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526B1 -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526B1
KR102613526B1 KR1020210070763A KR20210070763A KR102613526B1 KR 102613526 B1 KR102613526 B1 KR 102613526B1 KR 1020210070763 A KR1020210070763 A KR 1020210070763A KR 20210070763 A KR20210070763 A KR 20210070763A KR 102613526 B1 KR102613526 B1 KR 102613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information
barcode
work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378A (ko
Inventor
허인
나호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7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5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은,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상기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해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가 도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LIFECYCLE MANAGEMENT SYSTEM FOR PIPE JOINT AND LIFECYCLE MANAGEMENT METHOD FOR PIPE JOINT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건설 현장에는 설치 위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고 많은 양의 배관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배관 자재들을 연결하고 설치하기 위한 배관 작업이 수행된다. 배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배관은 용접 등의 접합 공정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배관의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접합 부위를 통해 유체 및 가스 등이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는 2차적인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바, 배관이음부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라벨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관이음부 관리는 접합 작업 후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라벨의 서명란에 작업자, 협력사, 시공사, 발주처 등이 배관이음부 검수 후 순차적으로 서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라벨을 이용한 배관이음부 관리 방법은, 배관 설치 후 배관이음부가 손이 닿기 힘든 곳에 위치하는 경우 서명이 사실 상 어려우며, 대필로 인한 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라벨이 훼손되어 배관이음부로부터 탈리되거나 서명란에 작성된 서명이 지워지는 경우, 배관이음부 관리 이력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9996호 (2018. 10. 15.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배관이음부의 관리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배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작업자에게 업무를 분배할 수 있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상기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해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가 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단계는, 배관 추출부에 의해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의 타입이 분류되는 단계; 바코드 생성부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기초하여 바코드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생성된 상기 바코드 정보가 바코드 출력장치로 전송되어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바코드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생성부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따라 상기 바코드 정보가 상이하게 생성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배관이음부의 작업자 성명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은,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상기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상기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는;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부적합률 계산부에 의해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이 계산되는 단계; 및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업무 편성이 실시된 작업자가 중복으로 업무 편성되는 경우, 중복된 업무 중 하나의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가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업무는 상기 중복된 업무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업무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업무가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되는 경우, 상기 나머지 업무는 상기 작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 할당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이후에, 점검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상기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 상기 점검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상태가 부적합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부적합 신호 생성부에 의해 부적합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장치;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하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는,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의 타입을 분류하는 배관 추출부; 및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기초하여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배관이음부에 따라 바코드 정보를 상이하게 생성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정보는 배관이음부의 작업자 성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는,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계산하는 부적합률 계산부; 및 부적합률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을 실시하는 업무 편성부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저장되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 및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저장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는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하고,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부적합률 계산부는 상기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계산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는 부적합률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게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을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는, 하나의 작업자에 중복으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경우, 중복된 업무 중 하나의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를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업무는 상기 중복된 업무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업무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는 상기 나머지 업무를 상기 작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편성부는 상기 나머지 업무를 상기 작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은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이음부의 관리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작업자에게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라벨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하위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프로세서(13)의 하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2)의 하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되는 배관이음부의 관리 정보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은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 시기를 산정하여 배관이음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은 배관이음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바코드를 스캔하고 배관이음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단말기(20) 및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는 바코드 출력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코드 스캔을 통해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 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배관이음부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은 QR 코드 스캔을 통해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일방에서 타방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50)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유지보수 정보는 유지보수 시기 및 필요로 하는 유지보수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가 부적합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부적합 신호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배관이음부의 종류에 따라 업무 편성을 실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을 실시할 수 있다.
