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606B1 - 썬캡 - Google Patents
썬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606B1 KR101847606B1 KR1020170028448A KR20170028448A KR101847606B1 KR 101847606 B1 KR101847606 B1 KR 101847606B1 KR 1020170028448 A KR1020170028448 A KR 1020170028448A KR 20170028448 A KR20170028448 A KR 20170028448A KR 101847606 B1 KR101847606 B1 KR 101847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core
- depression
- ribs
- rib
- longitud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썬캡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썬캡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된 탄성심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썬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썬캡의 탄성심재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탄성심재의 움직임을 유연하고 가볍게 함으로 썬캡의 착용감 및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심재의 함몰부에 가로리브와 세로리브를 추가로 형성하여 복원력을 향상시킴으로 탄성심재의 형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안정감 있게 썬캡을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썬캡의 탄성심재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탄성심재의 움직임을 유연하고 가볍게 함으로 썬캡의 착용감 및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심재의 함몰부에 가로리브와 세로리브를 추가로 형성하여 복원력을 향상시킴으로 탄성심재의 형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안정감 있게 썬캡을 착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썬캡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썬캡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된 탄성심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썬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썬캡(Suncap)은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모자로, 머리에 착용 시 안면부에 직사광선을 차단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모자이다.
상세하게는 썬캡의 탄성심재는 탄성력이 있어, 사용자가 썬캡을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 썬캡의 탄성심재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감있게 장착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탄성심재로 인해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그것은, 탄성심재의 두께를 얇게 제조하면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을 한 상태에서 격한 활동을 하거나, 오래 사용시 탄성심재가 쉽게 휘어져 썬캡의 형태가 변형된다. 썬캡의 심재는 손으로 조금만 비틀어도 원래 형태로 복원되지 않아, 심재의 형태가 변형되어 사용자가 착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극복하고자 탄성심재의 두께를 두껍게 제조하면, 탄성심재가 땀이 가장 많이 흐르는 이마부분의 통기를 차단하게 되어 밴드에서 땀 흡습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할 뿐더러 이마를 갑갑하게 하고, 무거운 중량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계속적으로 압박하므로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썬캡의 탄성심재를 유연하고 가볍게 형성함으로써 착용감 및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탄성심재의 복원력을 향상시킴으로 탄성심재의 형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안정감있게 착용하는 썬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탄성심재(10)가 포함된 썬캡에 있어서, 상기 탄성심재(10)는 탄성심재(1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탄성심재(10)의 내부면 중앙부터 양측면으로 이어지는 부분까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11)와, 상기 함몰부(11)의 세로중앙에 형성되되, 함몰부(11)의 일측 끝단(11a)과 타측 끝단(11b)을 가로질러 돌출형성된 가로리브(12)와, 상기 함몰부(11)의 상단(11c)과 하단(11d)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가로리브(12)보다 돌출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세로리브(1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에 의해 격자형의 함몰부(11)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세로리브(13)는 탄성심재(10)의 중심으로부터 탄성심재(10)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중앙세로리브(13a)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세로리브(13a)를 기준으로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11b)을 향하는 방향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제1경사세로리브(13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세로리브(13b)로부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제2경사세로리브(13c)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함몰부(11)의 표면과 중앙세로리브(13a) 사이의 각도(k1)는 직각이며, 함몰부(11)의 표면과 중앙세로리브(13a) 사이의 각도(k1)는 함몰부(11)의 표면과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각도(k2)보다 크고, 함몰부(11)의 표면과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각도(k2)는 함몰부(11)의 표면과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각도(k3)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k1>k2>k3)을 특징으로 하고, 중앙세로리브(13a)와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거리(t1)는 상기 제1경사세로리브(13b)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2)보다 작으며, 제1경사세로리브(13b)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2)는 상기 제2경사세로리브(13c)로부터 함몰부(11)의 양측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제3경사세로리브(13d)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3)보다 작게 형성된 것(t1<t2<t3)을 특징으로 하는 썬캡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썬캡의 탄성심재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탄성심재의 