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125A -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125A
KR20240024125A KR1020240003873A KR20240003873A KR20240024125A KR 20240024125 A KR20240024125 A KR 20240024125A KR 1020240003873 A KR1020240003873 A KR 1020240003873A KR 20240003873 A KR20240003873 A KR 20240003873A KR 20240024125 A KR20240024125 A KR 2024002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fingers
fascia
thumb
m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아
Original Assignee
조승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아 filed Critical 조승아
Priority to KR102024000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125A/ko
Publication of KR2024002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12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으로서,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깊게 눌러 근막과 가능한 한 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누르고 있는 엄지손가락과 가까이에 있는 피부를 다른 손가락을 사용해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살짝 들어올린 후 엄지손가락을 미는 동작으로 근막 주위에 있는 노폐물을 밀어내도록 하는데 여러다발로 이루어진 근육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위와 같은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시술을 한 뒤 근육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하여 다시 시술을 한다.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Description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MASSAGE}
본 발명은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꼰네트라고도 불리는 손가락 근막마자시에 관한 것인데 꼰네트란 원래 이탈리아어로 잡아당겨 올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손가락 발레기법인데 본 발명에서 꼰네트는 손가락을 이용한 근막마사지를 말하며 꼰네트 트라이앵글은 세 손가락을 이용한 근막 마사지로 손으로 근막을 잡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꼰네뜨는 이름 그대로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이용한 테크닉으로서 근막의 순환을 촉진해 피부 속 노폐물을 배출시키며 얼굴 윤곽을 잡아주는 프로그램으로 얼굴축소와 리프팅에 매우 효과적이며 본 발명에서는 얼굴 뿐 아니라 전신 마사지에 이러한 기법을 적용시킨다.
근막은 근육의 겉면을 쓰고 있는 막을 말하는데 근막은 피부와 근육 사이에 위치하여 온몸에 걸쳐 분포해서 각 부위에 따라서 두께의 차이가 있다. 근막은 결체조직의 일종으로 근육과 같은 신체 내부의 구조물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여 근육의 외부를 둘러싸서 보호하며 다른 골격 구조와 함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우리 피부의 형태를 보여주는 그림인데 가장 외곽에는 표피가 있으며 표피 밑에는 진피가 있으며 진피에 신경과 혈관들이 돌출되어 있고 진피 아래쪽에는 피하지방이 존재한다. 피하지방의 아래쪽에는 근막이 있으며 그 아래쪽에 근육이 있는데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의 두께는 근막의 위치마다 다르게 된다. 화장품이 피부에 잘 흡수되기 위해서 하는 마사지는 진피와 피하지방을 자극하여 표피에 바른 화장품이 진피 쪽으로 잘 흡수되도록 하는데 마시지를 통해서 진피를 자극하여 진피쪽으로 화장품의 흡수를 촉진한다고 할 수는 있어도 진피와 피하지방 쪽에 분포하는 피부속의 노폐물을 외부로 내보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표피쪽에서 자극을 하면 진피와 피하지방을 위에서 누르게 되는데 피부의 노폐물이 빠져나가는 방향도 표피쪽에서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위에서 누르는 것만으로는 진피쪽의 노폐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64046호 '청혈효과가 잘 나타나는 피부미용법'이 공개된 적이 있는데 위 발명은 촉촉하고 탱탱한 피부를 가꾸기 위하여 화장품을 도포한 후 손가락의 끝부분을 이용하여 원을 그리며 가볍게 움직이는 동작, 손바닥 전체로 부드럽게 쓰다듬는 동작, 손바닥을 림프가 흐르는 직각 방향으로 놓고 그대로 신장 한 후 위로 끌어 올리며 손을 나선형으로 움직이는 동작 을 이용하여 피부의 순환에 따라 전신의 피부미용을 행하여 청혈효과가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을 도포한 후에 림프선을 따라서 마사지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쓰다듬거나 원을 그리거나 하는 동작은 진피부분에 있는 림프를 자극하는 동작으로 피하지방이나 근막까지는 자극하지 못하며 마사지 하는 부분이 바로 위쪽의 진피 부분이기 때문에 피부속의 노폐물을 밖으로 빼내는 효과는 가져 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신의 근막을 자극하여 피부내부의 노폐물을 빼도록 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이용한 근막마사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으로서,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깊게 눌러 근막과 가능한 한 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누르고 있는 엄지손가락과 가까이에 있는 피부를 다른 손가락을 사용해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살짝 들어올린 후 엄지손가락을 미는 동작으로 근막 주위에 있는 노폐물을 밀어내도록 하는데 여러다발로 이루어진 근육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위와 같은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시술을 한 뒤 근육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하여 다시 시술을 한다.
