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00B1 -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00B1
KR101846100B1 KR1020160182992A KR20160182992A KR101846100B1 KR 101846100 B1 KR101846100 B1 KR 101846100B1 KR 1020160182992 A KR1020160182992 A KR 1020160182992A KR 20160182992 A KR20160182992 A KR 20160182992A KR 101846100 B1 KR101846100 B1 KR 10184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operation panel
button
elevator
butt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102016018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이 카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카 내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카의 행선지층을 지정하는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A)에 있어서; 버튼 조작반(101)이 삽입되는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과; 버튼 조작반(101) 뒷면에서 버튼 조작반(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버튼 조작반(101) 고정용 브라켓(200)과; 버튼 조작반(101)을 브라켓(200)에 고정하는 버튼 조작반(101)의 이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된 다수의 볼트(300)와; 상기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작반(A)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 및; 상기 볼트(300)와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너트(400)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층수 증감, 버튼 고장이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더러워짐 및 선호도에 따른 버튼 조작반의 교체 필요 시 카 내의 조작반 교체 비용을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조작반 전체가 아닌 버튼 조작반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을 부여함으로써 지나친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충분히 사용 가능한 자재를 버리고 새로이 제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자원의 낭비 등으로 인한 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Easy to replace button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버튼 조작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버튼 고장이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더러워짐 및 선호도에 따라 버튼 조작반의 교체 필요시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및 업무용, 상업용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게 된다.
이를 위해,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승객의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에는 승객이 소정 목적층을 등록하기 위한 목적층 입력버튼(16) 및 출입문 개폐조작을 위한 출입문 제어버튼(12), 비상호출 버튼(18), 디스플레이부(14) 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반(1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맨션 등의 건물에 설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어른이나 어린이, 신장이 높은 사람이나 낮은 사람 등 여러 이용자가 이용한다. 예를 들면, 고층 맨션에 있어서 어린이 혹은 신장이 낮은 이용자가 고층 층에의 행선지 층을 지정할 경우, 예를 들면 고층 층에의 행선지 층 버튼이 조작반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어린이 혹은 신장이 낮은 이용자의 손이 행선지 층 버튼에 닿지 않아 어린이 혹은 신장이 낮은 이용자는 이 행선지 층 버튼을 누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건물에 따라서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 바구니 내에 버튼 누름 막대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타는 곳의 버튼과는 달리, 건물의 타는 곳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해 조작되는 어린이용 버튼 및 조작 반의 행선지 층 버튼의 배치를 설정하는 절환 버튼을 마련하고, 어린이용 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작반 버튼 배치를 변경하도록 한 엘리베이터도 제안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에는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하거나 엘리베이터의 문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푸시버튼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는 고정판넬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푸시버튼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작동력을 내부에 있는 PCB로 전달하여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푸쉬버튼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푸시버튼 스위치를 누르거나 또는 우산, 금속파이프와 같은 물체를 이용하여 푸시버튼 스위치를 누를 경우, 푸시버튼 스위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과도한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7258호(공고일자 2001년10월26일)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가 개시된바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동력을 내부로 전달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작동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텍트스위치가 부착된 PCB와, 상기 푸시버튼과 PCB 사이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의 누름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푸시버튼과 완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구성요소들이 고정되고 엘리베이터의 고정판넬에 장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과도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완충부재가 설치됨으로 외부 충격으로 인한 내부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외부 부품들의 파손이 발생하여 사용 수명이 감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입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수분 또는 전해물질과 같은 액체가 내부로 침투하여 내부 부품들의 부식 및 손상에 의한 고장 발생을 유발함으로써 사용 수명이 감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개발된 "엘리베이터 푸쉬버튼 스위치"가 실용신안등록 제0476148호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들의 버튼 조작반의 버튼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갖는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버튼 조작반의 버튼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고장이 났을 경우 새로운 버튼으로 교환하게 된다. 그러나 고장이 난 버튼이 단종품으로 생산이 중단된 것일 때에는 고장난 버튼만을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작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그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이 고장이 나지 않는 경우라 할지라도 건물의 증축으로 층수의 증가 또는 폐쇄층으로 인한 층수의 감소가 있는 경우에도 조작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며, 주운전반 외에 장애인용 운전반 역시 조작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버튼 주위의 더러움이나 조작반의 디자인 또는 재질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조작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그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실용신안등록 제0237258호 등록공보, 특허문헌 2 : 실용신안등록 제0476148호 등록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 엘리베이터의 버튼 조작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버튼 고장이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더러워짐 및 선호도에 따른 버튼 조작반의 교체 필요 시 또는 층수 증감에 따른 조작반의 교체 필요 시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조작반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조작반 전체가 아닌 버튼 조작반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을 부여함으로써 지나친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충분히 사용 가능한 자재를 버리고 새로이 제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자원의 낭비 등으로 인한 폐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저비용 고효율의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은 건물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이 카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카 내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카의 행선지층을 지정하는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A)에 있어서; 버튼 조작반(101)이 삽입되는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과; 버튼 조작반(101) 뒷면에서 버튼 조작반(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버튼 조작반(101) 고정용 브라켓(200)과; 버튼 조작반(101)을 브라켓(200)에 고정하는 버튼 조작반(101)의 이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된 다수의 볼트(300)와; 상기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작반(A)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 및; 상기 볼트(300)와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너트(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버튼 고장이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더러워짐 및 선호도에 따른 버튼 조작반의 교체 필요 시 또는 층수 증감에 따른 조작반의 교체 필요 시 카 내의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조작반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조작반 전체가 아닌 버튼 조작반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을 부여함으로써 지나친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충분히 사용 가능한 자재를 버리고 새로이 제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자원의 낭비 등으로 인한 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 조작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다양한 버튼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이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이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버튼 조작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이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이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버튼 조작반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은 건물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이 카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카 내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카의 행선지층을 지정하는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A)에 있어서; 버튼 조작반(101)이 삽입되는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과; 버튼 조작반(101) 뒷면에서 버튼 조작반(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버튼 조작반(101) 고정용 브라켓(200)과; 버튼 조작반(101)을 브라켓(200)에 고정하는 버튼 조작반(101)의 이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된 다수의 볼트(300)와; 상기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작반(A)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 및; 상기 볼트(300)와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너트(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창(100)과 버튼 조작반(10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버튼 조작반(101)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아크릴, 목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사용중 버튼 조작반(101)의 어떤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증개축으로 층수의 증감이 있거나 버튼 조작반(101)이 더러워진 경우 또는 버튼 조작반(101) 판넬의 디자인이나 재질을 바꾸고자 할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반(A)의 커버를 열고, 버튼 조작반(101) 후면 볼트(300)에 체결된 너트(400)를 해체함으로써 기존의 버튼 조작반(101)을 제거한다.
이어서 교체할 새로운 버튼 조작반(101)을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에 끼우고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로 조작반(A)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200)에 볼트(300)를 끼워서 너트(400)를 체결함으로써 버튼 조작반(101)을 고정한다.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조작반(A)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 조작반(A) 전체를 교체할 때 비용의 1/4 정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버튼 조작반 삽입창 101 : 버튼 조작반
200 : 고정용 브라켓 300 : 볼트
300' : 브라켓 고정용 볼트 400 : 너트
A : 엘리베이터 조작반

