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59B1 -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59B1
KR101850759B1 KR1020160173291A KR20160173291A KR101850759B1 KR 101850759 B1 KR101850759 B1 KR 101850759B1 KR 1020160173291 A KR1020160173291 A KR 1020160173291A KR 20160173291 A KR20160173291 A KR 20160173291A KR 101850759 B1 KR101850759 B1 KR 10185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agazine
port
spindle
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철기
전지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맥
Priority to KR102016017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2Rotary disc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7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th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passing it on to other transfer devices, which insert it in a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가공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스핀들에 결합된 공구를 통해 대상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 복수개의 공구가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제공하는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는, 복수개의 툴포트(52)가 배치되는 매거진(51); 상기 툴포트(5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공구; 상기 매거진(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매거진구동부(53); 상기 툴포트(52)를 상기 매거진(51)의 회전축 방향 또는 매거진(5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툴포트구동부(54); 상기 툴포트(52)에 배치된 공구를 분리시키는 툴이동유닛(60); 상기 툴이동유닛(60)에 의해 분리된 교체대상공구와 상기 스핀들(40)에 배치된 공구를 맞교환하는 툴체인저(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동공구교환장치에 배치된 각 툴포트가 고정된 공구번호로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공구를 인식하기 용이하고, 각 툴포트가 고정공구번호로 사용될 때, 공구교체에 따른 교체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machine tool}
본 발명의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매거진에 공구번호가 표시되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는 선반, 밀링, 드릴링, 보링머신 등에서 할 수 있는 광범위한 가공을 수행하는 공작기계이다.
이러한 머시닝센터는 통상 주축이 수직으로 장착된 수직형 머시닝센터와, 주축이 수평으로 장착된 수평형 머시닝센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형 머시닝센터는 크게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작물이 얹혀지는 테이블과, 상기 베드의 후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컬럼과, 이 컬럼에 장착된 스핀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형 머시닝센터는 상기 스핀들에 절삭 공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테이블에 얹혀진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공작기계에는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공급하는 자동공구교환장치가 배치된다. 종래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와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매거진에 장착된 공구를 맞교환한다.
그래서 종래의 공작기계는 스핀들에 장착되었던 공구가 새로 장착된 공구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공구의 위치가 랜덤하게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매거진에 배치되는 공구의 위치가 랜덤하게 변경되는 경우 공구번호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없고, 매번 패널을 통해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공구의 파손 또는 마모에 의한 교체 시, 교체대상 공구(2)의 위치를 매번 확인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9345
본 발명은 공구의 사용 전 및 사용 후에, 공구가 매거진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매거진에 공구번호가 표시되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공구를 호출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구를 매거진의 특정 위치에 위치시킬 때, 교체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가공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스핀들에 결합된 공구를 통해 대상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 복수개의 공구가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제공하는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는, 복수개의 툴포트(52)가 배치되는 매거진(51); 상기 툴포트(5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공구; 상기 매거진(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매거진구동부(53); 상기 툴포트(52)를 상기 매거진(51)의 회전축 방향 또는 매거진(5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툴포트구동부(54); 상기 툴포트(52)에 배치된 공구를 분리시키는 툴이동유닛(60); 상기 툴이동유닛(60)에 의해 분리된 교체대상공구와 상기 스핀들(40)에 배치된 공구를 맞교환하는 툴체인저(55);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툴이동유닛(60)에 의해 상기 툴포트(52)에 배치된 교체대상 공구가 분리된 후, 상기 툴체인저(55)에 의해 상기 교체대상공구 및 스핀들 공구의 맞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매거진(51)을 회전시켜 상기 스핀들에 배치된 공구의 툴포트(52)를 공구교체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툴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교체대상공구가 툴포트에서 분리된 후, 상기 툴체인저를 제 1 회전각으로 회전시켜 상기 교체대상공구를 상기 공구교체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툴체인저(55)를 제 2 회전각으로 회전시켜 상기 교체대상공구 및 스핀들 공구의 맞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매거진(51)을 회전시켜 상기 스핀들에 배치된 공구의 툴포트(52)를 공구교체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매거진(51) 또는 툴포트(52)에 배치되고 결합된 공구의 번호를 표시하는 툴표시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공구교환장치에 배치된 각 툴포트가 고정된 공구번호로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공구를 인식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툴포트가 고정공구번호로 사용될 때, 공구교체에 따른 교체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교체대상위치에서 공구가 제 1 회전각으로 회전된 후, 곧 바로 매거진이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의 툴포트를 교체대상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매거진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공구교체에 따른 교체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툴체인저에 의해 교체대상공구 및 스핀들 공구의 맞교환 중 또는 맞교환 전에 매거진이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의 툴포트를 교체대상위치로 위치시키기 때문에, 공구교체에 따른 교체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캐비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에 배치된 가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자동공구교환장치 및 스핀들을 보다 상세히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캐비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내부에 배치된 가공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배면 측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자동공구교환장치 및 스핀들을 보다 상세히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는 캐비닛(300)과, 상기 캐비닛(300)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대상물을 동시에 가공하는 가공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장치(100)는 베드(10)와, 상기 베드(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드(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새들(20)과, 상기 새들(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새들(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컬럼(30)과, 상기 컬럼(30)에 설치되고, 상기 컬럼(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복수개의 스핀들(40)을 포함한다.
