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975B1 -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975B1
KR101848975B1 KR1020150054596A KR20150054596A KR101848975B1 KR 101848975 B1 KR101848975 B1 KR 101848975B1 KR 1020150054596 A KR1020150054596 A KR 1020150054596A KR 20150054596 A KR20150054596 A KR 20150054596A KR 101848975 B1 KR101848975 B1 KR 10184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
deterioration
road
sec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858A (ko
Inventor
다까시 시마다
히로유끼 다니
고세이 다까노
히로시 사사끼
후미아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5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9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면을 보수하는 공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 형태의 추출 방법은, 적어도 도로의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 및 도로의 표층의 보수 공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로의 공사 방법 중에서, 특정한 노면에 적용하는 도로의 공사 방법의 후보를 추출할 때에 특정한 노면에 있어서의 교통량의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해당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한 노면에 적용하는 도로의 공사 방법의 후보를 추출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Description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EXTRACTING METHOD, RECOMMEND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SION SUPPORT ON ROAD REPAIR METHOD}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도로는, 도도부현(주: 都道府縣, 일본의 행정 구역)이나 시읍면 등의 자치 단체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자치 단체에서는, 한정된 예산 내에서 열화된 도로를 보수하고, 관리 대상의 도로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치 단체에서는, 예산을 집행하는 데 있어서, 열화된 도로의 상황에 따른 예산 배분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2646호 공보
그러나, 예산 배분에 있어서, 관리 대상으로 하는 도로 중에서 노면이 열화된 도로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도로에 대한 적절한 보수 공법을,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교통량 등의 환경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해 가는 것은 곤란한 일이었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노면을 보수하는 공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 형태의 추출 방법은, 적어도 도로의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 및 도로의 표층의 보수 공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로의 공사 방법 중에서, 특정한 노면에 적용하는 도로의 공사 방법의 후보를 추출할 때에 상기 특정한 노면에 있어서의 교통량의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해당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한 노면에 적용하는 도로의 공사 방법의 후보를 추출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일 실시 형태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노면을 보수하는 공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중요도의 판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킬로 포스트·열화도·중요도 평가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기초 비용의 산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적용 공법 테이블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의 판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관한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실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는,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합시켜도 좋다.
도 1은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N을 통하여 단말 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서버 장치 등이다. 단말 장치(200)는 PC(Personal Computer) 등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 단말 장치(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하드웨어 구성의 상세는 후술함).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산 배분 등에 관한 각종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및 정보 처리 장치(100)에 각종 처리를 의뢰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처리 등을 행한다.
예를 들어, 자치 단체의 직원 등인 유저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예산 배분 등에 관한 각종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뢰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접수한 처리의 의뢰를 바탕으로, 예산 배분 등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 결과를 단말 장치(200)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 예산 배분 등에 관한 업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자신이 GUI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입력 장치로부터, 유저로부터 예산 배분 등에 관한 각종 처리의 의뢰를 접수하여, 그 처리 결과를 모니터에 표시해도 좋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S1 내지 S10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처리가 개시되면,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스토리지로부터 노면 조사 데이터 D1을 취득한다(S1). 노면 조사 데이터 D1은, 자치 단체가 관리하는 도로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조사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노면 조사 데이터 D1에는, 도로의 구간(킬로 포스트)마다, 적어도 노면의 열화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단위 시간당 교통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노면 조사 데이터 D1에 있어서의 노면의 열화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조사원이 킬로 포스트마다 노면을 조사했을 때 열화 정도를 단계별로 평가한 데이터이어도 좋다. 또한, 노면의 열화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킬로 포스트마다 카메라에 의해 노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이어도 좋다. 킬로 포스트마다의 촬영 데이터에 대해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노면 촬영용 카메라를 탑재한 조사용 차량을 주행시켜 수집해도 좋다.
