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738B1 -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738B1
KR101848738B1 KR1020160105891A KR20160105891A KR101848738B1 KR 101848738 B1 KR101848738 B1 KR 101848738B1 KR 1020160105891 A KR1020160105891 A KR 1020160105891A KR 20160105891 A KR20160105891 A KR 20160105891A KR 101848738 B1 KR101848738 B1 KR 10184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oom
gap
bracke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411A (ko
Inventor
허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6010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7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7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guid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2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with a jib extension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붐 사이에 설치되며 구멍이 형성되는 브라켓; 구멍에 삽입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구멍을 둘러싼 브라켓의 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은 브라켓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과 각각 마주보는 패드의 양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패드는 신축성이 있어, 상기 구성에 의해 브라켓에 삽입된 패드가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도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Sliding pad assembly installed on Telescopic boom}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켓에 삽입된 패드가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도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기계 중 한가지인 크레인은 하물을 들어올려서 상하, 좌우, 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 텔레스코픽 방식의 붐이 적용된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붐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붐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붐은 외측 붐과 외측 붐의 내측에 삽입 지지되어 슬라이딩 되는 내측 붐의 조합으로 붐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에는 내측 붐이 외측 붐에 대해 슬라이딩 될 때 붐끼리의 직접적인 마찰을 피하기 위해 슬라이딩 패드나 베어링과 같은 슬라이딩 지지 부품이 붐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크레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지지 부품에 관한 제1종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078822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의 ‘작업기의 슬라이드 아암’에 게재되어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특허문헌 1’은 슬라이드 아암(1)은, 외통(2)과, 외통(2)과 닮은꼴의 단면을 가지며 외통(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통(3)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통(2) 내에 장착되는 내통(3)은 그 외주면과 외통(2)의 내주면 사이에 약간의 틈이 형성되도록 그 외형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3)의 후단부에는 외통(2)의 각 정점부(4a, 4b, 4c) 내면에 슬라이드 블록편(10, 10a, 10a)을 대응시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슬라이드 블록편(10, 10a, 10a)은 표면을 외통(2)의 원호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곡면으로서 자체 윤활기능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볼트(10c)에 의해 내통(3)의 후단부에 배치형성된 블록편 장착시트(11, 11a)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외통(2) 내에 삽입된 내통(3)은, 뒷부분에서 내통(3)의 후단부에 장착된 슬라이드 블록편(10, 10a)을 외통(2)의 각 정점부 내면에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합된 내,외통 (2, 3) 은, 외통(2) 후단의 브래킷(7)에서 기단(12b)이 지지되는 유압 실린더(12)를 내통(3)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유압 실린더(12)의 로드(12a) 선단부를 내통(3)의 내부에 축선과 교차하도록 돌출되게 설치시켜 좌우 양측의 보스부(13)와 핀(13a)이 연결되고, 유압 실린더(12)에 의해 슬라이딩 신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은 외통(2)과 내통(3)의 슬라이딩을 돕는 장치로서, 내통(3)에 블록편 장착시트(11, 11a)와, 볼트(C)에 의해 블록편 장착시트(11, 11a)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블록편(10, 10a) 등의 부품이 필요하고, 설치가 번거롭고 오래 걸렸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은 지속적인 슬라이딩으로 인해 마모된 슬라이드 블록편(10, 10a)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볼트(C)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한편, 크레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지지 부품에 관한 또 다른 제2종래 기술로서,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의 텔레스코픽 붐(50)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가 있다.
제2종래 기술은 붐(50) 내에 설치되기 위해 붐(50)의 형상에 대응되게 ‘V’자에 가깝게 절곡되어 붐(50)과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재(64)가 체결되는 체결공(62)이 형성된 브라켓(60)과, 브라켓(60)에 삽입 지지되는 다양한 크기의 슬라이딩 패드(70) 및 슬라이딩 패드(70)를 붐(5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패드(7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되 양측이 뾰족하게 파인 홈(76)을 가지며, 중앙에는 체결부재(73)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7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체결부재(73)는 볼트(74)와, 볼트(74)의 머리부와 붐(50)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2종래 기술의 슬라이딩 패드는, 붐(50)에 설치된 브라켓(60)의 구멍(61)에 큰 크기의 슬라이딩 패드(70)를 삽입시키고 붐(50) 외측에서 와셔(75)를 붐(50)과 볼트(74) 사이에 둔 채 볼트(74)를 제1체결공(71)에 체결시켜 슬라이딩 패드(70)를 붐(50)에 고정시켰다. 이때 볼트(74)는 붐(50)의 바디에 형성된 제2체결공(51)에 체결되었다.
