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894B1 - 펌프 - Google Patents
펌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5894B1 KR101845894B1 KR1020160165099A KR20160165099A KR101845894B1 KR 101845894 B1 KR101845894 B1 KR 101845894B1 KR 1020160165099 A KR1020160165099 A KR 1020160165099A KR 20160165099 A KR20160165099 A KR 20160165099A KR 101845894 B1 KR101845894 B1 KR 101845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support plate
- inflow
- support
- end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는, 유입모듈의 일단부측 및 배출모듈의 일단부측을 받침판에 형성된 지지홀더의 내부에 각각 삽입 결합한 다음, 타측 부위를 체결부재로 받침판에 결합한다. 그러면,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간편하게 받침판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받침판에 결합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간편하다. 그러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모터부의 전장박스 하측의 받침판 부위에 지지홀더가 형성되므로, 유입모듈 또는 배출모듈의 조립공정이 전장박스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립공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유입모듈과 배출모듈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공용으로 사용한다. 이때,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의 형상과 받침판에 형성된 지지홀더의 내부 형상으로 인하여,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은 방향성을 가지면서 받침판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유입모듈과 배출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하여도,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각각 받침판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펌프란 압력의 작용으로 유체를 수송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펌프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물의 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종래의 펌프는, 받침판(11), 받침판(1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펌프부(13), 받침판(11)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며 펌프부(13)를 구동시키는 모터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펌프부(13) 양측의 받침판(11) 부위에는 물이 흡입되는 유입모듈(21)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모듈(25)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하여, 모터부(15)가 구동하여 펌프부(13)의 임펠라(미도시)가 회전하면, 유입모듈(21)로 물이 유입되어 배출모듈(25)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하고자 하는 물이 저장된 우물과 유입모듈(21)은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에 의하여 연통된다.
유입모듈(21)의 하단부에는 유입모듈(21)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판(22)이 형성되고, 지지판(22)을 매개로 유입모듈(21)이 받침판(11)에 결합된다. 즉, 유입모듈(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판(22) 부위를, 체결부재(23)를 이용하여, 받침판(11)에 결합하면 유입모듈(21)이 받침판(11)에 결합된다.
배출모듈(25)도 유입모듈(21)과 동일한 형태로 받침판(11)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는 유입모듈(21)의 지지판(22)의 2개소 및 배출모듈(25)의 지지판의 2개소, 총 4개소를 체결부재(23)를 이용하여 받침판(11)에 결합하므로, 조립공정 시간 및 유지 보수시 분해공정 시간이 길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모터부(15)의 일측면에는 전장부품이 내장된 전장박스(15a)가 돌출 형성되며, 그 구조상, 전장박스(15a) 하측의 받침판(11) 부위에 지지판(22)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22)을 전장박스(15a) 하측의 받침판(11) 부위에 결합할 때, 조립공정이 전장박스(15a)의 간섭을 받으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모터부; 상기 받침판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유체를 수송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측 상기 받침판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부가 구동하면 유체를 흡입하는 유입모듈; 상기 펌프부측 상기 받침판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모듈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모듈의 일단부측 및 상기 배출모듈의 일단부측은 상기 받침판측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유입모듈의 타단부측 및 상기 배출모듈의 타단부측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받침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유입모듈의 후단부측 및 배출모듈의 후단부측을 받침판에 형성된 지지홀더의 내부에 각각 삽입 결합한 다음, 전단부측을 체결부재로 받침판에 결합한다. 그러면,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간편하게 받침판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받침판에 결합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간편하다. 그러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모터부의 전장박스 하측의 받침판 부위에 지지홀더가 형성되므로, 유입모듈의 조립공정이 전장박스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립공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유입모듈과 배출모듈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공용으로 사용한다. 이때,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의 형상과 받침판에 형성된 지지홀더의 내부 형상으로 인하여,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은 방향성을 가지면서 받침판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유입모듈과 배출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하여도,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을 각각 받침판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판,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홀더 부위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판,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홀더 부위의 평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펌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받침판(110), 구동부(120) 및 펌프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물의 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받침판(11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장의 바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모터부(120)는 받침판(11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고, 펌프부(130)는 받침판(110)의 상면 전방측에 설치되어 모터부(120)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유체를 수송할 수 있다. 모터부(120)는 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펌프부(130)는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유체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임펠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부(120)의 외면 중, 펌프부(130)측 모터부(120)의 외면에는 전장부품이 내장된 전장박스(122)가 돌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펌프부(130)측 받침판(110)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는 유체를 흡입하는 유입모듈(140) 및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모듈(15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펌프부(130)를 사이에 두고, 펌프부(1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호 대향할 수 있다.