노면 조사 데이터 D1에 있어서의 교통량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조사원이 킬로 포스트마다 행한 교통량 조사의 결과이어도 좋다. 또한, 교통량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로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정점 카메라에 의한 촬영 데이터로부터 통과한 차량이 카운트된 값이어도 좋다. 이 교통량에 대해서는, 승용차, 트럭 등의 차종별, 주간, 야간 등의 시간대별로 수집해도 좋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한 노면 조사 데이터 D1에 포함되는 열화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킬로 포스트마다의 노면의 열화 정도(예를 들어, 5단계 평가 또는 점수 평가)를 확정한다(S2). 구체적으로는, 조사원이 열화 정도를 단계별로 평가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 평가를 열화 정도로서 확정한다. 또한, 노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인 경우에는 모니터 등에 촬영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로부터 유저의 평가를 접수하여 확정해도 좋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공지의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노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로부터 노면의 상태를 단계별로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열화 정도로서 확정해도 좋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한 노면 조사 데이터 D1에 포함되는 교통량에 기초하여, 킬로 포스트마다의 제1 중요도의 판정을 행한다(S3). 도 3은 중요도의 판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중요도의 판정에서는, 해당 킬로 포스트에 있어서의 통행량(교통량)이 많아질수록 중요도(예를 들어, 「A」: 높음, 「B」: 낮음)를 높게 판정한다.
일례로서, 교통량 중에서 트럭 통과 대수/월에 주목하여, 그 값이 100대 이상인 경우는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A」라고 판정한다. 또한, 100대 미만인 경우는 「A」보다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B」라고 판정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한 노면 조사 데이터 D1에 포함되는 교통량과,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스토리지로부터 읽어낸 지도·시설 데이터 D2에 기초하여, 킬로 포스트마다의 제2 중요도의 판정을 행한다(S4). 지도·시설 데이터 D2는 자치 단체가 관리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지도, 도로의 위치, 지도 상에서의 시설 등의 환경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지도·시설 데이터 D2에는, 자치 단체가 관리하는 도로의 킬로 포스트마다의 위치와 그 범위가 위도, 경도, 번지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 또한, 지도·시설 데이터 D2에는, 지도 상에서의 시설의 위치(위도, 경도, 번지 등)와, 학교 또는 병원 또는 관공서 등의 시설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지도 상에서의 환경에 관한 정보는, 지도 상에서의 위치(위도, 경도, 번지 등)에 관하여 조사한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면 어느 것이든 좋다. 일례로서는, 인구 통계(주간 인구, 야간 인구 등), 교통 사고와 그 요인(급브레이크, 속도 위반 등), 도시 계획법에 의한 용도 지역(주거 지역, 상업 지역 등) 등이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중요도의 판정에서는, 해당 킬로 포스트에 있어서의 통행량(교통량), 시설 등의 환경 요소를 바탕으로, 가점 방식으로 중요도(예를 들어, 「A」: 높음, 「B」: 낮음)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통행량이 많은(트럭 통과 대수/월이 50대 이상) 경우에는 4점의 가점을 행한다. 또한, 급브레이크에 의한 사고가 다발(과거 1년간 5회 이상)하는 경우에는 4점의 가점을 행한다. 또한, 학교 또는 병원 또는 관공서 등의 시설이 가까운 경우(학교 주위, 또는 구급 병원의 주위 1km 이내)에는 3점의 가점을 행한다. 또한, 주변의 주간 인구가 야간 인구의 2배 이상인 경우에는 3점의 가점을 행한다. 그리고, 가점의 합계가 10점 이상인 경우는 「A」라고 판정하고, 그 이외는 「B」라고 판정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킬로 포스트마다, S2에서 확정한 노면의 열화 정도, S3에서 판정한 제1 중요도, S4에서 판정한 제2 중요도를 바탕으로, 킬로 포스트·열화도·중요도 평가표를 작성한다(S5). 작성된 킬로 포스트·열화도·중요도 평가표는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도 4는 킬로 포스트·열화도·중요도 평가표 D3(이하, 평가표 D3)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표 D3에는, 킬로 포스트 「1」 내지 「25」마다, S2에 있어서 확정된 5단계 평가의 열화도와, S3, S4에서 판정한 「A」/「B」의 2단계 평가의 제1, 제2 중요도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열화도는, 「1」이 열화도가 높고, 노면의 열화가 진행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반대로, 「5」는 열화도가 낮고, 노면에 열화가 없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킬로 포스트마다 보수 공사를 행하는 경우의 기초 비용을 산출한다(S6). 기초 비용이란, 보수 공사를 실시할 때에 예산으로서 견적하기 위한 기초적인 비용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보수 공사를 행하는 경우의 평균적인 비용이며, 노면의 열화도나 중요도에 따라 견적할 비용이 상이하다. 따라서, S6에서는, 평가표 D3에 있어서의 킬로 포스트마다의 열화도 및 중요도를 바탕으로 기초 비용을 산출한다. 산출된 기초 비용은, 평가표 D3의 기초 비용의 항목에 기술한다.