상기 공작기계는 작업에 요구되는 공구를 상기 스핀들(40)에 제공하는 자동공구교환장치(5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핀들(40)은 제 1 스핀들(41) 및 제 2 스핀들(42)로 구성된다. 상기 각 스핀들(41)(42)에 대응되는 제 1 자동공구교환장치(50-1) 및 제 2 자동공구교환장치(50-2)가 배치된다.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자동공구교환장치(50)는 컬럼이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는 캐비닛(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300)은 상기 스핀들(40)과 마주보게 배치된 메인도어(301)와,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과 마주보게 배치된 공구도어(302)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00)의 내부에 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공간이 배치된다. 상기 가공공간의 전면에 상기 메인도어(301)가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300)에는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의 공구 중 하나를 호출할 수 있는 공구호출모듈(400)이 배치된다.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은 자동공구교환장치(50)마다 하나씩 구비되고, 개별적으로 작동된다.
그래서 하나의 공구호출모듈(400)이 작동되는 도중에도, 선택되지 않은 스핀들(40)은 정상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에서 호출된 공구는 상기 공구도어(302) 안쪽에 위치되고, 작업자는 상기 공구도어(302)를 열어 호출된 공구를 확인 또는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은 현재 스핀들(40)에 결합된 공구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은 자동공구교환장치(50)의 매거진(51)에 배치된 공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호출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은 복수개의 툴포트(52)가 설치되는 매거진(51)과, 상기 툴포트(5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공구와, 상기 매거진(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매거진구동부(53)와, 상기 툴포트(52)를 상기 매거진(51)의 회전축 방향 또는 매거진(5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툴포트구동부(54)와, 상기 툴포트(52)에 배치된 공구를 분리시키는 툴이동유닛(60)과, 상기 툴이동유닛(60)에 의해 분리된 공구와 상기 스핀들(40)에 배치된 공구를 맞교환하는 툴체인저(55)와, 상기 매거진(51) 또는 툴포트(52)에 배치되고 결합된 공구의 번호를 표시하는 툴표시부(56)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툴포트(52)에 각각의 공구가 탈착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공구에는 각각의 공구번호가 부여된다. 상기 매거진(51)에 배치된 각 공구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각 툴포트(52)에는 일정한 공구가 배치된다. 공구가 작업을 위해 스핀들(40)과 결합된 후, 다시 매거진(51)에 회수될 때, 공구는 전에 결합되었던 툴포트(52)로 회수된다.
그래서 각 툴포트(52)에는 고정공구번호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스핀들(40)에 1번 공구가 장착되어 있고, 다음 작업에 5번 공구가 필요할 경우, 스핀들(40)에 장착된 1번공구는 다시 1번 툴포트로 회수되고, 스핀들에는 5번 공구가 결합된다. 상기 5번 공구의 작업이 끝나고 다시 매거진으로 회수될 때, 5번 공구는 5번 툴포트로 회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구교환장치(50)은 각 툴포트(52)에 배치된 공구의 공구번호를 상기 툴표시부(56)에 표시한다.