펌프부(130)는 상기 임펠러가 내장된 케이싱(132)을 포함하며, 유입모듈(140)의 상단부측 및 배출모듈(150)의 상단부측은 케이싱(132)과 각각 연통된다. 그리하여, 모터부(120)에 의하여 펌프부(130)가 구동하면 우물 등의 유체가 흡입되어 유입모듈(140)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모듈(140)의 유체는 케이싱(132)으로 유입된 후, 배출모듈(1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받침판(110)에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 조립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유지 보수시 분해공정 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유입모듈(140)의 후단부측을 받침판(110)측에 삽입 결합한 다음, 전단부측을 받침판(110)에 체결부재(161)로 결합한다. 그리고, 배출모듈(150)의 후단부측을 받침판(110)측에 삽입 결합한 다음, 전단부측을 받침판(110)에 체결부재(161)로 결합한다. 그러면, 유입모듈(140)의 1개소 및 배출모듈(150)의 1개소만 체결부재(161)로 체결 결합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판, 유입모듈 및 배출모듈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홀더 부위의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모듈(140)은 지지판(141) 및 엘보우관(14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41)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양단부측이 받침판(110)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엘보우관(145)은 지지판(141)의 상면 중앙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141)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는 하측 부위는 우물측과 연통되고, 지지판(14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상측 부위는 케이싱(132)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엘보우관(145)의 하단부와 우물측은 별도의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될 수 있다.
모터부(120)와 펌프부(130)의 경계 부위측 받침판(110)의 상면에는 지지홀더(11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은 지지홀더(111a)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전단부측은 체결부재(161)에 의하여 받침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을 지지홀더(111a)의 내부에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전단부측을 체결부재(161)로 받침판(110)에 결합하면 되므로, 유입모듈(140)을 간편하게 받침판(11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모듈(140)을 받침판(110)에 결합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간편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부(120)의 전장박스(122) 하측의 받침판(110) 부위에 지지홀더(111a)가 형성되므로, 유입모듈(140)의 조립공정시 전장박스(122)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지지홀더(111a)의 내부는 지지판(141)의 후단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지홀더(111a)는 지지판(141)의 후단부측 후단면(候端面), 지지판(141)의 후단부측 상면 및 지지판(141)의 후단부측 양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판(14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141)은 후단부측이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되므로,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이 받침판(110)에 결합되는 위치는 결정된다. 반면,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은 체결부재(161)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이 결합되는 받침판(110)의 부위로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을 정확하게 위치시킨 다음, 체결부재(161)로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을 결합하여야 한다.
그런데,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을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하였을 때, 지지판(141)의 전단부측 부위가 받침판(110) 상에서 수평으로 유동하면,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이 결합되는 받침판(110)의 부위로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을 이동시키면서 찾아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판(110)의 상면에는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을 지지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레일(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지지레일(113a) 사이에 지지판(141)의 전단부측 부위가 삽입되며, 지지판(141)의 전단부측 부위는 지지레일(113a)에 걸려서 지지된다. 그러면,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을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한 다음, 전단부측을 지지레일(113a) 사이에 삽입하면, 지지판(141)의 전단부측 부위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을 받침판(110)의 정해진 부위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지지레일(113a)은 유입모듈(140)의 후단부측이 결합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도 한다.
배출모듈(150)은 지지판(151) 및 엘보우관(1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받침판(110)에는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후단부측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홀더(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110)에는 지지판(151)의 전단부측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판(151)의 전단부측이 결합되는 위치를 표시해 주는 지지레일(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레일(113a)과 지지레일(113b)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은 각각 엘보우관(145)(155)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전방측 부위와 후방측 부위가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동일한 형상의 면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받침판(110)의 일측 부위를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홀더(111a)와 지지홀더(111b)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판(110)의 일측 부위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야 함은 당연하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입모듈(140)을 배출모듈(150)측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유입모듈(140)의 받침판(141)의 전단부측이 지지홀더(111b)에 삽입 결합되고, 배출모듈(150)을 유입모듈(140)측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이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된다.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각 엘보우관(145)(155)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을 이루는 형상이다. 그리고,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공용으로 사용된다.
이때,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후단부측 및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후단부측이 지지홀더(111a)(111b)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야,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이 정확한 방향을 향하면서 결합된다. 그런데,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이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되거나,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이 지지홀더(111b)에 삽입 결합되거나,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전단부측이 지지홀더(111b)에 삽입 결합되거나,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전단부측이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지지판(141)(151)의 일측면(141a)(151a) 양모서리와 타측면(141b)(151b) 양모서리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출모듈(150)을 향하는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일측면(141a) 양모서리와 배출모듈(150)을 향하지 않는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타측면(141b) 양모서리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모듈(150)은 유입모듈(140)과 동일한 형상이므로, 유입모듈(140)을 향하는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일측면(151a) 양모서리와 유입모듈(140)을 향하지 않는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타측면(151b) 양모서리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41)(151)의 일측면(141a)(151a) 양모서리와 타측면(141b)(151b) 양모서리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지지판(141)(151)의 일측면(141a)(151a) 양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모딴면(141aa)(151aa)으로 형성할 수 있고, 타측면(141b)(151b) 양모서리는 모따기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홀더(111a)(111b)의 내부는 지지판(141)(151)의 후단부측 형상과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딴면(141aa)(151aa)이 형성된 지지판(141)(151)의 일측면(141a)(151a)이 상호 대향하도록 지지판(141)(151)을 받침판(110)에 결합하면, 지지판(141)(151)이 지지홀더(111a)(111b)에 정확하게 삽입 결합된다.
