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31B1 -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31B1
KR101647831B1 KR1020130166993A KR20130166993A KR101647831B1 KR 101647831 B1 KR101647831 B1 KR 101647831B1 KR 1020130166993 A KR1020130166993 A KR 1020130166993A KR 20130166993 A KR20130166993 A KR 20130166993A KR 101647831 B1 KR101647831 B1 KR 10164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recognition medium
user
disinfec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094A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8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였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손소독이 필요하면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모니터링 방법이 기재된다.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소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손상태 감지부와, 상기 손소독 여부를 표시하는 손상태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손소독 실시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인식 배지 및 상기 인식 배지를 충전 및 보관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HAND SANITIZER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병원이나 식당, 급식소, 식품 가공업체, 숙박업체 등과 같이 사용자들의 손소독이 필요한 곳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였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손소독이 필요하면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식당, 식품가공회사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청결의 유지가 중요하며, 특히, 손을 통해 병원균이나 미생물, 오염물질 등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손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손을 자주 소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들이 환자와 접촉하기 이전에, 병실과 같은 특정 장소에 입장하기 이전, 또는 화장실과 같은 오염도가 높은 장소에서 나올 때 등의 경우에 손을 소독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손을 소독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손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손소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을 소독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손소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오염시 이를 알려서 손소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소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손상태 감지부와, 상기 손소독 여부를 표시하는 손상태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손소독 실시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인식 배지, 상기 인식 배지를 충전 및 보관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손상태 감지부는 상기 손의 소독을 위한 소독제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상태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접근 또는 접촉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접근 또는 접촉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 후, 상기 손에서 상기 소독제의 성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식 배지의 일측에는 상기 손상태 감지부를 ON/OFF 하는 ON/OFF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손의 소독을 위한 소독제를 제공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식 배지는 상기 소독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인식 배지 및 상기 소독부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적외선 센서, RFID 및 NF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인식 배지를 휴대한 사용자가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룸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인식 배지는 외부에 구비되는 데이터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와 메모리 및 MCU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식 배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RFID, NFC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이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인식 배지는 자체의 살균 및 항균을 위한 항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인식 배지를 살균 및 소독하는 살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손상태 표시부는 손소독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식 배지는 손소독 필요 조건에 따라 상기 손상태 표시부와 상기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손소독 필요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상태 감지부에 손상태를 인식시킨 후 경과되는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가 출입한 장소 및 상기 사용자가 체류한 시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장소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영역들에 필요한 청정도 또는 상기 영역들의 오염도 정보를 지수화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획을 출입함에 따라 누적된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인식 배지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가 손소독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인식 배지에서 손소독 여부를 확인시키는 단계, 상기 인식 배지에서 상기 손소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인식 배지에 손소독이 양호함을 표시하는 단계, 기설정된 손소독 필요 조건에 따라 상기 인식 배지에서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인식 배지의 충전 또는 보관이 필요하면 충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인식 배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손소독 필요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식 배지에서 상기 손소독 여부를 확인한 후 경과되는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가 출입한 장소 및 상기 사용자가 일정 장소에서 체류한 시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장소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구획된 영역들에 필요한 청정도 또는 상기 영역들의 오염도 정보를 지수화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여된 점수를 상기 손소독 필요 조건에 반영하여 상기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인식 배지에 저장된 정보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였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식 배지 자체에 손소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손상태 감지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수시로 손의 소독 여부와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손을 소독하도록 알림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가 손소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구획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 배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인식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에서 구획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 배지(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3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인식 센서(4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자의 손소독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인식 배지(10)와 인식 배지(10)의 충전 및 보관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은, 사용자의 손을 소독하는 소독부(20)와, 인식 배지(1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하는 룸인식 센서(40) 및 인식 배지(10)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은 병원이나 식당, 식품가공회사, 제약 회사, 숙박 업소 등과 같이, 해당 공간에서 근무하는 사람이나 해당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하에서는, '사용자'라 한다)의 청결 유지가 필요한 장소에 적용된다. 