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47B1 -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47B1
KR102281947B1 KR1020190079043A KR20190079043A KR102281947B1 KR 102281947 B1 KR102281947 B1 KR 102281947B1 KR 1020190079043 A KR1020190079043 A KR 1020190079043A KR 20190079043 A KR20190079043 A KR 20190079043A KR 102281947 B1 KR102281947 B1 KR 10228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massage groove
groove
protru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015A (ko
Inventor
김은정
윤미선
Original Assignee
윤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미선 filed Critical 윤미선
Priority to KR102019007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2Enhanced rubb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곡률의 마사지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제1 마사지부; 및 두피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빗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피 관리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APPARATUS FOR CARING SKIN AND METHOD FOR CARING SKI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그 기능들이 쇠퇴할 수밖에 없다. 특히 피부와 얼굴 크기의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실제 나이보다 좋지 않아 보이는 피부의 상태와 얼굴 크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피부의 노화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얼굴의 붓기는 인간이 섭취하는 음식물을 비롯하여 약물, 화학물질, 외부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피부의 노화와 얼굴의 붓기는 체내의 활성 산소 증가와 세포 조직의 파괴 등으로 인해 색소 침착, 여드름, 피부 노화 등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의 노화와 얼굴의 붓기는 흡연, 과음, 영양실조, 태양광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가장 큰 원인으로 자외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노화와 얼굴의 붓기로 인해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의 많은 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여러 가지 대사활성이 저하되며,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들의 활성 감소, 콜라겐 합성과 현관등이 감소되어 생리조직학적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129호(2017.09.05. 공개)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피부 개선과 얼굴 축소를 위한 피부 관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곡률의 마사지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제1 마사지부; 및 두피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빗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피 관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사지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2 마사지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마사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제3 마사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시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곡률을 갖는 제3 마시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빗살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빗살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빗살 간 서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빗살 각각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피부 관리 기구는 상기 제1 마사지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단부에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마사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사지부는 상이한 사이즈를 갖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사지부의 양단부는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사이즈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제2 마사지부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사지부 및 상기 두피 관리부는 판형 구조를 갖을 수 있다.
피부 관리 방법은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곡률의 마사지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제1 마사지부; 및 두피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빗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피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사이즈와 곡률을 갖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사이즈와 곡률을 갖는 제3 마사지홈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구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으로서, 시술 부위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두개골을 상기 제1 마사지홈을 통해 자극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사지홈을 통해 후두골을 눌러주는 단계; 상기 두피 관리부를 통해 두피를 긁어주는 단계; 및 상기 제3 마사지홈을 통해 귀근육을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관리 방법은 상기 피부 관리 기구, 상기 제1 마사지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단부에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마사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마사지부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술 부위를 노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돌출부를 통해 턱 및 입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단계; 상기 제2 돌출부를 통해 두피 및 눈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를 볼에 밀착시켜 광대로 밀어주는 단계;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통해 귀, 코, 입 및 턱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눌러주는 단계;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를 목 부위에 밀착시키고 굴리면서 림프절로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를 이마 부위에 밀착시키고 밀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얼굴 축소 및 피부 개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기구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방법을 나타낸 사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기구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비교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기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얼굴 축소 및 피부 개선을 위한 관리 기구로서, 본체부(100), 제1 마사지부(110), 제1 마사지홈(111), 제2 마사지홈(112), 제3 마사지홈(113), 두피 관리부(120), 제2 마사지부(130), 제1 돌출부(131), 제2 돌출부(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구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사지부(110)를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대응되게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얼굴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얼굴을 관리할 경우 머리 근막, 얼굴 굴곡, 하악과 같은 얼굴 전체 형상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제1 마사지부(110), 제2 마사지부(130) 및 두피 관리부(120)의 크기와 디자인을 각기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자외선이나 노화로 인해 발생되는 피부 노화 현상을 방지하여 탄력 있는 동안 피부를 만들고 얼굴 축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사지부(110)는 안면에 위치한 큰 표정근들을 관리하기 위해 표정근들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사지부(110)는 선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면에 위치한 표정근들 중 넓은 근육을 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사지부(130)는 안면에 위치한 작은 표정근들을 관리하기 위해 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사지부(1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통해 좁은 근육을 주로 관리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조로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피부 관리 기구로 피부 관리 시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조로운 형상의 피부 관리 기구를 통해 피시술자를 시술하게 될 경우 각각의 사람마다 다른 얼굴 형상에 맞는 맞춤형 피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피부 관리 기구를 선형 구조 및 점형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피시술자의 얼굴 전체의 각 시술 부위에 적합한 피부 관리 시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및 얼굴 축소 관리 효과가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사람의 얼굴에는 혈관이나 신경, 임파선 등이 활발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얼굴 기관들의 흐름은 귀 주위에 모여 목 부위를 통과한다. 