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89Y1 -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 Google Patents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89Y1
KR200492189Y1 KR2020170003436U KR20170003436U KR200492189Y1 KR 200492189 Y1 KR200492189 Y1 KR 200492189Y1 KR 2020170003436 U KR2020170003436 U KR 2020170003436U KR 20170003436 U KR20170003436 U KR 20170003436U KR 200492189 Y1 KR200492189 Y1 KR 200492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head
head
sides
bent portions
inner 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29U (ko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진 filed Critical 신동진
Priority to KR2020170003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8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9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42B1/062
    • A42B1/069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를 원호형테두리부와, 양단부와, 개방부와, 내측하부절곡부로 구성하여, 원호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가압되어 안착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양 내측하부절곡부가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 및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뒷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띠심재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 측면부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하고, 탄성띠심재를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압박감이 없이 안정되게 착탈되도록한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A sun visor}
본 고안은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를 원호형테두리부와, 양단부와, 개방부와, 내측하부절곡부로 구성하여, 원호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가압되어 안착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양 내측하부절곡부가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 및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뒷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띠심재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 측면부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하고, 탄성띠심재를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압박감이 없이 안정되게 착탈되도록한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모자는 스포츠 관람이나 해수욕 또는 낚시 등 야외에서 활동하는 중에 얼굴로 조사되는 햇빛으로부터 피부 및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양모자(1a)는 차양부재(1)가 개구된 상태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헤어밴드(2)와, 상기 헤어밴드(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재봉되는 차양(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헤어밴드(2)의 양측에는 양단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2a)의 사이에는 개구부(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어밴드(2)와 차양(4)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외피로 감싸져 재봉되며, 헤어밴드(2)의 개구된 부위를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된 후, 헤어밴드(2)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머리에 장착된 상태로 착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양모자(1a)는 탄력성을 갖는 헤어밴드(2)가 이마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헤어밴드(2)의 상기 양단부(2a)의 일면이 이마와 머리둘레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가압안착되지 않고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에서 상기 헤어밴드(2)의 상기 양단부(2a)가 흘러내려가 차양모자를 착용시 차양모자는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에서 흘러내려가 차양모자를 쓴 착용자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에서 흘러내리는 차양모자를 계속해서 이마와 머리둘레의 측면부로 올려주어야 하는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고안과 같은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를 원호형테두리부와, 양단부와, 개방부와, 하부절곡부로 구성하여, 원호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가압되어 안착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양 내측하부절곡부가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 및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뒷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띠심재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 측면부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하고, 탄성띠심재를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압박감이 없이 안정되게 착탈되도록한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가 제공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5-011266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를 원호형테두리부와, 양단부와, 개방부와, 내측하부절곡부로 구성하여, 원호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가압되어 안착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양 내측하부절곡부가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 및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뒷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띠심재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 측면부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하고, 탄성띠심재를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압박감이 없이 안정되게 착탈되도록한 새로운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차양모(a)의 머리띠에 삽입, 재봉되어 머리에 반복적으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띠심재(10)에서,
상기 탄성띠심재(10)는 이마와, 상기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를 커버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테두리부(11)와, 상기 원형테두리부(11)의 후방에 형성된 양단부(13K, 13L)와, 상기 양단부(13K, 13L)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12)로 구성되고, 상기 양단부(13K, 13L)가 하부로 내향 절곡된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로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하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로 형성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와 함께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는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인 머리 뒤통수의 뒷부분 양측면(30A, 30B)을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 및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를 갖는 상기 양단부(13K, 13L)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삭제
삭제
삭제
통공(15A, 15B)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15A, 15B)이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에 형성되므로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가 외력에 의해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본 고안은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를 원호형테두리부와, 양단부와, 개방부와, 내측하부절곡부로 구성하여, 원호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가압되어 안착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양 내측하부절곡부가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 및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뒷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띠심재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 측면부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하고, 탄성띠심재를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압박감이 없이 안정되게 착탈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종래의 차양모와 헤어밴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b는 종래의 헤어밴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심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심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하부절곡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들을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하부절곡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호형연장부와, 통공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내측절곡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심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심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심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하부절곡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들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하부절곡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호형연장부와, 통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내측절곡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심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a)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는 차양모의 머리띠에 삽입, 재봉되어 머리에 반복적으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띠심재(10)는 원호형테두리부(11)와 양단부(13K, 13L)와 개방부(12)와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로 구성된다.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는 상기 탄성띠심재(10)를 이루는 본체로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이마의 전면부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상부 외측둘레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띠심재(10)는 이마와, 상기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원형테두리부(11)의 양측후방에 형성된 양단부(13K, 13L)로 구성된다.