이러한 제2종래 기술은 ‘특허문헌 1’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붐(50)의 슬라이딩 반복 작동시 슬라이딩 패드(70)와 브라켓(60) 사이에 조립공차로 발생된 미세한 틈에 의해 패드(70)의 탭이 마모될 수 있었으므로, 슬라이딩 패드(70)를 교체시키기 위해 볼트(74)를 풀고 와셔(75)를 풀고 슬라이딩 패드(70)를 빼내야 했다.
또한, 도 14와 같이 붐(50)의 바디에 볼트(74)를 체결시키기 위한 제2체결공(51)이 형성됨에 따라 붐(50)의 강도상 취약부가 발생되었다.
또한, 슬라이딩 장치의 부품은 와셔(75), 볼트(74), 슬라이딩 패드(70), 브라켓(60) 등 복수개의 부품이 필요하고, 설치가 번거롭고 오래 걸렸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82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드를 체결부품을 이용해 브라켓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를 브라켓에 삽입하거나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쉬운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붐 사이에 설치되며 구멍이 형성되는 브라켓; 구멍에 삽입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구멍을 둘러싼 브라켓의 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은 브라켓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과 각각 마주보는 패드의 양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패드는 신축성이 있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된다.
또한, 패드에는 틈새가 형성되며, 틈새는 패드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일측틈새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된다.
또한, 틈새는 패드의 타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타측틈새를 더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된다.
또한, 일측틈새와 타측틈새는 하나씩 번갈아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된다.
또한, 패드를 상면에서 볼 때, 틈새는 패드의 양측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된다.
또한, 패드에는 탈거용 홀이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구멍에 삽입된 패드가 브라켓의 경사진 양측면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므로 패드를 브라켓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체결부재인 볼트나 와셔 등이 필요하지 않아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의 구성부품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패드를 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홀이 붐에 형성될 필요가 없어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붐의 강도가 종래의 붐의 강도보다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패드를 신축시켜 구멍에 삽입시키거나 구멍으로부터 분리킬 수 있으므로 패드를 브라켓에 삽입시키거나 브라켓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간편하다.
또한, 패드에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거나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패드의 일측이나 타측만 신축되지 않고, 양측단 사이가 모두 균일하게 신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틈새가 패드의 양측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면 패드에 최소의 힘을 가해 최대의 신축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된 붐의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패드의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패드의 측단면도와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된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패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된 붐의 또 다른 사시도.
도 7은 '특허문헌 1'의 슬라이드 아암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일단면도.
도 9는 제2종래 기술의 슬라이딩 패드가 설치된 붐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제2종래 기술의 브라켓과 슬라이딩 패드의 결합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제2종래 기술의 슬라이딩 패드의 사시도.
도 14는 제2종래 기술의 슬라이딩 패드가 설치된 붐의 또 다른 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붐(100) 사이에 설치되며 구멍(210)이 형성되는 브라켓(200), 구멍(210)에 삽입되는 패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브라켓(200)은 붐(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실시 예에서 브라켓(200)은 'V'자에 가깝게 절곡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브라켓(200)의 본체에는 브라켓(200)을 붐(100)의 바디에 설치시키는 체결부재(214)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212)이 구멍(210)과 우측 끝단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실시 예에서 구멍(210)은 본체의 양측에 1개씩 형성된다.
패드(3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304, 305)과, 양측면(304, 305)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306)과 타측면(307), 양측면(304, 305)과 일측면(306) 및 타측면(307)에 연결된 상면(302) 및 상면(302)의 반대편에 위치되며 양측면(304, 305)과 일측면(306) 및 타측면(307)에 연결된 하면(3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양측면(304, 305)은 도면에서 패드(3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말한다.
