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907B1 -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 Google Patents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907B1
KR101847907B1 KR1020160125363A KR20160125363A KR101847907B1 KR 101847907 B1 KR101847907 B1 KR 101847907B1 KR 1020160125363 A KR1020160125363 A KR 1020160125363A KR 20160125363 A KR20160125363 A KR 20160125363A KR 101847907 B1 KR101847907 B1 KR 10184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rope
resin composition
abrasion resistance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376A (ko
Inventor
김성학
김상현
이기현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9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로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로프 제조 시 부드럽고 내마모성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용융지수(ASTM D1238, 230℃, 2.16kg)가 1.5~7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75~95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kg)가 0.1~3.5g/10min, 밀도가 0.910-0.940g/㎤, TREF 분획도표에서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25중량%;를 포함하는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OR ROPE AND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낮은 비중, 저렴한 가격, 강한 내약품성의 성질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섬유는 물에 뜨는 정도로 가벼우며, 강도가 높고, 흡습성이 낮아, 일반사 또는 고강력사로 방사, 직조과정을 거쳐, 의료용, 생활자재 및 산업자재로도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산업용 또는 민간용 로프, 선박용 및 해상용 로프 등 이미 산업상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대하여 한층 더 향상된 성능, 특히 가공성 및 내마모성과, 부드러움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폴리프로필렌 로프에 있어, 부드러움성 및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단순 혼합(Dry Blend)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로프 성형성과 균일성에 있어서의 문제, 특히 폴리프로필렌과의 혼연성 부족으로 인해 압출기 모터 부하가 폴리프로필렌 단독 성형 시보다 높고, 성형 시 로프가 불균일한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839,228호는 폴리프로필렌과 LLDPE가 멜팅 상태로 블렌드된 파이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였으나, 높은 용융 지수 및 낮은 강도로 인하여, 로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로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로프 제조 시 부드럽고 내마모성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우수한 특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로프 성형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a) 용융지수(ASTM D1238, 230℃, 2.16kg)가 1.5~7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75~95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kg)가 0.1~3.5g/10min, 밀도가 0.910-0.940g/㎤, TREF 분획도표에서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25중량%;를 포함하는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사출 시편이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테버식 내마모성이 40회/mg 이상이고, 표면 조도가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내마모성 측정방법]
10×10cm 시편으로 5,000회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WR(내마모성, 회/mg) = N(시험회전수, 회)/W(감소량, mg)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로프(Rope) 성형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a)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기에서 150~230℃ 온도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펠렛상의 로프(Rope)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사출 시편이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테버식 내마모성이 40회/mg 이상이고, 표면 조도가 1㎛ 미만인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종래 로프용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내마모성 및 표면 조도가 우수하여 방사과정을 거쳐, 생활자재, 산업용, 해상용 제품 등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용융지수(ASTM D1238, 230℃, 2.16kg)가 1.5~7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75~95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kg)가 0.1~3.5g/10min, 밀도가 0.910-0.940g/㎤, TREF 분획도표에서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25중량%;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프로필렌
