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64Y1 -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64Y1
KR200473964Y1 KR2020140000774U KR20140000774U KR200473964Y1 KR 200473964 Y1 KR200473964 Y1 KR 200473964Y1 KR 2020140000774 U KR2020140000774 U KR 2020140000774U KR 20140000774 U KR20140000774 U KR 20140000774U KR 200473964 Y1 KR200473964 Y1 KR 200473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levator
door
support member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귀경
Original Assignee
장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귀경 filed Critical 장귀경
Priority to KR2020140000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또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신규 설치공사 시 엘리베이터 도어 실(sill)에 결합시켜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의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의 측면부 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격벽에 의하여 결합부 쪽으로부터 제1 공, 제2 공 및 제3 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Stiffener for elevator door sill}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 실(sill)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또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신규 설치공사 시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결합시켜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의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저층으로 지어진 것을 제외한 거의 모든 아파트나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사람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는 중앙개폐방식을 취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는 도어 슈(shoe)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는 도어 슈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 실(sill)이 설치되어 도어 슈가 도어 실의 홈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구조이다.
엘리베이터 도어 실은 엘리베이터 홀(hall)에서 떨어져 허공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이사나 공사 시 이삿짐이나 공사 자재 등 중량물이 반복적으로 도어 실에 하중과 충격을 가하게 되면 도어 실에 하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긴다(도 1 참조).
도어 실에 하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기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도어 슈와 도어 실의 홈 간에 간섭에 의한 마찰이 생겨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도어 슈 마모에 따라 도어의 흔들림 및 소음이 발생한다.
둘째,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의 행거 롤러에 과부하가 발생한다.
셋째,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취약해지고 안전성이 저하된다.
넷째, 도어 실과 접한 엘리베이터 홀 바닥면에 크랙이 발생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홀 바닥 공사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설치 후에 시작하게 되는데, 도어 실과 엘리베이터 홀 바닥 사이에 이격공간이 없어 엘리베이터 홀 바닥 공사 시 도어 실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도 있다.
본 출원인은 엘리베이터 홀 바닥과 도어 실 간에 이질적인 재료 사이를 분리 마감하기 위한 재료분리대를 고안한 바가 있는데, 약간의 도어 실 보강의 효과를 시도하였지만 재료분리대의 개념으로 접근하면서 도어 실 보강재로서의 효과는 취약하였다.
종래의 재료분리대는 이사나 공사 시 이삿짐이나 공사 자재 등 중량물이 반복적으로 지나게 되면 도어 실에 하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기면서 재료분리대의 엘리베이터 홀 방향의 단부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923619호 "엘리베이터홀의 재료분리대"(2009. 10. 19. 등록)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447914호 "엘리베이터 도어프레임 보강용 재료분리대"(2010. 2. 23.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파트 또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신규 설치공사 시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결합시켜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의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의 측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와 연결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몸체부(2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22)의 내부는 몸체부(22)의 상면을 3등분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격벽에 의하여 결합부(21) 쪽으로부터 제1 공(23), 제2 공(24) 및 제3 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공(24)은 하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지지부재(26)와 수평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3공(25)은 좌측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지지부재(26)와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의 몸체부(22)의 상면과 도어 실(10)의 측면이 만나는 각도는 80~8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20)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26)는 제1 지지부재(28), 제2 지지부재(29)로 구성되며, 제1 지지부재(28)는 'ㅏ' 형으로 형성되어 제2 공(24), 제3 공(25)과 볼트 결합되고, 제2 지지부재(29)는 '」' 형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28)에 용접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의 앵커 볼트(27)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2)의 제1 공(23) 하면은 삼각형 톱니 단면(3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에는 깊이 1~2mm의 홈(3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판(3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는 아파트 또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신규 설치공사 시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결합시켜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의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보강하여 도어 실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고장 요인을 억제하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실 보강재가 도어 실과 엘리베이터 홀 바닥 사이에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엘리베이터 홀 바닥 공사 시 도어 실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실 보강재의 상면에는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에 층수를 표시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며 당해 엘리베이터 제조업체등의 브랜드나 로고 등의 홍보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어 실 보강재의 단면도,
도 3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본 고안의 도어 실 보강재를 결합시켜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 실 보강재의 몸체부 상면에 구비되는 상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2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의 측면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1)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의 측면부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21)와 연결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몸체부(2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22)의 내부는 몸체부(22)의 상면을 3등분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격벽에 의하여 결합부(21) 쪽으로부터 제1 공(23), 제2 공(24) 및 제3 공(25)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의 몸체부(22)의 내부는 몸체부(22)의 상면을 3등분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격벽에 의하여 제1 공(23), 제2 공(24) 및 제3 공(25)이 형성되는데, 이는 자중(自重)이 작으면서도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22)의 가운데 위치하는 상기 제2 공(24)은 하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며 그 결합홈의 좌우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결합홈 내부에 볼트의 헤드가 삽입되어 지지부재(26)와 수평으로 결합한다.
