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946B1 -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946B1
KR101847946B1 KR1020160135216A KR20160135216A KR101847946B1 KR 101847946 B1 KR101847946 B1 KR 101847946B1 KR 1020160135216 A KR1020160135216 A KR 1020160135216A KR 20160135216 A KR20160135216 A KR 20160135216A KR 101847946 B1 KR101847946 B1 KR 10184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worker
work
termi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박주현
손정도
김동일
최명은
Original Assignee
㈜하이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하이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3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프로젝트의 작업자별 작업 시간 관리 시스템으로 실제로 행해진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스케줄 관리를 자율적으로 맡김으로써 프로젝트 리더와 작업자 간의 업무의 간소화 및 작업 시간 관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이름,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400)(500)(600)의 식별정보 및 스마트 기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프로젝트 정보, 작업 상세 정보, 각 작업자에게 할당된 프로젝트와 관련 작업상세활동(ITEM) 정보, 작업자의 작업 시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프로젝트를 등록하거나, 수정이 가능하고 상기 프로젝트가 중복으로 등록 및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하여 공종 별로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상세활동의 중복 여부와 타당성 검토를 거친 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분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상세활동(ITEM) 편집 모듈(120)과, 상기 작업자에게 배정된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만을 선별하여 작업 시간 입력 시에 작업자에게 관련 없는 작업상세활동은 생략하고 필요한 내용만을 등록하는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 입력모듈(130)과, 상기 등록한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만을 표시하여 간편한 입력을 돕는 작업시간 입력모듈(140) 및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간의 내역 조회를 위한 내용조회 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워크스테이션(Personal Computer)에 설치되어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를 위한 환경 설정값의 수정 및 적용,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데이터베이스(200)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및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의 상기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접속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specific project}
본 발명은 휴먼 리소스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프로젝트의 작업자별 작업 시간 관리 시스템으로 실제로 행해진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스케줄 관리를 자율적으로 맡김으로써 프로젝트 리더와 작업자 간의 업무의 간소화 및 작업 시간 관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PMS)은 프로젝트의 등록 후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구성 및 태스크별 작업자 지정 등의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자의 현 작업 진척 현황, 프로젝트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은 자원 관리 대상이 제조업체의 자재 관리 등의 경우 적합하지만, 인적 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
프로젝트 리더가 작업자에게 작업을 할당하여 스케줄을 관리하는데 있어 작업자가 불가피한 이유로 일정 변경을 요청할 시에 프로젝트 리더의 승인이 필요하게 되는데, 그에 따른 요청 서류 작업과 승인이 날 때까지의 과정 그리고 그 사이 작업자가 일정을 진행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비효율적인 시간이 발생하였다. 또한, 다수의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작업자의 수가 많은 데 비하여 프로젝트 리더는 소수이므로 인적 자원의 통제 및 관리의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4189호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워크 ECM에서 프로젝트관리를 위한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프로젝트 리더가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파악 및 작업자의 업무 로드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는 할당된 프로젝트에 관해 해당 프로젝트의 등록 및 삭제, 그리고 관련 작업상세활동의 등록 및 삭제가 용이하게 하는 한편, 작업자는 실제 작업 시간을 입력함으로써 현재 프로젝트 진행 상황이 작업 시간에 반영되도록 하며,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 항목을 관리하는 관리자(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는 별도로 지정하여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의 중복이 없도록 하고 프로젝트 분석에 필요한 작업상세활동을 세분화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트 분석 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Project Administrator), 작업자(Worker) 및 프로젝트 리더(Project Manager, Project Engineer, Leader Engineer, 팀장, 임원)의 이름,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400)(500)(600)의 식별정보 및 스마트 기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프로젝트 정보, 작업 상세 정보, 각 작업자에게 할당된 프로젝트와 관련 작업상세활동(ITEM) 정보, 작업자의 작업 시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프로젝트를 등록하거나, 수정이 가능하고 상기 프로젝트가 중복으로 등록 및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하여 공종 별로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상세활동의 중복 여부와 타당성 검토를 거친 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분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상세활동(ITEM) 편집 모듈(120)과, 상기 작업자에게 배정된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만을 선별하여 작업 시간 입력 시에 작업자에게 관련 없는 작업상세활동은 생략하고 필요한 내용만을 등록하는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 입력모듈(130)과, 상기 등록한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만을 표시하여 간편한 입력을 돕는 작업시간 입력모듈(140) 및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간의 내역 조회를 위한 내용조회 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워크스테이션(Personal Computer)에 설치되어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를 위한 환경 설정값의 수정 및 적용,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데이터베이스(200)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및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의 상기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접속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방법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를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하는 단계(S100);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가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 접속되어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을 통해 프로젝트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단계(S110);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가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 접속되어 작업상세활동 편집 모듈(120)을 통해 작업상세활동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단계(S120);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를 이용해 등록된 프로젝트 중 할당된 프로젝트가 선택되어 My JOB으로 등록되고, 등록된 My JOB에 따른 작업상세활동(ITEM) 역시 선택되어 My ITEM으로 지정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단계(S130);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작업시간이 입력되는 단계(S140);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를 통해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등록, 지정 및 입력된 JOB/ITEM 및 작업시간이 조회되는 단계(S150); 및 상기 조회된 작업시간에 따라 부하가 발생한 ITEM이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되고, 할당된 ITEM을 수행한 다른 작업자는 작업시간을 자신의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작업시간이 입력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웹과 하이브리드 앱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작업자가 리얼 타임으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며 정보를 하나의 서버에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수집이 용이해진다.
