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097B1 -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097B1
KR101853097B1 KR1020160146467A KR20160146467A KR101853097B1 KR 101853097 B1 KR101853097 B1 KR 101853097B1 KR 1020160146467 A KR1020160146467 A KR 1020160146467A KR 20160146467 A KR20160146467 A KR 20160146467A KR 101853097 B1 KR101853097 B1 KR 10185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point
muscle
convex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현 유
박지호
차영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2Enhanced rubb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엄지, 수지, 족지, 손등, 발등, 손바닥, 발바닥, 아킬레스건, 팔, 팔꿈치, 관절 주변, 등근육, 대퇴 근육, 엉덩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을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휴대와 파지가 쉽고, 신체 부위의 표면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마사지 기구의 모든 면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가 가능한,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본체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는, 물고기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의 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물결형상을 이루며, 본체 하부의 일측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구비되되, 5개의 오목부와 5개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의 다른 일측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팔근육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에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와 팔근육 마사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오목부로 이루어지되, 팔근육 마사지부의 하단폭보다는 작은 하단폭을 가지는,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를 구비하며, 본체의 상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S자형을 이루는 표층근육 마사지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좌측부는 유선형 또는 끝이 둥굴려진 V자형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심층근육 마사지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우측부는, 볼록부로 이루어진 2개의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사이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돌출관절 마사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Portable multi function massage device}
본 발명은, 넓은 부위의 마사지가 필요한 등근육, 대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의 마사지 뿐만아니라, 엄지, 아킬레스건, 팔, 팔꿈치, 손가락, 발가락, 관절 주변 등의 특정부분의 마사지를,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휴대와 파지가 쉽고, 신체 부위의 표면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마사지 기구의 모든 면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가 가능한,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사지는 신체에 이상을 느끼는 경우 피부나 근육을 문질러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신체에 느껴지는 통증이나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 중의 하나이며, 근 골격계, 근육 등의 다양한 신체부위에 실시되고 있다.
마사지 기구는 크게 전동형 마사지 기구와 수동형 마사지 기구로 대별할 수 있다. 수동형 마사지 기구(이하, 마사지 기구라 함)는 저가이면서 휴대가 편리하고 장소 및 시간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마사지하는 부위 및 용도에 따라 그 형태가 각각 이다.
종래의 마사지 기구들은 마사지를 필요로 하는 신체 부위, 또는 용도에 따라 그에 맞는 적절한 형태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 기구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마사지 기구들을 각각 구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최근에는 근육 마사지 등으로 혈액순환촉진, 근육의 이완·촉진, 근육 유착 방지 등 지방조직 등을 분해시킴으로서 비만, 체형미, 얼굴윤곽, 피부 관리까지 동시에 수행하는 마사지 요법 등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근육 마사지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 기구들이 개발되어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선수트레이너, 의사들은 근육 불균형과 관련하여 자세교정 및 움직임 패턴을 치료 및 교정하거나. 이를 위한 교정운동 강좌를 많이 행하고 있다. 환자 등의 클라이언트들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 각 신체부위의 긴장된 혹은 단축된 근육을 억제시킬 필요가 있는데, 그때 남녀노소 불문하고 이용할 수 있는 소도구로서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스포츠 선수들의 근육은 일반인들에 비해 부피가 상당히 크고 근력이 세기 때문에, 상당히 단단하면서 무게감있는 재질, 즉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보다 다목적이면서 보다 다기능인 마사지 기구로서, 이러한 스포츠 선수에게서도 심부를 선택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가 요망된다.
또한, 여성 임사가들은 부피가 크지 않고, 무겁지 않으면서도, 스포츠 선수에게까지 사용 가능한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요망한다.
즉, 보다 다목적용이면서 보다 다기능을 가져서, 보다 많은 분야에서 신체 부위에 적용가능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져, 스포츠 선수의 부피가 상당히 크고 근력이 센 근육에도 적용 가능하며, 보다 휴대하기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파지가 쉽고,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목적에 맞게 근육이완, 근육촉진, 경혈자극, 혈액순환촉진, 근육 유착 방지등 해당근육에 부드럽게 적용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마사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다목적·다기능 마사지 기구가 필수적으로 요망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다기능 마사지기구를 위해, 연구개발을 행하여 왔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인,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1호, 제10-1417967호, 제10-1398013호, 제10-1424204호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1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도 1에서와 같이, 막대 형상의 본체(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의 측면에 수지, 족지, 손등, 발등을 선택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사지 홈부(10a-10d)를 형성하고, 본체의 일측 단부에 좁은 관절 사이를 마사지할 수 있는 돌기 블록(11)을 형성하여 구성되되, 본체의 폭보다 넓은 돌기 블록이 폭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연설되고, 돌기블록의 각 단부에서 본체 쪽으로 수지 또는 족지를 선택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수지 마사지 홈부(10a) 및 족지 마사지 홈부(1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다른 일측 단부에 엉덩이 근육 또는 심부 근육을 선택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근육 마사지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손등 마사지 홈부(10c) 및 발등 마사지 홈부(10d)를 구비하고 있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1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넓은 부위의 마사지가 필요한 등근육, 대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의 마사지는 행할 수 없다. 뿐만아니라 손등 마사지 홈부 및 발등 마사지 홈부는 손등과 발등에 위치된 5개의 손가락과 5개의 발가락에 관련된 뼈의 사이를 마사지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특허로는 그런 부분이 어렵다. 