움직임을 유연하고 가볍게 함으로 썬캡의 착용감 및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심재의 함몰부에 가로리브와 세로리브를 추가로 형성하여 복원력을 향상시킴으로 탄성심재의 형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안정감 있게 썬캡을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함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함몰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로리브(12)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세로리브(13)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세로리브(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함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함몰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로리브(12)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세로리브(13)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세로리브(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썬캡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썬캡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탄성심재(10)가 포함된 썬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썬캡은 각종 야외활동 시 간단하게 휴대했다가 착용할 수 있는 햇빛 가리개로서, 햇빛을 가려주는 차양판과 썬캡을 머리에 지지하기 위한 착용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심재(10)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용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탄성심재(1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의 좌우측 둘레에 가볍게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탄성심재(10)의 함몰부(11)는 사용자의 이마부분에 위치하며, 탄성심재(10)의 고정구(14)는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썬캡에 내장된 탄성심재(1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심재(1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상기 탄성심재(10)는 신축이 가능한 부재로서 고무, 수지,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실리콘 등 공지의 재료로 형성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탄성심재(10)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탄성심재(10)는 함몰부(11), 가로리브(12), 세로리브(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심재(10)와 이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탄성심재(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만일 탄성심재(10)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면, 탄성심재(10)의 탄성력과 중량이 감소하게 되어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안정감이 줄어들며 쉽게 머리에서 썬캡이 이탈된다. 또한 탄성심재(10)에 조금만 압력을 가하여도 탄성심재(10)의 형태가 쉽게 틀어져, 장시간 썬캡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탄성심재(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면,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감 있게 썬캡이 착용될 수 있으나, 탄성심재(10)의 중량이 커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를 계속적으로 압박함으로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머리에 적절한 중량으로 안정감 있게 착용되려면, 탄성심재(10)가 4 ~ 6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두께로 탄성심재(10)가 형성되면, 탄성심재(10)의 중량감이 커지므로 사용자가 머리의 압박을 쉽게 느낄 수 있다. 또한 탄성심재(10)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 인해 탄성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심재(10)의 내부 일측면에 함몰부(11)를 추가로 형성하여, 탄성심재(10)를 경량화시킴과 동시에 탄성심재(1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11)로 인해 탄성심재(10)의 중량을 현저히 줄임으로 자재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감축시켜준다.
아래는 상기 함몰부(11)에 관한 설명이다.
함몰부(11)는 탄성심재(1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탄성심재(10)의 내부면 중앙부터 양측면으로 이어지는 부분까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1)가 형성됨으로 탄성심재(10)의 움직임이 유연해질 수 있으나, 무게가 가벼워져 쉽게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심재(10)에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를 추가로 형성하여, 탄성심재(10)에 외부의 압력을 가함으로 인해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 탄성심재(10)가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3, 4는 탄성심재(10)의 함몰부(11)를 확대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가로리브(12) 및 세로리브(13)를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가로리브(12)는 상기 함몰부(11)의 세로중앙에 형성되되, 함몰부(11)의 일측 끝단(11a)과 타측 끝단(11b)을 가로질러 돌출형성된다.
또한 세로리브(13)는 상기 함몰부(11)의 상단(11c)과 하단(11d)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가로리브(12)보다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리브(13)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1개의 세로리브(13)가 형성되어 탄성심재(10)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가로리브(12)가 세로리브(13)보다 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 인해 탄성심재(10)의 양끝단(10a, b)이 벌어질 때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썬캡을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 형성되어 있음으로 다수의 조그마한 함몰부들이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조그마한 격자형의 함몰부가 위아래 2개층이고, 좌우방향으로 12칸의 격자가 형성되어, 총 24개가 만들어진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의 개수를 가감하여 조그마한 함몰부의 개수와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다수의 세로리브(13)는 탄성심재(10)의 중심으로부터 탄성심재(10)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중앙세로리브(13a)가 형성된다.