팔에 대해서는 팔관절이 접히는 부분부터 시작해서 어깨와 손가락쪽으로 시술을 진행하되 각각의 근육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근육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시술을 한다.
위팔근(1), 위팔두갈래근(4), 어깨세모근(5), 위팔노근(2), 노쪽손목굽힘근(3), 손(6)으로 이루어진 제1세트의 순서로 시술을 진행한다.
제1세트의 진행후에 큰가슴근(7), 배곧은근(9), 앞톱니근(8), 바깥배빗근(10)으로 이루어진 제2세트를 순서대로 시술을 진행한다.
제2세트의 진행후에 긴허리근(11), 두덩근(12), 긴모음근(13), 큰모음근(14), 두덩정강근(15), 넙다리빗근(16), 넙다리네갈래근(17), 옆정강근(18), 긴종아리근(19), 발(20)의 제3세트를 순서대로 시술을 진행한다. 손(6)과 발(20)은 손등, 손바닥, 발등, 발바닥에 엄지손가락을 위치한 상태에서 시술을 진행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진행하고 손가락과 발가락은 손가락과 발가락은 손가락 발가락의 주위를 돌아가며 시술을 한다.
시술을 진행하는 근육을 여러개의 세트로 나눈것은 해당 순서로 하는 경우 모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노폐물을 빼내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미용에 있어 외부에 많이 보이는 부위부터 잘 안보이는 부위쪽으로 진행을 하도록 하였다.
전신의 피부 아래에 있는 노폐물을 배출하도록 하여 붓기가 빠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피부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하기 위한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막마사지는 피부를 잡아당겨 올리는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의 근막을 자극한다. 근막은 우리 신체 근육 겉쪽을 싸고 있는 결합 조직성의 엷은 막으로써 근육의 활동을 돕고 과도한 근육의 수축을 막는 작용을 하며 근육과 근육 사이의 틈을 만들어 혈액순환, 림프순환, 신진대사 및 면역에 관여한다. 본 발명은 근막을 수기요법으로 자극해서 수축한 근육을 이완시키고 노폐물을 배출하고 탄력을 증진하며, 특히 피부안쪽의 노폐물을 배출하고 피부내부에 산소공급이 원활하도록 하는데 얼굴은 다른 부위보다 진피층이나 피하지방층이 얇기 때문에 근막을 자극하는 효과가 다른 부위보다 크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얼굴 근육이 많이 뭉치는 사람이나 광대나 턱 근육이 발달된 얼굴이나 부종이 심하고 잘 붓는 얼굴등 얼굴 부위에 시술할 때 다른 부위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른바 부드럽고 날렵한 V라인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한다.