따라서 관리가 필요한 경우 혈관, 신경, 근육 등의 흐름에 따라 피부 관리 기구를 사용하여 관리를 해야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피부 관리 기구를 얼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피부 관리 시술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우선적으로 피시술자의 얼굴을 리프팅하기 위해 먼저 두피 관리부(120)를 통해 피시술자의 두피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피시술자의 두피와 근막을 충분히 관리한 이후, 제1 마사지부(110)를 통해 광대, 턱, 목빗근 등 큰 근육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사지부(130)를 통해 피시술자의 안면의 작은 근육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안면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마사지부(110), 제2 마사지부(130) 및 두피 관리부(120)를 통해 피시술자를 마사지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경직된 안면 근육을 부드럽게 이완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 기구를 통해 관리를 시행하기 전에 피시술자의 피부 타입에 맞는 에센셜 오일과 캐리어 오일을 희석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적용시킴으로써, 피부에 영양을 공급해 주고 조직을 활성화시켜 피부 저항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긴장감과 탄력을 주어 늘어지거나 주름이 생기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사지부(110)와 제2 마사지부(130)를 통해 피시술자의 얼굴과 피부를 관리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안면에 위치하는 현관, 신경, 임파선 등을 자극하여 안면 전체에 분포되는 조직들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피시술자의 피부 노화 및 얼굴 축소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기구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사지부(110) 및 두피 관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시술자가 피부 관리 시술시 파지하는 부분이다.
제1 마사지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마사지부(110)에는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곡률의 마사지홈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사지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시지홈, 제2 마사지홈(112) 및 제3 마사지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사지부(110)는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복수로 형성되는 마사지홈을 통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보다 적합한 시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시지부는 피시술자의 각 부위에 따라 그에 대응되도록 곡률 및 사이즈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시술 부위에 전달되는 자극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마사지홈(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마시지홈들 중 가장 큰 곡률 및 사이즈(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 중 상대적으로 큰 안면 큰 근육들의 마사지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의 큰 근육들은 피시술자의 턱선, 광대 및 목빗근일 수 있다.
제2 마사지홈(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하측에 제1 마사지홈(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마사지홈(112)은 제1 마사지홈(111)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제1 마사지홈(111) 보다 작은 곡률과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마사지홈(112)은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 중 승모근 및 경추 등을 마사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사지홈(112)은 제1 마시지홈 및 제3 마사지홈(1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마사지홈(112)은 양단이 완만한 제1 마사지홈(111)에 비해 바깥쪽으로 보다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근육이 경직되어 있는 부분을 풀어주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사지홈(112)은 피시술자의 후두골을 압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3 마사지홈(1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우측에 제2 마사지홈(1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마사지홈(113)은 제1 마사지홈(111) 보다 좁고 제2 마사지홈(112)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제1 마사지홈(111) 보다 작고 제2 마사지홈(112) 보다 큰 곡률과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마사지홈(113)은 귀 주위의 근막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두피 관리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우측에 제3 마사지홈(113)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두피 관리부(120)는 두피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 본체부(100)로부터 바깥쪽으로 나란하게 돌출된 복수의 빗살(1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빗살(121)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빗살(121)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빗살(121) 간 서로 이격된 간격은 빗살(121) 각각의 폭과 대응(동일/유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두피 관리부(120)는 두피의 근막 및 두피 관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두피 관리부(120)는 복수의 빗살(121)을 통해 두피의 근막 및 두피를 긁어내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은 복수의 빗살(12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두피 관리부(120)를 통한 두피 관리에 있어 시술상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마사지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마사지부(130)는 제1 마사지부(110)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제2 마사지부(130)의 단부에는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마사지부(130)는 상이한 사이즈를 갖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마사지부(130)가 2개 구비된 경우를 일 예로서 제시한다.
또한 제2 마사지부(130)의 양단부는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사이즈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 마사지부(130)의 양단부에는 피시술자의 안면에 형성되는 표정근들의 관리에 적용 가능하도록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사지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 제2 돌출부(132) 및 연결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32) 보다 크게 형성되어 피시술자의 안면 큰 근육들의 마사지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31)는 피시술자의 턱 및 입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제1 돌출부(131) 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132)는 피시술자의 두피 및 눈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할 수 있다.
