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010B1 -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010B1
KR101853010B1 KR1020170056356A KR20170056356A KR101853010B1 KR 101853010 B1 KR101853010 B1 KR 101853010B1 KR 1020170056356 A KR1020170056356 A KR 1020170056356A KR 20170056356 A KR20170056356 A KR 20170056356A KR 101853010 B1 KR101853010 B1 KR 10185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ack
binder
lamp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Priority to KR102017005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2Mixtures or their components, e.g. aggre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 콘크리트는 10일 내지 20일 이상 양생한 후, 고압세척기로 레지턴스층을 제거하며, 양생 기간 중 요철부위와 크랙 및 파손된 부위를 보수하는 하지정리단계; 표면에 수분이 완전 건조된 후에, 롤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하도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하지면에 규사를 몰탈 교반기에 넣고 3분 내지 5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교반된 규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다시 교반하는 혼합교반단계; 규사 포설기를 이용하여 바인더와 교반된 규사를 하지면에 쇠흙손이나 로울러를 이용하여 일정두께만큼 포설한 후 쇠흙손을 이용하여 표면을 다져주는 중도단계; 상기 중도단계를 거쳐 다져진 상태의 상부 표면 위에 바인더와 코팅된 축광석을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서 도포하고 항온 롤러를 이용해 다짐작업을 하고 마무리 표면작업을 하는 상도단계; 및 가로등형 60W 또는 볼라드형 9W 중 하나인 블랙램프를 선택하여 가로등형과 볼라드형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블랙램프 설치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롭고 이색적인 아름다운 밤의 야경을 제시하고, 기존의 인위적인 네온사인의 불빛의 화려함이 아닌 자연에 가까운 축광석과 블랙라이트의 결합된 빛으로 자연 경광을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Sidewalk construction method for nightscape using luminous stone and black light}
본 발명은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형광등과 같은 각종 전구류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광원이 없어지면 어두운 상태에서 빛을 발산하는 축광석의 원리와 축광석의 에너지원으로 블랙램프의 블랙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야간 경관 시설물은 네온등, LED조명등과 같은 획일적인 조명시설물로 야간의 경관을 조성하는 것이 대표적이었다.
그것도 대부분 벽체면이나 기둥을 이용한 야간 경관 설치물에 불과하며 바닥면의 야간 경관 설치 사례는 거의 전무한 게 사실이다.
한편 우리 주위에는 각 지역별 지자체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문화 축제가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
다양한 문화 축제로 꽃축제, 빛축제, 전통축제, 지역대표축제 등 수 많은 축제들이 매년 개최되어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대부분 모든 행사의 주요 일정은 낮에 이루어지고 밤에 이루어지는 것은 공연축제 외에 별다른 이벤트가 없는 편이다.
왜냐하면 아무리 유명한 관광지라고 하더라도 일정 시간 어두운 밤 시간이 되면 인적이 끊어지고 유명 관광지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이기 때문이다.
많은 비용을 들여 준비한 행사가 24시간 중 반 이상을 차지하는 밤 시간에는 전혀 진행되지 못한 다는 것은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새롭고 이색적인 아름다운 밤의 야경을 제시하고, 기존의 인위적인 네온사인의 불빛의 화려함이 아닌 자연에 가까운 축광석과 블랙라이트의 결합된 빛으로 자연 경광을 연출하는 것으로 다양한 문화 축제를 관람하러온 관람객의 만족과 행사 진행자 측의 경제적인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7289호 한국등록특허 제1482588호 한국등록특허 제0808068호 한국등록실용 제03460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형광등 각종 전구류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광원이 없어지면 어두운 상태에서 빛을 발산하는 축광석의 원리와 축광석의 에너지원으로 블랙램프의 블랙라이트를 이용하여 자연의 빛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이루어진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 콘크리트는 10일 내지 20일 이상 양생한 후, 고압세척기로 레지턴스층을 제거하며, 양생 기간 중 요철부위와 크랙 및 파손된 부위를 보수하는 하지정리단계; 표면에 수분이 완전 건조된 후에, 롤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하도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하지면에 규사를 몰탈 교반기에 넣고 3분 내지 5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교반된 규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다시 교반하는 혼합교반단계; 규사 포설기를 이용하여 바인더와 교반된 규사를 하지면에 쇠흙손이나 로울러를 이용하여 일정두께만큼 포설한 후 쇠흙손을 이용하여 표면을 다져주는 중도단계; 상기 중도단계를 거쳐 다져진 상태의 상부 표면 위에 바인더와 코팅된 축광석을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서 도포하고 항온 롤러를 이용해 다짐작업을 하고 마무리 표면작업을 하는 상도단계; 및 가로등형 60W 또는 볼라드형 9W 중 하나인 블랙램프를 선택하여 가로등형과 볼라드형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블랙램프 설치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광석의 도포 디자인 종류로는 밤하늘의 은하수를 상징하는 은하수형 디자인과 나선형의 회오리를 연상시키는 회오리형 디자인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지정 디자인형 디자인 중 하나이다.