그런데 전신 마사지로 근막 자극을 하는 경우 진피층이나 피하지방층이 두꺼운 곳은 많은 힘을 주어서 해야 하고 피시술자가 아픔을 느낄 수 있어 정확한 부위를 짧은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마사지 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전신마사지는 미용의 효과를 위해서 하는 것 이외에도 근육이 뭉쳐지게 되면 나타나는 근육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근막위에서 꼰네뜨를 시술한 이후에 근육의 중간부분과 최대한 근육의 아래쪽으로 엄지손가락을 이동시킨후 꼰네뜨를 시술한다. 근막부위에 엄지손가락을 두고 시술하는 것은 미용을 위한 것이 주 목적이지만 근육부위에 엄지손가락을 두고 시술하는 것은 근육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전신마사지의 경우 근육의 두께가 얼굴에서보다 두껍기 때문에 시술하기가 좀 더 용이하며 종래에 근육통증을 완화시키는 마사지는 근육의 위쪽으로 누르거나 문지르는 것이 주 종을 이루었는데 근육을 마사지 하기 위하여 너무 깊이 마사지하게 되면 근육 주위의 신경과 혈관을 건드릴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직접적인 근육 마사지 보다는 찜질 요법을 많이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마사지는 엄지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마사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누르는 깊이가 항상 일정하고 함께 움직이는 손가락의 동작부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근육이외의 신경이나 혈관을 다치게 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즉, 얼굴부위를 마사지 할때는 근막부분만 잡고 시술하였는데 전신마사지의 경우 근육부위부터 엄지손가락을 눌러 마사지하며 근막부분까지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마사지 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용방법은 손가락 한개 혹은 두개를 이용하여 근막 주위까지 가능하면 깊이 넣어 아래에서 부터 피부를 들어올린다. 즉, 피부를 꼬집듯이 들어 올리는데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가능한 깊게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해서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서 피부를 아래쪽에서 누르면서 위쪽으로 살짝 들어올린다. 검지 손가락만으로 이런 동작을 하게 되면 마치 꼬집는 동작과 유사하게 되어 꼰네뜨라고도 불린다.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누른 상태에서 검지나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피부안쪽까지 다시 깊게 눌러 피부를 들어올리고 엄지를 밀어 검지와 다른 손가락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엄지손가락을 약간 눕히게 되면 깊이 누르기는 힘들지만 어차피 집는 역할을 하는 것은 다른 손가락이기 때문에 약간 옆으로 뉘어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집어올리면서 밀게 되는데 얼굴에 시술하는 경우에는 얼굴에는 근육이 오밀조밀하게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으로 깊게 누르고 검지나 중지 정도의 손가락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하게되며 다리나 팔등의 경우에는 시술해야될 면적이 넓어 좀 더 많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시술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법을 전신에 적용하기 위하여 전신의 근육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그린것으로서 몸의 중심부분에서 바깥쪽으로 시술한다. 팔, 다리, 몸통 각각의 부분의 중심에서 부터 시작을 한다.
팔은 팔꿈치의 반대쪽으로 팔이 접히는 부분에서 시작을 하는데 이곳을 중심으로 몸통쪽으로는 윗팔근(1) 혹은 상완근이 있으며 아래쪽으로는 위팔노근(2) 혹은 상완요근과 노쪽손목굽힘근(3)이 있는데 팔이 접히는 부분에서 윗팔근(1)쪽으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이 배열되도록 한 상태에서 팔이 접히는 부분에서 몸통쪽으로 이동하면서 마사지를 한다. 위파근(1)은 팔 윗부분의 근육으로 팔꿈치관절을 구부리는 동작을 하는데 위팔두갈래근(4)보다 깊은 곳에 있어 엄지손가락을 안쪽으로 깊에 넣어 가며 마사지를 한다.
위팔근(1)의 위쪽에 위팔두갈래근(4)이 위치하는데 위팔두갈래근(4)은 이두박근이나 상완 이두근이라고도 하며 속칭 팔의 알통을 말한다. 시작되는 부분은 2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개는 길고 한개는 짧다. 긴근육은 어깨뼈의 바깥쪽에서, 짧은 근육은 어깨뼈의 오훼골에서 시작하여 합쳐져 전형적인 방추형으로 근육 가운데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전면 팔근육은 위팔 두갈래근의 옆에 자리잡고 있으며 자극을 가하여 힘을 주게 되면 두부분으로 구성된 팔근육이 합쳐져서 1개의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팔을 들어올리고 안쪽으로 내전시키고 바깥쪽으로 외전시키는 기능을 하며 위팔 두갈래근이 팔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팔때는 팔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외전동작이 자연스럽게 된다. 이 근육이 약하면 던지기, 밀기 들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위팔두갈래근(4)은 팔이 접히는 부분에서 시작하는데 위팔두갈래근(4)쪽은 피하지방의 두께가 얇은 편이이며 다른 근육보다 위팔두갈래근(4)은 근육의 두께가 두꺼운 편이기 때문에 근막아래 근육쪽으로 엄지손가락을 집어 넣어 마사지를 하는 것이 좋다.