연결부(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3)는 피시술자의 볼에 밀착시켜 광대까지 밀어주는 등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시술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관리 기구는 예를 들어 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마사지부(110) 및 두피 관리부(120)는 판형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제1 마사지부(110) 및 두피 관리부(120)가 판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마사지부(110)와 두피 관리부(120)는 선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2의 피부 관리 기구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관리 기구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이미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피부 관리 방법 자체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부위를 노출시키는 단계(S110), 본체부(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두개골을 제1 마사지홈(111)을 통해 자극하는 단계(S120), 제2 마사지홈(112)을 통해 후두골을 눌러주는 단계(S130), 두피 관리부(120)를 통해 두피를 긁어주는 단계(S140), 제3 마사지홈(113)을 통해 귀근육을 밀어내는 단계(S150), 제1 돌출부(131)를 통해 턱 및 입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단계(S160), 제2 돌출부(132)를 통해 두피 및 눈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단계(S170), 연결부(133)를 볼에 밀착시켜 광대로 밀어주는 단계(S180),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를 통해 귀, 코, 입 및 턱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눌러주는 단계(S190), 제1 돌출부(131)와 연결부(133)를 목 부위에 밀착시키고 굴리면서 림프절로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단계(S200) 및 제2 돌출부(132)와 연결부(133)를 이마 부위에 밀착시키고 밀어주는 단계(S210)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방법이 제시된다.
이와 같은 피부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부위를 노출시킨 후, 제1 마사지홈(111) 부위를 이용해 두피 근막을 흔들어준 다음, 아문혈에서 백회혈, 백회혈에서 풍지혈까지 긁어준다(도 4의 a), 시상봉합선, 두피 건막을 순서대로 자극해준 다음 두피 관리부(120)를 통해 두피를 긁어준다(도 4의 b), 귀 부위에 위치하는 두정부, 측두부의 반사구를 관리하고 견갑, 상완, 하완, 발, 허벅지 및 골반을 순서대로 관리한다(도 4의 c), 후두부에 위치하는 뇌호혈에서 유음혈까지, 유음혈에서 풍지혈까지, 풍지혈에서 아문혈까지 제2 마사지홈(112)을 통해 자극한다(도 4의 d), 두피 관리부(120)를 45도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후두부, 측두부, 두정부, 전두부, 모상건막을 순서대로 긁어준다(도 4의 e), 귀 부위에 위치하는 유양돌기의 앞쪽부터 귀 앞, 뒷면을 순서대로 제3 마사지홈(113)을 걸쳐 밀어내면서 긁어낸다(도 5의 f).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 앞의 천종혈에서 귓바퀴와 귓볼까지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를 통해 관리한다(도 5의 a), 코 내부에 제2 돌출부(132)를 지지한 상태에서 제1 돌출부(131)을 통해 코벽을 따라 정명혈에서 찬죽혈까지 관리하고 콧볼과 영향혈까지 추가적으로 관리한다(도 5의 b), 중지로 관골근을 올린 상태에서 제2 돌출부(132)를 눈 아래 깊숙이 넣어준 후 눈꼬리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파낸다(도 5의 c), 제2 돌출부(132)로 쌍꺼풀 라인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두골을 상측으로 올려준 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굴린다(도 5의 d), 제2 돌출부(132) 및 연결부(133)를 통해 눈썹 앞머리 경계에서 헤어 라인까지, 눈썹산에서 헤어 라인까지 및 눈썹꼬리에서 헤어 라인까지 순서대로 밀어낸다(도 5의 e), 제2 돌출부(132)로 구륜근의 기시 및 정지를 풀어준 후 제1 돌출부(131)로 입술 꼬리부터 아래 구륜근까지 풀어준다(도 5의 f), 구강 내부를 제1 돌출부(131)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1 돌출부(131)를 통해 구륜근, 협근, 관골근, 교근 및 익상근을 순서대로 마주 대고 돌리며 비벼준다(도 5의 g), 제1 돌출부(131)를 통해 교근에 닿는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통해 제2 돌출부(132)를 돌리고 굴리면서 밀어준다(도 5의 h), 연결부(133)를 통해 볼라인에서 광대라인까지 돌려 밀어준다(도 5의 i), 제1 돌출부(131)를 통해 설골근 및 이복근을 풀어주고 연결부(133)를 통해 턱 밑부위부터 귀 밑부위까지 깊게 밀어준다(도 5의 j), 제2 돌출부(132)를 통해 헤어 라인을 지나 백회까지 긁어준다(도 5의 k) 및 연결부(133) 및 제1 돌출부(131)를 목빗근에 맞닿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제2 돌출부(132)를 각각 잡고 굴리면서 목빗근을 지나 림프절로 노폐물을 배출시킨다(도 5의 l).