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285B1 -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285B1
KR101853285B1 KR1020160167536A KR20160167536A KR101853285B1 KR 101853285 B1 KR101853285 B1 KR 101853285B1 KR 1020160167536 A KR1020160167536 A KR 1020160167536A KR 20160167536 A KR20160167536 A KR 20160167536A KR 101853285 B1 KR101853285 B1 KR 10185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olar cell
eva
fatty acid
temper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례
김호성
임진섭
우민홍
이윤성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6Selection or use of additives to aid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02W3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시트, 제1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태양전지 셀, 제2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및 강화유리를 차례로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는 단계; 및 (b) 파쇄된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지방산에 침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EVA 시트를 태양전지 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을 서로 분리하는 EVA 시트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강화유리 및 태양전지 셀을 간단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FROM WASTE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방산 용매를 이용한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의 폭발적인 수요에 따라 태양광 발전이 매년 급속히 증가하면서 태양전지의 수명종료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의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다. 태양광 모듈은 사용기간이 대체로 10년 ~ 20년이 지나면 태양광 폐모듈로서 일반 매립장에 매립 또는 방치되면서 환경폐기물로써 지자체 및 지역 주민들의 처리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태양광 모듈의 구성은 강화유리, 충진재(EVA), 태양전지 셀, 충진재(EVA), 백시트, 정션박스 및 이들을 지지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폐모듈을 분리하는 공정으로는 크게 기계적 해체, 강화유리/EVA 분리, 화학적 처리로 구분할 수 있다. 기계적 해체방법으로 알루미늄 프레임, 정션박스 그리고 백시트를 물리적 또는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며, 강화유리/EVA/태양전지/EVA는 충진재로 사용되는 EVA가 접착제 역할을 담당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강화유리/EVA 분리는 태양광 폐모듈의 재활용에서 매우 중요한 분리기술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강화유리/EVA 분리기술로는 주로 열분해법, 질산침지법, 용매제거법 등을 사용하여 EVA를 제거하고 있다.
충진재로 사용되는 EVA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 투명성, 완충성, 탄성, UV 투과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충진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일반 용매로는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실리콘계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효과적으로 강화유리 및 실리콘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EVA 제거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EVA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질소나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에서 고온(600)의 열을 사용하여 EVA의 녹는점을 이용하는 열분해법, 고온에서 질산에 침지하여 EVA를 녹여 제거하는 질산침지법, 유기용제로 EVA를 팽창시켜 강화유리와 셀을 분리하는 유기용매법 등이 있다.
그러나 열분해법의 경우 태양광 모듈의 크기에 따라 사용되어야 하는 장비 또는 노(furnace)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설치 및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열분해시 강화유리와 셀 사이에 EVA가 고온과 고압을 통하여 강화유리와 셀 표면에서 가교되어 잔존하므로 제거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고온 사용에 의한 경제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질산침지법의 경우 강화유리와 셀 사이에 질산의 침투가 어려워 질산의 온도를 고온으로 하여 분해속도를 높여도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EVA를 완전히 녹이지 못해 잔존물질이 남아 유기용매로 제거하는 2차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31688호는 태양전지 폐모듈의 셀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강화유리를 회수하는 방법과 500℃, 1시간 열처리를 이용하여 EVA를 완전히 제거하고 태양전지 셀을 회수하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1-69962호는 태양전지 폐셀에서 실리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혼산용액을 이용하여 회수된 태양전지 셀로부터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실리콘이 혼산용액에 담지되는 시간을 조정하여 실리콘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정에서는 혼산의 사용에 의한 제한된 반응기 선택의 어려움 및 폐산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고, 열처리 공정이 사용되어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강화유리 및 태양전지 셀을 간단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경제성을 높이고 환경적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백 시트, 제1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태양전지 셀, 제2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및 강화유리를 차례로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는 단계; 및 (b) 파쇄된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지방산에 침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EVA 시트를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을 서로 분리하는 EVA 시트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 일 수 있다.
[구조식 1]
R-COOH
구조식 1에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1의 직쇄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1의 분쇄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1의 직쇄형 알케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1의 분쇄형 알케닐기이고,
상기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케닐기에서 이중결합의 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상기 치환에 해당하는 기는 C1 내지 C6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내지 C6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또한 상기 지방산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이고,
R은 C10 내지 C2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10 내지 C20의 직쇄형 알케닐기이고,
상기 직쇄형 알케닐기에서 이중결합의 수는 1 또는 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화지방산이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데칸산, 아라크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헵타코산산, 몬탄산, 멜리스산, 및 락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불포화지방산이 아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세톨레산, 에루크산, 브라시드산, 소르브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프로피올산 및 스테아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이 식용유 또는 폐식용유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가 100 내지 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가 상기 지방산의 끓는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상기 단계 (a) 전에,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백시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상기 단계 (b) 후에, 단계 (b)의 결과물에서 상기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는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상기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는 단계; 및 물의 상부에 부유한 상기 태양전지 셀과 물의 하부에 침전된 상기 강화유리를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에 따라 제조된 폐태양전지 셀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강화유리 및 태양전지 셀을 간단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경제성을 높이고 환경적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거나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은, 백 시트, 제1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태양전지 셀, 제2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및 강화유리를 차례로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는 단계; 및 (b) 파쇄된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지방산에 침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EVA 시트를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을 서로 분리하는 EVA 시트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는 단계
먼저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할 수 있고, 또는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기 전에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백시트를 분리한 후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할 수 있다.