위팔두갈래근(4)의 위쪽으로 어깨에는 어깨세모근(5)이 있는데 삼각근 이라고 도 하여 어깨에 원형 윤곽을 형성하는 근육이다. 크게 세가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치에 따라 앞 어깨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뒤어깨세모근으로불리는데 팔을 구부린 자세 또는 벌린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 어깨세모근(5)이 자주 사용되거나 과사용됨으로써 어깨통증이 유발된다. 어깨세모근(5)은 어깨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두꺼워지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시작하여 어깨쪽으로 움직이되 반복할때마다 다른 경오를 통해 어깨쪽으로 움직이며 엄지손가락이 근육에 닿는 깊이를 조금씩 조절하면서 어깨쪽으로 이동하며 마사지를 한다.
어깨쪽까지 마사지를 한 이후에는 팔의 아래쪽으로 내려와 위팔노근(2)을 마사지하는데 위팔노근(2)은 상완요근이라고도 하며 팔꿈치의 굽힘근으로 악수할때 사용하는 근육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근육의 팔꿈치에서 각 부착점까지의 거리가 대부분의 다른 근육보다 길어서 가장길다. 위팔고근(2)의 시작점인 팔이 접혀지는 오금부터 시작하여 손목까지 이동을 하면서 시술을 하며 근육이 두꺼운 곳에서는 엄지손가락을 넣는 깊이를 달리하여 시술을 한다.
노쪽손목굽힘근(3)은 아래팔 앞 칸에서 아주 얇은 층을 이루는 근육가운데 하나로서 위팔뼈의 안쪽 위 관절융기에서 일어나 둘째손허리뼈 바닥으로 붙으며 손목을 굽히고 벌리는데 작용한다. 팔이 굽혀지는 부분에서 손목쪽으로 이동하며 시술을 한다.
손(6)은 근육하나하나에 대해 시술하기 어렵고 손등쪽으로는 피하지방층이 얇아 시술하기 어렵기 때문에 손바닥쪽에서 엄지로 받치고 손등을 움직이며 시술한다. 손가락도 하나씩 손바닥쪽을 엄지로 받친상태에서 시술을 하는데 손바닥쪽에서 엄지의 아래부분과 같이 어느정도 두께가 있는 부분은 근막위쪽을 엄지로 받치면서 시술한다. 손이나 손가락은 컨디션에 따라 붓거나 하는 경우가 많지만 위와 같이 노폐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근막 마사지에 의하는 경우 붓기의 정도가 매우 완화될 수 있다. 손가락의 붓기는 쉽게 빠지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 의한 마사지에 의할 때 쉽게 제거된다.
손가락과 발가락은 손가락과 발가락의 주위를 돌아가며 엄지손가락을 근막쪽으로 위치시킨후에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시술을 하며 손가락과 발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시술한다.
몸통은 몸의 중심으로부터 측면으로 진행하는데 몸의 위쪽이나 아래쪽 어디에서든 시작할 수 있다. 큰가슴근(7)은 대흉근이라고도 하며 상체의 운동에 관여하는 가슴에 있는 삼각형 근육으로 편형하고 매우 크고 강대한 근육이다. 쇄골중앙에서 안쪽 부분 흉골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윗부분의 6~7개의 늑연골, 복직근초의 전엽 표면등에서 시작되어 상완골 위 끝의 앞면에 있다. 가슴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진행을 하며 시술하는데 특히 쇄골과 맞닿은 부분에서는 쇄골의 주위를 따라서 반복적으로 시술한다.