도 5는 기초 비용의 산출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화도 및 중요도에 대한 보수 공사의 비용이 기술된 보수 비용 테이블 D4를 참조하여, 평가표 D3에 있어서의 킬로 포스트마다 기초 비용을 산출한다. 또한, 제1 중요도와, 제2 중요도가 상이한 경우에는 높게 견적되는 비용을 기초 비용으로 한다. 예를 들어, 킬로 포스트 「16」, 「17」에서는, 제1 중요도가 「B」, 제2 중요도가 「A」로 서로 중요도가 상이하다. 이렇게 중요도가 상이한 경우는, 각각의 중요도로 비용을 산출하여, 높게 견적되는 비용(열화도 「1」, 「중요도 「A」의 「30」)을 기초 비용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중요도가 높은 쪽을 조건으로서 채용하는 경우에도 상정되는 예산을 초과하는 것을 억제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평가표 D3을 바탕으로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을 작성한다(S7). 도 6은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 D5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 D5는 열화도마다의 킬로 포스트의 개수 및 해당하는 킬로 포스트, 중요도 「A」, 「B」에 해당하는 킬로 포스트 및 킬로 포스트의 개수 등이 기술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평가표 D3을 바탕으로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 D5를 작성해 둠으로써, 후술하는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S9) 시에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 D5를 참조하여, 추려진 조건(열화도, 중요도 등)에서의 검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시뮬레이션을 행할 때의 초기 조건을 접수한다(S8). 시뮬레이션의 초기 조건으로서는, 총 예산, 보수 공사를 행하는 대상으로 하는 열화도 등이 있다. 또한, 초기 조건의 하나로서, 중요도(제1 중요도, 제2 중요도)를 고려할지의 여부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공사 대상으로 하는 킬로 포스트와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에 있어서 노면의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 보수의 대상으로 할지의 여부를 포함해도 좋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S8에서 접수한 초기 조건에 의한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를 개시한다(S9). 도 7은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이전의 처리(S5, S6)에서 작성된 평가표 D3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S20).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적용 공법 테이블 D6을 참조하여, 평가표 D3에 있어서의 킬로 포스트마다 적용하는 공법을 취득한다(S21). 이 S21에 있어서, 평가표 D3의 킬로 포스트마다 취득한 공법에 대해서는,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상세는 후술함)로서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도 8은 적용 공법 테이블 D6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용 공법 테이블 D6은, 열화도와, 제1 중요도와, 제2 중요도의 조합에 대하여 적용하는 공법이 기술된 테이블 데이터이다.
열화도에 대해서는, 「1」 내지 「5」의 5단계의 조합이 있다. 또한, 제1 중요도, 제2 중요도에 대해서는, 임의의 값을 나타내는 「*」와, 「A」와, 「B」의 조합이 있다.
상술한 조합에 대하여 적용하는 공법에는, 도로의 기초로부터의 보수를 행하기 위하여 깊게 파내려 가는 공사와, 도로의 표층의 보수를 행하기 위하여 얕게 파내려 가는 공사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의 포장체에 있어서, 깊게 파내려 가는 순서대로, 표층·기층·노반까지를 보수하는 공사, 표층·기층까지를 보수하는 공사, 표층을 보수하는 공사가 있다. 그들 공사에 대응하는 공법이, 일례로서, 깊게 파내려 가는 순서대로 「α1」 내지 「α5」의 5종류가 있다. 상술한 조합에 대하여 적용하는 공법으로서, 비용이 높은 순(깊게 파내려 가는 순)으로, 3개의 공법을 추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적용하는 공법의 1개 또는 2개인 경우, 예를 들어 2개인 경우에는 「α2」, 「α2」, 「α3」 등과 같이 추출해도 좋은 것으로 한다. 또한, 적용하는 공법의 해당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열화도가 「5」)에는 널(null) 데이터로 해도 좋다.
