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303B1 -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03B1
KR101852303B1 KR1020170095198A KR20170095198A KR101852303B1 KR 101852303 B1 KR101852303 B1 KR 101852303B1 KR 1020170095198 A KR1020170095198 A KR 1020170095198A KR 20170095198 A KR20170095198 A KR 20170095198A KR 101852303 B1 KR101852303 B1 KR 10185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inting
fabric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세일
Original Assignee
차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세일 filed Critical 차세일
Priority to KR102017009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41F13/11Gravur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26Details
    • B41F1/40Inking units
    • B41F1/46Inking units using 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내로울러의 양단 위치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인쇄용 원단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은 서로 두께가 다르게 제작(필연적으로 발생함)된다.
이로 인해 인쇄를 하는 인쇄로울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원단의 폭방향이 이동하여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탈하려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인쇄로울러를 안내하는 안내로울러의 길이방향의 각도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쇄기의 본체(100) 양단에 각각 고정되되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지지부(11)가 있는 몸체(12)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일측이 가이드되고 타측은 안내로울러(200)의 끝단(201)을 지지하는 이동부재(13)와;
상기 이동부재(13)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3)를 전후 이동시키는
나사봉(50)을 포한한 상태에서
인쇄로울러(300)에 의해 인쇄되는 원단(F)의 폭방향이 상기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로울러(200)를 지지하고 있는 이동부재(13)의 나사봉(50)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단의 폭방향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Device positioning}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내로울러의 양단 위치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인쇄용 원단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은 서로 두께가 다르게 제작(필연적으로 발생함)된다.
이로 인해 인쇄를 하는 인쇄로울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원단의 폭방향이 이동하여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탈하려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인쇄로울러를 안내하는 안내로울러의 길이방향의 각도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그라비아 인쇄는 여러가지 색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용하는 색의 수만큼 인쇄유니트를 줄지어 설치하고, 이 인쇄유니트에 인쇄원단을 지나게 함으로써 연속 인쇄가 행하여지도록 한다. 즉, 그라비아 인쇄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물 전체 모양과 색채를 인쇄원단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하고자 하는 전체 모양과 색채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인쇄를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기에 의한 인쇄공정 및 인쇄기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물의 전체 화상을 부분적으로 도안을 하게 된다. 한편, 부분적으로 나누어진 인쇄 화상을 다수의 프린트 롤러 표면에 각각 요(凹)형 홈 즉, 음각을 새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각을 새긴 프린트 롤러를 일방향으로 연속 정렬되어 설치된 각각의 인쇄유니트 상에 순서대로 장착한다. 즉,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기는 설비 라인상에 다수개의 인쇄유니트가 일방향으로 연속 정렬되어 설치되는데 정렬된 각각의 인쇄유니트 상에 각기 다른 모양으로 새겨진 다수의 프린트 롤러를 순서대로 장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롤러를 각각의 인쇄유니트에 순서대로 장착한 후에는 두루마리 형태로 말려 있는 인쇄원단을 공급하여 최초 인쇄물을 인쇄하는 제1인쇄유니트를 시작으로 연속되는 제2, 3 ‥‥. 인쇄유니트의 인쇄공정을 거쳐 마지막 인쇄유니트의 공정을 통과시킴으로써 전체 모양과 색채를 인쇄원단에 인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인쇄유니트(로울러형태임으로 본원 설명에서 인쇄로울러라 칭함)가 있고, 또 상기 복수 인쇄로울러로 인쇄원단을 안내하는 안내로울러가 복수 존재한다.
지금부터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원발명과 비교할 만한 종래기술을 발견하지 못하여 상기 기술을 종래 기술로하여 비교한다.
일반적으로 인쇄원단은 원단마다 두께가 다르다 특히 원단의 폭방향이 두께가 다르므로 인해원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원단의 폭방향이 로울러(인쇄로울러와 안내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불량이 대량 발생하여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안내로울러의 수평 및 각도(로울러 길이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원단이 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그 조절방법은 안내로울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복수의 볼트를 풀고 조이고 하는 방법으로 하여 안내로울러의 양단을 앞뒤로 이동시켜 조절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보니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대폭 낮아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내로울러의 양단 위치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과제이다.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일반적으로 인쇄용 원단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은 서로 두께가 다르게 제작(필연적으로 발생함)된다.
이로 인해 인쇄를 하는 인쇄로울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원단의 폭방향이 이동하여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탈하려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인쇄로울러를 안내하는 안내로울러의 길이방향의 각도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첨부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인쇄기의 본체(100) 양단에 각각 고정되되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지지부(11)가 있는 몸체(12)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일측이 가이드되고 타측은 안내로울러(200)의 끝단(201)을 지지하는 이동부재(13)와;