제1경사세로리브(13b)는 상기 중앙세로리브(13a)를 기준으로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11b)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경사세로리브(13c)는 상기 제1경사세로리브(13b)로부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도 9는 도7의 탄성심재(10)를 A-A'로 절단한 단면도를 일부 확대한 것으로 세로리브(13)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함몰부(11)의 표면과 중앙세로리브(13a) 사이의 각도(k1)는 직각이며, 함몰부(11)의 표면과 중앙세로리브(13a) 사이의 각도(k1)는 함몰부(11)의 표면과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각도(k2)보다 크게 형성된다(k1>k2)
또한 함몰부(11)의 표면과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각도(k2)는 함몰부(11)의 표면과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각도(k3)보다 크도록 형성된다(k2>k3). 즉, 세로리브(13)는 중앙세로리브(13a)를 기준으로 함몰부(11)의 양끝단(11a, 11b)으로 갈수록 함몰부(11)의 표면에 형성된 세로리브(13)와 함몰부(11)의 표면 사이의 각도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함몰부(11)를 상방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가로리브(12)를 제외한 세로리브(13)만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을 통해 다수의 세로리브(13)의 위치간격을 설명한다.
즉, 상기 중앙세로리브(13a)와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거리(t1)는 상기 제1경사세로리브(13b)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2)보다 작게 형성된다(t1<t2).
제1경사세로리브(13b)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2)는 상기 제2경사세로리브(13c)로부터 함몰부(11)의 양측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제3경사세로리브(13d)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3)보다 작게 형성된다(t2<t3).
이와 같이 다수의 세로리브(13)는 중앙세로리브(13a)를 기준으로 함몰부(11)의 양끝단(11a, 11b)으로 갈수록 세로리브(13)들 간의 간격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세로리브(13)의 각도와 위치간격으로 인해, 탄성심재(10)가 유연함과 동시에 외부의 힘으로 탄성심재(10)의 양끝단(10a, 10b)을 벌리더라도 탄성심재(10)가 부러지지 않고 지지되는 힘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어린이, 어른 등 다양한 두상의 사이즈를 소유한 사람들이 썬캡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두상이 큰 사용자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세로리브(13)의 각도와 위치간격으로 인해 탄성심재(10)가 유연하게 지지되어 사용자에게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한다.
또한 이를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세로리브(13)는 탄성심재(10)의 중심(도 2의 G)으로부터 탄성심재(10)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도 2의 G에서부터 화살표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세로리브(13)가 상기 함몰부(11)의 중앙에서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와 같이, 함몰부(11)의 가로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1세로리브(13a)의 면적(A1)은 함몰부(11)의 일측 끝단(11a)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3세로리브(13c)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세로리브(13a)를 중심으로 제3세로리브(13c)를 향하여 갈수록 세로리브(13)들이 함몰부(11)의 일측 끝단(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형성된다.
이로 인해, 탄성심재(10)의 양끝단(10a, b)이 벌어질 때, 세로리브(13)의 기울어진 범위 내로 탄성심재(10)가 유연하게 벌어져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따라 탄성심재(10)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어린이, 어른 등에 구애받지 않고 썬캡 착용이 가능하다.
상기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의 작용예에 대하여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6을 참고하여 가로리브(12)의 작용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탄성심재(10)의 일측끝단(10a)과 타측 끝단(10b)이 벌어지는 경우(S1 방향), 가로리브(12)는 가로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됨으로 인해 탄성심재(1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S2 방향).
도 6은 탄성심재(10)의 양끝단(10a, b)이 벌어지기 전(a)과 벌어진 후(b)의 모습을 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곡선형태로 형성된 탄성심재(10)와 대응되도록 가로리브(12)가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탄성심재(10)의 양끝단(10a, b)이 벌어지면, 도 6(b)와 같이 가로리브(12)가 일직선에 가깝게 펴지게 되며, 가로리브(12)가 제자리로 복원되기 위해 화살표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된다. 이로 인해 탄성심재(1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7, 8은 세로리브(13)의 작용예에 관한 것으로, 도시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작용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탄성심재(10)의 일측 끝단(10a)과 타측 끝단(10b)이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경우(K1 방향), 세로리브(13)는 세로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됨으로 인해 탄성심재(1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K2 방향).
