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232B1 -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232B1
KR101849232B1 KR1020160114940A KR20160114940A KR101849232B1 KR 101849232 B1 KR101849232 B1 KR 101849232B1 KR 1020160114940 A KR1020160114940 A KR 1020160114940A KR 20160114940 A KR20160114940 A KR 20160114940A KR 101849232 B1 KR101849232 B1 KR 10184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tire
tread
block
out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811A (ko
Inventor
조명국
박상욱
박숙진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2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및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로 이루어진 그루브; 및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의해 분할 형성되는 트레드 블록들;을 포함하는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블록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커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트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노우 타이어는 c=(L-an)/(n-2) 및 b2=b1+c 의 공식을 만족하고, L은 타이어 블록의 폭을 의미하고, a는 최외각 커프의 기준선과 블록 에지와의 거리이고, b1 최외각 커프의 진폭이며, b2 내부 커프의 진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Pneumatic snow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진폭이 다른 멀티 커프를 적용함으로써 강성과 유연성을 최적화시킨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 인너라이너의 외주에 적층되는 카카스, 카카스의 외주에 적층되는 벨트, 벨트의 외주에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타이어의 양쪽 측부를 구성하는 양쪽 사이드월, 및 휠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는 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브와,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그루브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그루브들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들이 형성된다.
한편, 타이어는 가류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타이어 가류란 타이어 고무성분에 가류제를 혼합하고 소정의 압력 및 온도를 가하여 탄성과 강도를 부여하는 공정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가류공정은, 가류몰드와 블래더(bladdar) 사이에 그린타이어를 배치한 상태에서 고온, 고압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작용하는 열원은 가류몰드와 블래더로부터 전달되고, 압력은 블래더로부터 전달되는 것이 보통이다.
타이어의 가류를 위한 몰드에는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며, 반경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세그멘트식과, 상하방향으로 나뉘어진 이분식이 대표적이다.
몰드의 내측면에는 그린 타이어와 몰드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금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벤트홀이 가공되어 구성된다.
벤트홀은 공기만을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류압력에 의해 타이어의 재료인 고무가 벤트홀을 따라 함께 배출되어 완성된 타이어의 표면에 벤트홀 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종래의 스노우 타이어는 몰드 작업의 편의성 및 원가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써 커프(Kerf)를 포함하였다. 커프는 설면에서는 블록의 윤연성으로 눈을 잡아 앞으로 전진하여 주행 성능을 상승시키고, 빙판에서는 에지부의 스터드 역할로 그립력을 발휘함으로써 겨울철 차량의 주행 및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스노우 타이어는 커프를 통한 타이어 블록 내 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커프의 적용수로 타이어 블록 내 강성을 조절하였다.
타이어의 커프는 타이어 블록의 강성 및 유연성에 영향을 준다. 커프의 진폭이 길어질수록 타이어 블록의 변형이 쉬워지고 마모가 발생되기 쉬운 반면에, 눈의 전단 인력을 이용한 전진 효과와 그립력은 상승한다. 이와 반대로 커프의 진폭이 짧아지면 진폭이 길어지는 겻과는 상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타이어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커프의 크기, 위치, 길이 및 진폭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커프와 벤트홀 돌기와의 간섭으로 인해 적절한 수의 커프를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커프(2)는 트레드 블록(1) 내 일정 거리를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커프(2)와 벤트홀 돌기(6)와의 간섭이 발생한 경우(도 1 및 도 2의 A 영역)에는 커프(2)가 제거되거나, 커프(2)의 위치가 변동되었다.
