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34B1 -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34B1
KR101846134B1 KR1020170170017A KR20170170017A KR101846134B1 KR 101846134 B1 KR101846134 B1 KR 101846134B1 KR 1020170170017 A KR1020170170017 A KR 1020170170017A KR 20170170017 A KR20170170017 A KR 20170170017A KR 101846134 B1 KR101846134 B1 KR 10184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polishing
tooth
sawtooth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순
Original Assignee
장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순 filed Critical 장덕순
Priority to KR102017017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4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disc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날연마부가 톱니의 가공면과 평행인 x방향 및 톱니의 가공면에 수직인 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톱니를 가공하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로서, 고정브라켓, 회전축, 지지블록, 회전구동부와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고정브라켓은 x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축공을 갖으며, xy구동부의 일측에 결합된다. 회전축은 축공에 삽입된다. 지지블록은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톱날연마부를 지지한다. 회전구동부는 톱날연마부 및 지지블록과 함께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킨다. 제어부는 회전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이와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톱날연마부의 연마디스크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톱니의 가공면이 연마디스크에 의해 경사지게 연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A saw blade grinding machine capable of various machining}
본 발명은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톱날연마부가 톱니의 가공면과 평행인 x방향 및 톱니의 가공면에 수직인 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톱니를 가공하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톱은 목재·금속·석재·플라스틱 등을 절단하기 위한 공구로서, 가공하는 재질·가공법·가공부분에 따라 양날톱, 실톱, 활톱, 원형톱, 사슬톱, 쥐꼬리톱 등 여러 종류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목재가공용이 많다.
이러한 톱의 톱날을 연마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톱날 연마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톱날 연마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1-0077407호("형강재 절단용 원형 톱날의 자동 연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오랜 사용에 의하여 톱날이 마모되어 형강재를 양호하게 절단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톱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톱날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공개특허 특2003-0093321호에는 다중 스테이션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톱날을 연마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41276호("톱날 연마장치")에는 연마디스크의 연마면을 원형 톱날의 가공면의 전 영역에 걸쳐 접촉하여 연마할 수 있는 톱날 연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441276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 등록받은 기술로서, 연마디스크의 연마면이 톱니의 가공면 전체를 한 순간에 접촉하여 연마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톱날의 연마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었고, 톱니의 연마된 가공면이 종래의 장치에 의하여 연마된 것보다 훨씬 더 균일하여 톱날에 의한 가공품의 가공 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톱날 연마장치(등록특허 제10-1441276호)는 연마 디스크(3)가 베이스 프레임(20)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움직이면서 톱니(2)의 가공면을 평평한 형태로만 연마할 수 있었다.
금속에 비해 가공 저항성이 낮은 목재나 플라스틱은 상대적으로 날카롭고 예리한 경사톱니가 요구되나, 종래에는 톱니(2)의 가공면이 목재·금속·석재·플라스틱 등 절삭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지 못하고 모두 평평한 형태의 평톱니로만 가공됨으로 인해, 마찰저항에 따른 절단 효율 저하, 마찰열에 의한 탄매 발생, 크랙 발생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1276호(2014년09월17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톱날 연마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삭소재의 종류에 따라 톱날에 있는 톱니의 가공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는, 톱날(1)이 장착되는 톱날장착부(10)와, 상기 톱날(1)에 있는 톱니(2)의 가공면(2')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디스크(3)가 구비된 톱날연마부(20)와, 상기 톱니(2)의 가공면(2')과 평행인 x방향 및 상기 톱니(2)의 가공면(2')에 수직인 y방향으로 상기 톱날연마부(20)를 이동시키는 xy구동부(30) 및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40)를 포함하는 톱날 연마장치로서, 상기 x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축공(110)을 갖으며, 상기 xy구동부(3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0); 상기 축공(110)에 삽입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톱날연마부(2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300); 