도 8은 탄성심재(10)의 일측 끝단(10a)과 타측 끝단(10b)이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지기 전(a)과 비틀어진 후(b)를 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8(a)와 같이 탄성심재(10)에 형성된 세로리브(13)를 도 7의 K1 방향으로 비틀면, 도 8(b)와 같이 탄성심재(10)의 틀어짐으로 인해, 세로리브(13)도 함께 틀어지게 된다. 하지만 도8(b)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세로리브(13)의 세로방향으로 작용되는 복원력으로 인해, 세로리브(13)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탄성심재(1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심재(10)에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가 동시에 형성됨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되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썬캡에 외압을 가하여도 썬캡이 쉽게 틀어지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썬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탄성심재(10)의 양끝단(10a, b)과 가까운 위치에 고정구(14)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4)는 밴드, 단추 등이 연결되는 구멍으로,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한 상태에서 격한 운동을 하거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썬캡이 사용자의 머리에서 벗겨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형성된 것이다.
탄성심재의 양끝단(10a, b)에 형성된 고정구(14)를 통해 밴드 등의 연결수단으로 썬캡의 착용밴드가 머리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탄성심재(10)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탄성심재(10)의 내부 표면에 분할함몰부(17)가 다수 형성된 함몰부(11)를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함몰부(11)는 탄성심재(10)의 내부면의 상하좌우로 소정크기의 분할함몰부(17)가 다수 형성된다. 사용자의 머리에 썬캡을 착용시, 썬캡에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야 하나, 사용자는 탄성심재(10)의 두께와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심재(10)가 닿는 머리 부분이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탄성심재(10)의 유연성과 견고함이 동시에 유지하여 사용자의 썬캡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탄성심재(10)의 내부면을 소정 크기로 함몰하여 다수의 분할함몰부(17)를 형성한다.
도 3에는 분할함몰부(17)가 상하방향으로 2줄, 좌우방향으로 12개 형성되어 총 24개의 사각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분할함몰부(17)의 개수, 크기, 형태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다수의 분할함몰부(17)는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할함몰부(17)가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 인해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가 형성된다.
상기 가로리브(12)는 분할함몰부(17)가 상하로 형성됨으로 인해, 탄성심재(10) 내부면의 상방에 형성된 분할함몰부(17a)와 하방에 형성된 분할함몰부(17b) 사이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세로리브(13)는 상기 분할함몰부(17)가 좌우로 형성됨으로써, 분할함몰부(17)들의 사이사이에 돌출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함몰부(17)가 상하좌우의 격자형으로 형성될 때, 가로리브(12)는 위아래로 형성된 분할함몰부(17)의 사이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도록 함몰부(11)의 세로중앙에 형성되며, 함몰부(11)의 일측 끝단(11a)과 타측 끝단(11b)을 가로질러 돌출형성된다.