또한, 본체의 일측 단부, 즉, 돌기 블록(11)와 돌기 블록(11)의 사이의 단부(13)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돌기 블록(11)을 이용한 마사지시 손에서 마사지 기구가 미끄러지거나, 이 기구를 계속 잡고 마사지하기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수지 마사지와 손등 마사지를 이어서 하는 경우가 많은 데, 수지 마사지 홈부(10a)와 손등 마사지 홈부(10c)가 떨어져 있어, 이 기구를 이용하여 수지 마사지와 손등 마사지를 이어서 할 경우, 수지 마사지와 손등 마사지의 사이에 틈이 길게 생기게 되며, 이는 혈행, 근육이완 등에 영향을 미쳐, 좋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417967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도 2에서와 같이, 선단부가 뾰족한 화살촉 형상의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단부의 뾰족한 화살촉 형상을 이루는 부분은 발바닥이나 좁은 부위를 눌러 마사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발바닥 마사지부(21)이며, 본체의 후단부에 홈을 구비하여 손 또는 발을 마사지할 수 있는 손/발 마사지부(22)를 형성하고, 본체 일측에 홈을 구비하여 엄지 또는 아킬레스건을 마사지할 수 있는 엄지/아킬레스건 마사지 홈부(20a)를 형성하고, 본체 다른 일측에서 엄지/아킬레스건 마사지 홈부의 아래에 홈을 구비하여 팔을 마사지할 수 있는 팔 마사지 홈부(20b)를 형성하고 있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417967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도, 등근육, 대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의 마사지는 행할 수 없으며, 손등 마사지 및 발등 마사지를 할 수 없다. 엄지/아킬레스건 마사지 홈부는 엄지만 마사지가 가능하며, 다른 손가락은 마사지가 어렵다. 또한, 발바닥 마사지부(21)은 하나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누르거나 전후좌우로 마사지 할경우, 마사지 부위의 좁은 범위, 또는 넓은 범위에 따라, 돌출된 부분의 폭이 서로 다른 것이 요망되는 데, 발바닥 마사지부(21)는 이러한 경우에 사용이 어렵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3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도 3에서와 같이, 양단부(30c)가 라운딩 처리된 초승달 형상의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의 내측면에 대퇴 근육이나 엉덩이 또는 장딴지 근육을 선택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대퇴 마사지부(30a), 및 본체의 외측면에 등이나 목 또는 팔을 선택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등 마사지부(30b)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3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대퇴 마사지부(30a) 및 등 마사지부(30b)이외에 어떠한 마사지부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424204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변곡부를 갖는 막대 형상의 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의 일측 단면에 어깨, 목, 등, 엉덩이, 대퇴, 및 장딴지 근육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광대역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광대역 마사지 홈부(40a)를 형성하고, 본체의 양단부에는 좁은 관절 사이나 국소 부위를 국부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첨단부(41)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424204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수지, 족지, 손등, 발등, 아킬레스건에 대한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도 5에서와 같이,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1호, 제10-1417967호, 제10-1398013호, 제10-1424204호의 마사지 기구들이 한 세트를 이루어,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사지 기구들은 마사지시 소정의 무게감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기구들은 금속소재, 예를들어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사지 기구 세트를 휴대하기에는 상당히 무겁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휴대가 쉽지않다는 것이다. 또한 4개를 한 세트로 구비해야 하므로 가격도 비싸다.
따라서 이들의 기능을 망라하여, 즉, 엄지, 손가락(수지), 발가락(족지), 손등, 발등, 손바닥, 발바닥, 아킬레스건, 팔, 팔꿈치, 관절 주변, 등근육, 대퇴 근육, 엉덩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을 선택적으로 마사지 할 수 있으면서, 보다 가볍고, 사용하기 편한 마사지 기구가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엄지, 손가락(수지), 발가락(족지), 손등, 발등, 손바닥, 발바닥, 아킬레스건, 팔, 팔꿈치, 관절 주변, 등근육, 대퇴 근육, 엉덩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을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휴대와 파지가 쉽고, 신체 부위의 표면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마사지 기구의 모든 면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가 가능한,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보다 다목적용이면서 보다 다기능을 가져서, 보다 많은 분야에서 신체 부위에 적용가능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져, 스포츠 선수의 부피가 상당히 크고 근력이 센 근육에도 적용 가능하며, 보다 휴대하기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파지가 쉽고,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목적에 맞게 근육이완, 근육촉진, 경혈자극, 혈액순환촉진, 근육 유착 방지등 해당근육에 부드럽게 적용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마사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다목적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다목적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본체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는, 물고기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의 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물결형상을 이루며, 본체 하부의 일측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구비되되, 5개의 오목부와 5개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의 다른 일측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팔근육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에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와 팔근육 마사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오목부로 이루어지되, 팔근육 마사지부의 하단폭보다는 작은 하단폭을 가지는,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다목적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본체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는, 물고기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의 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물결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상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S자형을 이루는 표층근육 마사지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좌측부는 유선형 또는 끝이 둥굴려진 V자형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심층근육 마사지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우측부는, 볼록부로 이루어진 2개의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사이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돌출관절 마사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하단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하단을 선으로 이으면, 원호형을 이룬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되,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오목부의 하단폭은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하단폭의 오목부의 2배 이상 3배 미만이다.
