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589B1 -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589B1
KR101848589B1 KR1020170137042A KR20170137042A KR101848589B1 KR 101848589 B1 KR101848589 B1 KR 101848589B1 KR 1020170137042 A KR1020170137042 A KR 1020170137042A KR 20170137042 A KR20170137042 A KR 20170137042A KR 101848589 B1 KR101848589 B1 KR 10184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eight
present
join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구
Original Assignee
강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구 filed Critical 강경구
Priority to KR102017013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선을 이용하여 일정 망목을 형성한 철망의 양쪽을 접어주어 물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쉬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트레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인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바닥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전면결합부(140), 후면결합부(150)을 형성한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면결합부(140)는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로 형성되어 있고,
후면결합부(150)는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한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강화부(160) 및 결합탄성강화부(170)가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a functional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선을 이용하여 일정 망목을 형성한 철망의 양쪽을 접어주어 물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쉬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트레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인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메쉬형 트레이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11)(12)을 일정 간격으로 접착시켜 원하는 망목의 철망이 형성되게 한 후 상기 철망의 양측을 상부로 접어주어 도 2와 같이 U자 형태를 갖도록 하는 트레이(1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트레이(10)는 천정이나 벽 등에 도시되지 아니한 행거나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매달거나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트레이(10)에는 도 3과 같이 케이블(15)이 설치되거나 물품이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메쉬형 트레이(10)는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케이블(15)을 별도의 작업 없이 원하는 곳에서 철망의 망목을 이용하여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트레이(10)는 통상 도 2와 같은 형태로 매달려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트레이(10)에 물품을 설치하거나 케이블(15)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트레이(10)의 양측 선단에 케이블(15)이 스치게 되거나 작업자의 손이 스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여기서 트레이(10)의 양측 선단에는 철선(11)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선단이 날카롭게 절단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이 상기 철선(11)의 선단에 스치거나 케이블(15)이나 적재 물품이 철선(11)의 선단에 스치게 되면 작업자가 다치거나 케이블(15) 의 피복이나 물품의 표면이 벗겨지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이는 도 3과 같이 트레이(10)의 내측으로 케이블(15)을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블(15)이 트레이(10)의 양측면을 타고 설치가 이루어지거나, 물품이 설치되는 경우 스치면서 설치되어야 하고, 이때 트레이(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 철선(11)은 그 선단이 날카롭게 절단되어 있어 케이블(15)의 피복과 물품의 표면이 벗겨지는 문제와 함께 작업자의 신체도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다량의 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물품을 적재할 때 전체적인 하중에 대하여 트레이의 변형이 발생하여 이를 보강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27865호(메쉬형 트레이, 이하 선행기술)는 "철선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 접착시킨 후 양측면을 상부로 들어올려 U자 형을 갖도록 하되 수직으로 세워진 철선의 선단 외측으로 수평 철선이 고정되게 하여 트레이를 구성한 메쉬형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철선의 선단 내측으로 보강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트레이" 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이 필요하거나 별도의 결합단자를 사용하여 결합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터널, 건물 등의 천장 등에서 사용하는 작업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인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바닥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전면결합부(140), 후면결합부(150)을 형성한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면결합부(140)는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로 형성되어 있고,
후면결합부(150)는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한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강화부(160) 및 결합탄성강화부(170)가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이 필요하거나 별도의 결합단자를 사용하여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없이 케이블 트레이들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인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터널, 건물 등의 천장 등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인 경우 케이블 트레이들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인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트레이의 사용상태 일부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전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는 메쉬형 트레이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전면결합부(140), 후면결합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100)는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한 바닥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전면결합부(140), 후면결합부(150)를 형성하는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100)이다.