또한 세로리브(13)는 좌우로 형성된 분할함몰부(17)의 사이사이에 돌출형성되되, 상방에 형성된 분할함몰부(17)와 하방에 형성된 분할함몰부(17)의 각 일측모서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함몰부(11)의 상단(11c)과 하단(11d)을 가로질러 세로리브(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심재(10)는 탄성심재(10)의 내부면에 분할함몰부(17)가 다수 형성됨으로, 탄성심재(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견고함을 유지시킴으로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심재(10)에 다수의 분할함몰부(17)가 형성됨으로 인해 탄성심재(10)의 무게가 가벼워져 썬캡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를 짓누르는 압박감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탄성심재
11 함몰부
17 분할함몰부
12 가로리브
13 세로리브
14 고정구
11 함몰부
17 분할함몰부
12 가로리브
13 세로리브
14 고정구
Claims (5)
-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탄성심재(10)가 포함된 썬캡에 있어서,
상기 탄성심재(10)는
탄성심재(1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탄성심재(10)의 내부면 중앙부터 양측면으로 이어지는 부분까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11)와,
상기 함몰부(11)의 세로중앙에 형성되되, 함몰부(11)의 일측 끝단(11a)과 타측 끝단(11b)을 가로질러 돌출형성된 가로리브(12)와,
상기 함몰부(11)의 상단(11c)과 하단(11d)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가로리브(12)보다 돌출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세로리브(1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로리브(12)와 세로리브(13)에 의해 격자형의 함몰부(11)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세로리브(13)는
탄성심재(10)의 중심으로부터 탄성심재(10)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중앙세로리브(13a)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세로리브(13a)를 기준으로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11b)을 향하는 방향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제1경사세로리브(13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세로리브(13b)로부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함몰부(11)의 양측 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제2경사세로리브(13c)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캡. - 제1항에 있어서,
함몰부(11)의 표면과 중앙세로리브(13a) 사이의 각도(k1)는 직각이며,
함몰부(11)의 표면과 중앙세로리브(13a) 사이의 각도(k1)는 함몰부(11)의 표면과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각도(k2)보다 크고,
함몰부(11)의 표면과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각도(k2)는 함몰부(11)의 표면과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각도(k3)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k1>k2>k3)을 특징으로 하는 썬캡.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앙세로리브(13a)와 제1경사세로리브(13b) 사이의 거리(t1)는
상기 제1경사세로리브(13b)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2)보다 작으며,
제1경사세로리브(13b)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2)는
상기 제2경사세로리브(13c)로부터 함몰부(11)의 양측끝단(11a, 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제3경사세로리브(13d)와 제2경사세로리브(13c) 사이의 거리(t3)보다 작게 형성된 것(t1<t2<t3)을 특징으로 하는 썬캡.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8448A KR101847606B1 (ko) | 2017-03-06 | 2017-03-06 | 썬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8448A KR101847606B1 (ko) | 2017-03-06 | 2017-03-06 | 썬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7606B1 true KR101847606B1 (ko) | 2018-04-10 |
Family
ID=6197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8448A KR101847606B1 (ko) | 2017-03-06 | 2017-03-06 | 썬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6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9478Y1 (ko) * | 2001-01-30 | 2001-07-03 | 서평수 | 선 바이저용 헤드밴드 |
-
2017
- 2017-03-06 KR KR1020170028448A patent/KR101847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9478Y1 (ko) * | 2001-01-30 | 2001-07-03 | 서평수 | 선 바이저용 헤드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43888B1 (en) | Headband having integrated functional cushion case | |
CN109497646B (zh) | 帽类物品 | |
US20110219507A1 (en) | Sunshade mask | |
US20170027250A1 (en) | Ear sun protector | |
US20220061425A1 (en) | Face Shield and Method of Use | |
US20060174397A1 (en) | Headwear visor | |
KR100566488B1 (ko) | 모자 | |
US5930834A (en) | Headwear with retractable sunglass sheet | |
US7472428B2 (en) | Swim cap with multiple durometers | |
US20060090244A1 (en) | Grooved visor stiffener and headwear using the same | |
KR101334931B1 (ko) | 기능성 모자 | |
KR101847606B1 (ko) | 썬캡 | |
WO2021112580A1 (ko) | 헤어 볼륨유지 보정구 및 이를 모자에 장착한 헤어 볼륨유지 모자 | |
KR20110139913A (ko) | 모자 | |
KR101524175B1 (ko) | 차양 모 | |
CN114248886A (zh) | 潜水面罩 | |
KR100873002B1 (ko) | 착용감을 개선시키는 모자용 탄성밴드 및 그 탄성밴드를사용한 모자 | |
KR200474537Y1 (ko) | 착용감이 우수한 밀리터리 모자 | |
KR200481610Y1 (ko) |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 |
KR200482043Y1 (ko) | 압박감이 적은 모자용 챙심 | |
KR200492189Y1 (ko) |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 |
KR101021228B1 (ko) | 양면모자용 탄성밴드장착구조 및 그 탄성밴드장착구조를갖는 양면모자 | |
JP2022059673A (ja) | マスク支持具 | |
KR200164104Y1 (ko) | 선글라스렌즈가분리및결합되는모자 | |
KR20230080337A (ko) | 선 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