팔근육 마사지부의 오목부에, 팔 근육을 위치시키고 압력과 함께 상 및 하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오목부에 아킬레스건 또는 엄지두덩근을 위치시키고 압력을 주어 밀되, 근 주행방향으로 전진 후진을 반복하여 밀어서 마사지 하도록 이루어지며,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를, 수지와 수지의 사이, 또는, 족지와 족지 사이의 뼈가 맞닿는 부분에 위치시키고, 쓸어올리고 쓸어내림에 의해 마사지를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팔근육 마사지부의 각도는, 팔근육 마사지부의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의 최저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으로 하고, 다른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의 최저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로 하고, 팔근육 마사지부의 중앙의 최고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로 할 때,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과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과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구하며, 팔근육 마사지부 각도는 125도 내지 140도이며, 팔근육 마사지부의 하단폭은 약 7cm이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각도는,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인 제5하부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인 제5하부 볼록부 중앙점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중앙 최고점인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을 이은선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다른 일측에 연설된 제6하부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인 제6하부 볼록부 중앙점과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서, 100도 내지 120도이며,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하단폭은, 4cm 내지 5cm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의 각도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의 중앙점과 상기 볼록부의 좌측에 연설된 오목부의 중앙점인 좌측 오목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볼록부의 중앙점과 상기 볼록부의 우측에 연설된 오목부의 중앙점인 우측 오목부 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65도 내지 75도이며,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의 하단폭은 1.4cm 내지 2.5cm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오목부의 각도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오목부의 중앙점과 상기 오목부와 연설된 좌측 볼록부의 중앙점인 좌측 볼록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상기 오목부의 중앙점과 상기 오목부와 연설된 우측 볼록부의 중앙점인 우측 볼록부 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65도 내지 75도이고,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오목부의 하단폭은, 1.5cm 내지 2.5cm이다.
극소부위 마사지부는 관절과 관절의 사이에 위치시켜서, 눌러 압력을 가하여 마사지를 행하도록 이루어지며, 돌출관절 마사지부는 팔꿈치, 복숭아뼈를 포함하는 돌출된 관절 주변에서 돌출된 관절을 향해 쓸어오면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극소부위 마사지부는,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상부에 위치한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와,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를 구비하며,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으로부터 1cm 지점에,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과 평행한 평행선을 그렸을때, 상기 평행선과 극소부위 마사지부가 만나는 점을, 극소부위 마사지부 시작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종료점이라 하고, 극소부위 마사지부 시작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종료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를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각도라고 할때,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의 각도는 30도 내지 40도이며,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의 각도는 40도 내지 50도이다.
극소부위 마사지부 시작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종료점의 거리를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이라고 할 때,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과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은 1cm 내지 2cm이며,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보다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이 작다.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와 접하는 수직선인 제4수직선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와 접하는 수직선인 제5수직선을 구비할 때, 제4수직선과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접점이,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일측끝점이고, 제5수직선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접점이,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다른 일측끝점이라 하며,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각도는,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과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일측끝점을 이은 선과, 중앙인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과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다른 일측끝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라 할 때,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를 이며,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하단폭은 3cm 내지 5cm이다.
표층근육 마사지부는, 표층근육 마사지부의 오목부인 상부 오목부를, 대퇴근, 슬괵근, 장딴지근, 대흉근, 등근육에 위치시켜, 압력을 가함과 함께, 근육주행방향으로 밀어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진 수단이며, 심층근육 마사지부는,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볼록부를, 소흉근을 포함하는 심층근육을 눌러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진 수단이다.
상부 오목부 최저점을 지나는 접선인 제2수평선과, 표층근육 마사지부의 볼록부인 상부 볼록부와 만나는 점을, 상부 볼록부 시작점이라 하고, 상부 볼록부 시작점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을 이은 선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부 볼록부 각도라 하고, 상부 볼록부 최고점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을 이은 선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과 상부 오목부 최고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부 오목부 각도라 할 때, 상부 볼록부 각도는, 145도 내지 165도이고, 상부 오목부 각도는, 145도 내지 165도이다.
상부 볼록부 최고점과 상부 오목부 최고점의 거리는 14cm 내지 16cm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시작점(147)을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일 끝점으로 하고,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시작점(147)을 지나는 직선인 제3수직선(142)과 상부 볼록부가 만나는 점을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다른 끝점으로 하고,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일 끝점과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을 이은 선과,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다른 끝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각도라 할때,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각도는 50도 내지 65도이다.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일 끝점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다른 끝점의 사이의 거리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폭이라 할때,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폭은 2cm 내지 3cm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엄지, 손가락, 발가락, 손등, 발등, 손바닥, 발바닥, 아킬레스건, 팔, 팔꿈치, 관절 주변, 등근육, 대퇴 근육, 엉덩이 근육, 장딴지 근육 등을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휴대와 파지가 쉽고, 신체 부위의 표면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마사지 기구의 모든 면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보다 다목적용이면서 보다 다기능을 가져서, 보다 많은 분야에서 신체 부위에 적용가능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져, 스포츠 선수의 부피가 상당히 크고 근력이 센 근육에도 적용 가능하며, 보다 휴대하기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파지가 쉽고, 하나의 마사지 기구로 목적에 맞게 근육이완, 근육촉진, 경혈자극, 혈액순환촉진, 근육 유착 방지등 해당근육에 부드럽게 적용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마사지할 수 있다.
최근 임상가(물리/작업치료사/선수트레이너/의사)들은 근육 불균형과 관련하여 자세교정 및 움직임 패턴을 치료하는 교정운동강좌가 성행하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들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 각 신체부위의 긴장된 혹은 단축된 근육을 억제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일반인에 비해 부피가 상당히 크고 근력이 센, 스포츠 선수들의 근육에도 적용가능하여서, 상대적으로 연약한 여성 임상가들에게 상당히 도움이 된다.
