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88B1 -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 Google Patents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88B1
KR101848888B1 KR1020150093588A KR20150093588A KR101848888B1 KR 101848888 B1 KR101848888 B1 KR 101848888B1 KR 1020150093588 A KR1020150093588 A KR 1020150093588A KR 20150093588 A KR20150093588 A KR 20150093588A KR 101848888 B1 KR101848888 B1 KR 10184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teel pipe
column
press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36A (ko
Inventor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을 위한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둥의 상부에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될 수 있는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교량 상부구조의 시공을 위하여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에 있어서, 기둥의 외부에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부; 강관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기둥에 밀착되는 프레싱웨지부; 강관부와 프레싱웨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높낮이에 따라 프레싱웨지부를 기둥에 밀착시키는 센터웨지부; 및 강관부의 하단에서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평면 형태로 연장되며, 프레싱웨지부와 센터웨지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속하고 견고하게 기둥에 체결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부실공사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편하게 조립·해체가 가능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사비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A FIXED STRUCTURE FASTENED TO THE PIER POST}
본 발명은 해상에 설치되는 토목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을 위한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둥의 상부에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될 수 있는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뉘어지는데 상부구조는 교대나 교각 위에 있는 구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주형, 슬래브 등으로 구성된다.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기초와 교대, 교각을 의미한다. 기초는 교각 밑에 지반상태에 따라 형식이 결정되며, 교각에서 받는 힘을 지반으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교량공사에서 시공되고 있는 교각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로, 현장에서 기초 터파기 작업 이후 기초 철근 및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일정 시간을 기다리는 양생기간을 통해 기초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 철근과 거푸집을 형성해 가면서 교각을 양생하고 교각의 상부구조를 형성한다. 교량상판을 받치는 코핑부는 동바리를 받쳐 놓고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1차 또는 2차 공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핑부를 형성시키는 공법으로 교각을 완성해 간다. 특히, 최근에는 도심지 내에서의 교량 시공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위에 프리캐스트 부재로 이루어진 기둥부재를 연결하여 시공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기둥부재의 상부 시공작업을 위해서도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기둥부재를 고정시켜주는 고정구조체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 종래 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02427호(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교각구조물로서, 거푸집 설치 및 양생 방식을 이용하여 기둥부재와 코핑부를 결합하는 기술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교각구조물은 원형 또는 각형단면의 강관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구조로써, 기둥 상단부와 코핑부의 접합을 견고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거푸집의 설치 및 시공 후 거푸집의 탈형작업 등에서 많은 공사기간 및 경비가 소요되고,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켜 주변에 영향을 많이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2427호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을 하는 경우, 신속하고 견고하게 기둥 상부에 체결되며, 조립·해체가 간편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고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에 있어서, 기둥의 외부에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부; 강관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기둥에 밀착되는 프레싱웨지부; 강관부와 프레싱웨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높낮이에 따라 프레싱웨지부를 기둥에 밀착시키는 센터웨지부; 및 강관부의 하단에서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평면 형태로 연장되며, 프레싱웨지부와 센터웨지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강관부는, 센터웨지부와 접촉하여 센터웨지부의 둘레를 감싸는 내부 강관; 내부 강관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내부 강관을 감싸는 외부 강관; 내부 강관의 둘레방향과 수직하게 외부 강관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홈이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강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은 강관 연결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둘레가 이등분으로 조립·해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싱웨지부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기둥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접촉부재에 접합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부 강관에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두께가 형성된 프레싱웨지; 및 접촉부재와 프레싱웨지를 일체로 강관부와 기둥의 직선 방향으로 왕복하여 움직이도록 프레싱웨지의 