단계 (b): EVA 시트 제거
파쇄된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지방산에 침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EVA 시트를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일 수 있다.
[구조식 1]
R-COOH
구조식 1에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1의 직쇄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1의 분쇄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1의 직쇄형 알케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1의 분쇄형 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C10 내지 C2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10 내지 C20의 직쇄형 알케닐기이고,
상기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케닐기에서 이중결합의 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일 수 있고,
상기 치환에 해당하는 기는 C1 내지 C6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내지 C6의 분쇄형 알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화지방산으로서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데칸산, 아라크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헵타코산산, 몬탄산, 멜리스산, 또는 락세르산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행하여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지방산으로서 아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세톨레산, 에루크산, 브라시드산, 소르브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프로피올산 또는 스테아롤산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행하여 같이 사용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지방산이 식용유 또는 음식적 등에서 사용한 후 버려지는 폐식용유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EVA 시트 제거시 용매인 지방산의 온도를 100 내지 300℃로 해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방산의 온도가 100℃ 미만이면 EVA 시트 제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00℃ 초과이면 지방산의 휘발 또는 변형되어 강화유리표면에 붙어 중합되는 현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EVA 시트 제거시 상기 지방산의 끓는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지방산의 끓는점에서 EVA 시트 제거를 수행하면 반응기 내에서 지방산의 순환이 생기고 지방산 기포의 발생으로 인하여 EVA 시트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EVA 시트 제거 후에, 지방산에 포함된 상기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는 고체상을 체(SIEVE)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을 뜨거운 물에 침지하여 세척할 수 있고, 이 때 뜨거운 물의 상부에 부유한 상기 태양전지 셀과 물의 하부에 침전된 상기 강화유리를 각각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에 따라 폐태양전지 셀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강화유리/EVA/태양전지/EVA/back sheet로 구성된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back sheet를 제거한 후 강화유리/EVA/태양전지/EVA로 구성된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였다. 파쇄한 태양광 폐모듈을 지방산인 올레익산 용제가 저장된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150℃로 온도를 인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500 메쉬의 체를 이용하여 지방산과 고상물질을 분리하였다. 고상물질은 뜨거운 증류수가 있는 세척기에 투입하고 세척한 후 가라 앉은 강화유리와 부유한 태양전지 셀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3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매, 교반온도, 교반시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 셀을 분리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매, 교반온도, 교반시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 셀을 분리하였다.
용매 교반온도(℃) 교반시간(hr) 분리상태
실시예 1 올레익산 150 1 Δ
실시예 2 올레익산 150 3 Ο
실시예 3 올레익산 100 3 Δ
실시예 4 올레익산 100 12 Δ
실시예 5 올레익산 100 24 Ο
실시예 6 올레익산 300 1 Δ
실시예 7 올레익산 300 3 Δ
실시예 8 올레익산 300 12 Δ
실시예 9 식용유 150 1 Δ
실시예 10 식용유 150 3 Ο
실시예 11 식용유 100 12 Δ
실시예 12 식용유 100 24 Ο
실시예 13 식용유 300 3 Δ
비교예 1 질산 150 12 X
비교예 2 질산 150 24 X
비교예 3 톨루엔 150 3 X
비교예 4 톨루엔 150 12 X
비교예 5 톨루엔 150 24 X
강화유리와 셀 분리:Ο, 강화유리와 셀 일부 분리: Δ, EVA 팽윤: X
[시험예]
표 1은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제거시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13, 비교예 1 내지 5에서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제거 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응 후 EVA 제거 정도를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의 분리정도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올레익산 또는 식용유를 사용한 실시예에서 EVA가 일부분 녹거나 완전히 녹아 분리가 되었다. 다만 교반 온도가 300℃인 경우에는 용제인 올레익산 또는 식용유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강화유리표면에 코팅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종래의 일반적인 EVA 시트 제거 방법으로 사용되는 질산침지법의 경우 비교예 에서와 같이 고온에서 12, 24시간 반응 시에도 EVA가 녹지 않고 팽윤된 상태로 존재하여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이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에서 EVA를 잘 녹이는 용매로 알려진 톨루엔을 사용한 경우에서도 고온에서 3시간 이후에도 EVA가 단순히 팽윤되어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이 분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백 시트, 제1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태양전지 셀, 제2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시트, 및 강화유리를 차례로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하는 단계; 및
    (b) 파쇄된 상기 태양광 폐모듈을 지방산에 침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EVA 시트를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을 서로 분리하는 EVA 시트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인 것인,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구조식 1]
    R-COOH