도 1은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1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국내등록 특허 제10-1417967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3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국내등록 특허 제10-1424204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국내등록 특허 제10-1398011호, 제10-1417967호, 제10-1398013호, 제10-1424204호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들을 세트로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세트의 일예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상부의 표층근육 마사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좌측부의 심층근육 마사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우측부의 돌출관절 마사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우측부의 극소부위 마사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하부의 팔근육 마사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하부의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의 하부의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일 오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일 볼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를 이용한 수지마사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수지를 마사지하기 위해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 및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하단부가 이루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를 이용한 족지마사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상부, 좌측부, 우측부는, 물고기의 상부(즉, 등부), 좌측부(즉, 머리부), 우측부(즉, 꼬리부)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물고기의 하부(즉, 배부)에 다수의 홈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진 물결(리플)형상을 가진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는, 물고기의 하부(즉, 배부)에 물결(리플)형상을 가진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상부의 표층근육 마사지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체(100)의 상부는, 표층근육 마사지부(110)로서, 상부 볼록부(120)과 상부 오목부(130)가 연설되어 S형상을 이루며, 그 테두리는 양날 형상을 이루되, 테두리의 끝은 둥굴려져 있다. 즉, 본체(100)의 상부는, 본체(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부 볼록부(120)가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부 오목부(130)가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좌측단과 접하는 수직선을 본체 좌단 수직선(104), 본체(100)의 우측단과 접하는 수직선을 본체 우단 수직선(105), 본체(100)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본체 중앙 수직선(103)이라 할 수 있다.
상부 오목부(130)는 대퇴근, 슬괵근(허벅지 뒷근육), 장딴지근(비복근, 종아리 뒷쪽에 위치한 근육), 대흉근, 등근육, 등과 같이, 넓은 영역에 걸쳐 볼록한 근육에, 소정 압력을 가함과 함께, 근육주행방향(상·하, 좌·우, 대각선방향)으로 밀어서 마사지한다. 예를 들면, 과긴장된 대퇴근육을 이완시킬 목적으로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과긴장정도와 비례하는 적당한 압력을 주어 쓸어올리는 동작을 여러번 반복한다. 원위부에서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쓸어내릴 시에는 이완된 해당근육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등근육, 대흉근 등을 마사지 할 경우, 등근육과 등근육의 사이의 오목한 부분인 척추부분에, 또는 대흉근과 대흉근 사이의 오목한 부분인 흉골부분에, 상부 볼록부(120)를 위치시켜 밀거나 눌러서 마사지할 수 있다.
표층근육 마사지부(110)에서, 상부 볼록부(120)의 최고점(즉, 상부 볼록부 최고점)(116)을 지나는 직선인 제1수직선(101)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116)을 지나면서 제1수직선(101)과 수직인 제1수평선(111)과, 상부 오목부(130)의 최저점(즉, 상부 오목부 최저점)(117)을 지나는 직선인 제2수직선(102)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117)을 지나면서 제2수직선(102)과 수직인 제2수평선(112)과, 상부 오목부(130)의 최고점(즉, 상부 오목부 최고점)(118)을 지나며 제2수평선(112)과 평행인 제3수평선(113)을 그었을 때, 상부 볼록부(120)에서 제2수평선(112)과 만나는 점을 상부 볼록부 시작점(115)이라 할 수 있다.
상부 볼록부 시작점(115)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116)을 이은 선(121)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116)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117)을 이은 선(125)이 이루는 각도인, 상부 볼록부 각도는, 145도 내지 165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8도이다.
상부 볼록부 최고점(116)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117)을 이은 선(125)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117)과 상부 오목부 최고점(118)을 이은 선(135)이 이루는 각도인 상부 오목부 각도는, 145도 내지 165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48도이다. 상부 볼록부 각도보다 상부 오목부 각도가 적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볼록부 최고점(116)와 상부 오목부 최고점(118)의 거리는 14cm 내지 16cm일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좌측부의 심층근육 마사지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체(100)의 좌측부는 심층근육 마사지부(140)로, 유선형 또는 끝이 둥굴려진 V자형의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심층근육 마사지부(140)의 뾰족한 선단은 심층에 분포하고 있는 과긴장된 심층근육을 상·하, 좌·우로 눌러서 마사지한다. 즉, 심층근육 마사지부(140)의 뾰족한 선단은 넓고 얇게 분포한 표층근육보다 심층에 분포하고 있는 과긴장된 심층근육을 선택적으로 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소흉근은 대흉근 밑에 분포하기 때문에 선단으로 대흉근외측을 들어서 정확한 근육유착부위 혹은 동통유발부위에 도착하여 상·하, 좌·우로 눌러서 압력에 의한 자극을 제공하여 마사지한다.
본체(100)의 하부의 물결(리플)형상의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시작점(즉,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 시작점)(147)을 지나는 직선인 제3수직선(142)과, 심층근육 마사지부(140)의 중앙점(즉,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을 지나가며 제3수직선(142)에 수직인 제4수평선(141)을 구비할 수 있다. 제3수직선(142)과 상부 볼록부(120)가 만나는 점(143)과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을 이은 선과,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과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 시작점(147)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는 50도 내지 65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7도일 수 있다. 제3수직선(142)과 상부 볼록부(120)가 만나는 점(143)과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 시작점(147)의 사이 거리는 2cm 내지 3cm이고, 바람직하게는 2.5cm이다.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에서부터, 제3수직선(142)과 제4수평선(141)이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2cm 내지 3cm이고, 바람직하게는 2.2cm이다.
도 9는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우측부(150)의 돌출관절 마사지부(17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우측부(150)의 극소부위 마사지부(160, 18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우측부(150)는, 물고기의 꼬리와 같이, 2개의 볼록부인,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와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의 사이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돌출관절 마사지부(170)를 구비한다.