둘째, 프로젝트 리더가 투입 인적 자원의 선정 및 배정, 일정 변동 요청 발생 시 변경을 위한 과정을 생략 가능하게 됨에 따라 프로젝트 리더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준다.
셋째, 작업 시간의 통계를 통해 작업자의 업무 할당량과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을 파악하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위험성과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다.
넷째, 기존의 프로젝트 통계와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통계와의 비교를 통해 프로젝트의 상황을 추이 및 예측이 가능해 계획된 작업 시간과 실제 작업 시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계획 수립 시 예상하지 못했거나 돌발 상황 등을 알아내어 신규 프로젝트 착수 시 다양한 변수를 염두에 두고 정밀한 작업 시간을 추산할 수 있다.
다섯째, 신규 프로젝트의 경우는 인적 자원의 배분과 업무 할당량을 예측하여 프로젝트 추진 여부의 결정과 추진 시점 그리고 스케줄 계획이 용이해진다.
여섯째,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활동 편집 관리자를 별도로 지정하여 프로젝트 분석 시 필요한 작업상세활동을 분석 및 설정하고, 중복되는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가동일 기준으로 매일 전날의 작업 시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작업자 단말기 부팅 시, 작업자 단말기가 가동 중일 때는 정오와 자정과 같이 특정 정해진 시간에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이 강제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월 초에는 미입력자를 프로그램 내에서 검색하여 일괄적으로 입력 요구를 통보하여 작업자의 작업 시간의 누락을 예방하고 프로젝트 리더는 미입력자의 관리를 생략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당월 8일이 되면 그 전월의 작업시간의 편집이 불가하게 설정하는 경우여 입력된 작업 시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Graphic User Interface)(100)와, 데이터베이스(200), 사용자 인증모듈(300),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로 구성된다.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는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Project Administrator), 작업자(Worker) 및 프로젝트 리더(Project Manager, Project Engineer, Leader Engineer, 팀장, 임원) 의 워크스테이션(Personal Computer)에 설치되어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를 위한 환경 설정값의 수정 및 적용,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데이터베이스(200)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화면으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 작업상세활동(ITEM) 편집 모듈(120),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 입력모듈(130), 작업시간 입력모듈(140), 내역조회 모듈(150), 이벤트 감지 모듈(160),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 및 이벤트 통보 모듈(180)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로젝트(JOB) 편집 모듈(110)은 프로젝트를 등록하거나, 수정이 가능하고, 해당 화면은 지정된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만이 접속 가능하므로 프로젝트가 중복으로 등록 및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작업상세활동(ITEM) 편집 모듈(120)은 공종 별로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한데, 공종은 프로젝트 진행 시에 거치는 업무를 단계별로 나눈 것으로, 해당 화면은 지정된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만이 접속 가능하므로 작업상세활동의 중복 여부와 타당성 검토를 거친 후에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분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 입력모듈(130)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가 등록한 프로젝트(JOB) 중 본인에게 할당된 프로젝트만을 선택하여 'My JOB'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상세활동(ITEM) 역시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가 등록한 작업상세활동 중 선택하여 'My ITEM'으로 지정 가능하다.