특히, 손을 통해 미생물이나 오염물질 등이 전파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장소에 적용되어서, 사용자의 손을 소독하며, 손의 소독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손소독이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인식 배지(10)를 통해서 손을 소독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및 외부에서 쉽게 손의 소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식 배지(10) 자체에 손소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손상태 감지부(115)가 구비되어 있어서 손의 소독 여부 및 오염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더불어, 일정 시간 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손의 재소독이 필요한 경우에도 알림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손을 청결하게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인식 배지(1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에서 인식 배지(10)를 휴대한 사용자가 손소독을 했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사원증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 등의 형태로 형성되고, 인식 배지(10)의 전면 등에 손소독 여부를 알려주는 손상태 표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인식 배지(10)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손을 소독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인식 배지(10)는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손을 소독한 후 인식 배지(10)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손 상태를 감지하고 인식 배지(10)의 상태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이 쉽게 접근 또는 접촉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인식 배지(10)는 손소독 여부 및 손의 위생 상태의 양호와 불량 여부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 손상태 표시부(111)와, 사용자가 손소독을 실시한 후 손소독 여부 및 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손상태 감지부(115) 및 손소독 실시가 필요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상태 표시부(111)는 소정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일 수 있고, 손소독 상태가 양호하면 녹색 빛을 발광하고, 손 상태가 불량하면 적색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녹색과 적색 사이의 중간 단계로서 황색 빛을 발광하는 3단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림부(112)는 손소독이 필요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나 소정 색상의 빛을 점등시키는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림부(112)는 사용자에게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는 수단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는, 알림부(112)는 후술하는 배터리(120)의 잔량이 부족함을 알리는 배터리 경고부(113)를 대신하거나, 배터리 경고부(113)와 같이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알림부(11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손상태 표시부(111)에서 표시되는 상태로 손소독이 필요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식 배지(10)는 손소독 여부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정의 조건(이하, '손소독 필요 조건'이라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즉, 인식 배지(10)는 손소독 표시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손소독 여부를 나타내고, 일정 조건에 따라 손소독 표시부(111)의 표시를 변경시킴으로써, 손소독의 양호/불량 및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소독 필요 조건은, 사용자가 손소독 감지부(115)에 손을 감지시켰을 때 불량 상태가 감지되거나, 사용자가 손소독 감지부(115)에 손을 소독하였음을 감지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일정 장소를 출입하였거나, 사용자가 소정의 장소에서 일정 시간 이상 체류하였을 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손상태 감지부(115)는 사용자가 손을 소독한 후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손을 소독하는 소독제의 성분을 검출하여 손소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손상태 감지부(115)는 사용자의 손소독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 시 다른 물체 등에 의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손상태 감지부(115)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손이 접근 또는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인식 배지(10)에 접촉 또는 접근된 상태를 유지한 후에, 손에서 소독제 성분이 검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상태 감지부(115)는 접근 또는 접촉 동작과, 일정 시간 이상 동작을 유지시키는 동작 및 소독제 성분을 검출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여 여러 단계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동작하게 함으로써, 휴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인식 배지(10)의 일측에 손상태 감지부(115)를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나 버튼 등의 ON/OFF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ON/OFF부를 ON 시켜서 손상태 감지부(115)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상태 감지부(115)가 인식 배지(10)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손소독을 실시한 후 이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하는 중에도 수시로 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손이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식 배지(10)를 휴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을 소독한 후 손상태 감지부(115)에 손을 접근 또는 접촉시켜서 손상태 표시부(111)의 상태를 변경시키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독부(2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면 소독부(20)와의 통신에 의해서 자동으로 손상태 표시부(111)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 배지(10)는 외부에 구비되는 데이터 수집 서버(50)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118)와 메모리(117) 및 MCU(116)를 구비할 수 있다. 인식 배지(10)는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였는지 여부와, 손을 소독한 최종 시간, 사용자가 출입한 장소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와 같은 데이터가 통신부(118)를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50)와 통신하거나 충전 스테이션(30)에서 유선으로 데이터 수집 서버(50)에 전송된다.