상기 이동부재(13)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3)를 전후 이동시키는
나사봉(50)을 포한한 상태에서
인쇄로울러(300)에 의해 인쇄되는 원단(F)의 폭방향이 상기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로울러(200)를 지지하고 있는 이동부재(13)의 나사봉(50)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단의 폭방향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내로울러의 양단 위치를 조절하여 원단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인쇄작업에 있어서 불량률이 감소되고 조작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에 안내로울러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1)에 안내로울러와 원단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 5도는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기에 본 발명의 로울러 위치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 6도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참고도,
제 7,8,9,10도는 본 발명의 로울러 위치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본원 로울러 등을 먼저 살펴보면, 원단에 인쇄하는 로울러를 인쇄로울러라 하고, 인쇄로울러에 원단을 안내하는 로울러를 안내로울러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내로울러의 길이방향의 각도조절은 안내로울러가 수평상태에서 평면에서 보아 길이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직선 상태에서 틀어진 상태를 말한다.
인쇄기의 본체(100) 양단에 각각 고정되되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지지부(11)가 있는 몸체(12)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일측이 가이드되고 타측은 안내로울러(200)의 끝단(201)을 지지하는 이동부재(13)와;
상기 이동부재(13)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3)를 전후 이동시키는
나사봉(50)을 포한한 상태에서
인쇄로울러(300)에 의해 인쇄되는 원단(F)의 폭방향이 상기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로울러(200)를 지지하고 있는 이동부재(13)의 나사봉(50)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단의 폭방향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5,6에서 확인되듯이 복수의 인쇄로울러의 원주연과 인쇄로울러로 안내하는 안내로울러의 원주연에 원단의 길이방향이 지그재그로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한 권취용 로울러가 원단의 길이방향을 권취하면 원단은 상기 복수의 인쇄로울러(300)와 안내로울러(200)가 함께 회전하면서 원단에 인쇄된다.
이러한 과정에 원단이 바뀌면 원단은 원단의 폭방향이 인쇄로울러(3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쇄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안내로울러(200)를 수평상태에서 양단을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원단이 인쇄로울러(300) 중앙에 위치된다.
안내로울러(200)의 이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나사봉(50)을 회전시키면 이 나사봉(50)과 나사선으로 결합된 이동부재(13)가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재(13)에 지지된 안내로울러(200)의 양단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로울러(200)의 양단중 한쪽방향을 이동시켜 원단의 폭방향이 인쇄로울러(3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별도의 구성을 더 추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인쇄기의 본체(100) 양단에 고정되되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지지부(11)가 있는 몸체(12)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가이드되어 전후이동하는 이동부재(13)와;
상기 이동부재(13) 일단(13')에 일측(22')이 힌지(20)로 연결되고
타측(22")은 안내로울러(200)의 끝단(201)을 지지하고 상단에 스톱홈(21)을 형성한 로울러지지대(22)와;
상기 이동부재(13)의 상단 일측(22')이 힌지축(30)으로 연결되고 타측(22")은 상기 로울러지지대(22)의 스톱홈(21)에 끼워져 상기 로울러지지대(2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몸체(12)의 지지부(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3)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3)를 전후 이동시키는
나사봉(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상태에 있는 안내로울러(200)의 길이방향 양단중 한쪽방향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울러지지대(22)는 평면방향에서 볼 때 힌지(2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각도가 변경된다. 이때 힌지(20)가 없을 경우 강제로 각도가 변경되므로 안내로울러(200)가 부하가 발생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등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이와 같이 각도를 변경시킨 다음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부재(40) 일단을 힌지축(30)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시켜 로울러지지대(22)에 형성한 스톱홈(21)에 끼우면 로울러지지대(22)는 더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로울러지지대와 함께 안내로울러의 각도가 변경되므로 안내로울러가 회전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은 스톱홈에 대해 설명을 더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톱홈(21)의 앞뒤방향으로 복수의 스톱홈(21)을 형성하여 상기 로울러지지대(22)가 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그 회전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톱홈(21)을 형성함으로서 로울러지지대(22)의 각도가 변경 되더라도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로울러지지대(22)를 고정할 수 있어 효과적인 고정방법이다.
도면에서 보아 고정부재(4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수의 스톱홈(21)에 고정부재(40)를 끼울 경우 고정부재(40)와 스톱홈(21)과의 끼움 위치가 맞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복수의 고정부재(40)의 위치(각도)를 각각 다르게 하여 고정부재(40)와 스톱홈(21)이 위치되는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로울러지지대(22)를 고정하면 된다.(도 9,10)
10 : 가이드레일 11 : 지지부
12 : 몸체 13 : 이동부재
13': 일단 20 : 힌지
21 : 스톱홈 22 : 로울러지지대
22': 일측 22": 타측
30 : 힌지축 40 : 고정부재
50 : 나사봉 200: 보조로울러
201: 끝단 300: 인쇄로울러
F : 원단

