서 온도 경계층이 점점 두꺼워지게 된다. 온도 경계층이 두꺼워짐에 따라서 온도 구배는 감소하게 되어 열전달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온도 경계층이 충분히 발달된 상태에서, 유로(C)의 중앙에서 이온풍을 발생시키게 되면 기존의 속도 경계층을 허물고 새로운 속도 경계층이 형성된다. 이후 온도 구배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온도 경계층 두께가 순간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국부적으로 대류 열전달 계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풍에 의해 온도 경계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가 있어서 방열핀(120, 130) 표면에서의 대류 열전달 성능을 국부적으로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1 방열핀(120) 또는 제 2 방열핀(130)에 고전압 전극을 형성할 때, 인가되는 고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이온풍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서는 제 1 방열핀(120)이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되고 유로(C)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2 방열핀(130)이 접지 전극으로 사용되고,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유로(C)의 일측에 형성된 팬(140)에 의해 유로(C)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방열핀(120)의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면(121)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체의 흐름을 유로(C)의 가장자리로 퍼지도록 안내하여 방열핀과의 접촉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유도할 수가 있어서 방열핀에 의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제 1 방열핀(120)의 후단에는 압력 변화로 와류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와류는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경계층 두께를 변화시켜 국부적으로 대류 열전달 계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때, 고전압 전극인 제 1 방열핀(120)에서 접지 전극인 제 2 방열핀(130)을 향하여 이온풍을 발생시켜 이온풍에 의한 효과로도 국부적으로 대류 열전달 계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6 도 1의 방열 장치가 복수 개 배열된 또 다른 형태의 방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도 1의 단위 방열 장치(100)가 수평으로 복수 개 병렬로 나열된 상태로 본 발명의 방열 장치(200)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단위 방열 장치(100)와 접촉하는 열원(미도시)의 단면적이 클 경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중 유로(C)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열원(미도시)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 변경을 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방열 장치 110: 방열 프레임
112: 가로면 120: 제 1 방열핀
121: 전면 122: 측면
123: 후면 124: 모서리부
125: 돌출부 130: 제 2 방열핀
131: 측면 132: 홈
133: 돌출부 140: 팬
200: 방열 장치 C: 유로

Claims (9)

  1.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프레임;
    상기 유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체의 흐름을 일으키는 팬;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방열핀; 및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열핀은 상기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면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열핀 또는 상기 제 2 방열핀 중 어느 하나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전극, 나머지 방열핀은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방열핀과 상기 제 2 방열핀 사이에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방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열핀과 상기 제 2 방열핀은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방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열핀의 양 측면은 상기 유로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열핀의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되는 방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열핀의 후면은 상기 제 1 방열핀의 양 측면에 직교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방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열핀의 후면에는 양쪽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되는 방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열핀의 측면은 상기 유로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일측부는 날카롭게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고전압 전극으로 사용되는 방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이온풍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열 장치.
  9.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프레임;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방열핀; 및
    상기 유로의 가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열핀은 유체의 흐름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면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방열 장치가 수평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측에는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체의 흐름을 일으키는 팬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열핀 또는 상기 제 2 방열핀 중 어느 하나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전극, 나머지 방열핀은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방열핀과 상기 제 2 방열핀 사이에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방열 장치.
KR1020160161415A 2016-11-30 2016-11-30 방열 장치 KR10185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15A KR101853567B1 (ko) 2016-11-30 2016-11-30 방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15A KR101853567B1 (ko) 2016-11-30 2016-11-30 방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567B1 true KR101853567B1 (ko) 2018-04-30

Family

ID=6208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415A KR101853567B1 (ko) 2016-11-30 2016-11-30 방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5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04A1 (ko) * 2009-05-08 2010-11-11 (주)파워스테이션씨엔에스 히트싱크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서플라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04A1 (ko) * 2009-05-08 2010-11-11 (주)파워스테이션씨엔에스 히트싱크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서플라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008B2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11985797B2 (en) Cooling device for dissipating heat from an object
JP2006295178A (ja) 電子素子用ヒートシンク装置
KR101384569B1 (ko) 공냉식 방열기를 가진 변압기
US10892208B2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emiconductor devices
WO2016112648A1 (zh) 散热装置
JP6497238B2 (ja) 発熱体冷却構造
KR101575422B1 (ko) 차량용 배터리
JP2008078260A (ja) イオン風を発生させるヒートシンク装置
KR970000281B1 (ko)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JP6391533B2 (ja) 半導体装置
JP4617463B2 (ja) プラズマシンセティックジェットを用いたcpuの冷却装置
KR101853567B1 (ko) 방열 장치
JP2019021825A (ja) 放熱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冷式冷却装置
JP2010517241A (ja) 静電ガスポンプのための輪郭づけられた電極
KR20200058219A (ko)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US1151033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dissipation function
KR102034649B1 (ko) 공냉식 냉각장치
TWI588437B (zh) 散熱器與散熱裝置
WO2019180762A1 (ja) 液冷式冷却器
JP6523207B2 (ja) ヒートシンクおよび筐体
CN105377004B (zh) 散热片
JP2006278735A (ja) 冷却装置
KR20200001617U (ko) 유동성이 향상된 공기 순환 방식의 인버터용 방열모듈
JPH1140967A (ja) 放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