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07B1 -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07B1
KR101851607B1 KR1020170032999A KR20170032999A KR101851607B1 KR 101851607 B1 KR101851607 B1 KR 101851607B1 KR 1020170032999 A KR1020170032999 A KR 1020170032999A KR 20170032999 A KR20170032999 A KR 20170032999A KR 101851607 B1 KR101851607 B1 KR 10185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ailway
railroad
generating
distribu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호
안진
Original Assignee
대아티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티아이(주) filed Critical 대아티아이(주)
Priority to KR102017003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철도 시스템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하는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그리고,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철도 정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는 철도 정보 수집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철도 시스템에 대한 철도 정보를 생성하는 여러 구성요소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다대일 또는 다대다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어 철도 시스템의 설계비용을 감소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들에서 생성하는 철도 정보가 각각의 QoS를 설정함에 따라 철도 정보의 신뢰성 및 데이터 송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가 이중계로 생성됨에 따라 철도 시스템에서 생성된 철도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TRAIN DATA COLLECTING SYSTEM BASED ON DATA DISTRIBUTION SERVICE}
본 발명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철도 정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 시스템 또는 역사 내에서 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철도 정보는 RS-232, RS-485와 같이 점대점 정보 전송 방식인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리얼 통신의 경우 잡음에 의해 정보가 변경되는 등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하고, 장거리 통신 특성을 가짐에 따라 고속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시리얼 통신은 구조 상 항목별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적용할 수 없어, 철도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각 데이터마다 QoS를 지정하고 단거리 및 장거리 통신에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규격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73432(철도 및 지하철 관제시스템에서의 선형데이터 표시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도 시스템에서 철도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신뢰성을 향상함으로써 철도 시스템에서 철도 정보의 모니터링 효율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은 철도 시스템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하는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그리고,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철도 정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는 철도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에서,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생성되는 상기 철도 정보의 감지정보 유형별로 각각 QoS(Quality of Service)를 설정하여 철도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각각 상기 철도 정보 수집부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철도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상기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각각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 온라인 여부, 전원 공급 여부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철도 정보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LDTS 장비 또는 EIS 장비에 데이터 분산 서비스(DDS) 미들웨어를 적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도 정보 수집부로부터 철도 정보를 전달받아 철도 시스템 모니터링 자료로서 출력하는 철도 정보 관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은 송수신되는 철도 정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구조로 형성하고, 철도 정보의 각 유형별로 서로 다른 QoS를 설정함으로써 철도 정보의 송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철도 시스템의 모니터링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1)은 철도 시스템의 관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철도 정보로서 생성하고 송신하는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 철도 정보를 수집하는 철도 정보 수집부(200), 그리고 수집된 철도 정보를 출력하는 철도 정보 관제부(300)를 포함한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는 선로 전환 정보 생성 및 송신부(110), 궤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20), 그리고 폐색 정보 생성 및 송신부(130)를 포함한다. 선로 전환 정보 생성 및 송신부(110)는 철도 시스템에서 선로 전환이 감지됨에 따라 선로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한다.
한 예에서, 선로 전환 정보 생성 및 송신부(110)는 선로에 형성된 선로 전환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선로 전환 여부 신호를 선로 전환 정보로서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선로 전환 정보의 데이터 구조가 데이터 분산 서비스 프로토콜의 통신 규격에 부합하도록 생성되며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된다.
선로 전환 정보 생성 및 송신부(110)는 선로 전환 감지 센서와 선로 전환 정보 생성부, 그리고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로 전환 감지 센서는 선로 전환기의 정보를 정위, 반위, 쇄정, 고장, 정위로 동작, 반위로 동작을 각각 감지하여 선로 전환기 감지정보로 지정하고, 선로 전환 정보 생성부는 선로 전환 감지 센서에서 지정한 감지정보 상태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시킨다.