상기 톱날연마부(20) 및 상기 지지블록(300)과 함께 상기 회전축(200)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00); 및 상기 회전구동부(4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톱날연마부(20)의 연마디스크(3)가 상기 회전축(20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톱니(2)의 가공면(2')이 상기 연마디스크(3)에 의해 경사지게 연마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에서 상기 톱날연마부(20)의 하측을 향해 안전받침대(130)가 결합되고, 상기 안전받침대(130)는, 상기 톱날연마부(20)가 상기 지지블록(300)과 함께 비정상적으로 회전낙하되는 경우, 상기 톱날연마부(20)가 상기 베이스부(40)에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톱날연마부(2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톱날(1)에는, 다수의 톱니(2)가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톱니(2)는, 상기 연마디스크(3)가 미회전되어 경사가 없는 평톱니(2a), 상기 연마디스크(3)가 정회전되어 우경사가 형성된 우톱니(2b), 상기 연마디스크(3)가 역회전되어 좌경사가 형성된 좌톱니(2c)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톱날(1)이 금속 절단 용도인 경우, 상기 톱날(1)에 모두 평톱니(2a)가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하고, 상기 톱날(1)이 목재 절단 용도인 경우, 상기 톱날(1)에 우톱니(2b)-좌톱니(2c)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하며, 상기 톱날(1)이 합성수지 절단 용도인 경우, 상기 톱날(1)에 평톱니(2a)-우톱니(2b)-좌톱니(2c) 또는 평톱니(2a)-우톱니(2b)-좌톱니(2c)-우톱니(2b)-좌톱니(2c)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블록(300)의 상면을 지향하도록 지침(150)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록(300)의 상면에는, 상기 지침(15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각도 눈금자(350)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xy구동부(30) 상에 설치되는 회전모터(410), 상기 회전모터(41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420), 상기 회전축(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풀리(430) 및 상기 구동풀리(420)와 상기 피동풀리(430)를 연결하는 벨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에 따르면, 톱날에 있는 톱니의 가공면을 절삭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가공함으로써, 해당 절삭소재를 절삭하는데 가장 유리한 톱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절삭소재의 마찰저항에 따른 톱니의 절단 효율 저하, 마찰열에 의한 탄매 발생, 크랙 발생, 톱날의 수명 저하 등 기존에 발생됐던 문제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브라켓의 하측에 안전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톱날연마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안전하게 톱날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3가지 형태의 톱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4는 도 2의 "A"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3가지 형태의 톱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는 톱날(1)이 장착되는 톱날장착부(10)와, 톱날(1)에 있는 톱니(2)의 가공면(2')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디스크(3)가 구비된 톱날연마부(20)와, 톱니(2)의 가공면(2')과 평행인 x방향 및 톱니(2)의 가공면(2')에 수직인 y방향으로 톱날연마부(20)를 이동시키는 xy구동부(30) 및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40)를 포함하는 톱날 연마장치이다.
톱날장착부(10), 톱날연마부(20), xy구동부(30) 및 베이스부(40) 등은 기존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여기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더 포함된 구성요소인 고정브라켓(100), 회전축(200), 지지블록(300), 회전구동부(400)와 제어부(5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축공(110)을 갖으며, xy구동부(3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고정브라켓(10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중앙에 축공(1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편(101)과, 상기 지지편(101)을 연결하는 연결편(102)으로 구성되어 '┌┐'자 형태을 이룬다.
회전축(200)은 고정브라켓(100)의 축공(110)에 삽입된다. 회전축(200)은 축공(110)에 결합된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지지블록(3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편(101)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지지블록(300)은 회전축(200)에 일체로 결합되어 톱날연마부(20)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블록(300)은 톱날연마부(20)의 무게 중심 양측을 대칭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블록(300)은 회전축(200)이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톱날연마부(20) 측으로 돌출되어 톱날연마부(20)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xy구동부(30) 측으로 분할돌출되어 상호 볼트로 조여지는 조임부로 구분된다.
회전구동부(400)는 톱날연마부(20) 및 지지블록(300)과 함께 회전축(200)을 정·역회전시키는 구성이다. 회전구동부(400)의 일례로서, 동력 발생을 위해 xy구동부(30) 상에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통상의 DC 방식의 회전모터(41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모터(410)의 동력 전달을 위해 회전모터(410)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420)가 결합되고, 회전축(200)의 일단에는 피동풀리(430)가 결합되며, 구동풀리(420)와 피동풀리(430)가 벨트(440)로 연결된다.