앞톱니근(8)은 전거근이라고도 하며 가슴측면에서 늑골 1~8번 표면에서 시작하여 견갑골 내측연의 전장 전체를 따라서 만입하는 근육이다. 흉곽주위에서 견갑골을 앞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전거근이 약화되면 견갑골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익상견갑이 발생하게 되어 회전근개건염이나 견갑상완관절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완관절이 등쪽으로 툭 튀어 나올 수도 있고 여성의 경우 앞톱니근이 기능을 제대로 해야 아름다운 가슴선이 나오기 때문에 평소에도 미용을 위해서도 관리가 필요하다. 앞톱니근(8)은 갈비뼈의 중앙부분에 붙어 있기 때문에 시작점을 날겨뼈로부터 찾아서 시작하며 위에서 부터 차례로 내려오면서 갈비뼈의 방향을 따라서 시술한다.
배곧은근(9)은 복직근이라고도 하며 길고 넓은 가죽끈 모양으로 앞배벽을 이루는 세로근육으로 백색선에 의해 양쪽으로 나뉘어 배곧은근육과 나눔힘줄로 구성된다. 식스팩이 만들어지는 부위로 배의 내용물을 압박하고 복압을 올리며 자세유지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배곧은근(9)은 나눔힘줄에 의해 배곧은근육이 나뉘어 있기 때문에 백색선으로부터 시작하여 나눔힘줄로 나누어진 배곧은근육에 대해 각각 시술한다. 배곧은근(9)은 세로근육이기 때문에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나누어서 시술한다.
바깥배빗근(10)은 외복사근이라고도 하며 8개의 첨두로 갈라져 제5-제12늑골의 외측면에서 생기고 전하방으로 달려 복직근의 외연가까이 에서 건막으로 이행하며 체간회선의 주동작근의 하나이다. 몸안쪽으로부터 시작해서 등뒤쪽으로 움직이며 시술한다. 얼굴이나 팔다리의 경우 다른 부분보다 체지방이 적은 편이서 작은 붓기나 노폐물이 미용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 등, 배쪽은 체지방이 많고 평소에는 옷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가 많아 미용을 위한 마사지에 있어서 소홀한 경우가 있다. 그런데 바깥배빗근(10)이나 배곧은근(9)등은 몸의 자세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잘못된 자세를 취하는 경우 근육통증이 오기 쉽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을 근막 아래쪽으로 위치시키며 나머지 손가락으로 꼰네트마사지를 하며 이쪽의 근육은 근육을 마사지 하여 근육내에 트러블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다리는 한쪽씩 위쪽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며 전면부에서 측면으로 내려가며 시술하는데 긴허리근(11)은 장요근이라고도 하며 허리를 구성하는 뼈인 요추, 장골에 붙어 고관절을 구성하는 뼈인 대퇴골에 붙어서 허리와 고관절의 움직임과 자세안정성에 관여한다. 장요근이 제대로 자리 잡히지 않는 경우 허리통증을 일으키기도 하고 오리궁둥이 형태가 되기도 하는데 장요근의 시작점은 외부에서 닿기는 힘든 몸 안쪽에 있기 때문에 장요근이 있으리라 추측되는 부위부터 시작하여아래로 내려오며 마사지를 하게 된다. 허리나 허벅지의 근육은 근육에 트러블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의 마사지가 주목적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근육쪽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마사지를 한다.
두덩근(12), 긴모음근(13), 큰모음근(14), 두덩정강근(15), 넙다리빗근(16)은 넓적다리의 안쪽에 있어 넙다리를 안으로 돌리는 작용을 하거나 엉덩관절의 모음과 굽힘을 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근육인데 근육의 길이나 폭이 작기도 하고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고 몸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세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각의 근육이 형성되는 근육의 방향을 따라서 진행을 하며 가능한 한 근육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느끼면서 시술을 한다.