그리고 이때, 선로 전환 정보 생성 및 송신부(110)가 선로 전환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선로 전환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선로 전환 정보에 대한 QoS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선로 전환 정보에 포함시켜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한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의 궤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20)는 철도 시스템에서 궤도 정보의 변경이 감지됨에 따라 궤도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한다.
궤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20)는 궤도 회로 점유 정보를 궤도 정보로서 생성하고, 데이터 구조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규격에 부합하도록 생성되며, 궤도 회로 점유 센서, 궤도 정보 생성부 및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궤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20)는 궤도 회로 정보에 대한 QoS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궤도 정보에 포함시켜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한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의 폐색 정보 생성 및 송신부(130)는 철도 시스템에서 열차들로부터 생성되는 폐색 정보가 감지되거나 폐색 정보의 변경이 감지됨에 따라 폐색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한다.
폐색 정보 생성 및 송신부(130)는 열차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폐색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구조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규격에 부합하도록 생성되며, 폐색 정보 수집센서, 폐색 정보 생성부 및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폐색 정보 수집센서는 폐색 신호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로서, 폐색 신호기 고장여부, 폐색 신호기 진행여부, 폐색 방향 표시여부를 감지하여 폐색 신호기 감지정보로서 지정하고 폐색 정보 생성부는 감지정보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시킨다.
폐색 정보 생성 및 송신부(130)는 폐색 정보에 대한 QoS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폐색 정보에 포함시켜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 송신한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는 위에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선로 전환 정보, 궤도 정보 및 폐색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정보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송신되도록 데이터 구조를 형성하며, 각각의 정보는 개별적으로 QoS가 설정되므로,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에서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정보들을 수신하게 되고 각 정보마다 개별적으로 QoS가 설정된 형태로서 수신하게 된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는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철도 정보 외에 건널목 정보, 신호기 정보와 같이 철도 시스템에서 센서의 감지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철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가 철도 시스템 중 열차 출발 및 장내 신호기에 형성된 센서의 감지정보로부터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는 한 예에서, 열차 출발 및 장내 신호기에 형성된 센서는 신호 현시, 신호기 고장, TTB(Through Traffic Button), 접근쇄정, 유도 신호를 각각 감지하여 열차 출발 및 장내 신호기 감지정보로 지정하고 이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시킨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가 철도 시스템 중 입환 신호기에 형성된 센서의 감지정보로부터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는 한 예에서, 입환 신호기에 형성된 센서는 진행신호 현시, 신호기 고장여부, 접근/보류 쇄정 여부, 무유도 여부를 각각 감지하여 이를 입환 신호기 감지정보로서 지정하고,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시킨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가 철도 시스템 중 건널목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정보로부터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는 한 예에서, 건널목 정보 감지센서는 EIS(Electronic Interlocking System) 정상 동작 여부, EIS 온라인 모드 여부를 각각 감지하여 이를 건널목 감지정보로서 지정하고,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시킨다.
이러한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는 감지센서에서 생성된 감지정보를 필드로서 포함시켜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는데, 이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를 이중계 시스템으로 형성되는 경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는 1계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a)와 2계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b) 각각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 온라인 여부, 전원 공급 여부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한다.
그리고,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는 UPS 고장여부, 충전 여부, 방전 여부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한다.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로부터 철도 정보를 수신하는 철도 정보 수집부(200)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철도 정보 수집부(200)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로부터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철도 정보를 수신하며, 이때, 수신되는 철도 정보는 각각의 철도 정보 형태에 따라 설정된 QoS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철도 정보 수집부(200)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수신된 철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수신된 철도 정보로부터 철도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결과로서 생성하여 이를 철도 정보 관제부(300)로 송신한다.
