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132Y1 -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Google Patents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132Y1 KR200439132Y1 KR2020060032800U KR20060032800U KR200439132Y1 KR 200439132 Y1 KR200439132 Y1 KR 200439132Y1 KR 2020060032800 U KR2020060032800 U KR 2020060032800U KR 20060032800 U KR20060032800 U KR 20060032800U KR 200439132 Y1 KR200439132 Y1 KR 2004391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elastic core
- hair band
- elastic
- core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탄성심재가 내재된 뿔테형 헤어밴드로 사용하거나 양단을 신축성 밴드로 연결한 밴드형 헤어밴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뿔테형 헤어밴드로 사용시 탄성심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양모자용 헤어밴드를 개시한다.
헤어밴드, 외피, 내피, 탄성심재, 밴드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차양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서 탄성심재를 분리해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 모자챙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차양챙과 헤어밴드가 결합되는 부분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후면을 보인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서 모자챙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양챙 12: 힌지핀
14: 커버 16: 해리
100: 헤어밴드 102: 출입구
104: 걸림홈 110: 외피
120: 내피 130: 탄성심재
140: 마감부재 150: 밴드
152: 걸고리
본 고안은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헤어밴드 내에 탄성심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헤어밴드의 양단을 밴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모자는 스포츠 관람이나 해수욕 또는 낚시 등 야외에서 활동하는 중에 얼굴로 조사되는 햇빛으로부터 피부 및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구된 원형 띠 형상으로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헤어밴드(1)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헤어밴드 양측에 힌지(3) 결합되어 얼굴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차양챙(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 헤어밴드는 원형 띠 형상으로 성형 재작된 합성수지재의 탄성심재과, 탄성심재의 내측면을 커버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내피 및 탄성심재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외피로 이루어진다. 물론,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탄성심재를 삽입한 후 봉제 처리를 하여 헤어밴드를 제조하게 된다. 참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72741호에는 직물지로 되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탄성심재가 삽입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모자용 헤어밴드에 있어서,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사이에 성형필름을 더 삽입 후 봉제 형성하여서 된 자외선 차단모자용 헤어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양모자용 헤어밴드들은 탄성심재가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삽입된 후 봉제 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압에 의해 탄성심재가 파손되면 헤어밴드 전체가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탄성심재가 파손되면 탄성심재만 교환하여 재사용하면 좋은 데, 종래에는 일반 소비자가 직접 탄성심재만을 구입하여 교환할 수 없기 때문에 차양모자를 다시 구입해야 되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었다.
또한, 외피와 내피 사이에 딱딱한 탄성심재를 삽입한 후 봉제 처리를 하게 되면 탄성심재 때문에 봉제 처리 작업이 어렵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일부 사용자들은 탄성심재의 딱딱함과 압박감 때문에 탄성심재가 내재된 헤어밴드들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는 데, 종래의 탄성심재가 내재된 차양모자용 헤어밴드들은 이러한 사람들의 취향을 만족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예들 들면, 탄성심재의 딱딱함 때문에 급하게 착용하다가 귀부분에 상처를 입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탄성심재가 없는 헤어밴드를 이용한 차양모자를 선호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피와 내피를 먼저 봉제 처리하고 그 사이에 탄성심재를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탄성심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심재를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후방 개구부에 밴드를 장착하여 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차양모자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는 외피와 내피를 맞대고 그 테두리를 봉제 처리하되, 후방 개구부의 일단부에는 외피와 내피 사이로 연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게 봉제 처리되고, 이 출입구는 마감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피와 내피 사이로 탄성심재를 선택적으로 넣어서 삽입하거나 빼서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외피는 면직물과 고밀도 스펀지와 부직포를 합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서 탄성심재를 분리해서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 모자챙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차양챙과 헤어밴드가 결합되는 부분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후면을 보인 배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100)는 외피(110)와 내피(120)를 맞대고 봉제 처리할 때 후방 개구부의 일단부에 출입구(102)를 형성하여 이 출입구(102)를 통해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로 호형의 탄성심재(130)를 넣어서 삽입하거나 빼서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외피(110)와 내피(120)를 봉제 처리할 때는 별도의 해리(16)를 대고 봉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직접 봉제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외피(110)는 면직물(112)과 고밀도 스펀지(114)와 부직포(116)를 합포하여 제조되고, 내피(120)는 망사원단(122)과 스펀지(124)와 직물(126)을 합포하여 제조된다. 물론, 외피(110)의 고밀도 스펀지(114)는 발포 스펀지류를 모두 포함하며, 부직포(116)는 통상의 부직포를 사용하되 수지를 도포한 직물지로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탄성심재(130)를 넣고 빼는 출입구(102)에는 마감부재(140)가 마련되어 출입구(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마감부재(140)는 내피(120)에 덧대어 봉제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내피(120)를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감부재(140)의 내면과 외피(110)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밸크로 파스너(142)를 형성하여 밸크로 파스너(142)를 통해 마감부재(140)가 외피(110)에 부착되어 출입구(102)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마감부재(140)를 외피(110)에 부착시키기 위해 밸크로 파스너(142)를 이용하였지만, 테이프나 단추 또는 지퍼 등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헤어밴드(100)에는 차양챙(10)이 장착되되, 차양챙(10)은 헤어밴드(100)의 외피(110)에 힌지핀(12)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차양챙(10)을 외피(110)에 대고 차양챙(10)의 외면에 커버(14)를 설치한 다음 힌지핀(12)을 통해 이들을 결합시켜 힌지핀(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외피(110)는 상술하 바와 같이 면직물과 고밀도 스펀지와 부직포를 합포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차양챙(10)을 