    구조식 1에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1의 직쇄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1의 분쇄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1의 직쇄형 알케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1의 분쇄형 알케닐기이고,
    상기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케닐기에서 이중결합의 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상기 치환에 해당하는 기는 C1 내지 C6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내지 C6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이고,
    R은 C10 내지 C2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10 내지 C20의 직쇄형 알케닐기이고,
    상기 직쇄형 알케닐기에서 이중결합의 수는 1 또는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이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데칸산, 아라크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헵타코산산, 몬탄산, 멜리스산, 및 락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불포화지방산이 아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세톨레산, 에루크산, 브라시드산, 소르브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프로피올산 및 스테아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식용유 또는 폐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100 내지 3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상기 지방산의 끓는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상기 단계 (a) 전에,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백시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이
    상기 단계 (b) 후에, 단계 (b)의 결과물에서 상기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는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시트 제거방법이
    상기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는 단계; 및
    물의 상부에 부유한 상기 태양전지 셀과 물의 하부에 침전된 상기 강화유리를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로부터 EVA 시트 제거방법.
  12. 제1항에 따라 EVA 시트가 제거된 폐태양전지 셀.


KR1020160167536A 2016-12-09 2016-12-09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KR10185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36A KR101853285B1 (ko) 2016-12-09 2016-12-09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36A KR101853285B1 (ko) 2016-12-09 2016-12-09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285B1 true KR101853285B1 (ko) 2018-04-30

Family

ID=6208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36A KR101853285B1 (ko) 2016-12-09 2016-12-09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04B1 (ko) 2019-02-01 2020-01-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태양전지 모듈의 전면유리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KR20200114634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태양광 폐모듈의 재활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4929A (ja) 2008-10-30 2010-05-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分離回収方法
JP2013001806A (ja) * 2011-06-16 2013-01-07 Yokohama Yushi Kogyo Kk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の剥離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4929A (ja) 2008-10-30 2010-05-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分離回収方法
JP2013001806A (ja) * 2011-06-16 2013-01-07 Yokohama Yushi Kogyo Kk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の剥離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04B1 (ko) 2019-02-01 2020-01-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태양전지 모듈의 전면유리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KR20200114634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태양광 폐모듈의 재활용방법
KR102250482B1 (ko) * 2019-03-29 2021-05-12 주식회사 레나 태양광 폐모듈의 재활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067B2 (ja) 架橋化evaの可溶化方法、可溶化方法を用いた使用済み太陽電池からの資源回収法
Ka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for recycling of silicon and glass from waste photovoltaic modules
Wang et al. A review of end-of-life crystalline silicon solar photovoltaic panel recycling technology
KR101853285B1 (ko) 태양광 폐모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제거방법
EP2668226B1 (de) Trennmedium, verfahren und anlage zum trennen von mehrschichtsystemen
JP201201913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材料の再利用のための回収方法
IT202000030176A1 (it) Recupero di plastiche e vetro dai pannelli fotovoltaici a fine vita
CN212760298U (zh) 完整玻璃光伏组件的回收装置
CN105355709B (zh) 一种晶体硅太阳电池组件的玻璃分离方法
CN114602953A (zh) 一种热辅助机械拆解光伏组件的方法
CN112133791A (zh) 一种回收光伏组件的方法
CN109550770A (zh) 一种报废光伏背板无害化处理的方法和装置
CN113385521A (zh) 一种光伏组件分离回收方法
CN114248369A (zh) 一种太阳能背板材料的回收方法
CN114798690A (zh) 一种废旧晶硅光伏板板间分离回收的方法
Chen et al. The application of organic solvents and thermal process for eliminating EVA resin layer from waste photovoltaic modules
CN113426795A (zh) 一种晶硅光伏材料的回收方法
CN110587856A (zh) 一种含氟材料的太阳能背板膜的分离方法
Palaniappan et al. Recycling of Solar Panels
KR20190140380A (ko) 태양광 폐모듈에서 알루미늄 제거방법
JP2015217372A (ja) 太陽電池パネルの再生処理方法
Ko et al. Review on Separation Processes of End-of-Life Silicon Photovoltaic Modules
CN210296400U (zh) 一种晶硅光伏组件的回收装置
CN104975186B (zh) Ito膜功能片的综合回收利用方法
Cheema et al. Comprehensive review of the global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recycling of decommissioned photovoltaic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