단말기(20)는 배관이음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작업자에 의해 소지되는 작업자 단말기(22) 및 점검자에 의해 소지되는 점검자 단말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배관이음부의 배관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점검자는 작업자가 수행한 배관 연결 작업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는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작업자는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해당하는 배관이음부의 관리 정보를 단말기(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정보는 배관이음부의 종류, 관리 등급, 작업자 성명, 작업자가 소속된 시공업체의 정보, 작업 일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점검자 단말기(24)는 협력사 단말기(241), 시공사 단말기(242), 감리단 단말기(243) 및 발주처 단말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점검자는 협력사, 시공사, 감리단 및 발주처가 될 수 있다. 이때,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수행되는 배관이음부 점검은 협력사, 시공사, 감리단, 발주처 순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단말기(2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노트북, 컴퓨터, 키오스크 등일 수 있다. 다만, 단말기(20)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작업자 및 점검자일 수 있다. 단말기(20)는 연결 작업 및 점검 과정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는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20)는 스캔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바코드 출력장치(30)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배관이음부의 종류에 따라 바코드 정보를 상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되고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저장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시기를 포함하는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관리 이력을 축적하여 배관이음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배관이음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작업자를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도 2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하위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메모리(11)와 프로세서(13)와 통신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메모리(1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소멸성 기록장치와, ROM(Rean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에는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데이터를 기초로 본 실시예의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에 관한 알고리즘을 연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11)는 프로세서(13)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메모리(11)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로딩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DVD, 메모리 카드 등)로부터 로딩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통신모듈(15)을 통해 전달되어 메모리(1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에는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2)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메모리(11)는 데이터베이스(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독립적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소일 수 있다.
단말기(20) 및 바코드 출력장치(30)로부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는 물리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13)와 통합된 물리적 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로서 제공되고 프로세서(13)가 장착되어 있는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1) 또는 통신모듈(15)로부터 프로세서(13)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데이터의 입출력, 데이터의 처리, 데이터의 관리, 통신망(50)을 이용한 통신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프로세서(13)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통신모듈(15)은 통신망(50)을 통해 작업자 단말기(22), 점검자 단말기(24) 및 바코드 출력장치(30)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 단말기(2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점검자 단말기(2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등이 통신모듈(15)을 통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5)은 근거리 통신부 및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세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프로세서(13)의 하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2)의 하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프로세서(13)는 배관 추출부(131), 바코드 생성부(132), 사용자 관리부(133),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 부적합률 계산부(138), 업무 편성부(13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2)는 도면 데이터베이스(12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6은 도 2의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2의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되는 배관이음부의 관리 정보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은, 바코드 출력장치(30)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출력된 바코드가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단계(S10 단계);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S20 단계);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되는 단계(S30 단계);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되고,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40 단계);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에 의해 관리 정보 및 상태확인 정보를 기초로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가 도출되는 단계(S50 단계); 및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S6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40 단계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40 단계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점검자(예를 들어, 협력사, 시공사, 감리단 및 발주처)의 검수 없이 최초 작업자 단말기(22)에 입력된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S40 단계가 제공되는 경우, 점검자의 검수가 완료된 양호한 연결 상태를 갖는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 또는 상태확인 정보 등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될 수 있다.
우선,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이 수행되기 전, 작업자는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배관이음부는 2개 이상의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2개 이상의 배관은 용접 또는 체결부재(볼트 및 너트)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관이음부는, 배관을 연결하는 요소로서 플랜지, 가스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바코드 출력장치(30)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출력된 바코드가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10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0 단계는, 배관 추출부(131)에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의 타입을 분류하는 단계(S11 단계); 바코드 생성부(132)에 의해 추출된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기초하여 바코드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S12 단계); 생성된 바코드 정보가 바코드 출력장치(30)로 전송되어 바코드 출력장치(30)에 의해 바코드가 출력되는 단계(S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 단계에서, 배관 추출부(131)는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배관이음부의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도면은 도면 