상기 블랙램프에 점등과 소등 시간을 입력하여 자동센서 방식으로 점등과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축광석의 설치면적에 따라서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정해서 자동센서로 조절해서 빛을 발광한다.
상기 규사는 3호~5호 크기의 규격을 적용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로 콘크리트, 아스팔트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0.5ℓ/㎡당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새롭고 이색적인 아름다운 밤의 야경을 제시하고, 기존의 인위적인 네온사인의 불빛의 화려함이 아닌 자연에 가까운 축광석과 블랙라이트의 결합된 빛으로 자연 경광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에 가까운 빛으로 새롭고 건전한 밤의 축제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꽃축제, 빛축제, 전통축제, 지역대표축제 등 수 많은 축제들이 흥행되게 하여 지역경제와 지역관광 경기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대상 바닥포장재는 아스콘, 콘크리트, 탄성포장재, 도막형 바닥재에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석의 수명은 약50년 정도의 반영구적인 수명을 지니고 있고, 고온과 물에 강하고 변형이 없으며, 지속적인 휘도가 유지되고, 내구성이 강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주간의 경우와, (b) 야간의 경우로 나뉘어 보여주면 특히 야간의 경우 기존의 네온사인의 불빛으로 인위적인 화려함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축광석과 블랙라이트의 결합된 빛은 자연에 가까운 빛으로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전 준비해야할 장비 및 공구로는 1) 강력세척기(모체압력 3,000psi 이상), 2) 압력게이지가 부착된 2HP이상의 에어 콤프레샤, 3) 몰탈믹서기, 4) 두가지 속성의 믹싱기(300~600RPM)외 나선형 날, 5) 규사포설기, 다짐롤러, 강철제의 쇠흙손, 6) 강하고 방수 처리된 12㎜와 50㎜폭의 마스킹테이프와 1,000㎜폭의 (말려있는 롤형)보양테이프, 7) 3개의 혼합용기(약 20리터), 8) 청소용 헝겊조각 빗자루, 호스, 전기리드선, 가위, 9) 장비의 결합을 위한 필요한 공구(스패너, 드라이버 등) 등이 필요하다.
마감바탕의 종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을 표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마감바탕은 물이 고임 없이 빨리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평면부 바탕의 콘크리트 표면은 쇠흙손 등으로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치켜 올림부의 콘크리트는 제물마감으로 하고, 거푸집 고정제 등에 의하여 생긴 구멍은 폴리머시멘트 몰탈 등을 충전하여 평탄하게 마감한다.
상기 치켜 올림부는 방수층 끝부분의 처리가 충분하게 되는 형상과 높이로 한다.
상기 마감 바탕의 오목 모서리는 직각으로 면 처리 하고, 볼록 모서리는 각이 없는 완만한 면 처리로 한다.
한편 마감시공 직전의 바탕 전반의 상태는 아래의 각 항을 표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1) 평탄하고,휨,단차,들뜸,레지턴스,취약부 및 현저한 돌기물 등의 결함이 없을 것. 2) 곰보, 균열부분이 없을 것. 3) 바닥면에는 물고임이 없을 것. 4) 접착에 방해가 되는 먼지, 유지류, 얼룩, 녹 및 거푸집 박리제 등이 없을 것. 5) 콘크리트 이음타설부는 줄눈재가 제거되어 있을 것. 6) 줄눈재를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 이음타설부는 이음면의 양쪽으로 폭 15㎜ 및 깊이 30㎜ 정도로 V컷 되어 있을 것. 7) 거푸집 고정재는 제거되어 있을 것. 8) 누수되는 부위가 없을 것. 이 외의 기타 바탕의 상태는 공사시방에 의한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가. 하지정리단계(S100)
시공할 바탕면 작업공간에 대하여 강력 세척기를 이용하여 하지 정리를 한다.