적용 공법 테이블 D6에 있어서의, 열화도와, 제1 중요도와, 제2 중요도의 조합에 대하여 적용하는 공법 「α1」 내지 「α5」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열화도가 진행될수록 깊게 파내려 가는 공법(「α1」의 공법)이 추출된다. 또한, 제1, 제2 중요도가 높을수록, 깊게 파내려 가는 공법(「α1」의 공법)이 추출된다.
따라서, 교통량이 소정값보다 많아,중요도가 높게 판정된 경우에는 더 깊게 파내려 가는 공법이 추출되게 된다. 또한, 학교 또는 병원 또는 관공서 등의 종별을 나타내는 시설이 있음으로써, 중요도가 높게 판정된 경우에는 더 깊게 파내려 가는 공법이 추출되게 된다.
또한, 열화도가 진행되고 있지 않아, 적은 열화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중요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더 깊게 파내려 가는 공법이 추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열화도 「1」에 있어서의 제1, 제2 중요도 「B」의 조합에서는 「α3」, 「α4」, 「α5」의 공법이 추출된다. 이에 대하여, 열화도 「2」에 있어서의 제1, 제2 중요도 「A」의 조합에서는 「α2」, 「α3」, 「α4」로 하는, 더 깊게 파내려 가는 공법이 추출된다.
S21에서는, 평가표 D3에 있어서의 열화도와, 제1 중요도와, 제2 중요도의 조합을 바탕으로, 해당 킬로 포스트에 있어서 적용하는 공법이 적용 공법 테이블 D6으로부터 취득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한 평가표 D3의 킬로 포스트 「5」에서는, 열화도가 「1」, 제1 중요도가 「B」, 제2 중요도가 「B」이다. 따라서, 열화도, 제1 중요도, 제2 중요도의 조합으로서는,「1」, 「*」, 「*」로 하는 조, 「1」, 「B」, 「*」로 하는 조, 「1」, 「B」, 「B」로 하는 조, 「1」,「*」,「B」로 하는 조가 상정된다. 이들 상정되는 조의 모두에 대하여, 적 공법 테이블 D6을 참조함으로써, 비용이 높은 순(깊이 파내려 가는 순)으로 3개의 공법이 취득된다. 여기에서는, 상정되는 조의 모든 공법을 미리 취득해 둠으로써, 제1, 제2 중요도를 적용함/적용하지 않음 등, 추려진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공법 테이블 D7로부터 공법 「α1」 내지 「α5」에 있어서의 단가를 취득하여,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을 작성한다(S22). 도 9는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법 테이블 D7은 공법 「α1」 내지 「α5」마다의 단가, 내용연수 등의 공법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 테이블 데이터이다. S22에서는, S21에서 취득되어 있는 공법을 바탕으로, 공법 테이블 D7을 참조하여 공법에 있어서의 단가의 정보를 추가하여,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을 작성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GUI 등을 통하여, 총 예산과, 공사의 대상으로 하는 열화도를 유저로부터 접수한다(S23). 또한, 초기 조건으로서 총 예산과 열화도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킵해도 좋다.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총 예산과 열화도를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된 열화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로부터 추출하고(S24),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를 작성한다(S25).
도 10은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된 열화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킬로 포스트의 데이터가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로부터 추출되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된다. 이때,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8에 있어서의 「합계 거리」와 공법에 있어서의 「단가」를 참조하여, 공법마다 실제로 보수하는 경우의 비용이 견적되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된다. 도시예에서는, 접수된 열화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로서, 킬로 포스트가 「5, 6」인 구간, 킬로 포스트가 「15, 16, 17」인 구간의 데이터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7, 8」의 구간, 「14」의 구간)에 관한 데이터는, S26에 있어서 인접분으로서 추가 되는 점에서, S25의 시점에서는 추가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열화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킬로 포스트와 인접하는,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의 공사 비용을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한다(S26).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에 대해서는, 접수된 열화도의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을 만족하는 킬로 포스트를 추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수된 열화도의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접수한 열화도 +1)이지만, 보수의 대상으로 될 정도의 열화(예를 들어 열화도 「3」이하)가 있는 킬로 포스트를 추가한다.