데이터베이스(121)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통신모듈(15)을 통해 별도의 장치로부터 통신모듈(15)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BIM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배관 추출부(131)는 2D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배관 추출부(131)는 BIM에서 배관이음부를 추출한 후, 각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는, 배관이음부에 사용된 배관의 종류, 직경, 재료, 접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관 추출부(131)는 추출된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배관이음부의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의 두께 및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상대적으로 노후가 빠른 재질로 형성되어 유지보수 주기가 짧은 경우, 배관 추출부(131)는 배관이음부를 A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두께 및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상대적으로 노후가 잘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유지보수 주기가 긴 경우, 배관 추출부(131)는 배관이음부를 B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2 단계에서, 추출된 배관이음부의 종류에 기초하여 바코드 생성부(132)에 의해 바코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바코드 생성부(132)는 배관 추출부(131)에 의해 추출된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바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타입의 배관이음부에 대해서는 동그라미 형태의 바코드에 대응되는 바코드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B 타입의 배관이음부에 대해서는 네모 형태의 바코드에 대응되는 바코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형태의 차이는 서로 상이한 바코드의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바코드의 숫자가 상이한 것도 서로 다른 바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S13 단계에서, 바코드 생성부(132)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 정보는 통신망(50)을 통해 바코드 출력장치(30)로 전달될 수 있고, 바코드 출력장치(30)에 의해 전달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바코드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된 바코드는 작업자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코드 부착 작업은 부착 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S20 단계에서,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 단말기(22)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캔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바코드가 스캔되기 전, 작업자 단말기(22)는 작업자에 의해서 특정 작업자의 정보로 로그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22)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정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전송된 데이터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될 수 있다. 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관리부(13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33)에서 작업자 신원이 인증되면 해당 결과를 작업자 단말기(22)로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기(22)를 통한 작업자 로그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기(22)에 로그인하여 본인의 신원을 인증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자 단말기(22)에 작업자 고유의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22)를 통한 로그인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30 단계에서,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 정보는 건물명, 배관이음부의 위치 정보, 작업자의 성명, 작업자가 소속된 시공업체의 정보, 작업 일시, 배관이음부의 관리 등급, 배관의 종류, 배관의 재료, 배관의 직경, 결합부재에 대한 정보, 가스켓에 대한 정보, 배관이음에 적용된 토오크값, 연결 작업이 완료된 배관이음부의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입력된 관리 정보는 통신망(50)을 통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되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도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BIM으로부터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러한 데이터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에 바로 저장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40 단계에서,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되어,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가 수정되고,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되어 연결 상태가 판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40 단계는, 점검자 단말기(24)에 점검자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단계(S41);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S42);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43); 및 연결 상태가 부적합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에 의해 부적합 신호가 생성되어 작업자 단말기(22)로 전송되는 단계(S44)를 포함할 수 있다.
S41 단계에서, 점검자 단말기(24)는 점검자에 의해서 특정 작업자의 정보로 로그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검자는 점검자 단말기(24)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정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전송된 데이터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될 수 있다. 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관리부(13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33)에서 점검자 신원이 인증되면 해당 결과가 점검자 단말기(24)로 전송되어, 점검자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검자가 점검자 단말기(24)에 로그인하여 본인의 신원을 인증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검자 단말기(24)에 점검자 고유의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점검자 단말기(24)를 통한 로그인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S42 단계에서,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되면, 스캔된 바코드에 대한 정보가 점검자 단말기(24)로부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해당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점검자 단말기(24)로 전송할 수 있다. 점검자 단말기(24)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를 출력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는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입력된 관리 정보일 수 있다. 즉,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바코드가 스캔되면,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입력된 관리 정보가 점검자 단말기(24)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수 있다.
S43 단계에서,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태확인 정보는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S40 과정을 통해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의 적합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검자는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 상태가 적합한 경우 '적합'을 입력할 수 있고, 연결 상태가 부적합한 경우 '부적합'을 입력할 수 있다.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에 대해 '부적합'이 입력되는 경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는 이러한 부적합 입력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부적합 이력이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부적합률 계산부(138)는 점검자 단말기(24)를 통해 입력된 부적합 입력 정보를 통해 해당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계산할 수 있다. 부적합률 계산부(138)에 의해 계산된 부적합률은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점검자는 점검자 단말기(24)를 통해 출력된 관리 정보가 적합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관리 정보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관리 정보가 수정되거나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된 후, 점검자의 성명 및 점검 일시, 점검 완료 표시 등이 입력될 수 있다.