또한, 패드(300)에는 상면(302)을 양측면(304, 305)과 일측면(306) 및 타측면(307)에 연결시키는 경사면(308)이 형성된다. 경사면(308)은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구멍(210)은 브라켓(200)의 양측면(216a, 216b)과 일측면 및 타측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때 구멍(210)을 둘러싼 브라켓(200)의 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216a, 216b)은 브라켓(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구멍(210)을 둘러싸고 있는 양측면(216a, 216b)의 상단간에 간격은 양측면(216a, 216b)의 하단간에 간격보다 좁다.
또한, 구멍(210)을 둘러싼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216a, 216b)과 각각 마주보는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의 상단간에 간격은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의 하단간에 간격보다 좁다.
보다 자세하게, 구멍(210)을 둘러싸고 있는 양측면(216a, 216b)의 상단간에 간격은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의 상단간에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구멍(210)을 둘러싸고 있는 브라켓(200)의 양측면(216a, 216b)의 하단간격은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의 하단간에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구멍(210)에 삽입된 패드(300)가 브라켓(200)의 경사진 양측면(216a, 216b)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므로 패드(300)를 브라켓(200)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체결부재인 볼트나 와셔 등이 필요하지 않아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의 구성부품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패드(300)를 붐(100)과 브라켓(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홀이 붐(100)에 형성되지 않아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붐(100)의 강도가 종래의 붐(100)의 강도보다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의 패드(300)는 신축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패드(300)를 신축시켜 구멍(210)에 삽입시키거나 구멍(210)으로부터 분리킬 수 있으므로 패드(300)를 브라켓(200)에 삽입시키거나 브라켓(2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간편하다.
제1실시 예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서 구멍(210)에 삽입된 패드(300)의 상면(302)은 브라켓(200)의 상면보다 더 외측으로 튀어나온다. 보다 자세하게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은 하단부터 그 양측면(304, 305)의 중앙에 근접한 부분까지 구멍(210)을 둘러싼 브라켓(200)의 양측면(216a, 216b)과 맞닿는다.
한편, 패드(300)에는 틈새(310)가 형성되며, 틈새(310)는 패드(300)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일측틈새(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틈새(310)는 패드(300)의 타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타측틈새(3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300)를 상면(302)에서 볼 때, 틈새(310)는 직사각형의 긴 줄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틈새(310)는 사각단면을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 틈새(310)는 패드(300)의 일측면(306)의 적어도 일부나 타측면(307)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는데, 제1실시 예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서 틈새(310)는 패드(300)의 일측면(306), 상면(302) 및 하면(303) 또는 타측면(307), 상면(302) 및 하면(303)을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틈새(310) 사이에는 공간(316a, 316b)이 형성되며, 이 공간(316a, 316b)은 틈새(310)를 이루는 양측면과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타측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한 공간(316a, 316b)은 상하측이 관통되어 패드(300)의 외부공간과 연통된다.
이러한 일측틈새(312)와 타측틈새(314)는 하나씩 번갈아 형성된다.
제1실시 예의 패드(300)는 양측면(304, 305)을 정면으로 볼 때, 틈새(310)가 패드(300)의 양측단, 즉 일측 끝단부터 타측 끝단까지 모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드(300)에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거나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패드(300)의 일측이나 타측만 신축되지 않고, 양측단 사이가 모두 균일하게 신축되는 효과가 있다. 즉 패드(300)의 신축이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모든 부위에서 균일하게 일어난다.
또한, 패드(300)를 상면(302)에서 볼 때, 틈새(310)는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패드(300)는 상면(302)에서 볼 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양측면(304, 305)의 간격을 신축시켜 구멍(210)에 삽입시켜 지지되게 하거나 구멍(210)에서 분리시키는 것이므로, 틈새(310)는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에 나란하게 형성되면 패드(300)에 최소의 힘을 가해 최대의 신축이 일어나게 된다.