또한, 인식 배지(10)는 후술하는 룸인식 센서(4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룸인식 센서 수신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 배지(10)와 룸인식 센서(40)는 적외선 통신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지고, 룸인식 센서 수신부(114)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8)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비접촉 무선 데이터 인식 시스템)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방식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 배지(10)는 룸인식 센서(40)와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하는 장소 및 사용자가 일정 장소에 머문 시간 등의 정보가 인식 배지(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인식 배지(10)는 후술하는 소독부(20)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 배지(10)를 소독부(20)에 접촉시키거나 접근시키면 소독부(20)에서 소독제를 제공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였다는 정보를 인식 배지(1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인식 배지(10)와 소독부(20)의 통신 수단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통신이나, RFID나 NFC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인식 배지(10)에서 통신부(118)를 생략하고, 인식 배지(10)가 유선으로 데이터 수집 서버(50)와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 배지(10)의 데이터 통신은 인식 배지(10)를 충전 스테이션(30)에서 충전시키는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충전 스테이션(30)을 통해서 유선으로 데이터 수집 서버(5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인식 배지(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인식 배지(10)에 태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는 통신부(118) 또는 룸인식 센서 수신부(114)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식 배지(10)는 각 사용자의 것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 배지(10)를 사원증에 일체로 만들거나, 인식 배지(10) 일측에 사용자 이름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식 배지(10)는 상술한 손상태 감지부(115)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위해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20)를 포함하고, 전원 ON/OFF가 가능하도록 전원 스위치(121)가 구비되고, 인식 배지(10)의 전원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전원용 LDO(Low Drop Out Regulator)(119)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식 배지(1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20)를 사용하고, 이를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 커넥터(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인식 배지(10)는 배터리(120)의 잔량 또는 배터리(120)의 전류량이 많지 않아서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이를 알려주기 위한 배터리 경고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경고부(113)는 배터리(120)의 전원 여부를 표시하는 램프가 구비되고, 배터리(120)의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 등의 색상으로 표시하고, 배터리(12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붉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램프가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경고부(113)는 램프 이외에도 부저 등과 같이 배터리(120)의 충전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경고부(113)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알림부(112)에서 배터리 경고의 역할까지 같이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 배지(10)는 오류 발생 시 기기를 초기화 할 수 있도록 초기화 버튼(12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인식 배지(10)를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인식 배지(10) 자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항균 기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30)은 업무 시간이 종료되거나 인식 배지(10)의 충전 및/또는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 인식 배지(10)를 보관 및 충전한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30)은 인식 배지(10)가 수용되는 형태를 갖고, 다수의 인식 배지(10)를 동시에 보관 및 충전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30)은 하나의 인식 배지(10)가 충전되는 블록 형태를 갖고, 다수의 블록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30)은 원하는 장소에 장착할 수 있도록 크래들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30)은 인식 배지(10)가 수용되고 외부 전원(322)과 연결하여 인식 배지(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커넥터(321)을 포함하고,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용 LDO(319) 및 전원 스위치(320), 그리고 인식 배지(10)의 충전 제어하기 위한 전원용 LDO(3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 등의 경우에도 인식 배지(10)를 충전할 수 있고,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배터리(318)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30)은 인식 배지(10)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충전에 필요한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설정을 입력할 수 있도록 충전 스테이션(30)은 설정값 입력부(314)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값 표시부(315)를 포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30)에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려주고,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배터리 충전 표시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스테이션(30)에서 인식 배지(10)와 데이터 수집 서버(5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데이터 통신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표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인식 배지(10)와 데이터 수집 서버(5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유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40)에 서버 연결 커넥터(3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30)은 인식 배지(10)를 수용하여 충전이 수행되는 동작을 기억 및 제어하고, 데이터 수집 서버(50)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MCU(313)와 메모리(31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30)에서 인식 배지(10)를 충전하는 동안 인식 배지(10)를 살균하도록 살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30)에는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되거나, 살균제를 분사하는 등 인식 배지(10)를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살균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충전 스테이션(30)은 인식 배지(10)를 충전하는 동안 인식 배지(10)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충전 스테이션(30)은 인식 배지(10)에 저장된 날짜, 시간, 동작 인터벌 등의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스테이션(30) 일측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서 충전 스테이션(30) 및 인식 배지(10)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소독부(20)는 액체 또는 겔 타입의 소독제를 제공하는 디스펜서로,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독부(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독제 디스펜서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독부(20)에는 인식 배지(1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센서나 RFID, NFC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독부(20)에는 적외선 센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소독제를 분사하여 손을 소독하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인식 배지(10)에 적외선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손을 소독하였음을 인식 배지(10)에 저장시키고 손상태 표시부(111)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식 배지(10)와 소독부(20)를 접촉 또는 접근시켜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손상태 감지부(115)가 손 소독제 성분, 예를 들어, 알코올 성분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소독부(20)와 인식 배지(10)를 통신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의 소독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손상태 감지부(115)에서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손을 소독하였음을 인식 배지(10)에 확인시키고 손상태 표시부(111)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룸인식 센서(40)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이 적용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인식 배지(10)를 휴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하고, 인식 배지(10)와 통신한다. 