상기 툴표시부(56)에는 공구번호가 표시된다. 상기 툴표시부(56)는 매거진(51)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된다.
상기 매거진구동부(53)는 상기 매거진(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매거진(53)을 공구교환을 위한 위치까지 최단거리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24개의 툴포트(52)가 배치되는 바, 교환대상 공구를 공구교환을 위한 위치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최단 시간 내에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교환대상 공구가 툴포트(52)에 분리된 후, 스핀들(40)에 장착된 공구(1)를 원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회전거리 방향으로 매거진(51)을 회전시킨다.
상기 툴포트(52)는 매거진(51)을 회전시키는 축(51a)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스핀들(40)에 장착될 때에만 매거진(5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90도 회전된다.
상기 툴포트(52)가 90도 회전되면 스핀들(40)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툴포트구동부(54)는 상기 툴포트(54)를 90도 왕복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툴포트(52)는 지정된 공구교체위치에서만 90도 회전된다.
상기 툴이동유닛(60)은 상기 툴포트(52)에서 공구를 분리시킨다. 상기 툴포트(52)에서 상기 공구가 분리되기 전에 상기 툴포트(52)는 상기 공구를 언클램핑시킨다. 상기 툴포트(52)에서 공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시키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툴이동유닛(60)은 언클램핑된 공구를 툴포트(52)에 분리하고, 공구가 분리된 매거진(51)은 분리된 공구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교체대상 공구가 분리된 후, 상기 매거진(51)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툴이동유닛(60)은 툴포트(52)에 배치된 공구를 스핀들(40)의 축방향으로 분리시킨다. 분리된 교체대상 공구는 스핀들(40)에 장착된 공구(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교체대상 공구는 상기 매거진(51)의 최하단에서 분리된다. 즉, 교체 대상 공구가 장착된 툴포트(52)는 매거진(51)의 최하단으로 회전되고, 툴이동유닛(60)은 위치된 툴포트(52)에서 공구를 분리한다. 교체대상 공구는 툴포트(52)에서 하측으로 직선이동된다. 상기 툴이동유닛(60)은 상기 매거진(51)과 교체대상 공구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교체대상 공구를 이동시킨다. 상기 교체대상 공구가 분리된 후, 상기 매거진(51)은 자유롭게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교체대상 공구가 분리된 후, 제어부는 상기 스핀들(40)에 장착된 공구(1)를 원위치시키기 위해 매거진(51)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핀들(40)에 장착된 공구(1)의 툴포트(52)는 공구교체위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툴이동유닛(60)은 상기 공구를 직선이동시키는 바, 직선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툴이동유닛(60)은 모터 및 기어를 이용해 공구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툴이동유닛(60)은 유압액추에이터를 이용해 공구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툴이동유닛(60)은 유압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상기 툴체인저(55)는 상기 툴이동유닛(60)의 교체대상 공구와 스핀들(40)의 공구를 교환시키는 체인저암(57)과, 상기 체인저암(57)을 회전시키는 툴체인저구동부(58)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저암(57)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교체대상 공구 및 스핀들의 공구(1)가 결합되고, 상기 체인저암(57)이 회전되어 교체대상 공구(2')를 스핀들 공구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스핀들(40)의 공구를 교체대상 공구(2')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툴체인저구동부(58)는 상기 체인저암(57)을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툴체인저(55)는 상기 공구교체위치에 배치된 교체대상 공구(2)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매거진(51)과의 간섭을 회피한다.
즉, 상기 툴이동유닛(60)을 통해 교체대상 공구(2)를 툴포트(52)에서 멀리 이격시켜 상기 매거진(51)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구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작업공간이 커지고, 공구 교체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공구교환장치(50)의 작업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툴이동유닛(60)이 툴포트(52)에서 교체대상 공구를 2 위치로 분리한 후, 상기 툴체인저(55)가 분리된 교체대상 공구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도 9에 도시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툴체인저(55)가 교체대상 공구를 2 위치에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매거진(51)의 회전 반경 밖으로 교체대상 공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툴체인저(55)가 교체대상 공구를 2 위치에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각도를 제 1 회전각으로 정의한다.
상기 툴체인저(55)는 체인저암(57)을 회전시켜 상기 2' 위치에 배치된 교체대상 공구와 스핀들에 배치된 공구 위치를 바꾸고, 교체대상 공구는 스핀들(40)에 장착된다.