밑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고,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기둥에 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웨지부는, 프레싱웨지에 밀착되며, 두께가 일정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부 강관에 가까워지도록 프레싱웨지와 동일한 경사로 곡면이 형성된 내부 센터웨지; 내부 센터웨지의 곡면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내부 강관에 밀착되는 외부 센터웨지; 내부 센터웨지의 곡면과 수직하게 외부 센터웨지의 곡면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홈이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웨지 연결부재; 및 내부 센터웨지의 곡면의 하부와 외부 센터웨지의 곡면의 하부를 평면으로 연결시키는 웨지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웨지부는, 웨지 받침부재와 받침부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체결구는 센터웨지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센터웨지부의 높낮이에 따라 프레싱웨지부를 기둥에 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받침부는, 프레싱웨지의 밑면의 중앙 부분과 접촉하는 곳에, 프레싱웨지부가 센터웨지부와 기둥 사이를 직선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받침부는, 교량 상부구조의 하중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기둥과 접촉되는 중앙의 둘레방향으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속하고 견고하게 기둥에 체결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부실공사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하게 조립·해체가 가능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사비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체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구조체의 강관부가 분리된 하프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해체된 고정구조체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고정구조체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체의 설계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체(1)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을 위하여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1)에 있어서, 기둥의 외부에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부(10); 강관부(10)의 내부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기둥에 밀착되는 프레싱웨지부(30); 강관부(10)와 프레싱웨지부(30) 사이에 위치하고, 높낮이에 따라 프레싱웨지부(30)를 기둥에 밀착시키는 센터웨지부(50); 및 강관부(10)의 하단에서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평면 형태로 연장되며, 프레싱웨지부(30)와 센터웨지부(50)를 받치는 받침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강관부(10)는 센터웨지부(50)와 접촉하여 센터웨지부(50)의 둘레를 감싸는 내부 강관(101); 내부 강관(101)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내부 강관(101)을 감싸는 외부 강관(103); 내부 강관(101)의 둘레방향과 수직하게 외부 강관(103)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홈이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강관 연결부재(105)를 포함하고, 내부 강관(101)과 외부 강관(103)은 강관 연결부재(105)가 연결된 상태에서 둘레가 이등분으로 조립·해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강관부(10)는 본 발명에서 링 형태를 이루고 있는 외부 강관(103)과 내부 강관(101)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사이를 강관 연결부재(105)로 연결시킬 수 있다. 둘레가 이등분으로 조립·해체가 가능하고, 이 경우 강관 결합부재(107)를 사용할 수 있다. 강관부(10)는 프레싱웨지부(3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버팀목 역할을 하며 받침부(70)와 연결하여 수평경사력을 발생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구조체(1)의 강관부(10)가 분리된 하프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강관부(10)는 2개 영역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그 사이는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강관부(10)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기둥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형 기둥을 가정했을 때 원형의 강관부(10)를 설계한 모습을 보여준다. 강관부(10)는 2개의 영역으로 조립·해체가 가능한 특징을 살리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시공시 기둥 양쪽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해체된 고정구조체(1)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강관부(10) 안쪽은 프레싱웨지부(30)와 센터웨지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싱웨지부(3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기둥에 접촉되는 접촉부재(301); 접촉부재(301)에 접합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부 강관(101)에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두께가 형성된 프레싱웨지(303); 및 접촉부재(301)와 프레싱웨지(303)를 일체로 강관부(10)와 기둥의 직선 방향으로 왕복하여 움직이도록 프레싱웨지(303)의 밑면의 중앙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에 롤러(305)를 포함할 수 있고,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기둥에 밀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해체의 용이성을 위해 4개의 영역으로 90°마다 배치하였다. 