Claims (3)

  1. 건물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이 카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카 내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카의 행선지층을 지정하는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A)에 있어서;
    버튼 조작반(101)이 삽입되는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과; 버튼 조작반(101) 뒷면에서 버튼 조작반(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버튼 조작반(101) 고정용 브라켓(200)과; 버튼 조작반(101)을 브라켓(200)에 고정하는 버튼 조작반(101)의 이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된 다수의 볼트(300)와; 상기 버튼 조작반 삽입창(100)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작반(A)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 및; 상기 볼트(300)와 브라켓 고정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너트(400)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창(100)과 버튼 조작반(101)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버튼 조작반(101)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아크릴, 목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KR1020160182992A 2016-12-29 2016-12-29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KR10184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992A KR101846100B1 (ko) 2016-12-29 2016-12-29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992A KR101846100B1 (ko) 2016-12-29 2016-12-29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100B1 true KR101846100B1 (ko) 2018-04-05

Family

ID=6197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992A KR101846100B1 (ko) 2016-12-29 2016-12-29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96U (ko) 2019-04-10 2020-10-20 김상원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CN113086787A (zh) * 2021-03-18 2021-07-09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用免接触控制箱
KR20220000011U (ko) 2020-06-26 2022-01-04 김상원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96U (ko) 2019-04-10 2020-10-20 김상원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KR20220000011U (ko) 2020-06-26 2022-01-04 김상원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CN113086787A (zh) * 2021-03-18 2021-07-09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用免接触控制箱
CN113086787B (zh) * 2021-03-18 2022-09-20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用免接触控制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100B1 (ko) 교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
US20180339878A1 (en) Interactive touch-based car operating panel systems for elevator cars
CA2507206A1 (en) Elevator with car operating panel
JP2012512115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ガラス板固定装置
KR200464320Y1 (ko) 유리 난간대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US20070074825A1 (en) Safety device for door lifts
KR200473964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JP5959122B2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
JP669938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バッファキャップ
KR1023375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ITMI20000099A1 (it) Serratura modulare per porte di ascensori
KR200492548Y1 (ko)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KR200190015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설치된 도어
KR102664436B1 (ko) 고소작업대용 중간연결구를 구비한 리미트스위치
JP6373745B2 (ja) 展望用エレベータかご
JP669935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ボタン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16471691U (zh) 一种电梯门防脱装置
CN212450167U (zh) 公用通道的加装电梯
JP4569843B2 (ja) エスカレーター用の安全装置
KR102460261B1 (ko) 상하 이동식 안전 방충망
JP6769585B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ドアの保守部品
KR20230113138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JP2006104724A (ja) 間仕切りパネルの構造
KR200203497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