룸인식 센서(40)는 인식 배지(10)와 통신하기 위한 룸인식 센서 발신부(411)가 구비되고, 통신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CU(4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룸인식 센서(40)를 개별적으로 인식 및 구분하기 위해서 룸인식 센서(40)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고유번호 입력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룸인식 센서(4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커넥터(417)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용 LDO(414) 및 전원의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41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룸인식 센서(40)는 외부 전원(미도시)에 연결되거나, 건전지를 포함하여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정전 등의 상황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배터리(4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룸인식 센서(40)는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용 브라켓(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 인식 배지(10)와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 룸인식 센서(40)의 설치 방향 및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서버(50)는 인식 배지(10)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하며, 개인별, 시간별, 장소별의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인식 배지(10)를 휴대한 사용자가 손소독을 실시한 횟수, 장소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 전체에 대해서 손소독이 수행되는 횟수, 시간 및 장소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서버(50)는 인식 배지(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는 역할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서버(50)는 인식 배지(10)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병실에 출입하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소독하여야 하고, 화장실을 다녀온 후에도 반드시 손을 소독하여야 하는 반면, 복도나 휴게실 등의 공간에서는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특정 물건을 만지기 전에는 손을 소독하지 않더라고 손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이 적용되는 장소의 특정 영역 내에서의 오염도가 다르고, 각 영역에서 요구되는 청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손소독 필요 조건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손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손소독 수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이 적용되는 장소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구획별에 사용자가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손소독 필요 조건을 부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획된 구획에 대해서, 각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청정도와, 각 영역의 오염도 등을 반영하는 정도를 지수화하여 손소독 필요 조건에 반영할 수 있다. 각 구획에서의 지수화할 수 있는 지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필요한 청정도 또는 오염도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구획에서의 지수화하기 위한 지표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측정하거나, 이미 알려진 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은, 해당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이 적용되는 장소가 병원이라면, 병실, 간호사실, 복도, 휴게실, 로비, 화장실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구획된 구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이 적용되는 장소를 N×n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에서 필요한 청정도를 지수화하여 반영하거나, 각 영역의 오염도를 지수화하여 반영하거나, 두 조건 모두를 지수화하여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지수는 높게 책정하거나 낮게 책정할 수 있다. 즉, 점수가 높을수록 손소독이 필요한 것으로 설정하거나, 점수가 낮을수록 손소독이 더 필요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계산 및 검출의 편의를 위해서 점수가 높을수록 손소독이 더 필요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1)이 적용되는 장소를 구획화하고, 각 구획에 지수를 부여하여 지수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및 출입에 의해 획득된 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등에는 손소독 필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인식 배지(10)의 손소독 표시부(111) 및/또는 알림부(112)에서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와 같이 발생하는 알림에 따라 손을 소독하게 되고, 이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효과적으로 손을 소독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10: 인식 배지
20: 소독부
30: 충전 스테이션
40: 룸인식 센서
50: 데이터 수집 서버

Claims (17)

  1.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소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손상태 감지부와, 상기 손소독 여부를 표시하는 손상태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손소독 실시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인식 배지; 및
    상기 인식 배지와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데이터 수집 서버; 및
    상기 인식 배지를 충전 및 보관하며, 충전하는 동안 상기 인식 배지에 저장된 정보를 리셋하며, 유선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식 배지를 살균 및 소독하는 살균부를 구비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손소독이 요구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간의 출입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체류한 시간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 배지에 상기 인식한 정보를 제공하는 룸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스테이션은 상기 인식 배지의 충전 수행 및 살균소독 수행 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인식 배지의 충전 수행 및 살균소독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 배지와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간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MCU와 메모리가 구비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태 감지부는 상기 손의 소독을 위한 소독제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태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접근 또는 접촉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접근 또는 접촉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 후, 상기 손에서 상기 소독제의 성분을 감지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배지의 일측에는 상기 손상태 감지부를 ON/OFF 하는 ON/OFF부가 구비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손의 소독을 위한 소독제를 제공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배지는 상기 소독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인식 배지 및 상기 소독부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적외선 센서, RFID 및 NF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배지는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와 메모리 및 MCU를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식 배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RFID, NFC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이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배지는 자체의 살균 및 항균을 위한 항균 기능을 구비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태 표시부는 손소독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식 배지는 손소독 필요 조건에 따라 상기 손상태 표시부와 상기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손소독 필요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상태 감지부에 손상태를 인식시킨 후 경과되는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가 출입한 장소 및 상기 사용자가 체류한 시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장소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영역들에 필요한 청정도 또는 상기 영역들의 오염도 정보를 지수화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획을 출입함에 따라 누적된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인식 배지의 상태를 변경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14. 사용자가 손소독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인식 배지에서 손소독 여부를 확인시키는 단계;
    상기 인식 배지에서 상기 손소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인식 배지에 손소독이 양호함을 표시하는 단계;
    기설정된 손소독 필요 조건에 따라 상기 인식 배지에서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인식 배지의 충전 또는 보관이 필요하면 충전스테이션에서 상기 인식 배지를 충전하는 동안 상기 인식 배지에 저장된 정보를 리셋하고, 유선으로 데이터 수집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인식 배지를 살균 및 소독하는 단계;및
    상기 충전스테이션에서 상기 인식 배지의 충전 수행 및 살균소독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수행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인식배지와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손소독 필요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식 배지에서 상기 손소독 여부를 확인한 후 경과되는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가 출입한 장소 및 상기 사용자가 일정 장소에서 체류한 시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손소독 모니터링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장소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구획된 영역들에 필요한 청정도 또는 상기 영역들의 오염도 정보를 지수화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여된 점수를 상기 손소독 필요 조건에 반영하여 상기 손소독이 필요함을 알리는 손소독 모니터링 방법.