작업시간 입력모듈(140)은 작업자에게 배정된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만을 선별하여 작업 시간 입력 시에 작업자에게 관련 없는 작업상세활동은 생략하고 필요한 내용만을 표시하여 간편한 입력을 돕는다. 작업자는 통신망이나 네트워크(700)를 통해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접속 가능하다. 작업 시간 입력은 일별로 가능하며 해당 프로젝트의 해당 작업상세활동에 실제 작업 시간을 입력한다. 입력된 작업 시간은 당일, 주간, 월간 그리고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 별로 합계가 표시되어 현재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내역조회 모듈(150)은 작업 시간의 내역 조회를 위한 것으로,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 작업자 기준 일 별 작업 시간,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으로 통계 조회가 가능하며,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로도 세분화하여 조회 가능하고,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 및 월별로도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통계를 통해 각 작업자의 작업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비교적 여유가 있는 작업자에게 업무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료로써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을 유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사한 프로젝트와 비교해 향후 추이를 예상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을 경우에 프로젝트 리더가 이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계획한 작업 시간과의 실제 작업 시간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경우는 진행 상황을 볼 수 있고, 종료된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향후 착수할 프로젝트의 계획을 수립할 때 실제 작업 시간과 근사치에 가까운 계획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 모듈(160)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ITEM)이 편집되면 이를 감지하고,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로부터 특정 작업자가 작업 부하에 걸린 경우에도 이를 감지한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500)에서 가동일 기준으로 매일 전날의 작업 시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와 월초가 되면 전월의 가동 일수를 기준으로 작업 일수가 부족한 경우에도 미입력자를 감지한다.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은 미입력자의 해당 작업자 단말기(500)로 통보하기 위한 내용을 생성한다. 이때,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ITEM)이 편집되어 감지되면 해당 작업자 단말기(500)로 통보하기 위한 내용을 생성하며,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단말기(600)로 통보할 내용을 생성한다.
이벤트 통보 모듈(180)은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에서 생성된 이벤트 내용을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작업자나 프로젝트 리더의 단말기로 통보한다.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ITEM)의 편집 내용,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 전월의 가동 일수를 기준으로 작업 일수가 부족한 미입력자의 경우 사내메신저, 문자메시지, 이메일 형식으로 생성되어 통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500)에서 가동일 기준으로 매일 전날의 작업 시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500) 부팅 시에, 작업자 단말기(500)가 가동 중일 때는 정오와 자정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작업 시간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창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200)는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이름, PC 식별정보, 스마트 기기 번호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와 프로젝트 정보, 작업 상세 정보, 각 작업자에게 할당된 프로젝트와 관련 작업상세활동(ITEM) 정보, 작업자의 작업 시간 정보가 저장되며,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증모듈(300)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의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접속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는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워크스테이션(Personal Computer)이나 스마트 기기(스마트 패드, 스마트폰)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만이 신규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존 프로젝트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과 작업상세활동의 등록 및 삭제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작업자는 자율적으로 자신이 담당하게 된 프로젝트를 추가하며 동시에 필요한 관련 작업상세활동을 지정하고 실제로 수행한 작업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웹 및 하이브리드 앱을 통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터넷이 사용 가능한 곳에서 어느 시간이든지 자신의 작업 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데이터를 한 곳에서 취합하여 활용 가능하게 만든다.
프로젝트 리더는 특정 기간에 대한 작업자 기준으로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 작업자 기준으로 일별 작업시간, 프로젝트 기준으로 작업자별 작업 시간의 통계가 조회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를 등록한다(S100). 이때,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이름, PC 식별정보, 스마트 기기 번호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한다. 이때,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나 프로젝트 리더의 단말기로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GUI(100)를 통해 등록한다.
이어 신규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존 프로젝트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과 작업상세활동의 등록 및 삭제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400)로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 접속하여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을 통해 프로젝트(JOB)를 등록한다(S110).