상기 교체대상 공구와 스핀들의 공구를 교환하기 위해 체인저암(57)이 회전되는 각도를 제 2 회전각으로 정의한다.
한편, 1 위치에 배치된 스핀들 공구를 툴포트(52)에 원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툴체인저(55)는 교체된 스핀들 공구를 2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핀들 공구를 원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저암(57)이 회전되는 각도를 제 3 회전각으로 정의한다. 교체된 공구는 매거진의 최하단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회전각과 상기 제 3 회전각은 다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회전각으로 상기 체인저암(57)이 회전되기 전에 상기 매거진(51)의 툴포트(52)는 공구교체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교체대상 공구가 툴포트(52)에 분리된 후, 제어부는 상기 툴체인저(55)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상기 매거진(51)을 회전시키고, 스핀들(40)에 장착된 공구의 툴포트(52)를 공구교체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는 툴체인저(55)의 작동과 매거진(51)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툴체인저(55)의 작동과 매거진(51)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공구 교체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구호출모듈(400)은 매거진(51)에 장착된 공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위치는 스핀들(40)의 공구교체위치와 다를 수 있다.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은 공구번호가 표시되는 표시부(405)와,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의 매거진(5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버튼(401)과,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50)의 매거진(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버튼(402)과, 표시부(405)에 표시된 공구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선택버튼(40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버튼(401) 및 제 2 버튼(402)은 공구호출버튼으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구호출버튼이 매거진(51)에 장착된 공구 중 어느 하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버튼(401)이 눌려질 경우, 공구번호가 1씩 증가된다. 상기 제 2 버튼(402)이 눌려질 경우, 공구번호가 1씩 감소된다.
상기 선택버튼(403)이 눌려질 경우, 선택된 공구는 지정된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버튼(401)이 눌려질 때, 상기 매거진(51)이 즉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의 공구번호가 표시부(405)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버튼(402)이 눌려질 때, 상기 매거진(51)이 즉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의 공구번호가 표시부(405)에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툴표시부(56)에 표시된 공구번호를 보고, 제 1 버튼(401) 또는 제 2 버튼(402)을 눌러, 매거진(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버튼(401)이 눌려질 때, 공구번호가 1큰 공구가 호출되고, 상기 선택버튼(403)이 눌려진 이후에 상기 매거진(51)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버튼(402)이 눌려질 때, 공구번호가 1작은 공구가 호출되고, 상기 선택버튼(403)이 눌려진 이후에 상기 매거진(51)이 회전될 수 있다.
공구호출모듈(400)의 작동은 스핀들(40)의 작동과 관계없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스핀들(40)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도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을 통해 매거진(51)의 공구를 호출하고,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수동조작을 통해 교환할 공구를 호출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과정에서 공구의 마모가 진행된 경우, 공작기계의 제어부가 이를 판단한 후, 표시부에 공구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교환대상의 공구를 상기 지정된 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05)는 숫자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이미지, 텍스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구호출버튼인 제 1 버튼(401) 및 제 2 버튼(402) 대신 숫자키패드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공구번호를 직접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스핀들을 갖는 공작기계를 예로 들어 공구호출모듈(400) 및 자동공구교환장치(5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상기 공구호출모듈(400)은 하나의 스핀들을 갖는 공작기계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드 20 : 새들
30 : 컬럼 40 : 스핀들
50 : 자동공구교환장치 51 : 매거진
52 : 툴포트 53 : 매거진구동부
54 : 툴포트구동부 55 : 툴체인저
56 : 툴표시부 57 : 체인저암
58 : 툴체인저구동부 60 : 툴이동유닛
100 : 가공장치

Claims (4)

  1. 내부에 가공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스핀들에 결합된 공구를 통해 대상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 복수개의 공구가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제공하는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는,