제1실시 예에서 틈새(310)는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 중 좌측면에서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실시 예에서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 중 우측면에서 중앙부 사이에는 패드(300)의 상면(302)이 파진 형상의 유입홈(330)이 형성된다.
유입홈(330)은 일타측의 길이가 패드(300)의 일타측 길이와 비슷하게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유입홈(330)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의 길이가 폭에 비해 매우 길게 형성된다.
패드(300)를 상면(302)에서 볼 때, 유입홈(330)은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에 대해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된다. 즉 유입홈(330)은 틈새(310)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유입홈(330)간에 간격은 틈새(310)간에 간격보다 넓고, 유입홈(330)의 폭은 틈새(310)의 폭보다 넓다.
유입홈(330)에는 붐(100)이 슬라이딩될 때의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한 윤활제가 채워질 수 있다.
한편, 패드(300)를 상면(302)에서 볼 때, 틈새(310)의 끝단, 즉 패드(3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개방하는 끝단의 반대편 끝단의 위치는 유입홈(330)의 끝단보다 내측, 즉 패드(3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된다.
한편, 제1실시 예의 패드(300)에는 탈거용 홀(320)이 형성된다.
탈거용 홀(320)은 패드(300)의 상면(302)과 하면(303)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왜냐하면 탈거용 홀(320)의 깊이가 깊게 형성될수록 패드(300)를 신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쉽게 가할 수 있어 좋기 때문이다.
제1실시 예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에서 탈거용 홀(320)은 틈새(310)가 형성된 패드(300) 좌측의 반대편인 패드(300)의 우측면에 가깝게 형성된다.
탈거용 홀(320)은 서로 인접한 유입홈(330)들 사이에 형성되고, 패드(300)의 일타측의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탈거용 홀(320)의 좌우측 끝단은 유입홈(330)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탈거용 홀(320)은 좌우측 지름이 일타측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힘을 가해 양측면(304, 305)의 간격이 구멍(210)을 둘러싼 브라켓(200)의 양측면(216a, 216b)의 간격, 즉 구멍(210) 입구의 양측 간격보다 작거나 같아지도록 한 뒤, 패드(300)를 브라켓(200)의 구멍(210)에 끼워 넣고 패드(30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패드(300)의 양측면(304, 305)의 간격이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렇게 구멍(210)에 삽입된 패드(300)는 브라켓(200)의 경사진 양측면(216a, 216b)에 낀 상태가 되어 브라켓(200)의 구멍(210)에서 이탈하지 못한다.
반대로 패드(300)의 탈거용 홀(320)에 탈거용 공구 등을 삽입하여 패드(300) 양측면(304, 305)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힘을 가해 양측면(304, 305)의 간격이 구멍(210)을 둘러싼 브라켓(200)의 양측면(216a, 216b)의 간격, 즉 구멍(210) 입구의 양측 간격보다 작거나 같아지도록 해 패드(300)를 브라켓(200)의 구멍(2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붐(100)을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두 개라고 하고, 하나의 붐(100)을 외측 붐(100), 나머지 하나의 붐(100)을 외측 붐(100) 내에 배치되는 붐(100)을 내측 붐(100)이라고 한다면, 외측 붐(100)의 내측에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는 외측 붐(100)과 내측 붐(100) 사이에 배치되며, 내측 붐(100)이 외측 붐(100)에 대해 슬라이딩 될 때 내측 붐(100)은 외면이 패드(300)의 상면(302)과 맞닿은 채 슬라이딩된다.
