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135B1 -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135B1
KR101850135B1 KR1020150173502A KR20150173502A KR101850135B1 KR 101850135 B1 KR101850135 B1 KR 101850135B1 KR 1020150173502 A KR1020150173502 A KR 1020150173502A KR 20150173502 A KR20150173502 A KR 20150173502A KR 101850135 B1 KR101850135 B1 KR 10185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scanner
sterilizer
alarm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075A (ko
Inventor
박현호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레인보우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인보우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레인보우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5017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1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은 손 소독제를 수용하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손 소독기, 그리고 휴대용 손 소독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휴대용 손 소독기에 경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휴대용 손 소독기로부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스캐너를 포함한다.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은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 소독이 필요한 위치 및 시점에 출력되는 경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손 소독기를 통해 바로 간편하게 손 소독을 수행함으로써 위생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병실마다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별도로 관리하는 인력이 필요 없게 되어 시설 운영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Portable Steriliz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손 소독이 필요한 시점에 간편하게 손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손 소독기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 내 감염은 환자 재원일 수 1,000일당 6~7건으로 일반인의 인식 수준 보다는 상당히 높은 편(질병관리본부 통계)이다. 2015년 메르스 사태에서 보듯이 병원내의 공기질에 의한 감염확산 등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입원환자, 중환자실, 수술실 등 많은 환자와 접촉하는 의료인의 손위생 관리는 감염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감염관리인력 및 지식부족, 진단검사실의 부재, 경영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감염관리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자율적인 손씻기와 손소독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한 의료인의 손위생을 추적하는 시스템이 선진 의료업체에서 일부 시도 중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많은 예산이 소요됨은 물론 한 사람의 의료인이 많은 환자를 돌보는 국내 의료 실정과는 안 맞는 부분이 있어 좀 더 실용적이고도 편리한 손 소독 기기가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80744호에서는 시선 내부에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손 위생 디스펜서의 사용을 관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손 소독제가 필요한 위치 및 시점에 대한 경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간편하게 손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은 개시되고 있지 못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0744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손 소독이 필요한 시점에 간편하게 손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손 소독기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은 손 소독제를 수용하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손 소독기, 그리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 상기 경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로부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스캐너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는, 환자가 있는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자가 있는 공간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며, 휴대용 손 소독기 식별정보, 손 소독제 사용정보 및 상기 스캐너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는, 손 소독제를 수용하는 소독제 수용부,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상기 스캐너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소독제 수용부에 수용된 손 소독제 중 일부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소독제 분사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에서 경보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손 소독제가 외부로 분사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상기 스캐너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는,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의 경보 신호 발생 내역 및 손 소독제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방법은, 스캐너가 휴대용 손 소독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캐너가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 경보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서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 장착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가 손 소독제를 분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가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스캐너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캐너가 주기적으로 수집된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 소독이 필요한 위치 및 시점에 출력되는 경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손 소독기를 통해 바로 간편하게 손 소독을 수행함으로써 위생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병실마다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별도로 관리하는 인력이 필요 없게 되어 시설 운영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은 스캐너(100), 휴대용 손 소독기(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00)는 손 소독이 요구되는 공간에 사용자가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휴대용 손 소독기(200)에 무선으로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손 소독이 요구되는 공간은 환자가 있는 병실 등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손 소독이 관리되는 공간은 모두 대상이 될 수 있다.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기 위해서 병실 등의 공간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손 소독기(2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으면, 출입구가 아닌 다른 위치에 스캐너(100)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와 블루투스, RFID, 지그비,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비콘 신호,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 RFID 태그 신호 등의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 또는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기술 등을 적용함으로써,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
스캐너(100)는 통신 방식 등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스캐너(100) 단독으로 사용자의 출입 또는 출입 방향을 감지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출입구에 별도의 센서(적외선 센서 등)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방향 등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게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로부터 전송된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손 소독제 사용정보는 손 소독제 사용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스캐너(100)는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전송할 때, 해당 휴대용 손 소독기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 정보 및 스캐너(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함께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너(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는 해당 스캐너(100)에 의해 사용자 출입 여부가 감지되는 병실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캐너(100)와 관리 서버(300)는 통신망(10)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2G/3G/4G 이동 통신망,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위성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도 유선,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관리 서버(300)는 휴대용 손 소독기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정보(이하 '시스템 관리 정보'라 함)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관리 서버(300)는 시스템 운영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손 소독기 정보, 사용자 정보, 스캐너 정보 등을 등록받아 관리할 수 있다. 휴대용 손 소독기 정보는 해당 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ID(제품 번호, MAC 어드레스 등)를 포함하며, 해당 휴대용 손 소독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도 대응하여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휴대용 손 소독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예컨대 의사, 간호사 등)의 개인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캐너 정보는 스캐너 장치 식별 정보 및 스캐너가 설치된 위치 정보(예컨대 병실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휴대용 손 소독기 작동 상태, 스캐너 작동 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도 스캐너(100)로부터 전달받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휴대용 손 소독기의 사용 내역 등과 관련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것 외에도, 관리 서버(300)는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휴대용 손 소독기(200)는 손 소독제를 내부 용기에 수용하고 스캐너(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손 소독기(200)는 경보 출력 후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손 소독제가 외부로 분사되면 스캐너(100)에 무선으로 손 소독제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2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200)는 소독제 수용부(210), 소독제 분사부(220), 제어부(230), 경보부(240), 무선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및 전원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독제 수용부(210)는 손 소독제의 리필이 가능한 용기로써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손 소독제는 에탄올 등 알코올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겔 또는 젤 상태로 소독제 수용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소독제 분사부(220)는 사용자가 휴대용 손 소독기(200)에 형성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소독제 수용부(210)에 수용된 손 소독제를 일정 양만큼 외부로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독제 분사부(220)는 용기에 담겨진 갤 또는 젤 형태의 물질을 외부로 분사하는 공지된 구조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기구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3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스캐너(100)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부(240)를 제어하여 경보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손 소독제를 외부로 분사되게 하면,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스캐너(100)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제어부(230)는 소독제 수용부(210)에 수용되어 있는 손 소독제 잔량, 배터리 잔량 등이 기준보다 적으면 경보부(24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경보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보부(240)는 빛, 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LED, 스피커 또는 진동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50)는 스캐너(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블루투스, RFID, 지그비, Wi-Fi 등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26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메모리부(26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의 식별 정보 및 손 소독제 사용정보 등을 저장하고, 제어부(23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27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회용 배터리 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스캐너(100)가 휴대용 손 소독기(2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S310). 단계(S310)에서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방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출입이 감지되면(S310-Y),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에 경보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S320).
다음으로 휴대용 손 소독기(200)는 스캐너(100)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면, 빛, 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경보부(240)에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330).
이후 사용자는 단계(S330)에서 출력되는 경보를 확인하고, 휴대용 손 소독기(200)에 장착된 버튼을 눌러서 손 소독제를 분사되게 할 수 있다(S340).
휴대용 손 소독기(200)는 손 소독제가 분사될 때까지 경보를 지속적으로 또는 일정 주기로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만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손 소독제가 분사되면(S340-Y), 휴대용 손 소독기(200)는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스캐너(100)에 전송할 수 있다(S350).
이후 스캐너(100)는 휴대용 손 소독기(200)로부터 전송된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3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통신망 100: 스캐너
200: 휴대용 손 소독기 210: 소독제 수용부
220: 소독제 분사부 230: 제어부
240: 경보부 250: 무선 통신부
260: 메모리부 270: 전원부
300: 관리 서버