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기구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을 피시술자들에게 적용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피부 관리 기구를 통해 피시술자에게 직접적으로 관리 시술을 수행한 뒤, 이에 대한 설문지 작성과 측정 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실험은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하여 두개골에 위치하는 근막 관리가 안면 사이즈 축소와 안면 피부 탄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도록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18명을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본 실험 전 실험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일반인 여성을 대상으로 안면 윤곽, 피부 탄력, 안면 축소 관리 관심도 등에 대한 일반적인 상태 및 현황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18년 8월 1일 ∼ 2018월 9월 10일까지 총 40일간 실시하였으며, 모집단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서 내용 표기가 부적합한 설문 4부를 제외한 총 146부를 가지고 각 항목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 10명과 경락 테크닉 10명으로 분류한 후 30분씩 5주 동안, 주 2회 관리를 기본으로 총 10회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를 실험 전 사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한 후 2018년 8월 13일 ∼ 9월 16일까지 본 실험자의 실험실에서 임상 실험 실험와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대상자는 실험 전 4D FACE SCANNER와 등고선을 이용하여 실험 전 얼굴을 측정하고 실험 후 첫1회, 5회, 10회 관리후의 변화를 다시 측정하여 안면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 종료 후에는 주관적 설문조사 방법으로 대상자들에게 실험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측정 범위는 직선거리(Distance), 표면거리(Surface distance), 체적(Volume), 전체체적을 실험 전후 5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10명, 대조군은 8으로 총18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본 데이터의 경우 소표본으로서 항목별 정규성 검정을 하였다. 정규성 검정을 위한 방법으로 Kolmogorov-Smirnov 검정과 Shapiro-Wilk 검정을 사용하였다. 검정 결과 정규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비모수적 방법인 Mann-Whitney 독립 2표본 검정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서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통하여 대응 표본T-검증(paired t-test)을 시행하였다. 비교는 전과 1회, 1회와 5회, 5회와 10회, 전과 10회를 묶어 비모수 대응 표본 검증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결과 경락 테크닉군에서는 전과 1회, 5와 10회, 전과 10회를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5회 미만으로 받았을 경우에는 큰 변화는 없었으며, 5회 이상부터 수치 감소 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다르게 피부 관리 기구 테크닉군에서는 모든 실험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실험 전에서 1회 후의 감소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으로 1회만 받았을 경우에도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체적에서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수치가 감소하였다. 등고선을 통한 실험결과 경락 테크닉군보다 피부 관리 기구 테크닉군에서 얼굴 탄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등고선으로 실험 후 10회 후의 결과를 확인한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군(피부 관리 기구 도구 테크닉)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경락 테크닉)군 모두 등고선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등고선을 통한 육안평가로는 등고선의 모양이 실험전보다 균일해지고 모양의 크기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 실험전보다 등고선의 모양과 크기가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전체부위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특히 볼과 입술부위의 탄력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안경민(2009)의 연구에서 수기와 연옥 마사지의 병행 시술에서 눈 밑과 볼 위에서 탄력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승희(2005)의 연구에서는 얼굴 부위의 피부 탄력성 변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근막 이완 마사지를 시행한 결과 피부 탄력성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근막 이완 마사지가 중년여성들의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정순조(2009)의 연구에서도 피부탄력도가 증가한 결과와 같다.
또한 실험 대상자들에 대한 연구 후 만족도 조사에서는 안면 사이즈 변화, 피부 변화, 관리 후 만족도 모두 경락 테크닉군보다 피부 관리 기구 테크닉군에서 만족도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 문제를 위한 영역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H1. 일반적 특성을 통해 중년 여성의 안면 사이즈 축소에 대한 선호도 및 피부미용 인식도를 알아본다. 안면 축소 관리 인식 및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123명(84.2%)이 안면 축소 관리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면 축소 관리를 경험한 응답자는 67명으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안면 윤곽 수정을 위한 외과적 시술 방법으로는 보톡스나 필러시술이 60명(41.1%)로 가장 많았으며. 안면 축소 관리 테크닉으로는 경락 마사지가 35명(2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 도구를 이용한 관리 19명(13.0%)로 나타났다. 본인이 가장 받고 싶은 얼굴 관리를 모두 고르라는 질문에서 안면 축소 관리 41명(28.1%), 탄력 관리 30명(20.5%), 모공 관리 26명(17.8%) 순으로 나타났다.