상기 양단부(13K, 13L)는 머리 뒤통수의 상부양측면(30A, 30B)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양단부(13K, 13L)는 원형테두리부(11)의 일측후방에 단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테두리부(11)의 타측후방에 단부(13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테두리부(11)의 양측 후방에는 상기 양단부(13K, 13L)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서 상기 원형테두리부(11)의 양측후방에는 양단부(13K, 13L)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양단부(13K, 13L)는 상기 원형테두리부(11)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외측둘레에서 상기 원형테두리부(11)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머리 뒤통수의 상부양측면(30A, 30B)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단부(13K, 13L)의 사이에는 개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2)는 이마를 삽입되어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외측둘레가 실제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구성되고 머리의 크기에 따라 넓어지거나 좁아져 모자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드럽게 머리 뒤통수를 가압하여 모자가 머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양단부(13K, 13L)는 하부로 내향 절곡된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는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내측면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인 머리 뒤통수의 뒷부분 양측면(30A, 30B)을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를 갖는 상기 양단부(13K, 13L)로 구성된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가 이마와 이마와 연결된 머리외측둘레 및 머리 뒤통수의 상부양측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로 구성된 상기 탄성띠심재(10)가 안정적으로 이마와 이마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머리외측둘레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넓이는 원호형테두리부(11)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한다.
머리의 뒤통수와 접촉되는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를 넓게 형성한 것에 의하여 넓은 면적으로 머리의 뒤통수와 접촉하여 큰 힘으로 머리를 가압하는 모자가 머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머리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머리에 가압되는 힘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켜 상대적으로 가압되는 힘을 적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하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로 더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하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로 더 형성하는 것은,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와 함께 더불어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는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인 머리 뒤통수의 뒷부분 양측면(30A, 30B)을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 및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를 갖는 상기 양단부(13K, 13L)로 구성된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가 이마와 이마와 연결된 머리외측둘레 및 머리 뒤통수의 상부양측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가 구성인 상기 탄성띠심재(10)가 안정적으로 이마와 이마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머리외측둘레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돌기(14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돌기(14b)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돌기(14b)들이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외측둘레의 뒷부분인 머리 뒤통수의 상부양측을 가압하여서,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가 머리 뒤통수의 상부양측에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호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호형으로 형성된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에 통공(15A, 15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호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은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와 더불어 상기 호형연장부분이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외측둘레의 뒷부분 즉 머리 뒤통수의 뒷부분 양측면(30A, 30B)에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 및 상기 호형의 구성인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가 이마 및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에서 흘러 내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삭제