이외에 회전모터 직접 결합방식, 로프 견인방식, 회전축-베벨기어 조합방식 등 다양한 동력전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회전모터(410)의 브레이킹 기능이 풀리거나, 벨트(440)가 끊어지면, 톱날연마부(20)가 지지블록(300)과 함께 비정상적으로 회전낙하되면서 베이스부(40) 또는 xy구동부(30)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00)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100)에서 톱날연마부(20)의 하측을 향해 안전받침대(130)가 결합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아래로 추락하는 톱날연마부(20)를 그 경로에 설치된 안전받침대(13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제어부(500)는 회전구동부(40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회전모터(410)의 ON/OFF 제어와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모든 제어방식이 차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N/OFF 제어와 회전방향 제어 및 프로그램 논리제어가 가능한 PLC 제어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톱날연마부(20)의 연마디스크(3)가 회전축(20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톱니(2)의 가공면(2')이 연마디스크(3)에 의해 경사지게 연마되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연마장치에 의해 톱니(2)가 여러 형태로 가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톱날(1)이 다수의 톱니(2)가 연속적으로 원형 배열된 원형톱이라고 가정하고, 톱니(1)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요구되는 금속 절단 용도의 톱날(1) 가공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금속 절단 용도의 톱날 가공과정>
도 1 또는 도 3a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xy구동부(30)를 제어하여, 연마디스크(3)의 연마면이 톱니 가공면(2')과 접촉하지 않고 톱니(2) 사이로 진입하여 들어가 톱니 가공면(2')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제1 단계(a), 연마디스크(3)가 톱니 가공면(2')을 향하여 밀착하면서 연마를 수행하는 제2 단계(b), 톱니 가공면의 연마가 완료되면 연마디스크(3)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제1 단계의 위치로 정렬하는 제3 단계(c), 연마디스크(3)가 최초 상태로 후퇴하는 제4 단계(d)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연마 준비 상태에 있는 연마디스크(3)를 그대로 톱니 가공면(2')으로 움직여 면 전체에 동시적인 압력을 가하여 한 번에 전체면을 가공하되, 연마디스크(3)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톱니 가공면(2')은 경사가 없는 평톱니(2a)가 가공된다. 이후, 톱날장착부(10)에 장착된 톱날(1)이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그 다음 톱니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평톱니(2a)로 제작된다.
즉, 톱날(1)이 금속 절단 용도인 경우, 톱날(1)에 모두 평톱니(2a)가 형성되도록 제어부(500)는 톱날장착부(10) 및 xy구동부(30)만 연속적으로 제어하고 회전구동부(400)는 별도로 제어하지 않고 미회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목재 절단 용도의 톱날 가공과정>
만약, 톱니(2)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요구되는 목재 절단 용도의 톱날(1)을 가공하는 경우, 제어부(500)의 제어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a) 진행 후, 제어부(500)는 톱날연마부(20)가 지지블록(300)과 함께 정회전(도면 상 시계방향)되도록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한다.
그러면, 연마디스크(3)가 정회전되면서 톱니 가공면(2')이 우경사지게 연마되면서 우톱니(2b)가 가공되며, 이후 상기 (c), (d)단계가 진행되면서 우톱니(2b) 가공이 끝나게 된다.
이후, 도 1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장착부(10)에 장착된 톱날(1)이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그 다음 톱니가 연마디스크(2) 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1 단계(a)가 다시 진행된다. 그 다음, 제어부(500)는 톱날연마부(20)가 지지블록(300)과 함께 역회전(도면 상 반시계방향)되도록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한다.
그러면, 연마디스크(3)도 그와 함께 역회전되면서 톱니 가공면(2')이 좌경사지게 연마되면서 좌톱니(2c)가 가공되며, 이후 상기 (c), (d)단계가 진행되면서 좌톱니(2c) 가공이 끝나게 된다.
이와 같이 톱날(1)이 목재 절단 용도인 경우, 톱날(1)에 우톱니(2b)-좌톱니(2c)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제어부(500)는 톱날장착부(10), xy구동부(30) 및 회전구동부(400)를 지금까지 설명했던 과정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어한다.
<합성수지 절단 용도의 톱날 가공과정>
금속과 목재 사이의 중간 정도의 강성이 요구되는 합성수지 절단 용도의 톱날(1)인 경우, 제어부(500)는, 상기 <금속 절단 용도의 톱날 가공과정>과, 상기 <합성수지 절단 용도의 톱날 가공과정>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도록 톱날장착부(10), xy구동부(30) 및 회전구동부(400)를 연속적으로 제어한다.
