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00B1 - 가이드 로프용 지주 - Google Patents

가이드 로프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00B1
KR101847700B1 KR1020160016245A KR20160016245A KR101847700B1 KR 101847700 B1 KR101847700 B1 KR 101847700B1 KR 1020160016245 A KR1020160016245 A KR 1020160016245A KR 20160016245 A KR20160016245 A KR 20160016245A KR 101847700 B1 KR101847700 B1 KR 10184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uide rope
guide
suppo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917A (ko
Inventor
정광우
Original Assignee
(주)광명바이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명바이오산업 filed Critical (주)광명바이오산업
Priority to KR102016001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4H17/1421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4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with a core of fibres or filament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2Ropes or cables with a hollow co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including a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65Reducing wea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하부측은 매설 또는 접지판을 매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지주 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가이드 로프가 연결되는 로프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가이드 로프용 지주를 제공함으로써 지주에 가이드 로프를 연결하거나 단일의 손상된 지주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할 경우, 가이드 로프를 설치된 모든 지주로부터 빼내서 작업이 실시되었던 기존과 달리 가이드 로프는 연결된 상태에서 지주 교체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감소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지주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 로프는 우수한 방수성과 마모가 거의 없는 것으로 교체가 거의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로프용 지주 {A guide rope support}
본 발명은 색상코팅, 야광코팅, 투명코팅이 이루어진 가이드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연결, 고정되는 로프 고정장치로 이루어지고 로프 고정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형성된 로프 수용부와 지주에 끼움 고정되는 지주 고정부로 이루어져 상호 설치된 지주와 연결된 가이드 로프의 착탈이 용이한 가이드 로프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안전 펜스는 설치면과 일정거리를 형성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난간부와, 난간부를 고정하고 길게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지주로 이루어진다. 안전펜스는 주로 등산로, 산책로, 해상데크 등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하는 야외장소에 설치된다.
난간부는 외부활동을 하는 사용자 또는 시설물에 설치된 물체 등이 일정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공간을 구획 지음으로써 구획된 공간 이외의 자연환경에서 분포하는 식생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하는 등 그 역할이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난간부는 목재, 철물구조, 플라스틱과 같은 딱딱하고 유연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이 될 수 있으나, 등산로 및 해상 데크와 같은 지형환경은 설치면이 유동적이거나 경사가 있기 때문에 유연성이 있는 줄과 끈 같은 로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로프중에서 설치된 상호 지주들을 통해 일정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람과 물체를 목적하는 위치로 이끌어주는 역할하는 로프를 일반적으로 가이드 로프(guide rope)라고 한다.
지주는 플라스틱, 철,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일정높이의 목책구조로 하부는 설치면에 단단하게 고정이 되고 측면부에는 가이드 로프와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장치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가이드로프 및 지주에 체중을 의지하고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지주와 가이드로프 및 구성요소 간의 연결과 고정력이 우수해야한다.
또한, 가이드로프가 연결 설치되는 길이가 길어질 경우, 지주는 일정거리마다 하나 이상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로프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한다. 따라서 설치된 지주 중, 단일의 지주가 부식 또는 망가지면 최초 가이드 로프가 연결된 지주로부터 가이드 로프를 모두 빼낸 작업을 실시한 후, 지주를 교체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이와 같은 교체작업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의 소요가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주와 가이드 로프는 대체로 관광지 및 레크리에이션이 진행되는 장소에 설치되므로, 외부환경의 노출과 지속적인 방문객들의 사용으로 인해 로프가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될 수 있고, 야간의 경우 눈에 띄지 않아 로프의 안전방지기능이 효과를 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설치된 지주와의 연결 및 교체가 용이하고 로프의 손상 및 마모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야간에도 로프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이드 로프용 지주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569865호에는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는, 지주의 하부 일부가 끼워 결합되는 원형 또는 3 내지 8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하단부 및 그 하단부의 상부 외주 연에는 일정간격 유지되는 복수 개의 브래킷을 형성시켜 된 지주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각 하부 브래킷에는 지지대의 일측 단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형성되는 매립형 지주 고정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10-2015-0025416호에는 낙석방지 울타리에 에너지 소산 장치를 설치하여 충돌에 따른 낙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방어하고, 낙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소산이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 구조물에 설치된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격자형의 철망과; 상기 지주 사이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및 에너지 소산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형 에너지 소산 장치가 부설된 낙석방지 울타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610391호에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별도의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구조를 부여하여, 낙석이 발생하여 울타리 구조물에 충돌할 때 그의 낙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낙석의 충격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109398호에는 철골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서 위쪽으로 세워진 지주본체, 이 지주본체의 상단부에 부착된 안전로프를 걸리게 하는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가진 안전로프 지주로서, 상기 