기존의 콘크리트 오염물을 전용 클리너와 약산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고압세척기로 오염물을 제거한다.
신축 콘크리트는 10일 내지 20일 이상 양생한 후, 약산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고압세척기로 레지턴스층을 제거한다.
10일 이하로 양생하는 경우 콘크리트 품질이 저하되고, 20일 이상 양생하는 경우 소정의 물성이 발현하기까지 시간이 너무 소요되고 외계의 변화에 대해 바닥의 들뜸 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양생 기간 중 요철부위와 크랙 및 파손된 부위를 보수한다.
신축 콘크리트 양생은 기후에 따라 작업시기를 조절해서 공사한다. 단, 아스팔트콘크리트의 경우 약 7일 정도의 양생기간을 주어야 하며 아스팔트 표면의 유제성분이 어느 정도 없어져야 한다.
나. 하도단계(S200)
하지면의 표면에 수분이 완전 건조된 후에, 부드러운 롤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단,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경우 프라이머의 투입량이 달라질 수 있으니 이점을 고려하여 감독관의 승인 하에 처리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로 콘크리트, 아스팔트와 접착력을 높이는 자재이다. 사용량은 프라이머 0.5ℓ/㎡이다.
다. 혼합교반단계(S300)
3~5호사의 규사를 몰탈 교반기에 넣고 약 3분 내지 5분 동안 교반한다.
3~5호사의 규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우레탄이나 아스콘과 같은 재질 보다 내구성과 물 빠짐이 좋고 경제적이기 때문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석과 어우러짐이 좋아 자연스러운 외관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잘 교반된 규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다시 교반한다.
이때 교반 시간은 약 5분을 기준으로 하되 교반 상태에 따라서 교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3분 이하로 교반을 하는 경우 규사와 바인더가 교반이 안되면서 혼합율이 떨어져 내구성과 물 빠짐이 나빠진다.
약 10분 이상을 교반할 경우, 내구성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등이 안 좋아지며 오래 놔두면 굳어짐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규사용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고경도용으로 뛰어난 내구성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등을 갖춘 제품으로, 에폭시의 강성과 우레탄의 유연성을 고루 지닌 재질이다.
특히 저유해성의 성분으로 작업성 및 사용 방법이 간단하고 경화 특성이 우수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10㎜이상 시공이 가능하다.
라. 중도단계(S400)
규사 포설기를 이용하여 바인더와 교반된 규사를 하지면에 쇠흙손이나 로울러를 이용하여 일정두께만큼 포설한 후 쇠흙손을 이용하여 표면을 다져준다.
바인더와 혼합된 규사는 가능하면 30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규사와 바인더의 배합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에 테스트 한 후 아래와 같이 시공하여야 한다.
(a) 규사15㎜ 설치시 사용량: 우레탄도료(gwf-sum) 2.8kg + 규사(3~5호) 27kg
(b) 규사20㎜ 설치시 사용량: 우레탄도료(gwf-sum) 3.6kg + 규사(3~5호) 36kg
마. 상도단계(S500)
상기 중도단계를 거쳐 다져진 상태의 상부 표면 위에 바인더와 코팅된 축광석을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서 도포하고 항온 롤러를 이용해 다짐작업을 하고 마무리 표면작업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축광석과 블랙램프와 바닥포장재가 합쳐진 야간경관보도임이 바람직한데, 여기에서 사용되는 축광석은 태양광, 형광등 각종 전구류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 하였다가 광원이 없어지면 어두운 상태에서 빛을 발산 하는 축광의 원리를 이용하여 세라믹 계열의 광석과 참가재료에 축광 물질을 조합하여 만든 가공물질이다.