돌출관절 마사지부(170)는 팔꿈치, 복숭아뼈처럼 돌출된 관절 주변을 방사형으로 쓸어오면서(밀어 오면서) 마사지하며, 이는 유착조직을 부드럽게 마사지하는데 이용한다.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와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의 볼록부를 관절과 관절의 사이 등의 좁고 국부적인 부위에 위치시키고, 눌러 압력을 가하여 마사지를 행한다. 즉,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와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의 볼록한 첨단부는 관절사이 좁고 국부적인 부위에 국소적인 마사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국소 부위를 눌러 압력에 의한 자극을 제공하는데 이용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와 접하는 수직선인 제4수직선(171)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와 접하는 수직선인 제5수직선(172)를 구비할 때, 제4수직선(171)과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의 접점이,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일측끝점(176)이고, 제5수직선(172)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의 접점이,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다른 일측끝점(177)이 된다. 돌출관절 마사지부(170)가 이루는 오목부의 중앙인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175)과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일측끝점(176)을 이은 선과, 중앙인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175)과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다른 일측끝점(177)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136도를 이룬다.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하단폭은,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일측끝점(176)과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다른 일측끝점(177) 사이의 거리로서, 이는 3cm 내지 5c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8cm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의 상단의 중앙점(즉,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65)을 지나는 접선인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161)을 그리고,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161)과 수직이면서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65)을 지나는 직선인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 수직선(162)을 그린다. 또한,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 수직선(162)에서,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61)으로부터 1cm 지점에,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161)과 평행한 직선인,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평행선(163)을 그린다.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평행선(163)과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160)가 만나는 점을, 제1 극소부위 시작점(166)과 제1 극소부위 종료점(167)이라 할때, 제1 극소부위 시작점(166)과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65)을 이은 선과,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65)과 제1 극소부위 종료점(167)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즉,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각도)는 30도 내지 4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4도 이다. 제1 극소부위 시작점(166)과 제1 극소부위 종료점(167)의 사이의 거리는 약 1cm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의 상단의 중앙점(즉,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85)을 지나는 접선인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181)을 그리고,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181)과 수직이면서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85)을 지나는 직선인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 수직선(182)을 그린다. 또한,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 수직선(182)에서,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85)으로부터 1cm 지점에,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181)과 평행한 직선인,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평행선(183)을 그린다.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평행선(183)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180)가 만나는 점을, 제2 극소부위 시작점(186)과 제2 극소부위 종료점(187)이라 할때, 제2 극소부위 시작점(186)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85)을 이은 선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185)과 제2 극소부위 종료점(187)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즉,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각도)는 40도 내지 5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6도이다. 제1 극소부위 시작점(166)과 제1 극소부위 종료점(167)의 사이의 거리는 약 1cm 내지 2c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1.5cm이다.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각도는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각도보다 작다.
도 11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하부(300)의 팔근육 마사지부(35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하부(300)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번갈아가며 다수개 구비되어, 물결(리플)형상을 이룬다. 본체(100)의 하부(300)의 우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팔근육 마사지부(350)를 구비하며, 본체(100)의 하부(300)의 중간부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를 구비하고, 본체(100)의 하부(300)의 좌측에 다수개의 오목부로 이루어진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를 구비한다.
팔근육 마사지부(350)는 그 하단 폭이 상부 오목부(130)의 하단폭보다 작으며,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 및 돌출관절 마사지부(170)의 하단폭보다는 크다. 팔근육 마사지부(350)의 오목부에, 팔 근육을 위치시키고 소정 압력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마사지한다. 즉, 팔근육 마사지부(350)는 윗팔 이두근, 팔꿈지 뼈에서 기시하여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팔 근육에 적용가능하며, 적당한 압력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적용 가능하다. 근육을 이완시킬 목적이면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적당한 압력을 주어 쓸어올리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고, 근육을 촉진시킬 목적이라면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여러 번 쓸어내린다.
도 11에서와 같이, 팔근육 마사지부(350)의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351)의 최저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356)으로 하고, 다른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351)의 최저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357)로 하며, 팔근육 마사지부(350)의 중앙의 최고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355)로 할 때,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356)과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355)을 이은선과,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355)과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357)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인, 팔근육 마사지부 각도는 125도 내지 140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32도이다.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356)과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357) 사이의 거리, 즉, 팔근육 마사지부(350)의 하단폭은 약 7cm이다.
도 12는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하부(300)의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는 본체(100)의 하부(300)의 중간부에 구비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에 아킬레스건과 같이 두꺼운 건과 또는 엄지두덩근을 위치시키고 압력을 주어 밀되, 근 주행방향으로 전진 후진을 반복하여 마사지 할 수 있다. 즉,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는 일정한 곡률 반경의 곡면으로 이루어져있고, 아킬레스건과 같이 두꺼운 건과 또는 엄지두덩근에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며, 적당한 압력을 주어 근 주행방향으로 전진 후진을 반복하여 해당 신체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 좌우에 위치되는 볼록부인, 제5수지 볼록부(310)와 제6하부 볼록부(330)가 위치된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의 각도, 즉,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 각도는, 제5수지 볼록부(310)의 중앙 최저점인 제5하부 볼록부 중앙점(315)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의 중앙 최고점인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321)을 이은선과, 제6하부 볼록부(330)의 중앙 최저점인 제6하부 볼록부 중앙점(335)과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321)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서, 이는 100도 내지 120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07도이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의 하단폭은, 제5하부 볼록부 중앙점(315)과 제6하부 볼록부 중앙점(335) 사이의 거리로 4cm 내지 5c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4. 5cm 이다.
제5하부 볼록부 중앙점(315)과 제6하부 볼록부 중앙점(335)을 지나는 직선(327)과,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 중앙점(321)을 지나면서 직선(327)에 수직인 직선(321)이, 만나는 점을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하단중앙점(328)이라하면,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하단중앙점(328)과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321)의 거리(즉, 아킬레스건 마사지부(350)의 중앙 깊이)는 약 1cm이다.