  17. 삭제
KR1020130166993A 2013-12-30 2013-12-30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64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93A KR101647831B1 (ko) 2013-12-30 2013-12-30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93A KR101647831B1 (ko) 2013-12-30 2013-12-30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094A KR20150080094A (ko) 2015-07-09
KR101647831B1 true KR101647831B1 (ko) 2016-08-24

Family

ID=5379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993A KR101647831B1 (ko) 2013-12-30 2013-12-30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8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9219B2 (en) 2017-11-10 2020-01-07 Ecolab Usa Inc. Hand hygiene compliance monitoring
USRE48951E1 (en) 2015-08-05 2022-03-01 Ecolab Usa Inc. Hand hygiene compliance monitoring
US11272815B2 (en) 2017-03-07 2022-03-15 Ecolab Usa Inc. Monitoring modules for hand hygiene dispensers
US11284333B2 (en) 2018-12-20 2022-03-22 Ecolab Usa Inc. Adaptive route, bi-directional network communication
FR3129835A1 (fr) * 2021-12-08 2023-06-09 Régine VINCI Dispositif de décontamination d’objets et de contrôle de la décontamin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15B1 (ko) * 2012-11-19 2013-09-27 이지유 향기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6581A2 (en) * 2008-09-03 2010-03-11 Hyginex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hygiene habi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15B1 (ko) * 2012-11-19 2013-09-27 이지유 향기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8951E1 (en) 2015-08-05 2022-03-01 Ecolab Usa Inc. Hand hygiene compliance monitoring
US11272815B2 (en) 2017-03-07 2022-03-15 Ecolab Usa Inc. Monitoring modules for hand hygiene dispensers
US11903537B2 (en) 2017-03-07 2024-02-20 Ecolab Usa Inc. Monitoring modules for hand hygiene dispensers
US10529219B2 (en) 2017-11-10 2020-01-07 Ecolab Usa Inc. Hand hygiene compliance monitoring
US11284333B2 (en) 2018-12-20 2022-03-22 Ecolab Usa Inc. Adaptive route, bi-directional network communication
US11711745B2 (en) 2018-12-20 2023-07-25 Ecolab Usa Inc. Adaptive route, bi-directional network communication
FR3129835A1 (fr) * 2021-12-08 2023-06-09 Régine VINCI Dispositif de décontamination d’objets et de contrôle de la décontamination
EP4233921A3 (fr) * 2021-12-08 2023-11-22 Vinci, Régine Dispositif de décontamination d'objets et de contrôle de la décont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094A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4992B2 (en) Hand cleanliness monitoring
US11538329B2 (en) Hand cleanliness
US20210049894A1 (en) Hand Cleanliness
KR101647831B1 (ko) 손소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JP5594963B2 (ja) 手の清潔度検出
US9959742B2 (en) Liability intervention logistical innovation system and method
US8279063B2 (en) Personnel lo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nclosed facilities
US8633816B2 (en) Electronic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for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ecautions
US201102732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US20150199883A1 (en) Hand Sanitation Dispensing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JP2013506200A (ja) 衛生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065418A (zh) 用于连接消毒习惯监控系统的消毒剂凝胶智能分配器
US20150213707A1 (en) Hygiene behaviour support system
CN101496072A (zh) 手的清洁
CN101099694A (zh) 手部清洗依从性系统
MX2014000403A (es) Monitor de uso de dispensador.
CN112272568A (zh) 用于监测和控制消毒的系统
US20230149583A1 (en) Mobile Disinfection Apparatuses Having Visual Marker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002518B1 (en) System and method of biological and germ cross contamination control
GB2474317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hygiene
WO2011031774A1 (en) Hand cleanliness
WO2010065402A1 (en) Dispensing and accountability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washing of hands
US8922378B2 (en) Dispensing and accountability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washing of hands
EP242232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and hygiene
Alić et al. Ultra-low Power Beacon-based Hand Hygiene Assistance System for Hospitals and Car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