지지할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고안은 차양챙(10)이 외피(110)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탄성심재(130)를 간섭없이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헤어밴드(100) 내에 탄성심재(130)를 삽입하는 대신에 신축성 밴드(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헤어밴드(100)의 후방 개구부 양단에는 걸림홈(104)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104)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성 밴드(150)의 양단에는 걸고리(15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홈(104)은 외피(110) 또는 내피(12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해리(16)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마감부재(140)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신축성 밴드(150)의 걸고리(152)를 헤어밴드(100)의 걸림홈(104)에 끼워 넣어 헤어밴드(100)의 후방 개구부를 신축성 밴드(150)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물론, 신축성 밴드(150)를 사용할 때에는 헤어밴드(100) 내에서 탄성심재(130)를 빼서 분리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면 탄성심재(130)가 없더라도 신축성 밴드(150)의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면직물(112)과 고밀도 스펀지(114)와 부직포(116)를 합포하여 외피(110)를 제조하고, 망사원단(122)과 스펀지(124)와 직물(126)을 합포하여 내피(120)를 제조한 다음, 이들은 각각 재단하여 머리띠 형상으로 만든다. 그런 다음, 재단된 외피(110)와 내피(120)를 맞대고 그 테두리를 봉제 처리하여 일체화 시킨다. 이때, 후방 개구부의 일단부에는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로 연통되는 출입구(102)가 형성되게 봉제 처리하고, 타단부는 전체적으로 밀봉 처리한다. 이 상태에서 출입구(102)를 통해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로 탄성심재(130)를 선택적으로 넣어서 삽입하면 헤어밴드(100)가 완성된다. 물론, 탄성심재(1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헤어밴드(100)의 걸림홈(104)에 신축성 밴드(150)의 걸고리(152)를 끼워서 연결하여 밴드(150)의 신축성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심재를 교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압에 의해 헤어밴드 내의 탄성심재가 파손되더라도 탄성심재만 교환하면 차양모자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피가 내피를 먼저 봉제 처리한 다음 탄성심재를 외피와 내피 사이에 끼워 넣어 사용하기 때문에 외피와 내피 사이에 탄성심재를 넣고 봉제 처리하는 종래의 생산 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심재를 빼고 신축성 밴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심재의 딱딱함과 압박감으로 인해 뿔테형 차양모자 보다는 밴드형 차양모자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취향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밴드형 차양모자로 사용할 시에는 탄성심재를 이용한 차양모자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양챙과 헤어밴드가 분리형으로 구성된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챙과 헤어밴드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차양모자용 헤어밴드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밴드 내에 탄성심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뿔테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밴드 후방에 신축성 밴드가 결합된 밴드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탄성심재가 내재된 뿔테형 헤어밴드로 사용하거나 양단을 신축성 밴드로 연결한 밴드형 헤어밴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뿔테형 헤어밴드로 사용시 탄성심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심재가 파손되어 차양모자를 못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며, 외피와 내피를 봉제 처리한 후에 최종적으로 탄성심재를 결합하여 헤어밴드를 제조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 외피와 내피를 맞대고 그 테두리를 봉제 처리하되, 후방 개구부의 일단부에는 외피와 내피 사이로 연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게 봉제 처리되고, 이 출입구는 마감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피와 내피 사이로 탄성심재를 선택적으로 넣어서 삽입하거나 빼서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외피는 면직물과 고밀도 스펀지와 부직포를 합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헤어밴드의 후방 개구부 양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성 밴드의 양단에는 걸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탄성심재를 빼서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신축성 밴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외피에 차양챙이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2800U KR200439132Y1 (ko) | 2006-12-28 | 2006-12-28 |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2800U KR200439132Y1 (ko) | 2006-12-28 | 2006-12-28 |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132Y1 true KR200439132Y1 (ko) | 2008-03-21 |
Family
ID=4162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32800U KR200439132Y1 (ko) | 2006-12-28 | 2006-12-28 |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13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913Y1 (ko) | 2012-04-24 | 2014-03-25 | 임창선 | 탈 부착용 헤어밴드커버를 갖는 모자 |
-
2006
- 2006-12-28 KR KR2020060032800U patent/KR20043913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913Y1 (ko) | 2012-04-24 | 2014-03-25 | 임창선 | 탈 부착용 헤어밴드커버를 갖는 모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0004Y1 (ko) |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 |
US3263235A (en) | Hunt cap | |
KR101025536B1 (ko) | 말을 수 있는 선캡 | |
CA2856082A1 (en) | Baseball style cap with interchangeable bill or crown portion | |
KR200439132Y1 (ko) |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 |
KR100690967B1 (ko) |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 |
KR200456313Y1 (ko) |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 |
KR100902682B1 (ko) | 기능성을 향상시킨 모자용 차양 | |
KR200440784Y1 (ko) |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 |
KR200399101Y1 (ko) | 차양보조구 | |
KR200473814Y1 (ko) | 가발 탈착 모자 | |
KR101920146B1 (ko) | 황사주름마스크 | |
KR200454906Y1 (ko) |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 |
KR20110001097U (ko) | 기능성 썬 캡 | |
KR101621521B1 (ko) |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 |
JP3203543U (ja) | 分離型帽子 | |
KR100813299B1 (ko) | 이중 밴드구조를 갖는 차양모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0265812Y1 (ko) | 우비 | |
KR200444921Y1 (ko) | 자외선 차양모자 | |
KR200327105Y1 (ko) | 차양 두건 | |
KR20110065787A (ko) | 범용 모자에 탈부착 가능한 두건 부재 | |
KR20110011800U (ko) |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 |
KR100857836B1 (ko) | 차양모 | |
KR20130024510A (ko) |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 |
TWM540523U (zh) | 帽子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