S44 단계에서,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입력된 상태확인 정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된 상태확인 정보에 의해 연결 상태가 부적합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에 의해 부적합 신호가 생성되어 작업자 단말기(22)로 전송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22)는 부적합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연결 상태가 부적합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부적합 신호는 메세지, 소리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연결 상태가 부적합하다고 판별되어 부적합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22)를 통해 출력된 부적합 신호를 인지하여,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보수 작업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보수 작업에 대한 정보는 보수 작업 일시, 보수 작업자, 보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 단말기(22)가 부적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에 대한 누적 부적합 횟수가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 또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업무 편성부(139)에 의한 업무 편성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와 같은 S40 단계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40 단계는 협력사 단말기(241), 시공사 단말기(242), 감리단 단말기(243) 빛 발주처 단말기(244)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 상태에 대한 검수는 협럭사, 시공사, 감리단, 발주처 등에 의해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에 의해 관리 정보 및 상태확인 정보를 기초로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유지보수 정보는 배관의 유지보수 시기, 플랜지 체결부 재조임 주기, 가스켓 교체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 단말기(22)에 입력된 관리 등급에 따라 유지보수 시기가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관이음부의의 배관이 상대적으로 노후되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유지보수 시기는 배관이음부 연결 작업으로부터 6개월 내지 1년 후인 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이음부의 배관이 상대적으로 쉽게 노후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유지보수 시기는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으로부터 1년 내지 2년 후인 시점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관리 정보에 따라 다양한 유지보수 시기가 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관이음부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지보수 시기가 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초에 입력된 이미지, 즉 작업자 단말기(22)에 의해 입력된 연결 작업이 완료된 배관이음부의 이미지(제1 이미지)와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작업자 단말기(22) 또는 점검자 단말기(24)를 통해 입력된 배관이음부의 이미지(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지보수 시기가 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두 이미지 간의 차이를 추출한 후,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한 유지보수 시기를 산정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작업자의 배관이음부에 대한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이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60 단계는,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S61);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에 저장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부가 추출되는 단계(S62); 부적합률 계산부(138)에 의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이 추출되는 단계(S63); 및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가 작업예정 작업이음부의 연결 작업에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S6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S61 단계에서,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는 다른 장치로부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된 BIM을 통해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에 저장될 수 있다.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는 배관의 재료, 종류, 직경, 접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62 단계에서,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에 저장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업무 편성부(139)는 추출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무 편성부(139)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에 실시 예정인 접합 방법과 동일하게 작업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63 단계에서, 부적합률 계산부(138)에 의해 추출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이 계산될 수 있다. 즉, 부적합률 계산부(138)에 의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이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적합률 계산부(138)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정보에 대한 작업자의 성명 정보를 통해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계산할 수 있다.
S64 단계에서,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가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에 업무 편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중복으로 업무 편성되는 경우, 업무 편성부(139)는 중복된 업무 중 해당 작업자의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를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12)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2)는 도면 데이터베이스(12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와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와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와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데이터베이스(121)는 BIM(Building Informatio Model)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BIM은 작업자 단말기(22)로부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달될 수도 있고, 설계자 서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로부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기 설정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20)를 통한 로그인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는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관리 정보 및 상태확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정보는 건물명, 배관이음부의 위치 정보, 작업자의 성명, 작업자가 소속된 시공업체의 정보, 작업 일시, 배관이음부의 관리 등급, 배관의 종류, 배관의 재료, 배관의 직경, 결합부재에 대한 정보, 가스켓에 대한 정보, 배관이음에 적용된 토오크값, 연결 작업이 완료된 배관이음부의 이미지 데이터, 점검자의 성명, 점검 일시, 보수 작업자의 성명, 보수 일시, 보수 작업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관리 정보 및 상태확인 정보는 작업자 작업 및 점검자의 점검이 모두 완료된 후,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로 전송되어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에 저장될 수 있다.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는 도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BIM으로부터 배관 추출부(131)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되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될 수 있다.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는 작업자의 작업 및 점검자의 점검 등이 모두 완료된 배관이음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프로세서(13)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는 배관 추출부(131)와 바코드 생성부(132)와 사용자 관리부(133)와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와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와 부적합률 계산부(138)와 업무 편성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추출부(131)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를 추출하고, 배관이음부의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BIM은 도면 데이터베이스(121)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추출부(131)는 BIM에서 배관이음부를 추출한 후, 각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는, 배관이음부에 사용된 배관의 종류, 직경, 재료, 접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관 추출부(131)는 추출된 배관이음부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배관이음부에 적절한 타입을 부여할 수 있다.