그 다음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400)로 작업상세활동 편집 모듈(120)을 통해 작업상세활동(ITEM)을 공종 별로 편집하고 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다(S120). 이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화면은 지정된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만이 접속 가능하므로 프로젝트(JOB)가 중복으로 등록 및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상세활동(ITEM)의 경우에 중복 여부와 타당성 검토를 거친 후에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무분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등록된 프로젝트 중 본인에게 할당된 프로젝트만을 선택하여 My JOB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상세활동(ITEM) 역시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가 등록한 작업상세활동 중 선택하여 My ITEM으로 등록한다(S130).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는 복수의 작업자가 작업하게 되며,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게는 복수의 작업상세활동(ITEM)이 할당되게 되고, 각각의 작업자는 복수의 작업상세활동(ITEM)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A 프로젝트에 대해 a, b, c, d 4개의 도면을 그려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 프로젝트 리더는 작업자 ㄱ에게 a, b도면을 작업자 ㄴ에게 c, d 도면을 작업상세로 하여 특정 시한 내에 그릴 것을 할당하고, 각각의 작업자는 해당 작업상세를 My ITEM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등록한 My ITEM에 대하여 작업한 경우 해당 ITEM에 대한 작업시간을 입력한다(S140). 이와 같이 작업자에게 배정된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만을 선별하여 작업 시간 입력 시에 작업자에게 관련 없는 작업상세활동은 생략하고 필요한 내용만을 표시하여 간편한 입력을 돕게 된다. 작업자는 통신망/네트워크(700)를 통해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접속하게 되며, 작업 시간 입력은 일별로 가능하며 해당 프로젝트의 해당 작업상세활동에 실제 작업 시간을 입력한다. 입력된 작업 시간은 당일, 주간, 월간 그리고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 별로 합계가 표시되어 현재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프로젝트 리더는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를 통해 작업자의 JOB/ITEM 및 작업시간을 조회한다(S150).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 작업자 기준 일 별 작업 시간,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으로 통계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로도 세분화하여 조회 가능하고,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 및 월별로도 조회가 가능하다. 그리고 통계를 통해 각 작업자의 작업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조회결과 작업상세(ITEM)에 부하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한다(S160). 이러한 판단은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비교적 여유가 있는 작업자에게 업무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료로써 확인할 수 있는데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을 유추하거나, 기존의 유사한 프로젝트와 비교해 향후 추이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을 경우에 프로젝트 리더가 이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돕도록 하는데, 계획한 작업 시간과의 실제 작업 시간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경우는 진행 상황을 볼 수 있고, 종료된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향후 착수할 프로젝트의 계획을 수립할 때 실제 작업 시간과 근사치에 가까운 계획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상세에 부하가 발생한 경우 부하가 발생한 ITEM을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한다(S170). 이러한 작업 할당은 프로젝트 리더가 프로젝트 담당자들과의 회의를 통해 할당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의는 직접적인 미팅이나 사내메신저 등을 통한 온라인 회의도 가능하다.
한편, 부하가 발생한 ITEM을 할당받는 다른 작업자(새로운 작업자)는 할당된 업무를 자신의 단말기(500)를 통해 MY ITEM으로 등록하고, 작업 후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작업시간을 입력한다(S180).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다.
이벤트 발생 시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의 이벤트 감지모듈(160)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 내용을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에서는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감지된 이벤트 내용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벤트 내용을 이벤트 통보 모듈(180)에서는 해당 프로젝트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를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참조하여 통보한다(S190). 이러한 이벤트는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ITEM)의 편집 내용,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500)에서 가동일 기준으로 매일 전 날의 작업 시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500) 부팅 시에, 작업자 단말기(500)가 가동 중일 때는 정오, 자정에 작업 시간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월초에 전월의 가동 일수를 기준으로 작업일수가 미달인 미입력자를 취득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전월의 작업 시간 입력 요구하는 메시지를 통보하거나 또는 전체 작업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프로젝트 리더는 미입력자에 대한 작업을 따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 시간 입력을 실수없이 누락하지 않고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당월의 입력 마감일(예로써, 8일)이 지나면 전월의 작업 시간은 편집 불가능해지도록 하여 이전에 입력된 작업 시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보된 이벤트에 따라 해당 작업자 단말기(500)로 그 내용이 통보된다(S200). 이러한 통보에 따라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의 변경 사항을 전체 작업자 모두와 공유할 수 있고, 프로젝트 리더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 파악 및 위기 대처가 가능하며, 해당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 시간 입력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게 되어 프로젝트, 업무상세 현황의 진행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지고, 입력 마감일 이후에는 더 이상 작업 시간의 편집이 불가능해지므로 신뢰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Graphic User Interface)
110 : 프로젝트 편집 모듈 120 : 작업상세활동(ITEM) 편집 모듈
130 :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 입력모듈
140 : 작업시간 입력모듈 150 : 내역조회 모듈
160 : 이벤트 감지 모듈 170 :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
180 : 이벤트 통보 모듈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사용자 인증모듈
400 :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 500 : 작업자 단말기
600 :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 700 : 통신망/네트워크

Claims (7)