본 발명에서는 종래 여러 가지 장점을 보유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로프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수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한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지글러-나타 촉매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대부분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상기 촉매의 구성 물질은 내부 전자공여체(internal donor)로서 프탈레이트(phthalate) 계통 또는 디에테르(Diether) 계통 중 어느 것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1.5~7g/10min(ASTM, 230℃, 2.16 kgf)이고, 바람직하게는 2~5g/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1.5g/10min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의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의 강도가 보다 향상될 수는 있으나, 압출 공정 수율까지 고려할 때 1.5g/10min 이상인 것이 좋고, 강도, 흐름성 등 수지 조성물의 목적으로 하는 물성 구현을 위해서는 10g/10min 이하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 종류에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언급되지만, 프로필렌과 에틸렌, 부텐, 헥산 등의 한 가지 이상의 다른 알파 올레핀을 2중량% 까지 함유할 수 있는 공중합체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 비율은 75~9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80~90중량%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 비율이 낮을 경우 성형성, 내마모성 및 표면 조도가 저하, 함량 비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물성 구현이 어렵다.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본 발명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고, 에틸렌 단독 중합,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등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법, 솔류션법, 슬러리법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지수(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가 0.1~3.5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0.5~1.5g/10분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0.1g/10분 미만일 경우 모노필라멘트 성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용융지수가 3.5g/10분을 초과할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10~0.940g/㎤이고, 바람직하게는 0.915~0.930g/㎤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가 0.910g/㎤ 미만일 경우 제품의 끈적임 현상이 증가하여 제품 성형성이 문제되고, 밀도가 0.940g/㎤을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TREF 분획도표에서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 이하이다.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끈적임 현상이 증가하여 제품 성형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 비율은 5~2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 비율이 낮을 경우 목적하는 물성 구현이 어렵고, 함량 비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오히려 성형성, 내마모성 및 표면 조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화제, 대전방지제, 안티블록킹제, 난연제, 이형제, 내후성안정제, 내광안정제, 무기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로프 성형물 제조에 적용 시 종래 로프용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특히 우수한 내마모성 및 표면 조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사출 시편이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된 테버식 내마모성이 40회/mg 이상이고, 표면 조도가 1㎛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테버식 내마모성이 50회/mg 이상이고, 표면 조도가 0.5㎛ 미만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압출기에 상기 특정의 폴리프로필렌을 투입하고,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투입하여, 압출기 내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합할 때의 온도는 150~230℃로 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단순 드라이 블렌드(Dry Blend)하여 제조할 경우 분산성이 떨어져 내마모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고, 물성 측정방법 및 모노필라멘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용융지수: ASTM D1238법으로 폴리프로필렌은 230℃, 폴리에틸렌은 190℃ 온도로 2.16kgf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밀도: ASTM D792법으로 측정하였다.
(3) TREF 분취: 비특허문헌(Journal of Polymer Science:Polymer Physics Edition, Vol20, 441-455(1982) Wild et al)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상이한 온도에서 특정 용매중의 공단량체 함량이 상이한 중합체 분획물의 용해도 차이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서 TREF 분획도표는 결정화를 위해 자일렌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1,2,4-트리클로로 벤젠을 사용하였다.
(4) SCB(short chain branch): 400MHz NMR(Brucker, 13C)를 사용하여 시료를 150℃의 1,2,4-Trichlorobenzene에 10분간 녹인 후 Benzene-d6를 첨가하여 시료량이 2중량% 가량이 되게 한 후 Probe head의 온도를 100℃로 유지하여 폴리에틸렌의 SCB를 측정하였다.
(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제조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길이대 직경비(L/D)가 30인 40mm MonoFilament Machine을 이용하여, Monofilament 성형성을 평가하였다(Die Hole 수 48개, 연신비 12:1, 연신 온도 140℃, Die 온도 220℃).
(6) 방사안정성
- O : 성형 시, Surging 현상이 없고, 성형상 문제 없음.
- X : 성형 시, Surging 현상으로 Filament의 두께가 일정치 않음.