안전로프가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수평방향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주본체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가 상기 지주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로프 지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본 발명의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하부측은 매설 또는 접지판을 매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지주 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가이드 로프가 연결되는 로프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구성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지주의 부식으로 인해 실시되는 지주 교체작업에서 상호 지주간에 연결된 가이드 로프를 모두 빼내어 작업함으로써 작업시간과 노동력의 소모가 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주에 고정되는 로프 고정장치는 로프 수용부와 지주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로프 고정장치가 힌지 결합되어 로프를 상호 지주에 연결할 시에 로프 수용부의 개방구를 통해 연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 로프용 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하부측은 매설 또는 접지판을 매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지주 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가이드 로프가 연결되는 로프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가이드 로프용 지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주에 가이드 로프를 연결하거나 단일의 손상된 지주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할 경우, 가이드 로프를 설치된 모든 지주로부터 빼내서 작업이 실시되었던 기존의 장치와 달리, 설치된 지주에 가이드 로프는 연결되어 있고 손상된 지주에서 가이드로프를 분리함으로써 교체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지주에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는 우수한 방수성과 마모가 거의 없는 것으로 교체가 거의 불필요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의 로프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의 로프 고정장치 측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 제조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와 관련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의 로프 사시도를 나타낸다. 가이드 로프용 지주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하부측은 매설 또는 접지판을 매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30);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지주 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가이드 로프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로프 고정장치(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주는 일반적으로 다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기둥구조로 이루어지고 고분자화합물, 목재, 스테인리스강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는 일정거리로 하나 이상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지주의 하부는 지면에 매설되거나 접지판을 매개로 하여 지면에 기립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의 로프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로프 고정장치는 상기 로프 고정장치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측면부의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절단되고 절단부 일측에는 힌지결합이 이루어지고 타측에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가이드 로프가 개방구를 통해 내부로 수용되어 연결될 수 있는 로프 수용부(41); 일측은 상기 로프 수용부의 힌지 형성된 측면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고리구조로 지주에 끼움 고정되는 지주 고정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프 수용부와 지주 고정부는 PE 또는 PP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원료로 하여 압출 성형함으로써 프레임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로프 수용부(41)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측면부의 일단이 수평 방향으로 절개된다. 절개된 면의 일측면은 힌지 결합되고, 타측면은 개방구가 형성되어, 개방구의 개방과 폐쇄를 통해 가이드 로프가 내부로 수용이 가능하다. 가이드로프가 내부로 수용되면 개방구 측면부에 형성된 로프 수용부 고정장치를 통해 개방구를 폐쇄시킴으로써 가이드 로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주에 가이드 로프를 설치 시에 기존에는 양단 개구부를 통해 로프를 관통시킴으로써 상호 지주간의 로프 연결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로프 수용부 고정장치로 개방구의 개방과 폐쇄가 용이하므로 단일의 지주가 손상되었을 경우, 지주에 설치된 가이드로프를 모두 빼낸후, 지주 교체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개방구를 통해 가이드 로프를 빼내어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로프 수용부 고정장치 실시예로는 개방구에 판프레임이 연결 형성되고, 각 판프레임의 측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도록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는 판프레임이 맞닿게 하여 개방구를 폐쇄시키면 고정나사를 고정공에 고정시켜 개방구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로프 수용부 고정장치의 힌지 결합된 측면부에는 지주고정부(42)가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지주 고정부는 지주의 둘레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고리구조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재질이 일정한 힘을 가하는 동안 변이될 수 있고 일정한 힘이 사라지면 기존의 구조로 돌아오게 되어, 고리를 지주둘레에 끼움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의 로프 고정장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로프 수용부 내부프레임은 로프 수용부 중심방향으로 수용되는 가이드 로프(20A)의 직경에 맞도록 중심으로 갈수록 프레임 내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로프와 로프 수용부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가이드 로프를 사용할 경우에 로프가 프레임 양측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것은 유동적이나 수평면으로 움직이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로프 수용부 상, 하부 프레임 측면에는 로프 고정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로프가 로프 수용부 내부로 수용될 경우 로프 고정나사(44)로 가이드 로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로프 고정나사가 로프 고정공을 통해서 가이드 로프를 관통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로프보다 직경이 큰 로프 수용부 양측 개구부는 상하로 로프가 유동성이 있지만 전, 후의 수평방향으로는 유동성이 없어 경사가 형성된 지형에서 사용자가 로프를 당겨서 사용할 경우 지주와의 고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로프 고정나사의 길이는 파이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로프를 고정할 경우, 로프 고정공은 폐쇄시켜 로프 수용부 표면이 평평하도록 마감 처리하는 것이 적절한데, 이는 사용자가 로프 고정나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 사시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지주에 설치되는 로프는 섬유, 나일론, 철로 이루어진 섬유사들로 이루어진 다수개 밧줄이 여러가닥으로 꼬아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밧줄은 자외선 또는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등으로 인해 마모 및 손상이 크다.