도 13은 도 6의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100)의 하부(300)의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4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일 오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5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일 볼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는,도 13에서와 같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치되되, 오목부가 5개, 즉, 제1 수지 오목부(210), 제2 수지 오목부(220), 제3 수지 오목부(230), 제4 수지 오목부(240), 제5 수지 오목부(250)로 이루어지며, 볼록부는 5개, 즉, 제1 수지 볼록부(260), 제2 수지 볼록부(270), 제3 수지 볼록부(280), 제4 수지 볼록부(290), 제5 수지 볼록부(310)로 이루어진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는 손등과 발등에 있는 5개의 수지(예로 손 허리뼈(중수골))와 5개의 족지(예로 중족골)에 제1 수지 오목부(210) 내지 제5 수지 오목부(250)를 위치시키고, 수지와 수지의 사이, 족지와 족지 사이의 뼈가 맞닿는 부분에 제1 수지 볼록부(260) 내지 제5 수지 볼록부(310)를 위치시키고, 쓸어올리고 쓸어내려(즉,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려)서 마사지를 행한다. 이때,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볼록부, 즉, 제1 수지 볼록부(260) 내지 제4 수지 볼록부(290)는 근이완과 근촉진에 기여하며, 상기 볼록부의 볼록면이 쓸어올리고 내리고를 반복할 때,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오목부, 즉, 제1 수지 오목부(210) 내지 제5 수지 오목부(250)는 돌출된 뼈와 마찰을 방지하여 마사지 기구가 부드럽게 밀착하게 한다,
즉,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볼록부, 즉, 제1 수지 볼록부(260) 내지 제4 수지 볼록부(290)는 5개의 지절사이(즉, 수지와 수지의 사이, 족지와 족지 사이) 과긴장된 근육에 대해서 쓸어내리고 쓸어올리고를 반복하여, 근육을 이완 및 촉진을 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는 두피에도 적용 가능하며 두개골의 근막이 유착된 부위에 빗으로 머리를 빗듯이 쓸어올리고 내리고를 반복하여 근막을 이완시키는데 기여한다.
도 14에서와 같이,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오목부, 즉, 제1 수지 오목부(210) 내지 제5 수지 오목부(250)의 각도는, 좌측 볼록부 중앙점(201)(즉, 그 오목부의 좌측에 있는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과 오목부 중앙점(205)(즉, 그 오목부의 중앙 최고점)을 이은선과, 우측 볼록부 중앙점(202)(즉, 그 오목부의 우측에 있는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과 오목부 중앙점(205)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이는 65도 내지 75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70도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오목부의 하단폭은, 좌측 볼록부 중앙점(201)과 우측 볼록부 중앙점(202) 사이의 거리로 1.5cm 내지 2.5c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cm 이다.
도 15에서와 같이,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볼록부, 즉, 제1 수지 볼록부(260) 내지 제4 수지 볼록부(290)의 각도는, 좌측 오목부 중앙점(205)(즉, 그 볼록부의 좌측에 있는 오목부의 중앙 최고점)과 볼록부 중앙점(202)(즉, 그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을 이은선과, 우측 오목부 중앙점(206)(즉, 그 볼록부의 우측에 있는 오목부의 중앙 최고점)과 볼록부 중앙점(202)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이는 65도 내지 75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70도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볼록부의 하단폭은, 좌측 오목부 중앙점(205)과 우측 오목부 중앙점(206) 사이의 거리로 1.4cm 내지 2.5c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cm 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제4 수지 오목부(240) 및 제4 수지 볼록부(290) 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필요상 이렇게 나타낸 것으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전반적인 볼록부 및 오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를 이용한 수지마사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7은 수지를 마사지하기 위해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 및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의 하단부가 이루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볼록부를, 손등의 중수골 사이에 삽입하여 마사지한다. 이때, 손등이 원호형을 이루므로, 마사지시, 손등위에 놓여지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하단부 및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의 하단부가 어울려져, 도 17과 같이, 원호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렇지않을 경우, 수지마사지시 일부는 마사지가 안되거나, 일부는 상처가 날수도 있다.
도 18은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를 이용한 족지마사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의 볼록부를, 발등의 중족골 사이에 삽입하여 마사지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본체(100)의 선단부(180)는, 극소부위 마사지부(160, 180)를 발바박 저면의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족골 골두부 또는 다른 좁은 공간의 마사지 부위에 위치시키고 해당 부위나 그 언저리를 수회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마사지 부위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본체(100)의 외측면(상부)에 해당되는 표층근육 마사지부(110)는 등/대퇴 근육이나 엉덩이 또는 장딴지 근육 등의 넓은 부위를 선택적으로 마사지 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0)의 내측면(하부)은 하나 이상의 마사지 홈부로 구성되어있으며, 즉, 근육 마사지부(350),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를 구비한다.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200)는 손가락/발가락 관절, 두피근막에 적용가능하다.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320)는 엄지 또는 아킬레스건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양날 형상으로 구성되어있다. 팔근육 마사지부(350)도 라운딩 처리된 빗날을 이용하여 팔의 해당 부위에 자극을 주어 부드럽게 마사지 할 수 있다.
