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849B1 -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 Google Patents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849B1
KR101846849B1 KR1020160075226A KR20160075226A KR101846849B1 KR 101846849 B1 KR101846849 B1 KR 101846849B1 KR 1020160075226 A KR1020160075226 A KR 1020160075226A KR 20160075226 A KR20160075226 A KR 20160075226A KR 101846849 B1 KR101846849 B1 KR 10184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uman
group
wind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030A (ko
Inventor
김종면
Original Assignee
김종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면 filed Critical 김종면
Priority to KR102016007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8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가열 미용 작업에도 붙임머리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붙임 머리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인조모발 다발로 구성되는 모발부의 일단에 다른 모발구조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를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비접착 결합구조로 결합하여, 오로지 모발로만 구현되는 붙임머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은 물론 착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Extension Hair and Manufactureing metho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시술하는 붙임머리는 사람의 실제 머리카락을 채취한 인모를 모아 하나의 다발로 모아 붙인 것으로, 피시술자의 머리에 붙임머리를 여러 개 머리에 매달아서 시술한다.
종래에는 헤어스타일의 변화를 위하여 머리 전체에 가발을 쓰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머리 전체에 가발을 착용할 경우 두피와 가발의 접착력이 떨어져서 벗겨지는 문제는 물론, 두피에 땀이 차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최근에는 붙임머리를 이용하여 헤어스타일의 변화를 주도록 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붙임머리를 제작하는 방법은, 실제 머리카락을 채취한 후, 채취된 머리카락을 색상이나 굵기가 유사한 머리카락끼리 분류하고, 분류된 머리카락을 한 다발로 모아서 접착제로 접착하여 하나의 붙임머리를 제작하며, 작업자가 이러한 공정을 계속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여러 다발의 붙임머리를 제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붙임머리의 구조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붙임머리(1a) 다발(1)을 배치하고, 붙임 머리 다발을 연결끈(2)을 통해 연결하며, 연결끈(2)과 붙임머리 다발의 말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연결끈(2) 부분은 합성수지나 면 류의 패브릭(fabric)을 사용하게 되며, 인체의 생모에 묶거나 꼬는 방식으로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끈을 사용하여 인체의 생모에 장착하는 구조는, 연결끈이 생모에서 쉽게 풀리거나 미끄러져 내리면서 탈락되게 되어, 붙임 시술의 안정성이 보장을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미용작업시, 인체의 생모와 붙임머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드라이 과정이나, 매직기등을 적용하여 열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연결부(3)의 접착제가 녹아 내리게 되어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와 연결끈이 분리되거나, 붙임머리 말단부와 연결부(3)의 접착결합구조가 풀리게 되어 쉽게 붙임머리가 탈락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214호 등록특허 제10-1583756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인조모발 다발로 구성되는 모발부의 일단에 다른 모발구조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를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비접착 결합구조로 결합하여, 오로지 모발로만 구현되는 붙임머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연결부재(고정끈)를 사용하는 경우 착용 후 쉽게 풀려 버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안정적으로 생모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라이과정이나 매직기등의 열처리 미용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가 녹아 내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탁월한 착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붙임머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가모가 정렬되는 제1모발부(100) 및 상기 제1모발부(1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결합부(S1)를 구현하는 다수의 가모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S)는 상기 제1모발부의 가모와 상기 연결모발부의 가모가 적어도 1 외 이상의 꼬임구조를 포함하는 비접착 결합구조로 구현되는, 붙임머리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모발부와 상기 제1결합부(S1)를 형성하는 상기 연결모발부의 타단에 꼬임구조를 포함하는 비접착구조의 제2결합부(S2)를 구현하는 제2모발부(110)를 더 포함하는 붙임머리 구조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나아가,상기 제1결합부(S1)에 비접착 결합구조로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가모를 구비하는 