도 11은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의 판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킬로 포스트 「5, 6」은 접수된 열화도의 조건(열화도 「1」)을 만족하는 킬로 포스트이다. 여기서,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로서 최초로 판정의 대상으로 되는 구간은 킬로 포스트 「4, 7」이다.
킬로 포스트 「4」의 구간에 대해서는, 열화도가 「3」이며, 열화도 +2인 점에서,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로서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킬로 포스트 「4」의 구간에 대해서는, 인접분으로서의 공사 비용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되지 않는다.
이어서, 킬로 포스트 「7」의 구간에 대해서는, 열화도가 「2」이며, 열화도 +1인 점에서,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로서의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킬로 포스트 「7」의 구간에 대해서는, 인접분으로서의 공사 비용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된다. 또한, 킬로 포스트 「7」이 공사의 대상으로 되는 점에서, 킬로 포스트 「7」에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 「8」이 판정의 대상으로 된다. 킬로 포스트 「8」의 구간에 대해서는, 열화도가 「2」이며, 열화도 +1인 점에서,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로서의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킬로 포스트 「8」의 구간에 대해서도, 인접분으로서의 공사 비용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된다.
또한, 킬로 포스트 「8」에 인접하는 킬로 포스트 「9」의 구간에 대해서는, 열화도가 「3」이며, 열화도 +2인 점에서,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로서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킬로 포스트 「9」의 구간에 대해서는, 인접분으로서의 공사 비용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킬로 포스트 「5, 6」의 인접분으로서는, 킬로 포스트 「7, 8」의 공사 비용이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 추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 「7, 8」에 대해서는, 공법마다의 비용 외에, 「인접」의 항목에 인접의 플래그와 함께 인접원의 킬로 포스트의 정보가 추가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GUI 등을 통하여, 추려진 조건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S27). S27에 있어서 접수하는 추려진 조건은, 총 예산, 열화도 이외의 조건이며, 예를 들어 중요도(제1 중요도, 제2 중요도)를 고려할지의 여부, 인접분의 킬로 포스트를 포함할지의 여부 등이어도 좋다. 또한, 초기 조건으로서 추려진 조건을 접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킵해도 좋다. 추려진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추려진 조건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S27에 있어서 접수한 추려진 조건을 바탕으로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를 추려내어, 그 추려진 결과를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한다(S28).
도 12는 표시 화면 G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 G는, 입력 영역 G1과, 결과 표시 영역 G2와, 지도 표시 영역 G3을 갖는다. 입력 영역 G1은, 박스의 체크 또는 수치 입력 등에 의해, 추려진 조건 등의 각종 조건 설정을 행하는 영역이다. 결과 표시 영역 G2는 입력 영역 G1에 있어서 설정된 조건에서,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의 추려진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지도 표시 영역 G3은, 입력 영역 G1에 있어서 설정된 조건에서,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로부터 추려진 킬로 포스트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영역이다.
S28에서는, 총 예산, 제1, 제2 중요도의 추려진 조건(「A」, 「B」,「*」), 인접의 유무 등을 바탕으로,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를 추려낸다. 또한, 인접분에 대해서는, 인접원의 비용에 인접분의 비용을 추가한 후 총 예산과 비교하여, 만족하는 것을 추려내는 것으로 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제1 중요도인 교통량은 「B」, 제2 중요도인 환경(인접 시설 등)에 대해서는 「*」이 추려진 조건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접분은 넣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예시한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D9에서는, 킬로 포스트 「5, 6」에 있어서의 제1 중요도 「B」, 제2 중요도 「B」, 「*」을 만족하는 데이터가 추려진다. 그리고, 추려진 데이터가 결과 표시 영역 G2에 표시된다. 또한, 킬로 포스트 「5, 6」에 대응한 위치가 지도·시설 데이터 D2로부터 읽어들여져, 킬로 포스트 「5, 6」에 대응한 위치의 표시 형태를 변경한 지도(예를 들어 망점 표시)가 지도 표시 영역 G3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추려진 조건에 매치하는 보수 공사의 대상 구간, 공법, 비용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GUI 등을 통하여, 추려진 조건에 매치하는 보수 공사의 대상 구간, 공법, 비용 등으로 예산 배분을 확정할지의 여부를 유저로부터 접수한다(S29). 구체적으로는, 결과 표시 영역 G2에 표시된 일람 중에서 원하는 킬로 포스트, 공법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유저는 예산 배분을 확정시킨다. 또한, 결과 표시 영역 G2에 표시된 일람 중에서 예산 배분을 확정하지 않는 경우, 유저는 캔슬 버튼 등을 조작하여, 추려진 조건을 캔슬시킨다.