또한, 상기 통공(15A, 15B)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15A, 15B)이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에 형성하는 것은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가 외력에 의해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a)의 머리띠용 상기 탄성띠심재(10)는 머리띠로 사용되도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띠심재(10)가 상기 차양모(a)의 머리띠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이마와 이마양쪽과 연결된 머리둘레 및 머리 뒤통수 상부양측을 가압하여 머리의 머리카락을 정리할 수 있는 머리띠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술하는 본 고안은 차양모의 머리띠용 상기 탄성띠심재(10)를 상기 원호형테두부(11)와, 상기 양단부(13K, 13L)와, 상기 개방부(12)와,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로 구성하여,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의 내측면이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가압되어 안착되고, 상기 양단부(13K, 13L)에 형성된 양 내측하부절곡부(14C, 14D) 및 하향내측절곡부(14a, 14g)가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측면부 및 이마와 양쪽으로 연결된 머리둘레의 뒷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띠심재(10)가 이마와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둘레 측면부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하고, 상기 탄성띠심재(10)를 머리둘레의 외측둘레에 압박감이 없이 안정되게 착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탄성띠심재 11 : 원호형테두리부
12 : 개방부 13K, 13L : 양단부
14C, 14D : 내측하부절곡부 14a, 14g : 하향내측절곡부
14b : 돌기 15A, 15B : 통공
30A, 30B : 머리 뒤통수의 뒷부분 양측면

Claims (4)

  1. 차양모(a)의 머리띠에 삽입, 재봉되어 머리에 반복적으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띠심재(10)에서,
    상기 탄성띠심재(10)는 이마와, 상기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를 커버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테두리부(11)와, 상기 원호형테두리부(11)의 후방에 형성된 양단부(13K, 13L)와, 상기 양단부(13K, 13L)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12)로 구성되고, 상기 양단부(13K, 13L)가 하부로 내향 절곡된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로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의 하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로 형성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와 함께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는 이마의 양측과 연결된 머리의 외측둘레의 뒷부분인 머리 뒤통수의 뒷부분 양측면(30A, 30B)을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 및 상기 내측하부절곡부(14C, 14D)를 갖는 상기 양단부(13K, 13L)로 구성되고,
    통공(15A, 15B)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15A, 15B)이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에 형성되므로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하향내측절곡부(14a, 14g)가 외력에 의해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3436U 2017-07-03 2017-07-03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KR200492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36U KR200492189Y1 (ko) 2017-07-03 2017-07-03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36U KR200492189Y1 (ko) 2017-07-03 2017-07-03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18U Division KR200484579Y1 (ko) 2016-07-12 2016-07-12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29U KR20180000229U (ko) 2018-01-22
KR200492189Y1 true KR200492189Y1 (ko) 2020-10-14

Family

ID=6128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436U KR200492189Y1 (ko) 2017-07-03 2017-07-03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8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81Y1 (ko) * 2000-10-26 2001-04-02 주식회사미래엔 차양모자
KR200390302Y1 (ko) * 2005-04-19 2005-07-25 박명원 차양모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531U (ko) * 1985-06-19 1987-01-10
JPH0754256Y2 (ja) * 1993-12-16 1995-12-18 マルホ産業株式会社 サンバイザー
KR101609043B1 (ko) 2014-03-28 2016-04-05 김재범 조립식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81Y1 (ko) * 2000-10-26 2001-04-02 주식회사미래엔 차양모자
KR200390302Y1 (ko) * 2005-04-19 2005-07-25 박명원 차양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29U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67B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0492189Y1 (ko)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KR100548032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 및 이를 구비한 차양모자
KR200484579Y1 (ko)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KR101369204B1 (ko) 착탈가능한 차양을 갖는 착용구
KR200462392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200366134Y1 (ko) 위생모자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200449863Y1 (ko)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100801178B1 (ko) 안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2032530B1 (ko) 차양모자
JP6799876B1 (ja) ヘアバンド
KR102254625B1 (ko) 크기와 디자인의 선택이 가능한 맞춤형 썬캡
KR200439132Y1 (ko)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KR200239194Y1 (ko) 다기능 모자
KR200327885Y1 (ko) 차양모자
KR200201544Y1 (ko) 모자 고정용 밴드
KR100298945B1 (ko) 머리띠를 겸한 차광모
KR200243015Y1 (ko) 차양모자
KR200344905Y1 (ko) 차양모자
KR200246446Y1 (ko) 차양모
KR200370268Y1 (ko) 머리빗을 구비하는 통풍 가능한 모자 밴드
JP2016204818A (ja) 密着調節型多機能頭巾
KR200439952Y1 (ko) 통기성 컬링심재를 구비한 차양모자
KR200454768Y1 (ko) 모자챙에 안경수용홈이 형성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