축광석의 발광색별 종류로는 하늘색, 남녹색, 황녹색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축광석 규격으로는 2~5㎜, 5~10㎜, 10~15㎜, 15~20㎜, 20~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40mm를 초과하면 규사와 어울어짐 자체가 부자연스럽고 외관상 거칠고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축광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먼저 평균 입자크기가 60~900㎛인 열가소성 합성수지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 입자크기가 30~300㎛인 축광체 분말 20~70중량부를 포함하는 축광체 혼합물을 준비하는 축광체 혼합물 준비단계, 석재의 표면에 일정의 깊이와 소정의 형태를 갖는 홈을 구성하는 홈 구성 단계, 상기 홈 구성 단계 처리된 석재의 홈에 상기 축광체 혼합물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축광체 혼합물을 충진시키는 축광체 혼합물 충진단계, 상기 축광체 혼합물 충진단계 처리된 석재를 100~170℃의 온도로 일정의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축광체 혼합물 열처리단계, 상기 축광체 혼합물 열처리단계 처리된 석재를 일정의 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여 석재 홈의 축광체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축광체 혼합물 경화단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축광석과 블랙램프의 화학적 반응을 얻기 위해서는 자외선이 필요하다.
상기 축광석은 블랙램프의 자외선 광을 받아, 축광석의 빛과 블랙라이트가 결합된 자연에 가까운 특정색의 발광을 한다.
왜냐하면 축광석의 에너지원으로 자외선이 필요하고, 축광석은 블랙램프의 광반사 에너지(자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 변형시키기 때문이다.
이 때 축광석의 발광을 위해 사용되는 블랙램프는 가시광선을 차단하고 자외선을 방사하는 구조로 된 특수램프를 사용한다.
상기 축광석의 도포 디자인 종류로는 밤하늘의 은하수를 상징하는 은하수형 디자인과 가장 일반적인 보급형의 나선형의 회오리를 연상시키는 회오리형 디자인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지정 디자인형 디자인 등이 있다.
따라서 은하수형 디자인과 회오리형 디자인과 지정 디자인형 디자인으로 미리 형성된 축광석들은 낮에는 태양광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 하였다가 밤에는 주변의 블랙램프의 블랙라이트(자외선)를 받아 자연에 가까운 은하수와 회오리 형태 등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상도단계를 마친 포장은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1일 정도 완전히 통제한 후 개통한다.
바. 블랙램프 설치단계(S600)
모든 바닥포장재의 설치 작업이 끝나면 LED로 이루어진 블랙램프를 설치한다.
아래 표 1과 같이 상기 블랙램프의 사양으로 LED 블랙램프 가로등형 60W, LED 블랙램프 볼라드형 9W 중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블랙램프의 종류로는 가로등형과 볼라드형이 있다.
Figure 112017042917410-pat00001
설치장소의 환경이나 여건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다. 블랙램프의 설치가 끝나면 야간 점등 후 야간 경관 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몸체는 목재 또는 집성목 성형품으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 균열이 없어야 하며 제조사의 규격품으로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내부 공간은 램프 발열을 방출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커버의 전면유리는 자체 열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 강황유리 혹은 경질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커버는 몸체와 밀착하여 방수, 방진 기능이어야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반사판은 알미늄판 및 반사 시트를 기계적으로 성형 가공하여 연마한 반사판이어야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볼트, 너트, 스크류 등은 외부 환경에 장기간 사용되는 노출부위는 부식, 녹 등이 발생되지 않는 스텐레스 스틸을 사용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패킹은 방수 및 내열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그리고 블랙램프의 제조 및 가공에 대해 살펴보면, 조명기구의 취급은 안전하고 LED모듈 교체, 내부점검, 청소 등 보수유지가 용이한 구조로 제작하여야 한다.
조명기구 내부에 사용되는 모든 자재는 내부 환경 변화에도 연소되지 아니하는 제품을 사용하며, KS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하여야 한다.
전면유리는 양호한 투과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기포, 흠 등이 없는 것 이어야 한다.
블랙램프의 패킹은 방수, 방진 및 방충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내열성 실리콘 패킹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해서 살펴보면, 알루미늄 성형품 및 내열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점등 시 열방출 및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조명기구의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방수, 방진, 방충구조로 제작 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마감 및 외관으로서 각 구성부품은 누락 없이 체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블랙램프의 도장표면의 얼룩 또는 균열이 없어야 하며, 부식 부분이 없어야 한다.