    복수개의 툴포트(52)가 배치되는 매거진(51);
    상기 툴포트(5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공구;
    상기 매거진(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매거진구동부(53);
    상기 툴포트(52)를 상기 매거진(51)의 회전축 방향 또는 매거진(5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툴포트구동부(54);
    상기 툴포트(52)에 배치된 공구를 분리시키는 툴이동유닛(60)
    상기 툴이동유닛(60)에 의해 분리된 교체대상공구와 상기 스핀들(40)에 배치된 공구를 맞교환하는 툴체인저(55);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공구교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툴이동유닛(60)에 의해 상기 툴포트(52)에 배치된 교체대상 공구가 분리된 후, 상기 툴체인저(55)에 의해 상기 교체대상공구 및 스핀들 공구의 맞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매거진(51)을 회전시켜 상기 스핀들에 배치된 공구의 툴포트(52)를 공구교체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툴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교체대상공구가 툴포트에서 분리된 후, 상기 툴체인저를 제 1 회전각으로 회전시켜 상기 교체대상공구를 상기 공구교체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툴체인저(55)를 제 2 회전각으로 회전시켜 상기 교체대상공구 및 스핀들 공구의 맞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매거진(51)을 회전시켜 상기 스핀들에 배치된 공구의 툴포트(52)를 공구교체위치로 회전시키는 공작기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51) 또는 툴포트(52)에 배치되고 결합된 공구의 번호를 표시하는 툴표시부(56)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
KR1020160173291A 2016-12-19 2016-12-19 공작기계 KR10185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291A KR101850759B1 (ko) 2016-12-19 2016-12-19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291A KR101850759B1 (ko) 2016-12-19 2016-12-19 공작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59B1 true KR101850759B1 (ko) 2018-06-07

Family

ID=6262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291A KR101850759B1 (ko) 2016-12-19 2016-12-19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3986A1 (ko) * 2020-03-23 2021-09-3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보링 바의 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링 바의 툴 교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727A (ja) * 2007-09-14 2009-04-02 Yamazaki Mazak Corp 複合加工旋盤
KR20130019345A (ko) 2011-08-16 2013-02-26 에마크 홀딩 게엠베하 2개의 수직 공작물 스핀들을 갖는 자동 적재 공작 기계
KR101271564B1 (ko) * 2013-03-05 2013-06-11 조윤섭 머시닝센터의 자동 공구교환장치
KR101672322B1 (ko) * 2016-02-12 2016-11-04 (주)연암테크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고정번지타입 자동공구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727A (ja) * 2007-09-14 2009-04-02 Yamazaki Mazak Corp 複合加工旋盤
KR20130019345A (ko) 2011-08-16 2013-02-26 에마크 홀딩 게엠베하 2개의 수직 공작물 스핀들을 갖는 자동 적재 공작 기계
KR101271564B1 (ko) * 2013-03-05 2013-06-11 조윤섭 머시닝센터의 자동 공구교환장치
KR101672322B1 (ko) * 2016-02-12 2016-11-04 (주)연암테크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고정번지타입 자동공구교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3986A1 (ko) * 2020-03-23 2021-09-3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보링 바의 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링 바의 툴 교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7506B2 (en) Machine tool controller
JP6329419B2 (ja) 複数の主軸を備えた複合旋盤の機械状態表示装置
US20200180035A1 (en) Lathe
JP5333938B2 (ja) 産業機器、および工作機械
KR102427733B1 (ko) 공작기계의 터렛 공구대
CN111655424B (zh) 机床的工具库
US20200180036A1 (en) Lathe with tool unit mounted thereto
WO2015056339A1 (ja) 加工機械ライン
KR101850759B1 (ko) 공작기계
KR101850760B1 (ko) 공작기계
KR101850758B1 (ko) 공작기계
JP2020078865A (ja) 操作盤
JP6584593B2 (ja) 工作機械
KR101865399B1 (ko) 공작기계의 제어방법
EP3907038A1 (en) Machine tool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20124537A (ko) 공작기계
KR20220124536A (ko) 특수소재 가공을 위한 공작기계
JP7443470B1 (ja) 工具支持装置、及び該工具支持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20180046026A (ko) 공작기계의 자동공구교환장치
KR102305903B1 (ko) 공작 기계
JPH06155231A (ja) 数値制御工作機械
JP6423606B2 (ja) 刃物台の原点状態表示装置
JP2639756B2 (ja) 多系列nc装置における有効系列の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8042832A1 (ja) 工作機械
KR20220142676A (ko) 공작기계의 자동공구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