제2연결모발부(210)와 상기 제2연결모발부(220)의 타단에 다수의 가모가 정렬되는 제3모발부(120)를 더 포함하는 붙임머리 구조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S1) 또는 상기 제2결합부(S2)에 비접착구조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모가 정렬되는 제4모발부(130) 또는 제5모발부(1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모발부 및 상기 제2연결모발부는 상기 제1모발부 내지 제5모발부와 동일한 재질의 복수의 가모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 구조물은 복수의 가모가 정렬된 가모 다발로 구성되는 제1모발부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어라인하는 단계, 절곡된 상기 제1모발부의 절곡영역을 중심으로 좌측모발군과 우측모발군, 상기 좌측모발군과 상기 우측모발군의 사이의 공간부로 정렬하고, 다수의 다른 가모가 정렬된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과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제1감기와, 상기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만을 둘러싸거나 상기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제2감기를 적어도 1회 이상구현하고, 상기 연결모발부의 일단을 상기 공간부를 경유하여 절곡영역의 제1모발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제3감기를 적어도 1회이상 구현하여, 제1모발부와 연결모발부를 비접착구조로 결합하는 붙임머리의 제조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모발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모발부의 타측에, 복수의 가모가 정렬된 가모 다발을 포함하는 제2모발부를 상기 제1감기 내지 제3감기 과정을 통해 연결하는, 비접착구조로 결합하는 붙임머리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 구조물은 다수의 가모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와, 상기 연결모발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비접착 구조로 결합부를 구현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1군 이상의 모발부를 구비하는 비첩착 결합구조를 가지는 붙임머리 구조물을 인체의 모발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인체의 모발의 일부를 선택하여 복수의 착용 모발 다발을 선발하여 정렬하고, 상기 착용 모발에 상기 연결모발부를 교차하여 적어도 1회 묶는 매듭과정과, 상기 매듭과정 이후, 상기 착용 모발과 상기 연결모발부를 적어도 1회 이상 꼬아서 꼬임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꼬임영역의 말단부에 꼬임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매듭형성과정을 포함하는,붙임머리의 착용 방법을 통해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인조모발 다발로 구성되는 모발부의 일단에 다른 모발구조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를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비접착 결합구조로 결합하여, 오로지 모발로만 구현되는 붙임머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연결부재(고정끈)를 사용하는 경우 착용 후 쉽게 풀려 버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안정적으로 생모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 부분을 모발구조물로 구현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바, 드라이과정이나 매직기 등의 열처리 미용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가 녹아 내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탁월한 착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은 종래의 붙임머리의 일반적인 구조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a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다른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모발로 구현되는 연결모발부가 2개 이상 구현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착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 구조물은 복수의 가모가 정렬되는 제1모발부(100) 및 상기 제1모발부(1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결합부(S1)를 구현하는 다수의 가모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S)는 상기 제1모발부의 가모와 상기 연결모발부의 가모가 적어도 1 외 이상의 꼬임구조를 포함하는 비접착 결합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비접착 결합구조'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붙임머리의 말단에 연결되어 착용할 생머리 부분과 결합시키는 부분인 연결부위를 인조모발을 이용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모발과 모발의 꼬임과 감기, 묶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정을 통해 견고한 결합과정을 구현하는 결합방법을 적용한 구조로 정의한다. 아울러, 상기 비접착 결합구조는 모발과 모발의 꼬임이나 감기 등의 결합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실과 같은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예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모발(인모: 이하, 인체에서 발췌된 머리카락 다발로 정의한다.)을 한 묶음(1 군)으로 하는 제1모발부에 연결모발부와 결합하여 결합부를 구현하고, 비접착식 결합구조로 붙임머리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인모가 정렬된 인모 다발로 구성되는 제1모발부(100)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배치하고, 절곡된 상기 제1모발부(100)의 절곡영역(100c)을 중심으로 좌측모발군(100a)과 우측모발군(100b), 상기 좌측모발군과 상기 우측모발군의 사이의 공간부(100c)가 구현되는 구조로 정렬한다.