본 발명의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의 재질은 탄소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100)를 형성하는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의 연결은 통상의 결합 수단인 용접 재료를 이용한 용접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100)는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바 연결 부분의 결합력을 현저히 높이는 용접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용접 재료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바 본 발명의 용접재료는 금속의 심선 외측에 황화철을 함유한 일루메나이트계 피복제와 규산소다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설치하되, 상기 금속은 연강 또는 스테인레스이고, 상기 일루메나이트계 피복제는 일루메나이트 100중량부에 철분 20∼100중량부, 페로망간 20~100중량부, 황화철 10~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규산소다는 일루메나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20 중량부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용접재료는 플렉서빌러티(flexibility)가 높아 용접되고 난 후에도 결합력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있으며, 특히 용접되고 난 후에도 내구성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피복제에 천연의 재료인 결합 증진 조성물을 혼합하여 용접 재료의 용접 후의 용접력을 높이고 특히 내산성 및 내염기성 등의 내화학성을 높여서 부식 및 풍화를 예방함은 물론 용접 부위의 내구성을 현저히 증진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복제의 용접 재료의 용접 후에 내산성 및 내염기성 등의 내화학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결합 증진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천연 성분이 용접 재료에 포함된 성분과 반응을 일으켜 피복제 전체의 결합력을 증진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일루메나이트 100중량부에 결합 증진 조성물을 0.1~1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한 결합 증진 조성물은 마황 100중량부에 함초 50~80중량부, 나복자 10~40중량부, 맥문동 10~40중량부, 길경 10~40중량부를 혼합히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결합 증진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면 약 800~100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이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추출액을 증류과정을 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약 80~15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합 증진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0~85%[질량%] 에탄올 800~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 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약 80~15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피복제에 천연 환경 첨가물을 첨가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천연 환경 첨가물은 천연 성분을 이용한 첨가물로서 피복제에 포함되는 용접제의 유독한 성분을 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고 더불어 피복제에 포함된 용접 성분이 용접되고 난 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천연 환경 첨가물은 창출 30~55중량부, 목통 30~55중량부, 생지황 110~150중량부, 지부자50~80중량부, 형개 50~80중량부, 백출 100~15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천오두 80~120 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시호 80~120 중량부, 천궁 80~120 중량부, 적복령 80~120 중량부, 전호 80~120 중량부, 지각 80~120 중량부, 천마 80~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천연 환경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면 약 800~100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이 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천연 환경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80%[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800~1000중량부로 희석된 것(즉, 증류수+분말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피복제에 강도 강화 첨가물을 첨가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일루메나이트 100중량부에 강도 강화 첨가물을 0.1~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피복제는 용접 과정에서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강도 강화 첨가물을 첨가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상기한 강도 강화 첨가물은 수산화알루미늄, 물유리, 인산, 초산, 흑연이 혼합된 조성물인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한 강도 강화 첨가물은 수산화알루미늄 100중량부에 물유리 20~30중량부, 인산 5~10중량부, 초산 5~10중량부, 흑연 2~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상기한 수산화 알루미늄은 화염 등으로 가열되면 결정수를 방출하는 특징이 있어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닥부(110)는 케이블 트레이(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케이블 등이 얹혀져서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바닥부는 앞서 설명한 바처럼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좌측면부(120)는 케이블 트레이(1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케이블 등이 얹혀져서 좌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좌측면부는 앞서 설명한 바처럼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우측면부(130)는 케이블 트레이(10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케이블 등이 얹혀져서 우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우측면부는 앞서 설명한 바처럼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5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100)에 전면결합부(140) 및 후면결합부(150)가 모두 형성되어 있어 전면결합부(140) 및 후면결합부(150)가 서로 연결되어 터널, 건물의 천정이나 바닥에 길게 늘어진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담아서 안전하게 안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도 1 내지 3의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없어서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는 경우 별도의 연결소자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용접 등을 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터널, 건물의 천정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작업효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100)에 전면결합부(140) 및 후면결합부(150)를 형성하여 별도의 연결소자 내지는 용접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결합하고 탈착하는 기능 및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전면결합부(140)는 후면결합부(150)와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전면결합부(14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철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는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닥전면결합부(141)는 하나의 횡방향의 철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결합부의 바닥후면결합부(151)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하기할 결합탄성강화부(17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좌측면전면결합부(142)는 하나의 횡방향의 철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결합부의 좌측면후면결합부(152)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우측면전면결합부(143)는 하나의 횡방향의 철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결합부의 우측면후면결합부(153)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전면결합부(140)의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와 후면결합부(150)의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에 각각 결합되게 되어 케이블 트레이(100)가 서로 완고하고 견고하게 결합하는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후면결합부(150)는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후면결합부(14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2가닥의 철선(150-1, 150-2))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는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후면결합부(14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2가닥의 철선(150-1, 150-2))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앞가닥 철선(150-1) 및 뒤가닥 철선(150-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앞가닥 철선(150-1)으로 형성된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뒤가닥 철선(150-2)으로 형성된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앞가닥 철선(150-1) 및 뒤가닥 철선(150-2)의 간격은 상기한 한가닥 철선으로 형성된 전면결합부(140)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서 보는 것처럼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가닥 철선으로 형성된 전면결합부(140)가 후면결합부(150)의 앞가닥 철선(150-1) 및 뒤가닥 철선(150-2)의 사이로 삽입되어 꽉 고정되는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한 바닥후면결합부(151)는 2가닥의 횡방향의 철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결합부의 바닥전면결합부(141)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된다.