그러면, 톱날(1)에 평톱니(2a)-우톱니(2b)-좌톱니(2c) 또는 평톱니(2a)-우톱니(2b)-좌톱니(2c)-우톱니(2b)-좌톱니(2c)가 교대로 형성되면서 합성수지 절단에 적합한 중간 정도의 절삭 효율과 강성을 가진 톱날(1)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절삭소재의 종류에 따라 톱날에 있는 톱니 가공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음으로써, 해당 절삭소재를 절삭하는데 가장 유리한 형상의 톱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상대적으로 강성과 가공 저항성이 높은 평톱니로 구성된 톱날만을 제조할 수 있었고, 이 톱날은 재질이 상대적으로 강한 금속 절단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재질이 상대적으로 약한 목재나 합성수지 절단에는 부적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평톱니로만 된 금속 절단용 톱날, 경사톱니로만 된 목재 절단용 톱날, 평톱니와 경사톱니가 조합된 합성수지 절단용 톱날 등 절삭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된 톱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절삭소재에 적합하고 유리한 톱날을 제공함으로써, 소재와의 마찰저항에 따른 절단 효율 저하, 마찰열에 의한 탄매 발생, 크랙 발생, 톱날의 수명 저하 등 기존에 발생됐던 문제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구동부(3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0)을 기준으로, 톱날연마부(20) 및 지지블록(300)이 회전구동부(40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데, 상기 톱날연마부(20)가 제어부(500)의 출력값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회전되고 있는지, 톱날연마부(20)의 미회전 상태에서의 연마디스크(3)와 톱니 가공면이 서로 평행한 상태인지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브라켓(100)의 상면 일측에는 지지블록(300)의 상면을 지향하도록 지침(150)이 결합되고, 지지블록(300)의 상면에는 지침(15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각도 눈금자(350)가 형성된다.
즉, 지지블록(300)과 함께 회전되는 각도 눈금자(350)가 지침(150)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지지블록(300)과 함께 회전되는 톱날연마부(20)의 회전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톱날연마부(20)의 회전각도가 과다 혹은 부족하거나, 톱날연마부(20)의 좌우 회전각도가 상이하다거나, 톱날연마부(20)의 미회전 상태에서 연마디스크(3)와 톱니 가공면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면, 회전구동부(400)의 출력값을 증폭 또는 축소 조정하거나, 회전구동부(400)의 회전축 중립 상태를 조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는, 톱날에 있는 톱니의 가공면을 절삭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가공함으로써, 해당 절삭소재를 절삭하는데 가장 유리한 톱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절삭소재의 마찰저항에 따른 톱니의 절단 효율 저하, 마찰열에 의한 탄매 발생, 크랙 발생, 톱날의 수명 저하 등 기존에 발생됐던 문제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브라켓의 하측에 안전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톱날연마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안전하게 톱날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고정브라켓
200 : 회전축
300 : 지지블록
400 : 회전구동부
500 : 제어부

Claims (5)

  1. 톱날(1)이 장착되는 톱날장착부(10)와, 상기 톱날(1)에 있는 톱니(2)의 가공면(2')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디스크(3)가 구비된 톱날연마부(20)와, 상기 톱니(2)의 가공면(2')과 평행인 x방향 및 상기 톱니(2)의 가공면(2')에 수직인 y방향으로 상기 톱날연마부(20)를 이동시키는 xy구동부(30) 및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40)를 포함하는 톱날 연마장치로서,
    상기 x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축공(110)을 갖으며, 상기 xy구동부(3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0);
    상기 축공(110)에 삽입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톱날연마부(2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300);
    상기 톱날연마부(20) 및 상기 지지블록(300)과 함께 상기 회전축(200)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00); 및
    상기 회전구동부(4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톱날연마부(20)의 연마디스크(3)가 상기 회전축(20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톱니(2)의 가공면(2')이 상기 연마디스크(3)에 의해 경사지게 연마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에서 상기 톱날연마부(20)의 하측을 향해 안전받침대(130)가 결합되고,
    상기 안전받침대(130)는, 상기 톱날연마부(20)가 상기 지지블록(300)과 함께 비정상적으로 회전낙하되는 경우, 상기 톱날연마부(20)가 상기 베이스부(40)에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톱날연마부(2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1)에는, 다수의 톱니(2)가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톱니(2)는, 상기 연마디스크(3)가 미회전되어 경사가 없는 평톱니(2a), 상기 연마디스크(3)가 정회전되어 우경사가 형성된 우톱니(2b), 상기 연마디스크(3)가 역회전되어 좌경사가 형성된 좌톱니(2c)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톱날(1)이 금속 절단 용도인 경우, 상기 톱날(1)에 모두 평톱니(2a)가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하고,