예산 배분을 확정하는 경우(S29: "예"),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확정하지 않고 새로운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S29: "아니오"), 정보 처리 장치(100)는 S2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이에 의해, 유저는, 새로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중요도의 조건(「A」, 「B」,「*」), 인접분을 넣음/넣지 않음 등을 보다 엄격한 조건으로 되도록 조정한다. 이렇게 조정하여 예산 시뮬레이션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총 예산에 알맞는 조합을 찾아낼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정보 처리 장치(100)는 S9의 예산 시뮬레이션 처리에서 확정된 예산 배분을 바탕으로, 공사를 발주하기 위한 발주 처리를 행한다(S10). 구체적으로는, 공사를 행한다고 확정된 킬로 포스트, 공법, 비용 등을 바탕으로, 신청서 등의 작성, 예산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의 등록 등의 처리를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행하여지는 각종 처리 기능은, CPU(또는 MPU,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마이크로 컴퓨터) 상에서,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각종 처리 기능은, CPU(또는 MPU, MCU 등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 상 또는 와이어드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 상에서,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를 실행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처리는,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하드웨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101)와, 데이터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102)와, 모니터(103)와, 스피커(104)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등을 판독하는 매체 판독 장치(105)와, 각종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106)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외부 기기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장치(107)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각종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RAM(108)과, 하드 디스크 장치(109)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 내의 각 부(101 내지 109)는 버스(110)에 접속된다.
하드 디스크 장치(109)에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111)이 기억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장치(109)에는, 프로그램(111)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112)(노면 조사 데이터 D1, 지도·시설 데이터 D2 등)가 기억된다. 입력 장치(102)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조작자에게서 조작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모니터(103)는 예를 들어 조작자가 조작하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장치(106)는 예를 들어 인쇄 장치 등이 접속된다. 통신 장치(107)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 기기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교환한다.
CPU(101)는, 하드 디스크 장치(109)에 기억된 프로그램(111)을 읽어내어, RAM(108)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한다. 또한, 프로그램(111)은, 하드 디스크 장치(109)에 기억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111)을, 정보 처리 장치(100)가 읽어내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100)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CD-ROM이나 DVD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대응한다. 또한, 공중 회선, 인터넷, LAN 등에 접속된 장치에 이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정보 처리 장치(100)가 이들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100 정보 처리 장치
101 CPU
102 입력 장치
103 모니터
104 스피커
105 매체 판독 장치
106 인터페이스 장치
107 통신 장치
108 RAM
109 하드 디스크 장치
110 버스
111 프로그램
112 각종 데이터
200 단말 장치
D1 노면 조사 데이터
D2 지도·시설 데이터
D3 킬로 포스트·열화도·중요도 평가표
D4 보수비용 테이블
D5 킬로 포스트·시뮬레이션용 워크 테이블
D6 적용 공법 테이블
D7 공법 테이블
D8 공사 대상 구간 시뮬레이션 테이블
D9 공사 비용 집계 테이블
G 표시 화면
G1 입력 영역
G2 결과 표시 영역
G3 지도 표시 영역
N 네트워크

Claims (22)

  1. 도로의 구간마다의 열화도를 취득함과 함께, 도로의 구간마다의 교통량의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요도를 취득하고,
    취득된 열화도가 지정된 제1 조건보다도 열화된 상태의 지정 구간과, 지정 구간에 인접하는 인접 구간 중 열화도가 상기 제1 조건보다 완화된 제2 조건보다도 열화된 상태의 인접 구간을 보수 대상의 구간으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보수 대상의 구간의 열화도 및 중요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도로의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 및 도로의 표층의 보수 공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로의 공사 방법 중에서, 상기 보수 대상의 구간에 적용하는 공사 방법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사 방법의 추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처리는,
    취득된 상기 측정 데이터가 교통량이 많은 것을 나타낼수록, 보다 도로의 깊은 층에 대한 보수 공사 방법을 후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처리는,
    선택된 보수 대상의 구간의 열화도가 소정의 열화도보다도 적은 열화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취득된 상기 교통량의 측정 데이터가 소정의 교통량을 초과하는 교통량을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를 후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하는 처리는,