상기한 좌측면후면결합부(152)는 2가닥의 횡방향의 철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결합부의 좌측면전면결합부(142)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우측면후면결합부(153)는 2가닥의 횡방향의 철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결합부의 우측면전면결합부(143)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전면결합부(140)에 결합강화부(160) 및 결합탄성강화부(170)가 부가되어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결합탄성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강화부(160)는 본 발명의 다수의 케이블 트레이(100)들이 서로 결합이 되어 케이블이 안치되는 경우 케이블의 무게의 하중에 의하여 케이블 트레이(100)의 결합이 약화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결합탄성강화부(170)만 존재하고 결합강화부(160)가 없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100)에 케이블이 안치되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전면결합부(140)와 후면결합부(150)의 결합력이 현저히 약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결합강화부(160)가 있는 경우 케이블의 하중을 분산하게 하는 작용을 하여 결과적으로 전면결합부(140)와 후면결합부(150)의 결합력을 증진하게 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5b에서 보는 거처럼, 결합강화부(160)는 결합탄성강화부(170)의 말단부(171)에 봉(bar)의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한 결합탄성강화부(170)는 상기한 전면결합부(140)를 가로 질러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ㄱ 자로 꺽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철선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탄성강화부(170)의 말단부(171)는 후면결합부(150)의 앞가닥 철선(150-1)에 결합탄성강화부(170)에 형성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면결합부와 전면결합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안치하는 트레이를 생산, 제조, 가공,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를 생산, 제조, 가공,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케이블 트레이(100),
종철선(101), 횡철선(102),
바닥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전면결합부(140),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
후면결합부(150),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
결합강화부(160), 결합탄성강화부(170),

Claims (3)

  1. 다수의 종철선(101) 및 다수의 횡철선(102)이 서로 연결되어 바닥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전면결합부(140), 후면결합부(150)을 형성하되,
    상기한 전면결합부(14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한가닥의 철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한 후면결합부(15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앞가닥 철선(150-1) 및 뒤가닥 철선(150-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앞가닥 철선(150-1) 및 뒤가닥 철선(150-2)의 간격은 상기한 한가닥 철선으로 형성된 전면결합부(140)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한가닥 철선으로 형성된 전면결합부(140)가 후면결합부(150)의 앞가닥 철선(150-1) 및 뒤가닥 철선(150-2)의 사이로 삽입되어 꽉 고정되는 기능이 수행되어 별도의 연결소자 또는 용접이 필요없이 전면결합부(140)와 후면결합부(150)가 간편하게 결합하고 탈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한 전면결합부(140)에 결합강화부(160) 및 결합탄성강화부(170)가 부가되어 전면결합부(140)와 후면결합부(15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결합탄성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한 결합강화부(160)는 결합탄성강화부(170)의 말단부(171)에 봉(bar)의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이고,
    상기한 결합탄성강화부(170)는 다수의 철선의 구조로 전면결합부(140)를 가로 질러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ㄱ 자로 꺾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면결합부(140)는 바닥전면결합부(141), 좌측면전면결합부(142), 우측면전면결합부(143)로 형성되어 있고,
    후면결합부(150)는 바닥후면결합부(151), 좌측면후면결합부(152), 우측면후면결합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3. 삭제
KR1020170137042A 2017-10-23 2017-10-23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KR10184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42A KR101848589B1 (ko) 2017-10-23 2017-10-23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42A KR101848589B1 (ko) 2017-10-23 2017-10-23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589B1 true KR101848589B1 (ko) 2018-04-12

Family

ID=6196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042A KR101848589B1 (ko) 2017-10-23 2017-10-23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3352A (zh) * 2018-10-06 2018-11-30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玻璃钢桥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295A1 (en) * 2003-08-20 2005-02-24 Howard Sinkoff Novel cable tray assembl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295A1 (en) * 2003-08-20 2005-02-24 Howard Sinkoff Novel cable tray assembl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3352A (zh) * 2018-10-06 2018-11-30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玻璃钢桥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589B1 (ko) 기능성 케이블 트레이
CN204151692U (zh) 一种模块化装配式脚手架系统
CN201786008U (zh) 外爬架自动跟进卸料平台
CN102412521A (zh) 一种高压输电线路带电作业设备
CN110965670B (zh) 一种剪力墙水平止水钢板免焊接安装方法
US20020108338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reinforcing concrete panels using fiberglass reinforcing bars
CN107558793B (zh) 一种架空线路电杆上多层横担提升安装方法及其专用工具
CN203452452U (zh) 一种栅栏
CN207093464U (zh) 一种结构优化的工业风扇安装结构
CN205116496U (zh) 跨层全玻幕墙的连接结构
EP0859099A3 (en) Wire lattice girder combinable with arc-welded steel mesh
KR101941816B1 (ko) 무볼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N208668689U (zh) 一种复合钢制轻质的隔墙结构
CN210659209U (zh) 一种自制脚手管卡环扣件
KR101211763B1 (ko) 조립식 강지보의 결합구조
US20110308193A1 (en) Packaged Roll Construction Material
CN211007751U (zh) 一种加固古建筑大木构件裂缝的装置
KR20200025092A (ko) 기능성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3756201U (zh) 一种钢筋网联网器
CN204782658U (zh) 一种装饰百叶
CN213862383U (zh) 搬运车用三角箱
CN210151773U (zh) 一种可多组固定连接的铁塔塔脚结构
CN204311733U (zh) 脚手架跳板拼装式压杆固定装置
CN209634505U (zh) 镀锌消防钢管搬运车
JP3226464U (ja) ロングレール連結作業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