  1.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이름,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400)(500)(600)의 식별정보 및 스마트 기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프로젝트 정보, 작업 상세 정보, 각 작업자에게 할당된 프로젝트와 관련 작업상세활동(ITEM) 정보, 작업자의 작업 시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프로젝트를 등록하거나, 수정이 가능하고 상기 프로젝트가 중복으로 등록 및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하여 공종 별로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상세활동의 중복 여부와 타당성 검토를 거친 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분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상세활동(ITEM) 편집 모듈(120)과, 상기 작업자에게 배정된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만을 선별하여 작업 시간 입력 시에 작업자에게 관련 없는 작업상세활동은 생략하고 필요한 내용만을 등록하는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 입력모듈(130)과, 상기 등록한 프로젝트 및 작업상세만을 표시하여 간편한 입력을 돕는 작업시간 입력모듈(140)과,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간의 내역 조회를 하되,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 작업자 기준 일 별 작업 시간,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으로 통계 조회가 가능하며,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로도 세분화하여 조회 가능하고,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 및 월별로도 조회가 가능하여 각 작업자의 작업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작업자에게 업무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료로써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을 경우에 프로젝트 리더가 이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계획한 작업 시간과의 실제 작업 시간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경우는 진행 상황을 볼 수 있고, 종료된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향후 착수할 프로젝트의 계획을 수립할 때 실제 작업 시간과 근사치에 가까운 계획 시간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용조회 모듈(150)과, 프로젝트(JOB)나 작업상세활동(ITEM)의 편집,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 매일 전날의 작업 시간의 미입력자 및 월초에 작업시간이나 입력일수가 부족한 미입력 작업자를 취득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160)과, 상기 미입력 작업자의 단말기(500)로 통보하기 위한 내용을 생성하는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 및 상기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에서 생성된 이벤트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작업자나 프로젝트 리더의 단말기로 통보하는 이벤트 통보 모듈(180)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의 워크스테이션(Personal Computer)에 설치되어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를 위한 환경 설정값의 수정 및 적용,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데이터베이스(200)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및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 작업자 단말기(500) 및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의 상기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 접속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가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신규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존 프로젝트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과 작업상세활동의 등록 및 삭제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자율적으로 자신이 담당하게 된 프로젝트를 추가하며 동시에 필요한 관련 작업상세활동을 지정하고 실제로 수행한 작업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웹 및 하이브리드 앱을 통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터넷이 사용 가능한 곳에서 어느 시간이든지 자신의 작업 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데이터를 한 곳에서 취합하여 활용 가능하게 만들고, 상기 프로젝트 리더는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를 통해 특정 기간에 대한 작업자 기준으로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 작업자 기준으로 일 별 작업 시간, 프로젝트 기준으로 작업자별 작업 시간의 통계가 조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나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로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GUI(100)를 통해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작업자 및 프로젝트 리더를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하는 단계(S100);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가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 접속되어 프로젝트 편집 모듈(110)을 통해 프로젝트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단계(S110);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가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 접속되어 작업상세활동 편집 모듈(120)을 통해 작업상세활동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단계(S120);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편집 관리자 단말기(400)를 이용해 등록된 프로젝트 중 할당된 프로젝트가 선택되어 My JOB으로 등록되고, 등록된 My JOB에 따른 작업상세활동(ITEM) 역시 선택되어 My ITEM으로 지정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단계(S130);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작업시간이 입력되는 단계(S140);
    상기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를 통해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등록, 지정 및 입력된 JOB/ITEM 및 작업시간이 조회되되,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 작업자 기준 일 별 작업 시간,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으로 통계 조회가 가능하고, 상기 작업자 기준 프로젝트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로도 세분화하여 조회 가능하며, 상기 프로젝트 기준 작업자별 작업 시간의 경우는 공종 별 및 월별로 조회가 가능하고, 통계를 통해 각 작업자의 작업률이 상기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서 상기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로 표시되는 단계(S150);
    상기 조회된 작업시간에 따라 부하가 발생한 ITEM이 다른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500)로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나 메시지를 통해 할당되고, 할당된 ITEM을 수행한 다른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작업시간이 입력되는 단계(S180);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의 이벤트 감지모듈(160)에서 감지되고, 감지된 이벤트 내용이 이벤트 내용 생성모듈(170)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감지된 이벤트 내용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벤트 내용을 이벤트 통보 모듈(180)에서 상기 프로젝트 리더 단말기(600)와 작업자 단말기(500)로 통보되되,