Claims (10)

  1. 손 소독제를 수용하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손 소독기,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 상기 경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로부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스캐너, 그리고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는,
    손 소독제를 수용하는 소독제 수용부,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상기 스캐너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소독제 수용부에 수용된 손 소독제 중 일부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소독제 분사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에서 경보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손 소독제가 외부로 분사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상기 스캐너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환자가 있는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자가 있는 공간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며,
    휴대용 손 소독기 식별정보, 손 소독제 사용정보 및 상기 스캐너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서,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는,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의 경보 신호 발생 내역 및 손 소독제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스캐너가 휴대용 손 소독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캐너가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 경보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서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에 장착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가 손 소독제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가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스캐너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캐너가 주기적으로 수집된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환자가 있는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자가 있는 공간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며,
    휴대용 손 소독기 식별정보, 손 소독제 사용정보 및 상기 스캐너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손 소독기는,
    손 소독제를 수용하는 소독제 수용부,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상기 스캐너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소독제 수용부에 수용된 손 소독제 중 일부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소독제 분사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에서 경보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손 소독제가 외부로 분사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손 소독제 사용정보를 상기 스캐너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73502A 2015-12-07 2015-12-07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5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02A KR101850135B1 (ko) 2015-12-07 2015-12-07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02A KR101850135B1 (ko) 2015-12-07 2015-12-07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075A KR20170067075A (ko) 2017-06-15
KR101850135B1 true KR101850135B1 (ko) 2018-04-19

Family

ID=5921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02A KR101850135B1 (ko) 2015-12-07 2015-12-07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11B1 (ko) * 2017-11-27 2020-02-04 유한회사 이젠365 실내 소독시스템
CN111369702A (zh) * 2020-03-11 2020-07-03 深圳市中宝逸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人脸识别考勤测温一体机
CN111415430A (zh) * 2020-03-30 2020-07-14 浙江鑫格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多功能门禁一体机
CN111599056A (zh) * 2020-06-23 2020-08-28 杭州钰橙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智能门禁系统及其使用方法
CN112184940A (zh) * 2020-09-24 2021-01-05 泰州市健宏医用敷料有限公司 一种洁净室自动除菌及打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3084A (ja) * 2014-02-13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情報管理サー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3084A (ja) * 2014-02-13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情報管理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075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135B1 (ko) 휴대용 손 소독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U20123357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ecting good hygiene practices
US11433153B2 (en) Methods for organizing the disinfection of one or more items contaminated with biological agents
US9613519B2 (en) Tracking system for hand hygiene
CA2801845C (en) Monitoring system
CA2841357C (en) Dispenser use monitor
JP2013506200A (ja) 衛生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80375B1 (ko) 영상을 통한 세균 및 바이러스 조기 감지 방역시스템
CA2909177C (en) Data capture and management system
WO2013151935A1 (en) Hand hygiene tracking system
JP2018180960A (ja) 院内手洗い管理システム
KR20140098975A (ko)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KR101647831B1 (ko)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AU2017204516A1 (en) Monitoring system
US8922378B2 (en) Dispensing and accountability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washing of hands
JP2022118623A (ja) 手指消毒監視システム
KR20220118093A (ko)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10668A (ko) 비접촉 발열측정, 손 소독, 초미세공기정화 그리고 바이러스 멸균기능이 통합된 일체형 관리장치
WO2022203631A1 (en) Hand hygiene monitoring system for health personnel in health care facilities
TR201600936A2 (tr) Bi̇r el hi̇jyeni̇ taki̇p si̇stemi̇ ve buna i̇li̇şki̇n bi̇r yön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