바코드 생성부(132)는 배관 추출부(131)에 의해 분류된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바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코드 생성부(132)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 정보는 통신망(50)을 통해 바코드 출력장치(30)로 전달될 수 있고, 바코드 출력장치(30)는 전달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33)는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단말기(20)에 로그인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는 사용자는 작업자 단말기(22)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기 설정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33)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관리부(133)는 작업자 단말기(2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33)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이 인증되면 해당 결과를 단말기(20)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는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입력된 상태확인 정보를 통해 부적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는 점검자 단말기(24)에 의해 입력된 상태확인 정보를 통해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가 적합한지 부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가 부적합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는 부적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부적합 신호 생성부(135)에 의해 생성된 부적합 신호는 통신망(50)을 통해 작업자 단말기(22)로 전송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22)로 전송된 부적합 신호는 메세지, 소리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는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배관이음부에 대한 관리 정보 및 상태확인 정보 등을 기초로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유지보수 정보는 배관의 유지보수 시기, 플랜지 체결부 재조임 주기, 가스켓 교체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는 작업자 단말기(22)를 통해 입력된 제1 이미지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지보수 시기를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는 작업자에 의한 배관이음부 연결 작업 직후의 배관이음부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유지보수 시기 산정부(137)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두 이미지 간의 차이를 추출한 후,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험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요소에 대한 유지보수 시기를 산정할 수 있다.
부적합률 계산부(138)는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계산할 수 있다. 부적합률 계산부(138)는 배관이음부의 종류, 접합 방법 등에 대해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계산할 수 있다. 부적합률 계산부(138)에 의해 계산된 부적합률은 업무 편성부(139)에 의한 업무 편성에 활용될 수 있다.
업무 편성부(139)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127)에 저장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무 편성부(139)는 다른 장치로부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로 저장되거나 배관이음부 관리서버(10)에 기 저장된 BIM을 통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는 배관의 재료, 종류, 직경, 접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무 편성부(139)는 추출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업무 편성부(139)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기초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에 적절한 작업자를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무 편성부(139)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를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에 업무 편성시킬 수 있다.
또한, 업무 편성부(139)에 의해 작업자가 중복으로 업무 편성이 이루어지는 경우, 업무 편성부(139)는 중복된 업무 중 해당 작업자의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를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업무 편성부(139)는 나머지 업무에 대해 해당 작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를 업무 편성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10: 배관이음부 관리서버
11: 메모리
12: 데이터베이스
13: 프로세서
15: 통신모듈
20: 단말기
22: 작업자 단말기
24: 점검자 단말기
30: 바코드 출력장치
50: 통신망

Claims (20)

  1.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상기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의 작업자 성명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가 도출되는 단계; 및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상기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상기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는,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부적합률 계산부에 의해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이 계산되는 단계; 및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상기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가 출력되고, 상기 바코드가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되는 단계는,
    배관 추출부에 의해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의 타입이 분류되는 단계;
    바코드 생성부에 의해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기초하여 바코드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생성된 상기 바코드 정보가 바코드 출력장치로 전송되어 바코드 출력장치에 의해 바코드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바코드 생성부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따라 상기 바코드 정보가 상이하게 생성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편성부에 의해 업무 편성이 실시된 작업자가 중복으로 업무 편성되는 경우, 중복된 업무 중 하나의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가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업무는 상기 중복된 업무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업무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업무가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되는 경우, 상기 나머지 업무는 상기 작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 할당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가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이후에,
    점검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에 부착된 상기 바코드가 스캔되는 단계;