또한 상기 블랙램프의 현장설치를 위해서는 현장의 여건과 시방서 또는 발주자의 주문에 의하여 조건에 맞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블랙램프에 점등과 소등 시간을 입력하여 자동센서 방식으로 점등과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랙램프에는 제어부가 추가되어 점등과 소등 시간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시간동안 점등과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축광석의 설치면적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상기 제어부가 전달 받아, 상기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제어부가 조절해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블랙램프의 직전 점등시각부터 직전소등시각까지의 총 점등시간 중 그 절반에 해당되는 절반시각을 기준으로 삼아 다음 점등시각부터 다음 소등시각에서의 디밍 스타트를 실현토록 함과 동시에 직전 소등시각을 기준으로 삼아 다음 점등시각부터 다음 소등시각에서의 디밍 엔드를 실현토록 디밍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람의 존재를 센싱하는 센서의 카운팅 신호가 증가하면 사람의 증가로 인식하고, 제어부는 카운팅 신호가 감소하면 사람의 감소로 인식하여 사람의 진행방향과 속도를 판단하고, 제어부가 후방의 블랙램프를 즉시 소등하거나 디밍 제어를 통해 밝기를 어둡게 하여 극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축광석은 블랙램프의 빛을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어두워지면 자발광을 하므로 블랙램프를 지속적으로 점등할 필요가 없고 축광석의 설치면적에 따라서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정해서 자동센서로 조절해서 빛을 발광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에서 바닥포장재는 아스콘, 칼라콘크리트, 우레탄, EPDM, 탄성포장재, 도막형 바닥재 등 다양한 종류의 재료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명시한 바닥재는 규사포장재를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상기 규사포장재에서 규사는 사용용도에 따라서 규사의 규격은 달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규격은 3호~5호 크기의 규격을 적용하였다.
프라이머는 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로 콘크리트, 아스팔트와 접착을 높이는 자재이다.
우레탄 도료(gwf-sum)는 규사혼합 및 교반에 이용되는 우레탄 계열의 도료로 규사의 접착력 및 구체와의 접착력을 높인다.
상기 우레탄 도료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고경도용 규사 바인더로서 뛰어난 내구성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등을 갖춘 제품이다. 고경도의 재질이지만 우레탄 특유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에폭시의 강성과 우레탄의 유연성을 고루 지닌 제품이다.
특히 상기 프라이머는 저유해성의 성분으로 작업성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경화특성이 우수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10㎜이상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프라이머는 기존의 어떠한 바닥재보다 탁월하며 친환경적이며, 투수성, 논슬립성이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규사포장 제품의 사양표는 아래 표 2와 같다.
Figure 112017042917410-pat00002
S100 : 하지정리단계
S200 : 하도단계
S300 : 혼합교반단계
S400 : 중도단계
S500 : 상도단계
S600 : 블랙램프 설치단계

Claims (5)

  1. 신축된 콘크리트를 10일 내지 20일 동안 양생한 후, 고압세척기로 레지턴스층을 제거하며, 양생 기간 중 요철부위와 크랙 및 파손된 부위를 보수하는 하지정리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수분이 완전 건조된 후에, 롤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0.5ℓ/㎡로 도포하는 하도단계;
    3호~5호 크기 규사를 몰탈 교반기에 넣고 3분 내지 5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교반된 규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다시 교반하는 혼합교반단계;
    규사 포설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인더와 교반된 규사를 하지면에 쇠흙손이나 로울러를 이용하여 일정두께만큼 포설한 후 쇠흙손을 이용하여 표면을 다져주는 중도단계;
    상기 중도단계를 거쳐 다져진 상기 하지면의 상부 표면 위에 바인더와 코팅된 축광석을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서 도포하고 항온 롤러를 이용해 다짐작업을 하고 마무리 하지면 표면작업을 하는 상도단계; 및
    상기 마무리된 하지면의 표면에 가로등형 60W 또는 볼라드형 9W 중 하나인 블랙램프를 선택하여 가로등형과 볼라드형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블랙램프 설치단계;
    사람의 존재를 센싱하는 센서를 통해 사람의 카운팅 신호가 증가하면 사람의 증가로 인식하고, 카운팅 신호가 감소하면 사람의 감소로 인식하며, 사람의 진행방향과 속도를 센싱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람의 진행 방향의 반대편인 후방의 블랙램프를 즉시 소등하거나 디밍 제어를 통해 밝기를 어둡게 하고, 상기 축광석의 설치면적에 따라서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블랙램프의 빛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6356A 2017-05-02 2017-05-02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KR10185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56A KR101853010B1 (ko) 2017-05-02 2017-05-02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56A KR101853010B1 (ko) 2017-05-02 2017-05-02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010B1 true KR101853010B1 (ko) 2018-04-27