또한, 야간에는 안전방지 및 일정한 구획형성과 같은 밧줄의 기본적인 기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는 야간사용은 물론, 반영구적인 기능성을 갖을 수 있도록 밧줄의 중심 프레임을 이루는 심부(20); 상기 심부 둘레에 도포되어 코팅 처리된 색상코팅부(21); 상기 색상 코팅부 둘레를 일정한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는 야광코팅부(22); 상기 야광 코팅부 및 색상 코팅부 둘레를 코팅하는 투명코팅부(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는 야광코팅부의 코팅액의 도포처리 방법에 따라 실시예 TYPE 1, TYPE 2, TYPE 3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TYPE 1은 야광코팅부가 색상코팅부 둘레 전체에 도포처리된 것으로 야간에 주로 사용되는 가이드로프로 형성할 수 있고, TYPE 2는 나사산과 같이 색상코팅부 둘레에 도포된 것으로 야광 코팅부에 의해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로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 역할을 할 수 있다. TYPE 3은 도트(dots) 모양으로 도포처리 되어 색상코팅부의 면적을 증가시킴과 야간에 사용을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가이드 로프의 구성부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5의 도시된 가이드 로프 제조장치와 가이드로프의 구성요소가 제조되는 과정을 가이드 로프 구성부와 함께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 제조장치는 심부에 색상, 야광, 투명 코팅을 위한 용융상태의 원료가 압출되어 토출되는 코팅도포장치(10); 상기 코팅 도포장치의 하부방향으로 원료의 토출 및 토출량을 조절하는 다이스(11); 일정한 수평방향으로 심부중심을 회전시키며 상기 다이스로부터 토출되는 원료의 도포 및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심부(20)는 기존의 일반적인 로프 구성인 천연섬유, 합성수지, 철과 같은 섬유사들로 구성된 다수개의 밧줄심이 일정하게 꼬아져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부 일측은 회전 모터와 연결되어 이동부상에서 심부의 일측면을 원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된다.
코팅 도포장치는 색상코팅 도포장치(10a), 야광코팅 도포장치(10b), 투명코팅 도포장치(10c)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장치마다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와 투입된 원료를 용융상태로 만드는 압출기가 설치되며 기재된 순서에 따라 용융된 원료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 도포장치에 공통적으로 설치되는 다이스의 토출부에는 코어(core)가 설치되어 토출량, 토출주기 및 토출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색상코팅 도포장치(10a)는 심부에 색상 코팅부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장치로 호퍼에 투입되는 원료는 폴리에틸렌 수지, 착색염료, 근적외선 흡수염료,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료의 조성은 햇볕에 노출되는 수지에 대해 근적외선 및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시킴으로써 수지의 산화를 억제시킴은 물론, 구별되는 색상을 통해 지형의 위치, 경사도 등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착색염료는 목적으로 하는 색상에 대응되는 유기안료로 선택될 수 있고, 근적외선 흡수염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를 엔엠피(NMethyl-2-pyrrolidone)에 용해시킨 바인더에 근적외선 흡수염료를 첨가하여 조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2-(2' - hydroxy -3' - tert - butyl - 5' - methyl - phenyl)-5-chlorobenzotriazol이 선택될 수 있다.
야광코팅 도포장치(10b)에 투입되는 원료는 축광물질로 색상코팅의 도포가된 가이드 로프의 외측면에 나선형태, 링형태, 도트형태, 전체측면 도포 등의 도포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 제조장치에서 심부는 이동부 통해 각 도포장치를 이동할 시에 심부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회전속도의 조절과 다이스의 코어를 통해 원료의 토출속도와 토출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목적하는 형태의 도포가 완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도트형태의 야광코팅부는 회전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로프의 회전속도와 이동속도가 다이스의 토출속도보다 빠르게 되어 이루어진다.