프레싱웨지부(30)는 무게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프레싱웨지(303)의 밑면에 롤러(305)를 설치하였으며 센터웨지부(50)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경사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 힘을 이용하여 기둥을 압축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접촉부재(301)는 압축면을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기둥에 밀착되기 위해 고무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싱웨지부(30)의 하부는 받침부(70)의 레일(701) 위를 이동할 수 있는 롤러(305)로 구성되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센터웨지부(50)의 높낮이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터웨지부(50)는 프레싱웨지(303)에 밀착되며, 두께가 일정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부 강관(101)에 가까워지도록 프레싱웨지(303)와 동일한 경사로 곡면이 형성된 내부 센터웨지(501); 내부 센터웨지(501)의 곡면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내부 강관(101)에 밀착되는 외부 센터웨지(503); 내부 센터웨지(501)의 곡면과 수직하게 외부 센터웨지(503)의 곡면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홈이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웨지 연결부재(505); 및 내부 센터웨지(501)의 곡면의 하부와 외부 센터웨지(503)의 곡면의 하부를 평면으로 연결시키는 웨지 받침부재(507)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웨지부(50)는 웨지 받침부재(507)와 받침부(70)를 연결하는 체결구(509)를 포함하며, 체결구(509)는 센터웨지부(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센터웨지부(50)의 높낮이에 따라 프레싱웨지부(30)를 기둥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터웨지부(50)는 조립·해체의 용이성을 위해 프레싱웨지부(30)와 동일하게 4개의 영역으로 90°마다 배치하였다. 센터웨지부(50)의 하부에 웨지 받침부재(507)는 받침부(70)와 연결되어 있으며, 받침부 홈(705)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체결구(509)로 체결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체결구(509)는 3개로 하였으며, 받침부(70) 하부에서 체결구(509)를 인입하여 센터웨지부(50)의 하부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구(509)의 방향에 따라 센터웨지부(50)는 수직으로 움직이게 되어 수직경사력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프레싱웨지부(30)는 수평경사력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고정구조체(1)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부(70)는 프레싱웨지(303)의 밑면의 중앙 부분과 접촉하는 곳에, 프레싱웨지부(30)가 센터웨지부(50)와 기둥 사이를 직선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701)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70)는 교량 상부구조의 하중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기둥과 접촉되는 중앙의 둘레방향으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70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70)는 상부의 구조물을 떠받치고 있어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를 강화하기 위해 기둥과 접촉되는 마찰부재(703)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찰부재(703)는 고무 ling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체(1)의 설계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구조체(1)의 단면부를 구성요소들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낸다. 강관부(10)는 2개의 영역에서 2piece로 구성될 수 있고, 프레싱웨지부(30)의 경사각은 10°로 설정할 수 있다. 프레싱웨지부(30)와 센터웨지부(50)는 조립·해체가 용이하도록 4개의 영역에서 4piece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설계값을 적용하고, 고정구조체(1)를 각 구성요소의 설계값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기둥과 접촉하는 프레싱웨지부(30)의 접촉부재(301)는 곡률 내부 직경은 1,000㎜, 높이는 480㎜, 넓이는 334㎜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면적은 480㎜ × 334㎜=641,280㎟이 될 수 있다. 프레싱웨지부(30)의 하부에 사용되는 볼트는 1piece당 3개의 볼트를 사용하고, 전체 4piece로 12개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구조체(1)의 상부 구조는 약 70톤으로 가정했을 때 4개 piece에 작용하는 수직경사력은 70톤×9.8N/kg으로 686,466N이 되고, 1개 piece에는 686,466N/4 으로 171,616 N이 될 수 있다.
작용하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1
=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2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3
=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5
는 수직경사력,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6
는 수평경사력,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7
는 볼트의 표준축력으로 172,000N,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8
는 경사각 10°)
Figure 112015063644081-pat00009
=172,000 / Sin 10° = 990,509 N 이 되고, 볼트 12개에 작용한다고 하면, 12를 곱해서 11,886,102N이 될 수 있다.
Figure 112015063644081-pat00010
도 위와 같이 구하면 12,069,465N이 될 수 있다. 수평경사력과 콘크리트의 마찰계수를 0.5로 설정하면 실제 수평경사력은 12,069,465N×0.5= 6,034,732N이 되고 수평경사력은 작용하중 686,466N 보다 크다. 고정구조체(1)는 수평경사력이 수직경사력 보다 8.79배 이상 작용하므로, 기둥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고정구조체
10 : 강관부 30 : 프레싱웨지부
50 : 센터웨지부 70 : 받침부
101 : 내부 강관 103 : 외부 강관
105 : 강관 연결부재 107 : 강관 결합부재
301 : 접촉부재 303 : 프레싱웨지
305 : 롤러 501 : 내부 센터웨지
503 : 외부 센터웨지 505 : 웨지 연결부재
507 : 웨지 받침부재 509 : 체결구
701 : 레일 703 : 마찰부재
705 : 받침부 홈

Claims (7)

  1.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외부에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부;
    상기 강관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둥에 밀착되는 프레싱웨지부;
    상기 강관부와 상기 프레싱웨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싱웨지부에 대응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높낮이에 따라 상기 프레싱웨지부를 상기 기둥에 밀착시키는 센터웨지부; 및
    상기 강관부의 하단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평면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싱웨지부와 상기 센터웨지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강관부는,
    상기 센터웨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센터웨지부의 둘레를 감싸는 내부 강관;
    상기 내부 강관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내부 강관을 감싸는 외부 강관;
    상기 내부 강관의 둘레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외부 강관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홈이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강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강관과 상기 외부 강관은 상기 강관 연결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둘레가 이등분으로 조립·해체가 가능하며,