    도로의 구간마다의 주변 시설을 나타내는 시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중요도를 지도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처리는,
    취득된 상기 시설 정보가, 학교 또는 병원 또는 관공서의 종별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표층의 보수 공사에 대하여 도로의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를 우선하여 후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처리는,
    선택된 보수 대상의 구간의 열화도가 소정의 열화도보다도 적은 열화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취득된 상기 시설 정보가 소정의 종별의 시설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를 후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8. 프로세서가,
    도로의 구간마다의 열화도를 취득함과 함께, 도로의 구간마다의 교통량의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요도를 취득하고,
    취득된 열화도가 지정된 제1 조건보다도 열화된 상태의 지정 구간과, 지정 구간에 인접하는 인접 구간 중 열화도가 상기 제1 조건보다 완화된 제2 조건보다도 열화된 상태의 인접 구간을 보수 대상의 구간으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보수 대상의 구간의 열화도 및 중요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도로의 기초로부터의 보수 공사 및 도로의 표층의 보수 공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로의 공사 방법 중에서, 상기 보수 대상의 구간에 적용하는 공사 방법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54596A 2015-04-17 2015-04-17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KR10184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596A KR101848975B1 (ko) 2015-04-17 2015-04-17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596A KR101848975B1 (ko) 2015-04-17 2015-04-17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858A KR20160123858A (ko) 2016-10-26
KR101848975B1 true KR101848975B1 (ko) 2018-04-13

Family

ID=5725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596A KR101848975B1 (ko) 2015-04-17 2015-04-17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09B1 (ko) * 2017-12-07 2019-09-10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687A (ja) * 2003-10-08 2005-04-28 Hitachi Ltd 道路保守支援システム
JP2005182646A (ja) * 2003-12-22 2005-07-07 Yagi Corporation Kk 道路構造物の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687A (ja) * 2003-10-08 2005-04-28 Hitachi Ltd 道路保守支援システム
JP2005182646A (ja) * 2003-12-22 2005-07-07 Yagi Corporation Kk 道路構造物の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858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7636B2 (ja) 抽出方法、推奨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道路補修工法決定支援プログラム
US10883850B2 (en) Additional security information for navigation systems
US8953838B2 (en) Detecting ground geographic features in images based on invariant components
JP6490003B2 (ja) 道路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道路情報収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道路情報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70308625A1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oad construction plann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754062B2 (en) Selecting a weather estimation algorithm and providing a weather estimate
US20180148898A1 (en) Road stat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JP6766327B2 (ja) 走行データ抽出プログラム、走行データ抽出方法および走行データ抽出装置
US9965732B2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oadwork plann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848975B1 (ko)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JP6631006B2 (ja) データ出力プログラム、データ出力方法及びデータ出力装置
Larson et al.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select project scope for videologging and pavement condition data collection
JP5178754B2 (ja) 広告電柱巡回ルート選定システム
JP6678476B2 (ja) 移動経路推定装置、及び移動経路推定方法
JP6892197B1 (ja) 劣化表示システム、劣化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79169A (ja) 車両経路生成装置、車両経路生成方法及び車両経路生成プログラム
De la Garza et al. A study of implementation of IP-S2 mobile mapping technology for highway asset condition assessment
JP2019211829A (ja) 不動産評価プログラム、不動産評価方法及び不動産評価装置
Afsharnia et al. Comparison of Smartphone-Based and Drone-Based Approaches for Assessing Road Roughness
EP430033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stimating the privacy risk of anonymized trajectory data
CN117058887B (zh) 一种城市交通数据的采集方法、装置、设备和介质
Ye et al. Development of a Digital Accident Hotspot Map for ADAS Applications Using Geospatial Methods in GIS
JP6906271B1 (ja) 道路劣化診断装置、道路劣化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Dabbagh A Low Cost Method to Develop an Initial Pavement Management System
Wang 3D infrastructure condition assessment for rail highwa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