    상기 톱날(1)이 목재 절단 용도인 경우, 상기 톱날(1)에 우톱니(2b)-좌톱니(2c)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하며,
    상기 톱날(1)이 합성수지 절단 용도인 경우, 상기 톱날(1)에 평톱니(2a)-우톱니(2b)-좌톱니(2c) 또는 평톱니(2a)-우톱니(2b)-좌톱니(2c)-우톱니(2b)-좌톱니(2c)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4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블록(300)의 상면을 지향하도록 지침(150)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록(300)의 상면에는, 상기 지침(15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각도 눈금자(3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xy구동부(30) 상에 설치되는 회전모터(410), 상기 회전모터(41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420), 상기 회전축(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풀리(430) 및 상기 구동풀리(420)와 상기 피동풀리(430)를 연결하는 벨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KR1020170170017A 2017-12-12 2017-12-12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KR10184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17A KR101846134B1 (ko) 2017-12-12 2017-12-12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17A KR101846134B1 (ko) 2017-12-12 2017-12-12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134B1 true KR101846134B1 (ko) 2018-04-05

Family

ID=6197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017A KR101846134B1 (ko) 2017-12-12 2017-12-12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82195A (zh) * 2023-08-02 2023-12-08 杭州博野精密工具有限公司 一种锯片加工用高精度磨孔修齿一体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4690A (ja) * 1975-03-11 1976-09-16 Toshitaka Yamagata Nokobasaikenmasochi
KR20010085505A (ko) * 2000-02-25 2001-09-07 추후제출 에이치에프-스핀들을 구비한 그라인딩 휠과 톱날 그라인딩머신
KR20100012443A (ko) * 2008-07-29 2010-02-08 오태근 비철금속절단용 원형커터
JP4443039B2 (ja) * 1997-11-04 2010-03-31 フォルマー・ヴェルケ・マシーネンファブリー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鋸歯を有する加工物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機械
KR101441276B1 (ko) * 2014-03-07 2014-09-17 장덕순 톱날 연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4690A (ja) * 1975-03-11 1976-09-16 Toshitaka Yamagata Nokobasaikenmasochi
JP4443039B2 (ja) * 1997-11-04 2010-03-31 フォルマー・ヴェルケ・マシーネンファブリー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鋸歯を有する加工物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機械
KR20010085505A (ko) * 2000-02-25 2001-09-07 추후제출 에이치에프-스핀들을 구비한 그라인딩 휠과 톱날 그라인딩머신
KR20100012443A (ko) * 2008-07-29 2010-02-08 오태근 비철금속절단용 원형커터
KR101441276B1 (ko) * 2014-03-07 2014-09-17 장덕순 톱날 연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82195A (zh) * 2023-08-02 2023-12-08 杭州博野精密工具有限公司 一种锯片加工用高精度磨孔修齿一体机
CN117182195B (zh) * 2023-08-02 2024-04-12 杭州博野精密工具有限公司 一种锯片加工用高精度磨孔修齿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289B2 (en) Polisher brush having wire-shaped grinding elements
KR101531623B1 (ko) 톱날 자동 연마가공장치
US36011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complex shapes
CN210548494U (zh) 一种具有清洁锯带功能的卧式金属带锯床
KR100829037B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KR101410564B1 (ko)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
EP0706436B1 (en) Method of sharpening cutting blades
KR101846134B1 (ko) 복합가공이 가능한 톱날 연마장치
CN109176016B (zh) 一种锯带焊接设备及其焊接方法
US6994001B2 (en) Device to produce round cross-section articles with complicated profiled surfaces
JP4443039B2 (ja) 鋸歯を有する加工物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機械
CN109822761B (zh) 一种金刚石线锯锯切加工性能评价试验机
CN210281642U (zh) 钝化机
CN104148739B (zh) 一种带锯条焊口打磨抛光机
JP2018158428A (ja) ワイヤソー及び切断加工方法
KR102541589B1 (ko) 리니어 레일 절삭 및 연마 장치
CN210499519U (zh) 一种锯片铣刀磨刀机
KR101759278B1 (ko) 가공장치
JPH0752007A (ja) ロータリ研削盤及び研削方法
KR101441276B1 (ko) 톱날 연마 장치
CN209811894U (zh) 一种周边磨床
CN107363652B (zh) 一种深孔钻磨刀机
KR20070076649A (ko) 범용 공구 연삭기의 동시 3축 제어장치
KR101535832B1 (ko) 건드릴 연삭장치
KR200373282Y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