상기 몸체부(22)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공(25)은 좌측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며 그 결합홈의 상하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결합홈 내부에 볼트의 헤드가 삽입되어 지지부재(26)와 수직으로 결합한다.
상기 제3 공(25)의 결합홈은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의 좌측 단부에서 지지부재(26)의 두께만큼 안쪽으로 구비되어 지지부재(26)가 상기 제3 공(25)의 결합홈에 수직으로 결합되면 지지부재(26)의 상부가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의 가운데 위치하는 상기 제2 공(24)의 결합홈은 지지부재(26)와 수평으로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22)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 공(25)의 결합홈은 지지부재(26)와 수직으로 결합한 후 지지부재(26)가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27)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는 도어 실(10)에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을 도어 실(10)과 분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24), 제3 공(25)에 의하여 도어 실 보강재(20)가 하면과 측면에서 이중으로 지지부재(26)에 결합되도록 하여 도어 실(10)이 하측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어 실 보강재(20)의 엘리베이터 홀 방향의 단부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는 변형까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는 도어 실(10)의 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도어 실(10)과 도어 실 보강재(20) 간에는 미세하나마 약간의 유격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 실(10)의 높이에 맞추어 도어 실 보강재(20)를 설치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의 상기 몸체부(22)는 엘리베이터 홀 바닥면에 대하여 완전한 수평이 아니라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이 도어 실(10)의 측면과 만나는 각도는 80~85°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에 물매가 형성됨으로써 엘리베이터 홀 바닥 청소 등의 경우에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에 오수 등이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되며, 도어 실(10)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바닥면에 일정한 구배가 지도록 시공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엘리베이터 바닥 시공 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이 도어 실(10)의 측면과 만나는 각도가 80°미만이 되면 몸체부(22)의 상면의 경사가 너무 커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20)는 자중(自重)이 작아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외력에 대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20)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26)는 제1 지지부재(28), 제2 지지부재(29)로 구성되며, 제1 지지부재(28)는 'ㅏ' 형으로 형성되어 제2 공(24), 제3 공(25)과 볼트 결합되고, 제2 지지부재(29)는 '」' 형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28)에 용접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의 앵커 볼트(27)에 결합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20)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26)를 하나의 지지부재로 길게 형성하지 않고 제1 지지부재(28), 제2 지지부재(29)의 2개로 구성하고 이들을 용접 결합하는 것은 지지부재가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 실 보강재(20)가 도어 실(10)과 측면 슬라이딩 결합된 후 제1 지지부재(28), 제2 지지부재(29)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도어 실 보강재(20) 하부에 모르타르가 완전히 채워지지 못하더라도 도어 실 보강재(20)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2)의 제1 공(23) 하면은 삼각형 톱니 단면(30)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2)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에 접착할 때 접착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접착력이 커지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에는 깊이 1~2mm의 홈(3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판(32)을 결합시키며, 상기 상판(32)은 보수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32)에는 층수 표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탈 사람이 보는 방향, 엘리베이터를 탄 사람이 보는 방향에서 각 1개 구비), 엘리베이터 제조업체, 당해 건물 건설업체, 당해 건물 입주업체 등의 브랜드나 로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대체로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는 층수는 엘리베이터 내부 도어 상부에 표시되고 있는데, 상기 상판(32)에 층수를 표시하게 되면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는 층수를 인식하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는 층수는 엘리베이터 내부 도어 상부에 표시되고 있어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사각지역에 있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상판(32)에 층수를 표시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는 층수를 카메라가 포착하여 범죄 발생 시에 범인을 색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32)에 다양한 형상의 이미지나 도형 등을 형성하여 미려하게 장식하면 엘리베이터 홀 바닥의 미관을 더욱 살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파트 또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신규 설치공사 시 엘리베이터 바닥면에 일정한 구배가 지도록 시공을 할 필요 없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20)를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에 결합시켜 설치하여 제2 공(24) 하면부의 결합홈을 제1 지지부재(28)와 수평 결합하고, 제3 공(25) 좌측면부의 결합홈을 제1 지지부재(28)와 수직 결합한다. 그리고 제1 지지부재(28)에 용접 결합된 제2 지지부재(29)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의 앵커 볼트(27)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도어 실 보강재(20)는 일 측면은 도어 실(10)에 결합되고 하면과 다른 일측면은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에 결합된다. 이어서 엘리베이터 홀 바닥에 모르타르를 시공하여 굳힌 후 바닥재를 시공하여 마감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hall)에서 떨어져 허공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에 결합되는 보강재(20)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에 시공하여 외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의 변형에 저항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홀 바닥 공사 시 도어 실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실 보강재의 상면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홀 바닥의 미관도 살릴 수 있다.