넙다리 네갈래근(17)은 넙다리의 앞쪽에 있는 강하고 큰 근육이며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 중간넓은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장운동에 관계하고 제충을 지지한다. 대퇴사두군이라고도 하는데 무릎의 통증과 관련이 있는데 급성손상이 아닌경우 손상을 잘느끼지 못하고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손상이 오는 경우가 많아 연령이 높은 사람인경우 보다 조심스럽게 마사지를 하며 근육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시술을 하며 엄지손가락은 근육쪽으로 살짝 찔러 넣은 상태에서 시술을 한다.
옆정강근(18)은 종아리 앞칸의 안쪽에 있는 근육으로 정강뼈와 뼈 사이막의 윗부분에서 일어나 안쪽 쐐기뼈와 첫째 발허리뼈바닥으로 붙는다. 발을 등쪽으로 굽히고 안쪽으로 뒤집는 작용을 한다. 오래 걸어 다리가 부었다고 느끼는 경우 옆정강근(18)쪽에서 무리를 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근육부위부터 근막부분까지 가능한한 깊게 누르면서 손가락으로 마사지를 하게 되면 림프선이 자극되며 피부내의 노폐물도 외부로 배출되며 붓기가 완화된다.
긴종아리근(19)은 장비골근이라고도 하며 바깥쪽 복사뼈의 뒤쪽을 감싸고 지나가는 근육으로 정강이근과 부착부위를 공유하며 발목을 돌리는 기능에 영향을 주며 발목통증의 원인이 된다. 종아리의 옆쪽으로 얕게 위치하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으로 근육쪽부터 누른 상태에서 근육의 방향을 따라 진행을 한다.
등쪽은 광배근(도시되지 않음)을 위주로 척추부위에서 몸의 측면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시술을 진행한다.
발(20)은 손과 같은 방법으로 마사지하며 발바닥은 엄지손가락을 발등에 위치한 상태에서 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하며 시술한다.
(실시예1)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시술을 시작하되 손과 팔을 덮는 커버를 제작하고 30일간 일주일에 3회이상 매회 1~2시간씩 시술을 한 후 다시 손과 팔을 덮는 커버를 제작한뒤 두개의 마스크에 들어가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피를 구하고 부피의 차를 50명에 대하여 계산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실시예)
또한, 비교예로서 시술을 전혀 받지 않은 15명에 대하여 30일의 시차를 두고 같은방법으로 커버를 제작하여 부피의 차를 계산하여 평군을 구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11.2cc +0.9cc
시술의 효과는 유전적인 요인, 생활습관, 건강 상태, 시술에 대한 적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부피가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시술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2)
상기한 바와 같은 시술을 시작하되 종아리를 덮는 커버를 제작하고 30일간 일주일에 3회이상 매회 1~2시간씩 시술을 한 후 다시 손과 팔을 덮는 커버를 제작한뒤 두개의 마스크에 들어가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피를 구하고 부피의 차를 50명에 대하여 계산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실시예)
또한, 비교예로서 시술을 전혀 받지 않은 15명에 대하여 30일의 시차를 두고 같은방법으로 커버를 제작하여 부피의 차를 계산하여 평군을 구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10.2cc +0.7cc
시술을 받지 않은 경우 크게 차이가 없었는데 측정수가 많아질수록 0쪽으로 수렴하리라 생각이 되며 실시예의 경우 측정수가 많아지면 특정 수치로 수렴하리라 예상이 된다. 종아리나 손, 팔뚝과 같이 붓기가 눈에 띄게 보이는 부분을 대상으로 측정한것이라 크게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는데 작은 수치라도 계속적인 시술로 노폐물제거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위팔근 2: 위팔노근
3: 노쪽손목굽힘근 4:위팔두갈래근
5: 어깨세모근 6: 손
7: 큰가슴근 8: 앞톱니근
9: 배곧은근 10: 바깥배빗근
11: 긴허리근 12: 두덩근
13: 긴모음근 14: 큰모음근
15:두덩정강근 16: 넙다리빗근
17:넙다리네갈래근 18: 옆정강근
19: 긴종아리근 20: 발

Claims (6)

  1.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으로서,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깊게 눌러 근막과 가능한 한 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누르고 있는 엄지손가락과 가까이에 있는 피부를 다른 손가락을 사용해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살짝 들어올린 후 엄지손가락을 미는 동작으로 근막 주위에 있는 노폐물을 밀어내도록 하는데
    여러다발로 이루어진 근육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위와 같은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시술을 한 뒤 근육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하여 다시 시술을 하는,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팔에 대해서는 팔관절이 접히는 부분부터 시작해서 어깨와 손가락쪽으로 시술을 진행하되 각각의 근육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근육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시술을 하는,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위팔근(1), 위팔두갈래근(4), 어깨세모근(5), 위팔노근(2), 노쪽손목굽힘근(3), 손(6)으로 이루어진 제1세트의 순서로 시술을 진행하는,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세트의 진행후에 큰가슴근(7), 배곧은근(9), 앞톱니근(8), 바깥배빗근(10)으로 이루어진 제2세트를 순서대로 시술을 진행하는,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2세트의 진행후에 긴허리근(11), 두덩근(12), 