H2.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안면 사이즈 축소에 미치는 변화 차이를 알아본다. H2-1.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Distance(직선 거리)에 미치는 변화 차이를 알아본다. 실험 전 1차 측정 시와 실험 후 3차 측정 시 D2는 119.26에서 111.81로 7.25감소하였고(p<.05), D3는 136.29에서 126.59로 9.7감소하였고(p<.05), D4는 125.33에서 113.71로 11.64 감소하였으며(p<.05), D5는 124.00에서 106.24로 17.76 감소하였다(p<.05).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은 Distance(직선 거리)에 차이를 보였고 특히 얼굴의 위치에서 저작근 부위 하악쪽의 크기가 많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H2-2.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Surface distance(표면 거리)에 미치는 변화 차이를 알아본다. 실험 전 1차 측정 시와 실험 후 3차 측정 시 S2는 138.50에서 132.37로 6.13감소하였고(p<.05), S3는 173.69에서 167.07로 5.62감소하였고(p<.05), S4는 170.31에서 159.96으로 10.35 감소하였으며(p<.05), S5는 192.40에서 178.77로 13.63감소하였다(p<.05). 이와 같은 결과로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Surface distance(표면 거리)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특히 하악쪽의 크기가 많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H2-3.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Volume(체적)에 미치는 변화 차이를 알아본다. 실험 전 1차 측정 시와 실험 후 3차 측정 시 V1은 63.18에서 56.53으로 6.65감소하였고(p<.05), V2는 108.31에서 106.26으로 3.25감소하였고(p<.05), V3는 167.88에서 155.62로 12.26감소하였으며(p<.05), V4는 관리 전에서 5회까지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5회 이상부터 44.47에서 56.46으로 증가하였고, V5는 100.56에서77.01로 23.55로 감소하였다.(p<.05) 전체체적에서는 실험 전 1차 측정 시와 실험 후 3차 측정 시 484.68에서 434.22로 50.46감소하여(p<.05)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Volume(체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얼굴의 위치 중 저작근 부위 하악쪽의 크기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H3.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테크닉이 안면 피부 리프팅에 미치는 변화 차이를 알아본다. 등고선으로 실험 후 10회 후의 결과를 확인한 결과 실험군(피부 관리 기구 테크닉)과 대조군(경락 테크닉)군 모두 등고선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등고선을 통한 육안 평가로는 등고선의 모양이 실험전보다 균일해지고 모양의 크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변화가 크지 않았고 실험군의 경우 실험 전보다 등고선의 모양과 크기가 전체 부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볼과 입술 부위의 탄력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관리를 통해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커지고 쳐진 중년 여성의 안면 사이즈 축소와 안면 피부 리프팅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피부 관리 기구를 활용한 두개 근막 관리가 중년여성의 안면 사이즈 축소 및 탄력 관리의 방법으로 효과적 관리일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피부관리 현장뿐만 아니라 안티에이징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쉽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는 대중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제1 마사지부
111: 제1 마사지홈
112: 제2 마사지홈
113: 제3 마사지홈
120: 두피 관리부
121: 빗살
130: 제2 마사지부
131: 제1 돌출부
132: 제2 돌출부
133: 연결부

Claims (10)

  1.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곡률의 마사지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제1 마사지부; 및
    두피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빗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피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사지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2 마사지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마사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상기 제2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곡률을 갖고,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곡률을 갖고,
    상기 제1 마사지부 및 상기 두피 관리부는 판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마사지홈 내지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사지홈은 상기 본체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사지홈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1 마사지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상기 본체부의 우측에 상기 제2 마사지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피 관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에 상기 제3 마사지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피 관리부는 피시술자의 두피를 긁어내면서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빗살 사이에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이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빗살은,
    폭이 일정하게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상기 빗살 사이에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사지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단부에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마사지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사지부는 상이한 사이즈를 갖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 가능한, 피부 관리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사지부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구.