그로 인해 트레드 블록(1) 내 커프(2)가 균등하게 배열되지 못하여, 이상 마모가 발생하거나 스노우 그립(snow grip)과 같은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7687호 (2014.11.2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드 블록에 진폭이 다른 멀티 커프를 적용함으로써 강성과 유연성을 최적화시킨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프와 벤트홀 돌기의 간섭을 방지하여 이종 피치간 블록 내 강성을 동일하게 구현하여 스노우 그립력 및 마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상 마모 또는 트랙션 성능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이어의 강성과 조종안정성이 더욱더 향상된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및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로 이루어진 그루브;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루브에 의해 분할 형성되는 트레드 블록들;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드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블록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커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트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노우 타이어는 c=(L-an)/(n-2) 및 b2=b1+c 의 공식을 만족하고, L은 타이어 블록의 폭을 의미하고, a는 최외각 커프의 기준선과 블록 에지와의 거리이고, b1은 최외각 커프의 진폭이며, b2는 내부 커프의 진폭이며, n은 커프 수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프는 사인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블록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2개의 커프는 서로 반대 위상의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에 진폭이 다른 멀티 커프를 적용함으로써, 강성 및 유연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균일한 강성과 유연성을 가진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를 제공하고, 설면과 빙판 노면에서 균일한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강성과 유연성을 최적화시킨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커프와 벤트홀 돌기의 간섭을 방지하여 이종 피치간 블론 내 강성을 동일하게 구현하여 스노우 그립력 및 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마모 또는 트랙션 성능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이어의 강성과 조종안정성이 더욱더 향상된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은 종래의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에서 커프의 일부가 제거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의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를 포함하며, 트레드부에 다수 개의 트레드 블록들과 다수 개의 그루브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은 단위 피치 내에 형성된 단위 패턴 형상이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되며 전체 트레드 패턴을 이룬다. 트레드 패턴은 기본적으로 종그루브, 횡그루브 및 이들에 의해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10) 등이 이루는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트레드부는 노면에 접지되는 부분이다. 그루브는 트레드부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및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를 포함한다.
트레드 블록(10)은 복수 개의 그루브에 의해 분할 형성된다.
트레드 블록(10)은 셋 이상의 커프(20) 및 하나 이상의 벤트홀 돌기(30)를 포함한다.
횡그루브내에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트레드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타이바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횡그루브 내에 형성되는 타이바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트레드 블록(10)들을 서로 잡아주도록 형성되어 트레드 블록(10)들 사이의 이상마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 내 다중 진폭을 가지는 커프(20)를 포함한다. 양 끝에 위치하는 최외각 커프(20a)와 블록 에지(11) 사이의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내부에 적용할 내부 커프(20b)의 수만큼 나누었을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거리(c)만큼 최외각 커프(20a)를 추가시킴으로써, 최외각 커프(20a)와 내부 커프(20b)에 다중 진폭의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스노우 타니어는 하기의 공식을 만족할 수 있다.
L=2a+(n-2)(a+c)
c=(L-an)/(n-2)
b2=b1+c
여기서, L은 트레드 블록(10)의 폭을 의미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커프(20)가 병렬로 배치된 방향의 트레브 블록(10) 길이를 트레드 블록(10)의 폭이라 한다.
a는 최외각 커프(20a)의 기준선(21)과 블록 에지(11)와의 거리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커프(20)의 파형의 중심선을 기준선(21)이라 한다.
b1은 최외각 커프(20a)의 진폭이며, b2는 내부 커프(20b)의 진폭이다.
n은 3이상의 정수이다.
커프(20)들은 사인파(sine wave) 형상일 수 있다.
커프(20) 중 트레드 블록(1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2개의 커프(20a)는 서로 반대 위상의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커프(20b)들은 서로 동일한 위상의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프 구조를 적용한 타이어의 강성(stiffness), 설상 제동력(snow traction) 마모 성능(wear)을 실험한 결과이다.
항목 종래 기술 본 발명