긴모음근(13), 큰모음근(14), 두덩정강근(15), 넙다리빗근(16), 넙다리네갈래근(17), 옆정강근(18), 긴종아리근(19), 발(20)의 제3세트를 순서대로 시술을 진행하는,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손(6)과 발(20)은 손등, 손바닥, 발등, 발바닥에 엄지손가락을 위치한 상태에서 시술을 진행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진행하고 손가락과 발가락은 손가락과 발가락은 손가락 발가락의 주위를 돌아가며 시술을 하는,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KR1020240003873A 2021-10-17 2024-01-09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Pending KR2024002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3873A KR20240024125A (ko) 2021-10-17 2024-01-09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981A KR20230054778A (ko) 2021-10-17 2021-10-17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KR1020240003873A KR20240024125A (ko) 2021-10-17 2024-01-09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981A Division KR20230054778A (ko) 2021-10-17 2021-10-17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125A true KR20240024125A (ko) 2024-02-23

Family

ID=861019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981A Ceased KR20230054778A (ko) 2021-10-17 2021-10-17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KR1020240003873A Pending KR20240024125A (ko) 2021-10-17 2024-01-09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981A Ceased KR20230054778A (ko) 2021-10-17 2021-10-17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547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8746B1 (ko) * 2024-04-11 2025-04-23 주식회사 엘앤케이웰니스 피부미용을 위한 후면 전신의 근막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778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Domenico Beard's Massag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oft Tissue Manipulation
KR20240024125A (ko) 손가락을 이용한 전신 근막마사지 방법
EP3456307A2 (en) Skin care method employing orchestra performance manner
RU2469695C2 (ru) Способ массажа елены мустафаевой
KR101853097B1 (ko) 휴대용 다기능 마사지 기구
RU2367402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о-дистроф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898615B1 (ko) 완성된 피부미용기법
US20090054816A1 (en) Massage methods
Chirali Cupping therapy for bodyworkers: A practical manual
KR20160132788A (ko) 피부미용법
RU2724399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вязочного аппарата
RU2705237C1 (ru) Способ нейро-мышечной релаксации лицевых мышц
RU246050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WO2016021928A2 (ko) 청혈용 한국형 매뉴얼 테크닉
KR102469939B1 (ko) 인체접지 마사지 도구, 이를 포함하는 인체접지 마사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체접지 마사지 방법
RU2442560C2 (ru) Способ эстетической коррекции тела
KR20090130363A (ko) 커핑기 및 이를 이용한 약초 임플란트 관리방법
RU2802526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вязоч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едицинских эластичных бинтов
RU2792522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организм человека
RU2800697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фигуры
SU971323A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юных спортсменов высокой квалификации
RU2794630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лица посредством миофасциального массажа лица и тела
RU2414881C1 (ru) Способ локального моделирования контуров тела человека ручным массажем по финченко с.н.
Kellogg The art of massage: its physiological effect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RU2744997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лица путем мануальной пластики лица, шеи, плеч, верхней части спины и верхней трет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101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13798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