이후, 도 2a에서 상술한 연결모발부(200)를 준비하고, 이후 다수의 다른 인모가 정렬된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과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전체 수평방향 감기 방식인 제1감기(①②③)와, 상기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만을 둘러싸거나(⑦) 상기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⑥) 구조로 감는 일부 수평방향 감기 방식인 제2감기를 적어도 1회 이상 구현한다. 즉, 상기 제1감기는 제1모발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감는 작업, 제2감기는 분리된 제1모발부 일부를 감는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감기 및 제2감기 과정 이후, 상기 연결모발부의 일단을 상기 공간부(100d)를 경유하여 절곡영역(100c)의 제1모발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④,⑤) 제3감기를 적어도 1회 이상 구현할 수 있다. 즉, 제3감기는, 상기 제1감기 및 제2감기가 수평방향으로 감아지는 작업이라면, 제3감기는 수직방향으로 감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각각의 제1감기 내지 제3감기는 각 과정 이후, 제1모발부와 묶기 작업을 1회 또는 그 이상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제1모발부(100)와 연결모발부(200)의 일단은 각각 접착제나 별도의 연결구조물 없이도 모발과 모발간의 결합구조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결합구조(비접착결합구조)는 인모와 인모의 결합부(S)에 실과 같은 고정부재를 추가로 인가하여 결합을 더욱 강화하는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연결구조물이 아닌 연결부재 자체가 우선적으로 인모와 인모 자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 이루어지는 점에서 추후 인체의 생모와 결합시 매우 우수한 결착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헤어드라이 작업이나 매직기를 이용한 열처리 작업시에도 매우 원활하게 작업이 구현될 수 있게 되며,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는 구조인바, 장시간 열의 인가로 인해 접착제가 녹아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구조는 모발과 모발을 이용한 붙임 머리 구조를 비접착구조로 구현하는 데 그 요지가 있는바, 다양한 확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확장의 일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a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다른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구조는 도 2a에서 상술한 제1모발부(100)와 상기 제1결합부(S1)를 형성하는 상기 연결모발부(100)의 타단에 꼬임구조를 포함하는 비접착구조의 제2결합부(S2)를 구현하는 제2모발부(110)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구조는 연결모발부(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모발부(100)와 제2모발부(120)이 비접착 구조로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S 2)의 구현방식 역시 도 2b에서 상술한 비접착구조의 제1감기 내지 제3감기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연결모발부를 중심으로, 연결모발부(200)의 양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모발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을 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이러한 구조에서 연결모발부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의 모발부가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즉, 붙임 머리의 양이 많이 필요한 경우 등) 연결모발부의 일단에 2개 이상의 모발부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모발로 구현되는 연결모발부가 2개 이상 구현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즉, 제3실시예는, 다수의 모발 다발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를 2개 이상 구현하는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물론, 도 5에서는 연결모발부가 2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모발부를 2개 이상으로 구현하며, 각각의 말단에 제2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모발부를 구현하는 방식을 접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모발부(100)와 비접착결합구조로 연결되는 제1연결모발부(200)와 제1연결모발부(200)의 말단에 비접착결합구조로 연결되는 제2모발부(110)를 구비한 구조는 제2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제1모발부(100)와 비접착결합구조로 연결되는 제1연결모발부(200)의 제1결합부 영역에 추가로 다수의 모발가닥을 포함하는 제2연결모발부(210)를 제1결합부 영역에 결합하여 복합결합부(P)로 구현하고, 이후 제2연결모발부(210)를 비접착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착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착용방법은 전체적으로, 다수의 인모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와, 상기 연결모발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비접착 구조로 결합부를 구현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1군 이상의 모발부를 