한편, 제2실시 예의 패드(400)로서, 틈새(410)는 패드(400)의 하면(403)과 일측면 또는 패드(400)의 하면(403)과 타측면(407)만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틈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400)의 타측면(407)과 하면(403)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패드(400)는 상면(402)에서 하면(403)으로 갈수록 양측면(404, 405)의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양측면(404, 405)의 하단 간격을 구멍(210) 입구의 양측 간격만큼 줄여주면 패드(400)를 구멍(210)에 삽입시키거나 구멍(210)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틈새(410)는 반드시 패드(400)의 상면(402)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 실시 예의 틈새(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경사면(408)에 연결되고 하단이 패드(400)의 하면(403)에 연결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양측면의 간격이 벌어지는 뒤집어진 'V'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제2실시 예의 패드(400)의 탈거용 홀(420)의 형상과 위치는 제1실시 예의 패드(300)의 탈거용 홀(320)의 형상과 위치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붐 200 : 브라켓
210 : 구멍 216a, 216b : 양측면
300 : 패드 302 : 상면
303 : 하면 304 : 좌측면
305 : 우측면 306 : 일측면
307 : 타측면 310 : 틈새
312 : 일측틈새 314 : 타측틈새
320 : 탈거용 홈 400 : 패드(제2실시 예)

Claims (6)

  1.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붐사이에 설치되며 구멍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신축성이 있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멍을 둘러싼 상기 브라켓의 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과 각각 마주보는 상기 패드의 양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패드에는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틈새는 상기 패드의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상기 패드의 하면과 일측면 또는 상기 패드의 하면과 타측면만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패드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상기 양측면의 간격이 넓어져 상기 양측면의 하단간격을 상기 구멍 입구의 양측 간격만큼 줄여주면 상기 패드를 구멍에 삽입시키거나 구멍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상기 패드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일측틈새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상기 패드의 타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타측틈새를 더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측틈새와 상기 타측틈새는 하나씩 번갈아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를 상면에서 볼 때, 상기 틈새는 상기 패드의 양측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탈거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KR1020160105891A 2016-08-22 2016-08-22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KR10184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91A KR101848738B1 (ko) 2016-08-22 2016-08-22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91A KR101848738B1 (ko) 2016-08-22 2016-08-22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11A KR20180021411A (ko) 2018-03-05
KR101848738B1 true KR101848738B1 (ko) 2018-05-21

Family

ID=6172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891A KR101848738B1 (ko) 2016-08-22 2016-08-22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321B1 (ko) * 2020-11-13 2021-05-24 (주) 대홍 다단식 붐의 탄성지지 수단을 구비한 윈치 크레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980A (ja) * 2007-04-23 2008-11-06 Tadano Ltd 伸縮ブームのスライド装置
JP2011042496A (ja) 2009-08-24 2011-03-03 Kobe Steel Ltd 伸縮ブ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980A (ja) * 2007-04-23 2008-11-06 Tadano Ltd 伸縮ブームのスライド装置
JP2011042496A (ja) 2009-08-24 2011-03-03 Kobe Steel Ltd 伸縮ブ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11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738B1 (ko) 텔레스코픽 붐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드 어셈블리
JP6486693B2 (ja) クロスヘッド軸受装置およびエンジン
JP4486532B2 (ja) 静翼挿入引抜き装置、翼環の組み立て方法及び静翼引抜き方法
CN106164500B (zh) 液压缸盖
KR960010227A (ko) 분할 공급 가공 장치
KR20100041603A (ko) 중장비용 아웃트리거 구조
CN210623251U (zh) 一种自适应抗侧弯磨损的油缸结构
JP2006328848A (ja) 作業装置動作部の軸構造
GB2576647A (en) Hydraulic breaker, in particular for an excavator
CN219932611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液压油缸
JP2001310272A (ja) 流体作動式の打撃装置において汚れの進入を防止するための保護装置
KR200414107Y1 (ko) 프리로딩 잭
KR20190129725A (ko) 공구 부싱, 파쇄 해머 및 장착 방법
CN204585127U (zh) 一种钻井泵缸套、活塞拆装工具
KR200417875Y1 (ko) 다단붐 유압실린더
CN215860244U (zh) 一种液压支架与大溜子连接龟头
CN213445975U (zh) 一种有限空间张拉千斤顶
CN217926556U (zh) 一种大跨距浮动隔套结构
KR20090069564A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JP7338447B2 (ja) ピン連結装置及び建設機械
CN103058076B (zh) 起重机及其伸缩油缸安装结构
JP3745126B2 (ja) 油圧シリンダ
JP2013173218A (ja) ブレーカーのフロントカバー
CN213839392U (zh) 倾动设备抗震动锁紧装置
JP3567369B2 (ja) 作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