심층근육 마사지부(140)는 좁은 관절 사이나 국소 부위를 국부적으로 마사지 가능하다. 하나의 마사지 기구의 모든 면을 사용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부위의 표면 형상과 목적에 맞게 본체를 피부에 접촉하여 근육의 길이 방향 혹은 상하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을 반복하여 적용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의 본체 101: 제1수직선
102: 제2수직선 103: 본체 중앙 수직선
104: 본체 좌단 수직선 105: 본체 우단 수직선
110: 표층근육 마사지부 111: 제1수평선
112: 제2수평선 113: 제3수평선
115: 상부 볼록부 시작점 116: 상부 볼록부 최고점
117: 상부 오목부 최저점 118: 상부 오목부 최고점
120: 상부 볼록부 130: 상부 오목부
140: 심층근육 마사지부 141: 제4수평선
142: 제3수직선 145: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
147: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 시작점 150: 본체의 우측부
160: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161: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
162: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 수직선
163: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평행선 165: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
166: 제1 극소부위 시작점 167: 제1 극소부위 종료점
170: 돌출관절 마사지부 171: 제4수직선
172: 제5수직선 175: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
176: 돌출관절 마사지부 일측끝점 177: 돌출관절 마사지부 다른 일측끝점
180: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 200: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
201, 202: 볼록부 중앙점 205, 206: 오목부 중앙점
210: 제1 수지 오목부 220: 제2 수지 오목부
230: 제3 수지 오목부 240: 제4 수지 오목부
250: 제5 수지 오목부 260: 제1 수지 볼록부
270: 제2 수지 볼록부 280: 제3 수지 볼록부
290: 제4 수지 볼록부 300: 본체 하부
310: 제5 수지 볼록부 315: 제5하부 볼록부 중앙점
320: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 321: 팔근육 마사지부 상단중앙점
328: 팔근육 마사지부 하단중앙점 330: 제6하부 볼록부
335: 제6하부 볼록부 중앙점 350: 팔근육 마사지부
355: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 356: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
357: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

Claims (24)

  1. 본체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는, 물고기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의 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물결형상을 이루며,
    본체 하부의 일측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구비되되, 5개의 오목부와 5개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의 다른 일측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팔근육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에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와 팔근육 마사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오목부로 이루어지되, 팔근육 마사지부의 하단폭보다는 작은 하단폭을 가지는,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를 구비하며,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하단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하단을 선으로 이으면, 원호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2. 본체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는, 물고기의 상부와 좌측부와 우측부의 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물결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상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S자형을 이루는 표층근육 마사지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좌측부는 유선형 또는 끝이 둥굴려진 V자형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심층근육 마사지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우측부는, 볼록부로 이루어진 2개의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사이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돌출관절 마사지부를 구비하며,
    본체 하부의 일측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구비되되, 5개의 오목부와 5개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의 다른 일측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팔근육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본체 하부에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와 팔근육 마사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오목부로 이루어지되, 팔근육 마사지부의 하단폭보다 작은 하단폭을 가지는,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를 구비하고,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하단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하단을 선으로 이으면, 원호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되,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오목부의 하단폭은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하단폭의 오목부의 2배 이상 3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팔근육 마사지부의 오목부에, 팔 근육을 위치시키고 압력과 함께 상 및 하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오목부에 아킬레스건 또는 엄지두덩근을 위치시키고 압력을 주어 밀되, 근 주행방향으로 전진 후진을 반복하여 밀어서 마사지 하도록 이루어지며,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를, 수지와 수지의 사이, 또는, 족지와 족지 사이의 뼈가 맞닿는 부분에 위치시키고, 쓸어올리고 쓸어내림에 의해 마사지를 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팔근육 마사지부의 각도는, 팔근육 마사지부의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의 최저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으로 하고, 다른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의 최저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로 하고, 팔근육 마사지부의 중앙의 최고점을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로 할 때, 팔근육 마사지부 시작점과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팔근육 마사지부 끝점과 팔근육 마사지부 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구하며, 팔근육 마사지부 각도는 125도 내지 1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팔근육 마사지부의 하단폭은 7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각도는,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일측에 연설된 볼록부인 제5하부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인 제5하부 볼록부 중앙점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중앙 최고점인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을 이은선과,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다른 일측에 연설된 제6하부 볼록부의 중앙 최저점인 제6하부 볼록부 중앙점과 아킬레스건 마사지부 상단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서, 100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엄지 및 아킬레스건 마시지부의 하단폭은, 4cm 내지 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1.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의 각도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의 중앙점과 상기 볼록부의 좌측에 연설된 오목부의 중앙점인 좌측 오목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볼록부의 중앙점과 상기 볼록부의 우측에 연설된 오목부의 중앙점인 우측 오목부 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65도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볼록부의 하단폭은 1.4cm 내지 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오목부의 각도는,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오목부의 중앙점과 상기 오목부와 연설된 좌측 볼록부의 중앙점인 좌측 볼록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상기 오목부의 중앙점과 상기 오목부와 연설된 우측 볼록부의 중앙점인 우측 볼록부 중앙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로, 65도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오목부의 하단폭은, 1.5cm 내지 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우측부는, 볼록부로 이루어진 2개의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사이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돌출관절 마사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6. 제2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소부위 마사지부는 관절과 관절의 사이에 위치시켜서, 눌러 압력을 가하여 마사지를 행하도록 이루어지며,
    돌출관절 마사지부는 팔꿈치, 복숭아뼈를 포함하는 돌출된 관절 주변에서 돌출된 관절을 향해 쓸어오면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극소부위 마사지부는,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상부에 위치한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와,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를 구비하며,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으로부터 1cm 지점에, 극소부위 마사지부 접선과 평행한 평행선을 그렸을때, 상기 평행선과 극소부위 마사지부가 만나는 점을, 극소부위 마사지부 시작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종료점이라 하고,