    상기 센터웨지부는,
    상기 프레싱웨지에 밀착되며, 두께가 일정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상기 내부 강관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프레싱웨지와 동일한 경사로 곡면이 형성된 내부 센터웨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 센터웨지의 곡면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강관에 밀착되는 외부 센터웨지;
    상기 내부 센터웨지의 곡면과 수직하게 상기 외부 센터웨지의 곡면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웨지 연결부재; 및
    상기 내부 센터웨지의 곡면의 하부와 상기 외부 센터웨지의 곡면의 하부를 평면으로 연결시키는 웨지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상부는 개방되고, 상부를 제외한 5개면(측면과 하부)은 폐쇄되며, 빈 내부공간은 상기 웨지 연결부재에 의해 복 수개로 구획되며,
    상기 웨지 받침부재에는,
    상기 센터웨지부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웨지부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프레싱웨지부를 상기 기둥에 밀착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웨지부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상기 기둥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 접합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상기 내부 강관에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두께가 형성된 프레싱웨지;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프레싱웨지를 일체로 상기 강관부와 상기 기둥의 직선 방향으로 왕복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프레싱웨지의 밑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기둥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프레싱웨지의 밑면의 중앙 부분과 접촉하는 곳에, 상기 프레싱웨지부가 상기 센터웨지부와 상기 기둥 사이를 직선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센터웨지부는 수직으로 움직이게 되어 수직경사력이 발생하고, 상기 프레싱웨지부는 수평경사력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수직경사력 및 수평경사력은 각각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한 연산을 수행하여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연산 결과를 토대로 상기 프레싱웨지부와 센터웨지부 및 체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둥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구조체.
    [수학식 1]
    W = Ff/sinθ
    WH = Wcosθ
    여기에서, W는 수직경사력, WH는 수평경사력, Ff는 체결구 또는 볼트의 표준축력, θ는 경사각이다.
KR1020150093588A 2015-06-30 2015-06-30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KR10184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88A KR101848888B1 (ko) 2015-06-30 2015-06-30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88A KR101848888B1 (ko) 2015-06-30 2015-06-30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36A KR20170003836A (ko) 2017-01-10
KR101848888B1 true KR101848888B1 (ko) 2018-04-17

Family

ID=5781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588A KR101848888B1 (ko) 2015-06-30 2015-06-30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263B1 (ko) * 2020-03-02 2021-01-14 정민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08B1 (ko) * 2004-07-09 2005-06-28 (주)위더스 파이프 고정장치
KR101163508B1 (ko) * 2010-09-29 2012-07-09 한국전력공사 관형 구조체 접합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27B1 (ko) 2012-08-09 2014-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08B1 (ko) * 2004-07-09 2005-06-28 (주)위더스 파이프 고정장치
KR101163508B1 (ko) * 2010-09-29 2012-07-09 한국전력공사 관형 구조체 접합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36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5981A (ja) Pcトラス壁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991930B1 (ko)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3388357A (zh) 耐震、预制的钢管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CN103243638B (zh) 桥梁空间放射性钢管混凝土桥墩及其建造方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637451B1 (ko) 접합부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의 접합방법
KR101892073B1 (ko) 강관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848888B1 (ko) 교각 기둥 고정구조체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0372315Y1 (ko)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JP6083655B2 (ja) 吊り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JP2006316495A (ja) 橋脚基礎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2009019356A (ja) 橋脚とフーチング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KR101171746B1 (ko) 사일로 시공 방법
JP6832048B2 (ja) 免震装置と鋼管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免震建物
KR101858972B1 (ko) 상부기둥플레이트 및 하부기둥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콘크리트 무타설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기둥플레이트 및 보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CN209854778U (zh) 一种后浇带免支撑结构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KR20170123371A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1872298B1 (ko) 이동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1531839B1 (ko) 아치형 라멘구조타입 터널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