Claims (2)

  1. 삭제
  2. 인쇄기의 본체(100) 양단에 각각 고정되되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지지부(11)가 있는 몸체(12)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일측이 가이드되고 타측은 안내로울러(200)의 끝단(201)을 지지하는 이동부재(13)와;
    상기 이동부재(13)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3)를 전후 이동시키는
    나사봉(50)을 포한한 상태에서
    인쇄로울러(300)에 의해 인쇄되는 원단(F)의 폭방향이 상기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로울러(200)를 지지하고 있는 이동부재(13)의 나사봉(50)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단의 폭방향이 인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가이드되어 전후이동하는 이동부재(13)와;
    상기 이동부재(13) 일단(13')에 일측(22')이 힌지(20)로 연결되고
    타측(22")은 안내로울러(200)의 끝단(201)을 지지하고 상단에 스톱홈(21)을 형성한 로울러지지대(22)와;

    상기 이동부재(13)의 상단 일측(22')이 힌지축(30)으로 연결되고 타측(22")은 상기 로울러지지대(22)의 스톱홈(21)에 끼워져 상기 로울러지지대(2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몸체(12)의 지지부(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3)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3)를 전후 이동시키는
    나사봉(50)으로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KR1020170095198A 2017-07-27 2017-07-27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KR10185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98A KR101852303B1 (ko) 2017-07-27 2017-07-27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98A KR101852303B1 (ko) 2017-07-27 2017-07-27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303B1 true KR101852303B1 (ko) 2018-04-25

Family

ID=6208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198A KR101852303B1 (ko) 2017-07-27 2017-07-27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30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7154B2 (en) Vacuum system for securing items in printing machines
US884020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gap
JP2006321129A (ja) インキ壷装置
US20080257183A1 (en) Turn bar assembly for rotary press
WO2015041521A2 (en) Printing module and print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printing module
US941561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ckle removing method
JP4212425B2 (ja) クロップマーク設定装置及び方法
JP2004075391A (ja) クロップマーク設定を分割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852303B1 (ko) 그라비아 인쇄기의 원단 안내로울러 위치조절장치
US10421300B2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for rail unit
US20150360484A1 (en) Print arrangement
CN211366445U (zh) 一种可进行张力调节的数码印刷系统
DE202017106351U1 (de) Komponententeil eines Druckgerätes
JP5371219B2 (ja) 印刷機
CN111620165B (zh) 卷筒纸操控装置、印刷装置及卷筒纸操控装置的组装方法
EP3227117B1 (de) Flachprägedruckmaschine mit folienbahn- und bogenführung
JP2011156842A (ja) 画像記録装置
JP5058070B2 (ja) 枚葉オフセット印刷機の給水装置
JP2003086992A (ja) フィルム状印刷体の一貫印刷実装装置
JP5588736B2 (ja) 液溜装置
EP1187279A2 (en) Narrow web corona treater
CN216804852U (zh) 一种可防纸张褶皱的印刷机调节装置
JP5165418B2 (ja) デカーラ装置及びこのデカーラ装置を用いた連続紙加工装置
JP6671122B2 (ja) 印刷機
JP3658312B2 (ja) 枚葉印刷機の印刷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