    극소부위 마사지부 시작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을 이은선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중앙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종료점을 이은선이 이루는 각도를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각도라고 할때,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의 각도는 30도 내지 40도이며,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의 각도는 40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극소부위 마사지부 시작점과 극소부위 마사지부 종료점의 거리를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이라고 할 때,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과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은 1cm 내지 2cm이며, 제2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보다 제1극소부위 마사지부의 하단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와 접하는 수직선인 제4수직선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와 접하는 수직선인 제5수직선을 구비할 때, 제4수직선과 제1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접점이,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일측끝점이고, 제5수직선과 제2 극소부위 마사지부의 접점이,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다른 일측끝점이라 하며,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각도는,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과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일측끝점을 이은 선과, 중앙인 돌출관절 마사지부 중앙점과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다른 일측끝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라 할 때,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를 이며
    돌출관절 마사지부의 하단폭은 3cm 내지 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20. 제16항에 있어서,
    표층근육 마사지부는, 표층근육 마사지부의 오목부인 상부 오목부를, 대퇴근, 슬괵근, 장딴지근, 대흉근, 등근육에 위치시켜, 압력을 가함과 함께, 근육주행방향으로 밀어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진 수단이며,
    심층근육 마사지부는,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볼록부를, 소흉근을 포함하는 심층근육을 눌러서 마사지하도록 이루어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부 오목부 최저점을 지나는 접선인 제2수평선과, 표층근육 마사지부의 볼록부인 상부 볼록부와 만나는 점을, 상부 볼록부 시작점이라하고,
    상부 볼록부 시작점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을 이은 선과, 상부 볼록부 최고점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부 볼록부 각도라 하고,
    상부 볼록부 최고점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을 이은 선과, 상부 오목부 최저점과 상부 오목부 최고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부 오목부 각도라 할 때,
    상부 볼록부 각도는, 145도 내지 165도이고, 상부 오목부 각도는, 145도 내지 16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부 볼록부 최고점과 상부 오목부 최고점의 거리는 14cm 내지 16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23. 제21항에 있어서,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시작점(147)을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일 끝점으로 하고, 수지 및 족지 마사지부의 시작점(147)을 지나는 직선인 제3수직선(142)과 상부 볼록부가 만나는 점을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다른 끝점으로 하고,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일 끝점과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을 이은 선과, 심층근육 마사지부 중앙점(145)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다른 끝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각도라 할때,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각도는 50도 내지 6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일 끝점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다른 끝점의 사이의 거리를,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폭이라 할때,
    심층근육 마사지부의 폭은 2cm 내지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KR1020160146467A 2016-11-04 2016-11-04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KR10185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467A KR101853097B1 (ko) 2016-11-04 2016-11-04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467A KR101853097B1 (ko) 2016-11-04 2016-11-04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097B1 true KR101853097B1 (ko) 2018-05-03

Family

ID=6224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467A KR101853097B1 (ko) 2016-11-04 2016-11-04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015A (ko) * 2019-07-01 2021-01-11 윤미선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CN112449608A (zh) * 2018-07-27 2021-03-05 雅萌股份有限公司 美容装置
KR20230012162A (ko) * 2021-07-15 2023-01-26 하창완 튜브형 식품공급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2Y1 (ko) 2002-10-04 2003-01-10 신동균 마사지기
KR200333539Y1 (ko) 2003-09-03 2003-11-15 정동환 전신 경락 마사지구
CN201088706Y (zh) * 2007-06-22 2008-07-23 王金珠 手握式全身经穴按摩器
KR101398011B1 (ko) 2011-07-27 2014-05-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KR101417967B1 (ko) 2011-07-27 2014-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2Y1 (ko) 2002-10-04 2003-01-10 신동균 마사지기
KR200333539Y1 (ko) 2003-09-03 2003-11-15 정동환 전신 경락 마사지구
CN201088706Y (zh) * 2007-06-22 2008-07-23 王金珠 手握式全身经穴按摩器
KR101398011B1 (ko) 2011-07-27 2014-05-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KR101417967B1 (ko) 2011-07-27 2014-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9608A (zh) * 2018-07-27 2021-03-05 雅萌股份有限公司 美容装置
KR20210003015A (ko) * 2019-07-01 2021-01-11 윤미선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KR102281947B1 (ko) * 2019-07-01 2021-07-26 윤미선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KR20230012162A (ko) * 2021-07-15 2023-01-26 하창완 튜브형 식품공급기
KR102638510B1 (ko) * 2021-07-15 2024-02-19 하창완 튜브형 식품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7774A (ja) マッサージ器具セット
JP2007537774A6 (ja) マッサージ器具セット
KR101853097B1 (ko)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US20150265486A1 (en) Instrument for the massage and mobilization of the soft tissue of the human body
EP3456307A2 (en) Skin care method employing orchestra performance manner
RU2469695C2 (ru) Способ массажа елены мустафаевой
RU2549304C1 (ru) Способ самомассажа "дар-г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убинушка"
RU2367402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о-дистроф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417967B1 (ko)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KR200296735Y1 (ko) 초음파 관절치료기
KR20110004931U (ko) 경락 마사지가 가능한 마사지 기구
KR101898615B1 (ko) 완성된 피부미용기법
US11357688B1 (en)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struments
RU2682995C1 (ru) Набор устройств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ажа и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ажа
RU1196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рно-волнового массажа различных частей тела
RU246050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240024125A (ko)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RU2158576C2 (ru) Способ ножного массажа
RU2787922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асимметричного положения головы при врожденной мышечной кривошее у детей от полутора до шести месяцев жизни
JP2019180439A (ja) 指刺激健康器具
KR20170135779A (ko) 전신을 지압하는 지압기구 3종
Norris The Complete Guide to Clinical Massage
RU2733480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иперкифоза
RU2774037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объема движений в голеностопном суставе у детей с мышечной дистрофией Дюшенна
KR200470149Y1 (ko) 마사지 겸용 지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