투명코팅부는 코팅의 최종단계가 이루어지고 투입되는 원료는 폴리에틸렌 수지, 근적외선 흡수염료,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로프의 마모를 방지하고 방수 역할을 하여 로프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작업의 빈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포 작업이 완료된 가이드로프는 이동부를 통해 냉각부로 이동하고, 상기의 원료가 대부분 열가소성 수지로 상온 또는 냉수에서 냉각 및 고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냉각수 또는 일정시간동안 상온에서 고화를 시킴으로써 완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이드 로프용 지주를 제공함으로써 지주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 작업시간과 번거로움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지주에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는 우수한 방수성과 마모 방지로 교체가 거의 불필요하므로 관광지 또는 레크리에이션 장소에 설치하여 안전성 도모와 식생관리에 용이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부호의 설명]
10: 코팅도포장치 10a: 색상코팅 도포장치
10b: 야광코팅 도포장치 10c: 투명코팅 도포장치
11: 다이스 12: 이동부
20: 심부 20A : 가이드로프
21: 색상 코팅부 22: 야광 코팅부
23: 투명 코팅부 30: 지주
40: 로프 고정장치 41: 로프 수용부
42: 지주고정부 43: 로프고정공
44: 로프 고정나사

Claims (4)

  1.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의 하부측이 매설 또는 접지판을 매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 둘레에 끼움 고정되는 지주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주고정부와 연결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가이드 로프가 관통되는 로프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로프 수용부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수평방향으로 절단되고 절단된 일측면은 힌지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타측면은 가이드 로프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개방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에는 판프레임이 연결 형성되고, 판프레임의 측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나사를 고정하여 개방구를 폐쇄상태로 유지가 가능하며,
    로프 수용부 파이프 프레임은 양단 개구부에서 로프 고정공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가이드 로프 직경과 동일하도록 감소하게 형성되고,
    로프 수용부의 파이프 프레임 상, 하부면에는 로프 고정공이 형성되어 로프 고정공을 통해 로프 고정나사가 내부에 수용된 가이드 로프를 관통하여 파이프 프레임과 로프를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로프용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16245A 2016-02-12 2016-02-12 가이드 로프용 지주 KR10184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245A KR101847700B1 (ko) 2016-02-12 2016-02-12 가이드 로프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245A KR101847700B1 (ko) 2016-02-12 2016-02-12 가이드 로프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17A KR20170094917A (ko) 2017-08-22
KR101847700B1 true KR101847700B1 (ko) 2018-04-11

Family

ID=5975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245A KR101847700B1 (ko) 2016-02-12 2016-02-12 가이드 로프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28B1 (ko) * 2018-02-19 2020-01-23 이갑기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102144272B1 (ko) * 2018-02-19 2020-08-13 이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00B1 (ko) * 2009-02-05 2009-08-14 (주) 화랑월드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독립 고정구
KR101402671B1 (ko) * 2012-11-28 2014-06-03 김경태 휀스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00B1 (ko) * 2009-02-05 2009-08-14 (주) 화랑월드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독립 고정구
KR101402671B1 (ko) * 2012-11-28 2014-06-03 김경태 휀스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17A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00B1 (ko) 가이드 로프용 지주
US7410431B2 (en) Composite locking upright
US8402975B2 (en) Post cover sleeve with cigarette receptacle
US8113971B2 (en) Multi-material composite locking upright
US7972226B2 (en) Multi-material composite locking upright
CN111648274A (zh) 一种市政道路隔离护栏
EP3174423B1 (de) Schwimmfähige halterung für einen gegenstand
KR101899524B1 (ko) 2중 지주를 이용한 동물 유도 펜스
CN116897875A (zh) 一种融合海上风电的海洋牧场养殖装置
KR101788448B1 (ko) 다층형 가이드 로프 및 다층형 가이드 로프 제조방법
KR20110026575A (ko) 볼라드 충격흡수용 조립식 커버
KR101787544B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DE10106916B4 (de) Vorrichtung für Deich- und Hochwasserschutz
CN105874149A (zh) 用于地下井的复合材料抽油杆组件
DE202017105513U1 (de) Bügel zur Verwendung als Geländer, Handlauf, Schutzbügel, Fahrradparker o. dgl. Mobiliar
CN106368139A (zh) 便携式高度可调警戒杆
KR101873435B1 (ko) 시공이 용이하고 지지력이 보강된 야생동물 유도 울타리
US20190110446A1 (en) Apiary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9893973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花盆
KR20190068105A (ko) 시인성이 우수한 낚시찌
CN202530389U (zh) 一种抗风防眩板
KR102615614B1 (ko) 김 양식용 간답대
GB2546203A (en) Anchor peg
US11808005B2 (en) Extruded frictionally-enhanced reinforced pile
CN209826058U (zh) 一种可调式的预制楼梯展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