10 : 엘리베이터 도어 실 11 : 결합홈
20 :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21 : 결합부
22 : 몸체부 23 : 제1 공
24 : 제2 공 25 : 제3 공
26 : 지지부재 27 : 앵커 볼트
28 : 제1 지지부재 29 : 제2 지지부재
30 : 삼각형 톱니 단면 31 : 홈
32 : 상판

Claims (5)

  1. 엘리베이터 도어 실(10)의 측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와 연결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몸체부(2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22)의 내부는 몸체부(22)의 상면을 3등분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격벽에 의하여 결합부(21) 쪽으로부터 제1 공(23), 제2 공(24) 및 제3 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24)은 하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6)와 수평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3 공(25)은 좌측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6)와 수직으로 결합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실 보강재(20)로서,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를 엘리베이터 홀 바닥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26)는 제1 지지부재(28), 제2 지지부재(29)로 구성되고, 제1 지지부재(28)는 'ㅏ' 형으로 형성되어 제2 공(24), 제3 공(25)과 볼트 결합되며, 제2 지지부재(29)는 '」' 형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28)에 용접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홀 바닥층의 앵커 볼트(27)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 보강재(20)의 몸체부(22)의 상면과 도어 실(10)의 측면이 만나는 각도는 80~8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2)의 제1 공(23) 하면은 삼각형 톱니 단면(3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2)의 상면에는 깊이 1~2mm의 홈(3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판(3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KR2020140000774U 2014-02-04 2014-02-04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KR200473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74U KR200473964Y1 (ko) 2014-02-04 2014-02-04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74U KR200473964Y1 (ko) 2014-02-04 2014-02-04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964Y1 true KR200473964Y1 (ko) 2014-08-11

Family

ID=5198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74U KR200473964Y1 (ko) 2014-02-04 2014-02-04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58B1 (ko) 2016-01-15 2016-07-05 주영진 정역회전 트위스터 구동형 스마트 레이저 스팟용접장치
KR101822337B1 (ko) 2017-08-16 2018-01-25 주식회사 나래테크 가변형 연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홀 플로어커버
KR20230125880A (ko) 2022-02-22 2023-08-29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KR20230125879A (ko) 2022-02-22 2023-08-29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35A (ko) * 2000-06-07 2001-01-05 서정길 엘레베이터 도어프레임과 그 시공방법
KR20060016949A (ko) * 2004-08-19 2006-02-23 장귀경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KR20090036635A (ko) * 2007-10-10 2009-04-15 장귀경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KR20090010827U (ko) * 2008-04-21 2009-10-26 장귀경 엘리베이터 도어프레임 보강용 재료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35A (ko) * 2000-06-07 2001-01-05 서정길 엘레베이터 도어프레임과 그 시공방법
KR20060016949A (ko) * 2004-08-19 2006-02-23 장귀경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KR20090036635A (ko) * 2007-10-10 2009-04-15 장귀경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KR20090010827U (ko) * 2008-04-21 2009-10-26 장귀경 엘리베이터 도어프레임 보강용 재료분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58B1 (ko) 2016-01-15 2016-07-05 주영진 정역회전 트위스터 구동형 스마트 레이저 스팟용접장치
KR101822337B1 (ko) 2017-08-16 2018-01-25 주식회사 나래테크 가변형 연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홀 플로어커버
KR20230125880A (ko) 2022-02-22 2023-08-29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KR20230125879A (ko) 2022-02-22 2023-08-29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64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재
KR200474071Y1 (ko) 엘리베이터 도어실과 결합된 엘리베이터 홀 플로어 커버
JP6175568B2 (ja) 床パネルとパネルレールとの間の接合部
JP6165336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
KR101822337B1 (ko) 가변형 연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홀 플로어커버
KR200482094Y1 (ko) 절곡타입의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
KR200484298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 프레임
KR200447914Y1 (ko) 엘리베이터 도어프레임 보강용 재료분리대
KR10155322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WO2009031139A3 (en) Reinforced load bearing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KR100923619B1 (ko)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KR101786465B1 (ko) 문지방 탈부착 구조를 갖는 문틀 및 문틀 시공방법
JP2007326684A (ja) エレベータ装置
CA2981769C (en) A facade element and a rail for the facade element
KR101143917B1 (ko) 저층용 승강기
KR20230125879A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KR20130066484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120001014U (ko) 도어프레임 전방에서 조립이 가능한 결합돌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CN207063264U (zh) 钢结构秸秆材质板复合楼承板构件
JP6920827B2 (ja) 方立及び方立の連結方法
ES1158435U (es) Ascensor para espacios reducidos.
JP3116979U (ja) 集合住宅用後付けエレベータのかご室昇降路の隔壁構造物
CN201756788U (zh) 在建电梯井内置随层施工台架
KR2004777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이탈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