  8. 삭제
  9.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본체부; 상이한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이한 곡률의 마사지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제1 마사지부; 및 두피 부위를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빗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피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사이즈와 곡률을 갖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사이즈와 곡률을 갖는 제3 마사지홈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구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으로서,
    시술 부위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두개골을 상기 제1 마사지홈을 통해 자극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사지홈을 통해 후두골을 눌러주는 단계;
    상기 두피 관리부를 통해 두피를 긁어주는 단계; 및
    상기 제3 마사지홈을 통해 귀근육을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사지부는,
    제1 마사지홈;
    상기 제1 마사지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마사지홈; 및
    상기 제2 마사지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마사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상기 제2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은 곡률을 갖고,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좁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넓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사지홈 보다 작고 상기 제2 마사지홈 보다 큰 곡률을 갖고,
    상기 제1 마사지부 및 상기 두피 관리부는 판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마사지홈 내지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사지홈은 상기 본체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사지홈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1 마사지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마사지홈은 상기 본체부의 우측에 상기 제2 마사지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피 관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에 상기 제3 마사지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피 관리부는 피시술자의 두피를 긁어내면서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빗살 사이에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이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빗살은,
    폭이 일정하게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상기 빗살 사이에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기구는,
    상기 제1 마사지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단부에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마사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마사지부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좁은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술 부위를 노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돌출부를 통해 턱 및 입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단계;
    상기 제2 돌출부를 통해 두피 및 눈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를 볼에 밀착시켜 광대로 밀어주는 단계;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통해 귀, 코, 입 및 턱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눌러주는 단계;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를 목 부위에 밀착시키고 굴리면서 림프절로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를 이마 부위에 밀착시키고 밀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방법.
KR1020190079043A 2019-07-01 2019-07-01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KR10228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43A KR102281947B1 (ko) 2019-07-01 2019-07-01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43A KR102281947B1 (ko) 2019-07-01 2019-07-01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015A KR20210003015A (ko) 2021-01-11
KR102281947B1 true KR102281947B1 (ko) 2021-07-26

Family

ID=7412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43A KR102281947B1 (ko) 2019-07-01 2019-07-01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437B2 (en) * 2020-09-01 2023-10-17 Lourdes Maria Martinez Millet Massag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34Y1 (ko) 2003-03-06 2003-06-02 이순구 피부 경락 마사지기
KR101853097B1 (ko) * 2016-11-04 2018-05-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94Y1 (ko) * 2008-02-02 2010-01-25 유형준 도기 마사지기
KR20100003354U (ko) * 2008-09-18 2010-03-26 김봉임 저주파 마사지기
JP2017148410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フジ医療器 椅子式マッサージ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34Y1 (ko) 2003-03-06 2003-06-02 이순구 피부 경락 마사지기
KR101853097B1 (ko) * 2016-11-04 2018-05-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015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iveira Melchior et al. Does low intensity laser therapy reduce pain and change orofacial myofunctional conditions?
WO2005110531A1 (en) Electrodes for simultaneous electrostimulation of all face, neck, arms, legs and trunk muscles
Arana et al. Focal electrical stimulation as a sham control for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Does it truly mimic the cutaneous sensation and pain of active prefronta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KR102281947B1 (ko) 피부 관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KR20170095650A (ko) 미용융합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미용융합관리 방법
KR20110075832A (ko) 안면에 위치한 혈자리를 자극하고 마사지함으로써 혈행 촉진, 붓기완화, 소안작용에 도움이 되는 마사지 방법
RU2735641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лица и шеи
US8417347B2 (en) Method for achieving facial toning using selectively applied galvanic current
Kubala et al. Multidisciplinary and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pain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RU2174829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лица и шеи
TW201237777A (en) Massage evaluation method, devic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1062296A (ja) 顔のマッサージ方法
RU265106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топографических типов старения лица
RU55592U1 (ru) Маска лечебно-оздоровительная &#34;гаммаск&#34;
CN102625688B (zh) 颈部护理的方法及包括所述方法的颈部护理套件
RU214325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ечевых расстройств и набор зондов для массажа мышц артикуля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US10195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hair loss
RU2794630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лица посредством миофасциального массажа лица и тела
JP2009297209A (ja) 顔のリフトアップマッサージ方法
RU2070017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кожи лиц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721463C1 (ru)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лица (варианты) и тренаже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495464Y1 (ko) 혈자리 자극이 가능한 마스크팩
RU2626111C1 (ru) Способ массажа и набор устройств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00360113A1 (en) Tremor Control Device
Miszewski et al. The comparison of the therapeutic massage with the craniosacral method in treating the pain syndrome of the cranial part of the sp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