    상기 점검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배관이음부의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확인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상태가 부적합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부적합 신호 생성부에 의해 부적합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10. 배관이음부에 부착될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장치;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배관이음부의 작업자 성명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를 도출하는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는,
    상기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의 부적합률을 계한하는 부적합률 계산부;
    상기 부적합률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부적합률을 기초로 업무 편성을 실시하는 업무 편성부;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저장되는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 및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가 저장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편성부는,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작업완료 배관이음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의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부적합률 계산부는 작업완료 배관이음부에 대한 작업자별 부적합률을 계한하고,
    상기 업무 편성부는 부적합률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게 작업예정 배관이음부의 연결 작업을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이음부 관리서버는,
    도면에 기초하여 배관이음부의 타입을 분류하는 배관 추출부; 및
    배관이음부의 타입에 기초하여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배관이음부에 따라 바코드 정보를 상이하게 생성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편성부는, 하나의 작업자에 중복으로 업무 편성이 실시되는 경우, 중복된 업무 중 하나의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를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업무는 상기 중복된 업무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업무인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편성부는 상기 나머지 업무를 상기 작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 중 부적합률이 가장 작은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20. 삭제
KR1020210070763A 2021-06-01 2021-06-01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KR10261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63A KR102613526B1 (ko) 2021-06-01 2021-06-01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63A KR102613526B1 (ko) 2021-06-01 2021-06-01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78A KR20220162378A (ko) 2022-12-08
KR102613526B1 true KR102613526B1 (ko) 2023-12-13

Family

ID=8443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763A KR102613526B1 (ko) 2021-06-01 2021-06-01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116A (ja) * 2006-08-30 2008-03-13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Rfidタグを用いた溶接作業管理・記録システム
KR101847946B1 (ko) * 2016-10-18 2018-04-11 ㈜하이테크엔지니어링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3278B1 (ko) * 2019-05-02 2019-11-11 (주)디노 플랜트 시공 지원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342B1 (ko) * 2003-03-18 2004-01-03 엘지건설 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한 배관스풀의 용접이력 관리방법
KR101733643B1 (ko) * 2015-09-03 2017-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작업 일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9996B1 (ko) 2017-08-22 2018-12-28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116A (ja) * 2006-08-30 2008-03-13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Rfidタグを用いた溶接作業管理・記録システム
KR101847946B1 (ko) * 2016-10-18 2018-04-11 ㈜하이테크엔지니어링 프로젝트별 휴먼 리소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3278B1 (ko) * 2019-05-02 2019-11-11 (주)디노 플랜트 시공 지원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rikee, ‘[유압기기] 파이프 이음 종류 9가지’, Engineering Help(2018.08.2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78A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03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Barberá et al. Advanced model for maintenance management in a continuous improvement cycle: integration into the business strategy
US20200034766A1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productivity
CN105791379A (zh) 使用物联网网络来管理工厂生产的系统和方法
KR20090124621A (ko) 제품 재생 관리 시스템
KR10186969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87409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CN113298497A (zh) 基于建筑信息模型的图纸审查方法及系统
CN107693997B (zh) 一种消防设备检测与维护保养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2613526B1 (ko)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US20040215618A1 (en) Automated quality compliance system
Sanz et al. A proposal of a process model to create a Test Factory
Tancredi et al. Analysis and testing of an online solution to monitor and solve safety issues for industrial systems
KR102489119B1 (ko) 스마트 고장형태 영향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Mead Measuring the software security requirements engineering process
Singh et al. Conceptual Model of Quality Management Based on Blockchain in Construction Industry
Ren et al. A BIM information processing framework to facilitate enriched BIM applications
JP2009104588A (ja) システム構築ガイドシステム
Bialas Computer support in business continuity and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KR101895274B1 (ko)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US20220342392A1 (en) Welding data tracking platform and interface
KR20230077775A (ko) 모바일 플랫폼 기반 전산장비 관련 문서 관리 방법 및 장치
Cialkowski et al. Assessment of Neighbor‐Initiated Risks in an Integrated Air Separation Unit‐Gasification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