철도 정보 수집부(200)는 LDTS(Local Data Transmission System) 장비 또는 EIS 장비에 DDS 미들웨어를 적용하여,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철도 정보의 각 QoS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철도 정보 수집부(200)가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의 각 구성들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철도 정보를 수신하고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의 각 구성들의 정보는 개별적으로 QoS가 설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철도 정보 수집부(200)는 철도 시스템에 대한 철도 정보를 생성하는 여러 구성요소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다대일 또는 다대다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어 철도 시스템의 설계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때, 각각의 구성들에서 생성하는 철도 정보가 각각의 QoS를 설정함에 따라 철도 시스템에서 생성되어 철도 시스템을 관제하는 데 이용되는 철도 정보의 신뢰성 및 데이터 송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가 이중계로 생성되고, 철도 정보 수집부(200)에서 이중계 구조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100)로부터 철도 정보를 전달받음에 따라 철도 시스템에서 생성된 철도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철도 정보 관제부(300)는 철도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철도 정보 또는 철도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판단결과를 전달받아 철도 시스템 모니터링 자료로서 출력하거나, 전달받은 철도 정보를 가공하여 철도 시스템 모니터링 자료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100 :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110 : 선로 전환 정보 생성 및 송신부
120 : 궤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130 : 폐색 정보 생성 및 송신부
200 : 철도 정보 수집부 300 : 철도 정보 관제부

Claims (6)

  1. 철도 시스템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철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하는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철도 정보를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는 철도 정보 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상기 철도 정보 수집부와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철도 정보를 각각 송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 각각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 온라인 여부, 전원 공급 여부를 철도 정보에 필드로서 포함시키며, 상기 복수 개의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1계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와 2계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중계 시스템으로 형성됨에 따라 철도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생성되는 상기 철도 정보의 감지정보 유형별로 각각 QoS(Quality of Service)를 설정하여 철도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정보 생성 및 송신부는 LDTS 장비 또는 EIS 장비에 데이터 분산 서비스(DDS) 미들웨어를 적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6. 삭제
KR1020170032999A 2017-03-16 2017-03-16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KR10185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999A KR101851607B1 (ko) 2017-03-16 2017-03-16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999A KR101851607B1 (ko) 2017-03-16 2017-03-16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607B1 true KR101851607B1 (ko) 2018-04-30

Family

ID=6208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999A KR101851607B1 (ko) 2017-03-16 2017-03-16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14A (ja) 1999-11-30 2001-06-05 Hitachi Ltd 鉄道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211912B1 (ko) 2011-07-26 2012-1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지상신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14A (ja) 1999-11-30 2001-06-05 Hitachi Ltd 鉄道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211912B1 (ko) 2011-07-26 2012-1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지상신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00663A (ja) 軌道車輌用情報伝達システム
CN104925090B (zh) 一种列车完整性的检测方法
CN109951790A (zh) 决定移动节点的位置的方法及其相关系统、装置及车辆
CN112009526A (zh) 一种基于自组网的列车群组控制方法与系统
US20210253147A1 (en) Railroad virtual track block system
CN111605580B (zh) 车厢之间通信的方法,控制列车完整性的方法和列车车厢
US6402094B1 (en)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transmitter to a rail vehicle for position finding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1851607B1 (ko)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철도 정보 수집 시스템
RU2626430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поездов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поездов
RU2248899C1 (ru) Комплексное локомо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сти унифицированное (клуб-у)
KR101513950B1 (ko) 고속철도 궤도회로 차상 검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42608A (ja) 列車情報システムの車両編成認識装置
KR101916084B1 (ko) 철도 지상 신호 제어 시스템
JPH11115760A (ja) ディジタルatc装置
JP2017120960A (ja) 通信経路異常監視装置
US7502671B2 (en) Railway system and a method for forwarding data in a railway system
KR100978810B1 (ko)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KR101879583B1 (ko) 철도 궤도 정보 전송 시스템
KR101588194B1 (ko) 교통 게이트 운용장치
RU2761485C1 (ru) Система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US20240034373A1 (e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car order on a train and control device for a railcar
RU21597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евров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локомотив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Garud et al. Rf Based Automatic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
JPH10324246A (ja) 親子式伝送方式
JP6041771B2 (ja) 列車無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