Family

ID=6208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56A KR101853010B1 (ko) 2017-05-02 2017-05-02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0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56B1 (ko) * 2019-05-30 2020-04-08 주식회사 에코논 축광석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20200095717A (ko) 2019-02-01 2020-08-11 디올림 주식회사 축광재를 이용한 발광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경관 보도 구조
KR102432343B1 (ko) 2021-11-10 2022-08-16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225B1 (ko) 2021-09-06 2023-01-12 에코리엔트샤인 (주) 고기능성 축광 및 발광 석재
KR102528725B1 (ko) 2022-02-17 2023-05-09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축광석과 조명을 활용한 경관시설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607A (ja) * 2002-03-06 2003-09-10 Ogiso Kensetsu Kk 蛍光発光型のガラスカレット舗装構造
KR100675872B1 (ko) * 2006-07-10 2007-01-30 (주)삼일케미콘 개량형 탄성포장체의 구조
KR101167279B1 (ko) * 2011-12-28 2012-07-23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슬래그볼 및 우레탄 바인더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보도 및 자전거도로 포장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607A (ja) * 2002-03-06 2003-09-10 Ogiso Kensetsu Kk 蛍光発光型のガラスカレット舗装構造
KR100675872B1 (ko) * 2006-07-10 2007-01-30 (주)삼일케미콘 개량형 탄성포장체의 구조
KR101167279B1 (ko) * 2011-12-28 2012-07-23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슬래그볼 및 우레탄 바인더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보도 및 자전거도로 포장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717A (ko) 2019-02-01 2020-08-11 디올림 주식회사 축광재를 이용한 발광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경관 보도 구조
KR102098656B1 (ko) * 2019-05-30 2020-04-08 주식회사 에코논 축광석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2487225B1 (ko) 2021-09-06 2023-01-12 에코리엔트샤인 (주) 고기능성 축광 및 발광 석재
KR102432343B1 (ko) 2021-11-10 2022-08-16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528725B1 (ko) 2022-02-17 2023-05-09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축광석과 조명을 활용한 경관시설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010B1 (ko) 축광석과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야간 경관보도 시공방법
US20100005743A1 (en) Flexible Cement Veneer
US9114422B1 (en) Paving block with embedded photoluminescent material
CN109133771A (zh) 一种预制无机人造夜光石板材及其制备方法
CN106121188A (zh) 大面积无缝整体地面及其施工方法
KR20000064935A (ko) 야광성 또는 형광성 인조석
KR102098656B1 (ko) 축광석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CN106285037A (zh) 一种饰面材料空鼓脱落修补方法
US20210372057A1 (en) Paving Block with Improved Illumination
US20100005733A1 (en) Fractionable Cement Veneer
NL2013607B1 (nl) Ondergrond voorzien van een patroon van luminescerende elementen.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110121484A1 (en) Method of producing a color enhanced surface seeded exposed aggregate concrete
CN216921186U (zh) 一种金磨石地面结构
RU229038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носостойкого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CN206070278U (zh) 一种带自发光功能的道路砖
KR20220134698A (ko) 차열성이 개선된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경관 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관도로 포장방법
US7572852B1 (en) Concrete crack filler composition and method
KR20160142702A (ko) 터널 내벽용 인조대리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6016165U (zh) 大面积无缝整体地面
JPH11292597A (ja) 人造石成形体
KR100588458B1 (ko) 환경도자블록의 제조방법
WO2001036762A1 (en) Terrazzo flooring system
KR102507807B1 (ko) 축광 및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야광비드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야광도로 박층 포장방법
KR100581701B1 (ko)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건축물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