구비하는 비첩착 결합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 구조물을 인체의 모발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이 역시 비접착 구조로 생모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인체의 모발의 일부를 선택하여 복수의 착용 모발 다발을 선발하여 정렬하고, 이후, 상기 착용 모발에 상기 연결모발부를 교차하여 적어도 1회 묶는 매듭과정(제1과정)과, 상기 매듭과정 이후, 상기 착용 모발과 상기 연결모발부를 적어도 1회 이상 꼬아서 꼬임영역을 형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꼬임영역의 말단부에 꼬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매듭형성 제3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6은, 도 3의 구조의 붙임머리 구조물을 이용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인체의 생모(A1;착용 모발 다발)을 일부 선별하여 정렬하고, 도 3에서 상술한 붙임머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다. 이후 1차적으로 생모(A1)과 연결모발부(200)을 교차하여 묶는 매듭과장(제1과정)을 수행(①②)한다. 이후, 좌우로 제1모발부(100)와 제2모발부(110)을 펼치고, 생모(A1)과 상호 교차하며 꼬임영역을 형성(제2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후술하는 도 10과 같이 생모와 제1모발부 및 제2모발부가 고르게 교차하여 꼬인 형태의 꼬임영역(X)이 구현되게 되며, 이후 꼬임영역의 말단부(Y)에 꼬임 풀림을 방기하게 위해 제1모발부 및 제2모발부, 생모를 2차로 묶어서 고정매듭을 형성한다. 이 경우 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것과 병행하거나 독립적으로 밴드 형태의 미용 고정물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생모를 2개의 군으로 선별(A2, A3)하고, 여기에 도 3에서 상술한 붙임머리 구조물을 착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선별된 생모 중 어느 한 개의 군을 선택하여 도 6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1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제2과정 내지 제3과정을 수행하여 붙임머리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은 붙임머리 구조물을 제1과정 이후, 하나로 가지런히 정렬(100,110)하여 한 다발로 구현한 이후, 2개의 생모 다발(A2, A3)를 포함하여 총 3가닥의 머리 다발로 구현하고, 3가닥 꼬기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예시한 것이다.
나아가, 도 9는 붙임머리 구조물을 제1과정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좌우로 붙임머리를 펼쳐서 생모를 포함하여 총 4가닥의 머리다발로 구현하여 4가닥 꼬기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예시한 것이다.
이상의 머리 다발을 2가닥, 3가닥, 4가닥의 머리 다발로 구현하는 것은, 머리숱이나 분량을 조절하거나 디자인적인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시술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a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적용하여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모발부
110: 제2모발부
120: 제3모발부
130: 제4모발부
140: 제5모발부
200: 연결모발부
210: 제2연결모발부
S1: 제1결합부
S2: 제2결합부
P: 복합결합부

Claims (8)

  1. 복수의 인모가 정렬되는 제1모발부(100); 및 상기 제1모발부(1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결합부(S1)를 구현하는 다수의 인모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S1)는 상기 제1모발부의 인모와 상기 연결모발부의 인모가 적어도 1회 이상의 꼬임구조를 포함하는 비접착 결합구조로 구현되되,
    상기 비접착 결합구조로 구현되는 꼬임구조는,
    복수의 인모가 정렬된 인모 다발로 구성되는 제1모발부(100)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배치하고, 절곡된 상기 제1모발부(100)의 절곡영역(100c)을 중심으로 좌측모발군(100a)과 우측모발군(100b), 상기 좌측모발군과 상기 우측모발군의 사이의 공간부(100c)가 구현되는 구조로 정렬하고,
    다수의 인모가 정렬된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과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전체 수평방향 감기 방식인 제1감)와, 상기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만을 둘러싸거나 상기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일부 수평방향 감기 방식인 제2감기를 적어도 1회 이상 구현하여 구현하는,
    붙임머리구조물.
    ('인모'는 인체에서 발췌된 머리카락 다발로 정의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모발부와 상기 제1결합부(S1)를 형성하는 상기 연결모발부의 타단에 꼬임구조를 포함하는 비접착구조의 제2결합부(S2)를 구현하는 제2모발부(110);
    를 더 포함하는 붙임머리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S1)에 비접착 결합구조로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인모를 구비하는 제2연결모발부(210);와
    상기 제2연결모발부(210)의 타단에 다수의 인모가 정렬되는 제3모발부(120);
    를 더 포함하는 붙임머리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S1) 또는 상기 제2결합부(S2)에 비접착구조로 결합되는 복수의 인모가 정렬되는 제4모발부(130) 또는 제5모발부(1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붙임머리 구조물.