Block stiffness
P1 100 100
P2 103 101
P3 104 101
Snow traction 100 103
Wear 100 100
타이어의 강성은 단위 변화량에 대한 외력의 값으로 kgf/mm 의 단위가 사용되며, 설상 제동력의 뎡우 계측 장비를 사용하여 감속도 값을 측정하여 sec 단위를 사용한다. 상기 데이터는 각각의 결과치를 인덱스화 시킨 것으로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상대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프 구조를 적용한 타이어의 경우 각 트레드 블록의 강성(stiffness)이 균일해지고, 마모 성능(wear)은 유지하되, 설상 제동력(Snow traction)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프 형상을 최적화하여 타이어의 블록의 강성 및 마모 성능을 유지하되, 트랙션과 제동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어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트레드 블록 11 블록 에지
20 커프 21 기준선
30 벤트홀 돌기 L 트레드 블록의 폭
a 최외각 커프의 기준선과 블록 에지와의 거리
b1 최외각 커프의 진폭 b2 내부 커프의 진폭

Claims (3)

  1.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및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로 이루어진 그루브;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루브에 의해 분할 형성되는 트레드 블록(10)들; 상기 트레드 블록(10) 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블록(10)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사인 파형으로 형성된 내부 커프(20b)와, 트레드 블록(10)의 최외각 중 하나에 서로 반대 위상의 파형으로 형성된 1개의 최외각 커프(20a)로 구성된 커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 타이어는,
    상기 트레드 블록(10)에서 최외각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1개의 상기 최외각 커프(20a)의 반대쪽 최외각에도 서로 반대 위상의 파형으로 형성된 1개의 최외각 커프(20a)가 더 형성되고,
    커프(20)와 벤트홀 돌기(30)가 간섭되지 않도록 커프(20)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트홀 돌기(30)들이 형성되며,
    c=(L-an)/(n-2) 및 b2=b1+c 의 공식을 만족하도록 커프(20)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L은 타이어 블록의 폭을 의미하고, a는 최외각 커프의 기준선과 블록 에지와의 거리이고, b1는 최외각 커프의 진폭이며, b2는 내부 커프의 진폭이며, n은 커프 수 임. C는 양 끝에 위치하는 최외각 커프(20a)와 블록 에지(11) 사이의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 내부에 적용할 내부 커프(20b)의 수만큼 나누었을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거리임.
  2. 삭제
  3. 삭제
KR1020160114940A 2016-09-07 2016-09-07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KR10184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40A KR101849232B1 (ko) 2016-09-07 2016-09-07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40A KR101849232B1 (ko) 2016-09-07 2016-09-07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11A KR20180027811A (ko) 2018-03-15
KR101849232B1 true KR101849232B1 (ko) 2018-04-16

Family

ID=6165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940A KR101849232B1 (ko) 2016-09-07 2016-09-07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2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774B2 (ja) * 1998-04-22 2010-03-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925735B2 (ja) * 2013-07-25 2016-05-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774B2 (ja) * 1998-04-22 2010-03-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925735B2 (ja) * 2013-07-25 2016-05-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11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5299B2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成形金型
US8277589B2 (en) Method of retreading a tire
US20140283965A1 (en) Pneumatic tire
US7628598B2 (en) Tire mold and pneumatic tire using the same
EP2119575A1 (en) Snow tire
US9492980B2 (en) Tire mold and tire
EP3056355B1 (en) Tire
US10259268B2 (en) Tire with grooves having variable depth
US8146631B2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s well as tire curing mold
US7329110B2 (en) Tire vulcanizing mold and pneumatic tire
KR20180111543A (ko) 타이어
WO2020102056A1 (en) Truck tire with varying sipe density in angled ribs
JP2021062547A (ja) タイヤの加硫金型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90176533A1 (en) Pneumatic tire
JP5647462B2 (ja) タイヤ
US7188650B2 (en) Siped tire tread with high transverse stiffness
KR101849232B1 (ko)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JP201110513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269135B2 (ja) 更生タイヤ
EP3738793A1 (en) Pneumatic tire
JPH0516617A (ja) 乗用車用空気入りタイヤ
US20190291369A1 (en) Non-symmetrical tread ring parting line mold
KR101467687B1 (ko)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RU2539441C1 (ru) Вулканизированный протектор и шина
JP4940710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