(7) 내마모성 : 테버식 내마모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내마모성을 평가하되, 10×10cm 시편으로 5,000회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WR(내마모성, 회/mg) = N(시험회전수, 회)/W(감소량, mg)
(8) 표면 조도
3D Optical Profiler(Nano System 사)를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6094519065-pat00001
Figure 112016094519065-pat00002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A1) 85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B1) 15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수지(A1) 93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1) 7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 수지(A1) 90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0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A1) 75중량% 및 용융지수가 0.9g/10min(190℃, 2.16kgf)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25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프로필렌 수지(A1) 97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1) 3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프로필렌 수지(A1) 50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1) 50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리프로필렌 수지(A1) 85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2) 15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폴리프로필렌 수지(A1) 85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3) 15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폴리프로필렌 수지(A2) 85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5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폴리프로필렌 수지(A3) 85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5중량%를 헨셀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단축압출기(L/D=25)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 압출시키고 냉각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에서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94519065-pat00003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로프 제조를 위한 모노필라멘트 성형 시 각 물성들의 특징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적으로 방사성 평가에서 우수한 것에 대해서 내마모성 평가 및 표면 조도 평가를 진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최적 조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할 경우 다른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방사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지의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또한, 표면 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종래 기술보다 물성이 현저히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로프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대신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거나(비교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함량이 최적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비교예 2)에는 내마모성 및 표면 조도가 좋지 않으며,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3) 모노필라멘트 방사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흐름성이 최적 범위에 미치지 못하거나(비교예 6)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흐름성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7)에는 방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흐름성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4)에도 방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TREF 분획도표에서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를 초과할 경우(비교예 5) 제품의 끈적임 현상이 증가하여 내마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물성 및 함량이 최적화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포함된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내마모성 평가 결과, 내마모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내마모성 개선이 필요한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용융지수(ASTM D1238, 230℃, 2.16kg)가 1.5~7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75~95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kg)가 0.1~3.5g/10min, 밀도가 0.910-0.940g/㎤, TREF 분획도표에서 40℃ 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단쇄분지가 60개(C4/1000CH2)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25중량%;
    를 포함하는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사출 시편이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테버식 내마모성이 40회/mg 이상이고, 표면 조도가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내마모성 측정방법]
    10×10cm 시편으로 5,000회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WR(내마모성, 회/mg) = N(시험회전수, 회)/W(감소량, mg)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로프(Rope) 성형물.
  4. 제1항의 상기 (a)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제1항의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기에서 150~230℃ 온도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펠렛상의 로프(Rope)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사출 시편이 제2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 테버식 내마모성이 40회/mg 이상이고, 표면 조도가 1㎛ 미만인 로프(Rope)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25363A 2016-09-29 2016-09-29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KR10184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63A KR101847907B1 (ko) 2016-09-29 2016-09-29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63A KR101847907B1 (ko) 2016-09-29 2016-09-29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376A KR20180035376A (ko) 2018-04-06
KR101847907B1 true KR101847907B1 (ko) 2018-04-11

Family

ID=6197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363A KR101847907B1 (ko) 2016-09-29 2016-09-29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98224B2 (en) 2019-10-11 2024-09-24 Lg Chem, Ltd. Polyethyle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974A2 (en) 1986-09-19 1988-03-23 The Dow Chemical Company Biconstituent polypropylene/polyethylene fibers
US5266392A (en) 1991-09-16 1993-11-3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lastomer compatibilized 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974A2 (en) 1986-09-19 1988-03-23 The Dow Chemical Company Biconstituent polypropylene/polyethylene fibers
US5266392A (en) 1991-09-16 1993-11-3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lastomer compatibilized 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98224B2 (en) 2019-10-11 2024-09-24 Lg Chem, Ltd. Polyethyle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376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4069B2 (en) Low emission polymer composition
KR101992558B1 (ko) 폴리프로필렌 - 탄소 섬유 복합재
EP3237503B1 (en) Flame retardant long glass fibre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
JP5975987B2 (ja) シュリンクフィルム用途においてブレンド成分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エチレン系ポリマー組成物
CN103080208A (zh) 乙烯聚合物共混物和具有改进的防皱缩性的取向制品
AU2013362215B2 (en) Transparent thin wall packaging material with improved stiffness and flowability
KR102079857B1 (ko) 파이프 응용을 위한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
US20170044359A1 (en) Polypropylene - polyethylene blends with improved properties
CA2989492C (en)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high strain at break
EP2864103A1 (en) A polyethylene blend-composition suitable for blown films, and films made therefrom
KR102493656B1 (ko)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중합체 블렌드
CN114269827B (zh) 聚乙烯组合物
KR20220002568A (ko) 개선된 인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조성물
KR101847907B1 (ko) 로프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로프 성형물
KR10176209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US10792837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a fibre-reinforced polymer composition
KR100996419B1 (ko)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CN109679194B (zh) 耐穿刺聚乙烯组合物及其薄膜
CA2955941A1 (en) A polyethylene blend composition and film made therefrom
US1178792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polypropylene for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220002580A (ko) 개선된 인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조성물
KR20110064808A (ko)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753982B1 (ko) 내황변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745318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20210029012A (ko) 기계적 물성 및 연질성이 우수한 인조잔디용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