  5. 삭제
  6. 청구항 1의 붙임머리 구조물을 이용하여 붙임머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인모가 정렬된 인모 다발로 구성되는 제1모발부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어라인하는 단계,
    절곡된 상기 제1모발부의 절곡영역을 중심으로 좌측모발군과 우측모발군, 상기 좌측모발군과 상기 우측모발군의 사이의 공간부로 정렬하고,
    다수의 다른 인모가 정렬된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과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제1감기와,
    상기 연결모발부를 상기 좌측모발군만을 둘러싸거나 상기 우측모발군의 외주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제2감기를 적어도 1회 이상구현하고,
    상기 연결모발부의 일단을 상기 공간부를 경유하여 절곡영역의 제1모발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감는 제3감기를 적어도 1회이상 구현하여,
    제1모발부와 연결모발부를 비접착구조로 결합하는 붙임머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모발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모발부의 타측에,
    복수의 인모가 정렬된 인모 다발을 포함하는 제2모발부를 상기 제1감기 내지 제3감기 과정을 통해 연결하는,
    비접착구조로 결합하는 붙임머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의 붙임머리 구조물을 이용하여 붙임머리를 착용시키는 붙임머리 착용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인모로 형성되는 연결모발부와, 상기 연결모발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비접착 구조로 결합부를 구현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1군 이상의 모발부를 구비하는
    비첩착 결합구조를 가지는 붙임머리 구조물을 인체의 모발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인체의 모발의 일부를 선택하여 복수의 착용 모발 다발을 선발하여 정렬하고,
    상기 착용 모발에 상기 연결모발부를 교차하여 적어도 1회 묶는 매듭과정과,
    상기 매듭과정 이후, 상기 착용 모발과 상기 연결모발부를 적어도 1회 이상 꼬아서 꼬임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꼬임영역의 말단부에 꼬임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매듭형성과정을 포함하는,
    붙임머리의 착용 방법.
KR1020160075226A 2016-06-16 2016-06-16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KR10184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26A KR101846849B1 (ko) 2016-06-16 2016-06-16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26A KR101846849B1 (ko) 2016-06-16 2016-06-16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30A KR20170142030A (ko) 2017-12-27
KR101846849B1 true KR101846849B1 (ko) 2018-04-10

Family

ID=6093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26A KR101846849B1 (ko) 2016-06-16 2016-06-16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8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330A (en) 1981-10-13 1983-02-08 Apollo Hai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of hair units
KR101013887B1 (ko) * 2010-10-15 2011-02-10 류대우 붙임머리 착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붙임머리
US20130255707A1 (en) 2007-09-13 2013-10-03 Chang Hyun Oh Extension hair attach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330A (en) 1981-10-13 1983-02-08 Apollo Hai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of hair units
US20130255707A1 (en) 2007-09-13 2013-10-03 Chang Hyun Oh Extension hair attachment
KR101013887B1 (ko) * 2010-10-15 2011-02-10 류대우 붙임머리 착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붙임머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30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004B1 (ko) 붙임머리
RU2241361C2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восстановитель воло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олосяного покрова и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олосяного покрова
US11540574B2 (en) Hair extension and manufacturing and attaching method of the same
US20100313902A1 (en) Hair Addition For Providing Bump Up Effect
EP1989948A1 (en) Structure for bonding gray hair bundle to fiber bundle for hair and method of bonding gray hair bundle to fiber bundle for hair
KR101013887B1 (ko) 붙임머리 착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붙임머리
KR100986906B1 (ko) 붙임머리 및 그 시술 방법
KR101146751B1 (ko) 다단 붙임머리
KR101846849B1 (ko) 붙임머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 착용 방법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JP4636631B1 (ja) エクステンション
KR101846052B1 (ko)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KR20160129690A (ko)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KR101445155B1 (ko) 붙임머리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붙임머리 시술방법
KR200456384Y1 (ko) 인조 속눈썹
KR101202159B1 (ko) 증모용 모발 매듭방법
JP2006138041A (ja) エクステンション取付け方法
TWI825645B (zh) 能任意增進豐度的接髮用髮束及其製造方法
JP2005206997A (ja) 毛髪の編付け法
JP6574929B1 (ja)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の装着方法
CN207721261U (zh) 一种新型纳米扣接发
KR200446212Y1 (ko) 인조 속눈썹
CN206744664U (zh) 接发组件
TW202211831A (zh) 髮片及其接髮結構與接髮方法
JP3542126B2 (ja) 熱収縮チューブを使用したエクステン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