    프로젝트나 작업상세활동(ITEM)의 편집 내용, 특정 작업자에게 작업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메시지로 통보되고, 작업자 단말기(500)에서 가동일 기준으로 매일 전 날의 작업 시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 작업자 단말기(500) 부팅 시에, 작업자 단말기(500)가 가동 중일 때는 정오, 자정에 작업 시간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월초에 전월의 가동 일수를 기준으로 작업일수가 미달인 미입력자를 취득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전월의 작업 시간 입력 요구하는 메시지를 통보하거나 또는 전체 작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프로젝트 리더는 미입력자에 대한 작업을 따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 시간 입력을 실수없이 누락하지 않고 입력이 가능하게 하며 당월의 입력 마감일이 지나면 전월의 작업 시간은 편집 불가능해지도록 하여 이전에 입력된 작업 시간의 신뢰성을 높이는 단계(S190); 및
    상기 통보된 이벤트에 따라 미입력 작업자의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작업시간이 입력되고, 입력된 작업시간이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는 통신망/네트워크(700)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작업 시간 입력은 일별로 가능하며 해당 프로젝트의 해당 작업상세활동에 실제 작업 시간이 입력되어, 입력된 작업 시간에 따라 당일, 주간, 월간 그리고 프로젝트와 작업상세활동 별로 합계가 상기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GUI(100)에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별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60135216A 2016-10-18 2016-10-18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4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16A KR101847946B1 (ko) 2016-10-18 2016-10-18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16A KR101847946B1 (ko) 2016-10-18 2016-10-18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946B1 true KR101847946B1 (ko) 2018-04-11

Family

ID=6197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16A KR101847946B1 (ko) 2016-10-18 2016-10-18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9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81A3 (ko) * 2018-09-19 2020-05-28 주식회사 후이즈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12184083A (zh) * 2020-11-04 2021-01-05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制造业的项目管理系统
KR20210061655A (ko) * 2019-11-20 2021-05-28 (주) 와이즈스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CN114240356A (zh) * 2021-12-13 2022-03-25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项目管理平台
KR20220043105A (ko) * 2020-04-13 2022-04-05 (주)피오텍 노인장기요양보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162378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81A3 (ko) * 2018-09-19 2020-05-28 주식회사 후이즈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10061655A (ko) * 2019-11-20 2021-05-28 (주) 와이즈스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KR102315547B1 (ko) * 2019-11-20 2021-10-21 (주) 와이즈스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KR20220043105A (ko) * 2020-04-13 2022-04-05 (주)피오텍 노인장기요양보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502199B1 (ko) 2020-04-13 2023-02-21 (주)피오텍 노인장기요양보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12184083A (zh) * 2020-11-04 2021-01-05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制造业的项目管理系统
KR20220162378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KR102613526B1 (ko) * 2021-06-01 2023-12-13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CN114240356A (zh) * 2021-12-13 2022-03-25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项目管理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946B1 (ko)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099312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921405B2 (en) Facilitation of multi-project management using throughput measurement
US20140288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ject, process, and meeting tasks over a network
US20040117046A1 (en) User interface for scheduling tasks
CN109858724B (zh) 基于数据分析的智能派工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US11210075B2 (en) Software automation deployment and performance tracking
US10037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hrinkage forecasting
US7177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representing continuous resource loading profiles and overload probability functions for complex discrete manufacturing
WO2015029073A2 (en) A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aggregate and analyze exact effort and time productivity
Margatama Employee self service-based human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ase study: BCP Indonesia
JP679057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20303401A1 (en) Flexible workflow task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Ismail et al. Considerations for cost estimation of software testing outsourcing projects
US20060241994A1 (en) Automated support for monitoring and managing knowledge work
JP2021125264A (ja) 情報処理装置
US20200097870A1 (en) Work task commitment manager
CN112115489A (zh) 系统权限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301663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Based Process Monitoring and Control
US20240143809A1 (en) Service and system integration
US20200279202A1 (e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US20240127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bor Scheduling and Jobsite Management
AU2015252126A1 (en)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WO2020124293A1 (zh) 基于业务计划点的核算方法
US20190370706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Inspection Nonconform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