그러나,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딴면(141aa)(151aa)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판(141)(151)의 타측면(141b)(151b)이 상호 대향하도록 지지판(141)(151)을 받침판(110)에 결합하면, 지지판(141)(151)이 지지홀더(111a)(111b)에 삽입 결합되지 않는다.
즉,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은 지지판(141)(151)의 형상과 지지홀더(111a)(111b)의 내부 형상으로 인하여, 방향성을 가지면서 받침판(110)에 결합된다. 그러면,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을 공용으로 사용하여도,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을 각각 받침판(11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타측면(141b)이 배출모듈(150)을 향하게 결합하는 경우, 유입모듈(140)을 지지홀더(111a)에 삽입 결합할 수 없다. 그리고, 유입모듈(140)을 배출모듈(150)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전단부측을 지지홀더(111b)에 삽입 결합하여야 한다. 그런데,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후단부측을 지지홀더(111b)에 삽입 결합할 경우, 유입모듈(140)을 지지홀더(111b)에 삽입 결합할 수 없다. 배출모듈(150)의 경우도 동일하다.
모딴면(141aa)(151aa)을 지지판(141)(151)의 타측면(141b)(151b) 양모서리에 형성하고, 지지홀더(111a)(111b)의 내부를 이와 대응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유입모듈(140)의 지지판(141)의 후단부측 및 배출모듈(150)의 지지판(151)의 후단부측을 지지홀더(111a)(111b)의 내부에 각각 삽입 결합한 다음, 전단부측을 체결부재(161)로 받침판(110)에 결합하면 되므로,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을 간편하게 받침판(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을 받침판(110)에 결합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간편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부(120)의 전장박스(122) 하측의 받침판(110) 부위에 지지홀더(111a)가 형성되므로, 유입모듈(140)의 후단부측을 받침판(110)에 결합할 때, 전장박스(122)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립공정이 편리하다.
그리고,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공용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의 형상과 지지홀더(111a)(111b)의 내부 형상으로 인하여,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은 방향성을 가지면서 받침판(110)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유입모듈(140)과 배출모듈(150)을 공용으로 사용하여도, 유입모듈(140) 및 배출모듈(150)을 각각 받침판(11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받침판
120: 구동부
130: 펌프부
140: 유입모듈
150: 배출모듈
120: 구동부
130: 펌프부
140: 유입모듈
150: 배출모듈
Claims (7)
-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모터부;
상기 받침판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유체를 수송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측 상기 받침판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부가 구동하면 유체를 흡입하는 유입모듈;
상기 펌프부측 상기 받침판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모듈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모듈의 일단부측 및 상기 배출모듈의 일단부측은 상기 받침판측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유입모듈의 타단부측 및 상기 배출모듈의 타단부측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유입모듈의 일단부측 및 상기 배출모듈의 일단부측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홀더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모듈 및 상기 배출모듈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된 엘보우관을 각각 가지고,
상기 유입모듈 및 상기 배출모듈의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측은 상기 지지홀더에 각각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받침판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모듈은 상기 엘보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모듈의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 양모서리와 타측면 양모서리는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모듈과 상기 배출모듈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의 면이 상호 대향하고,
상기 지지홀더의 내부는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상기 지지홀더의 내부 형상과 상기 배출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상기 지지홀더의 내부 형상은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 중 일측면의 양모서리는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측 단면(端面), 일단부측 상면 및 일단부측 양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유입모듈의 타측 부위 양측면 및 상기 배출모듈의 타측 부위 양측면이 걸려서 지지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099A KR101845894B1 (ko) | 2016-12-06 | 2016-12-06 | 펌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099A KR101845894B1 (ko) | 2016-12-06 | 2016-12-06 | 펌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5894B1 true KR101845894B1 (ko) | 2018-04-06 |
Family
ID=6197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099A KR101845894B1 (ko) | 2016-12-06 | 2016-12-06 | 펌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58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5001A (ko) * | 2021-01-19 | 2022-07-26 | 윌로펌프 주식회사 |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5982A (ja) | 1999-10-18 | 2001-04-27 | Ebara Corp |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5099A patent/KR1018458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5982A (ja) | 1999-10-18 | 2001-04-27 | Ebara Corp |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5001A (ko) * | 2021-01-19 | 2022-07-26 | 윌로펌프 주식회사 |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
CN114811243A (zh) * | 2021-01-19 | 2022-07-29 | 威乐水泵有限公司 | 管紧固组件 |
KR102507958B1 (ko) * | 2021-01-19 | 2023-03-09 | 윌로펌프 주식회사 |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
CN114811243B (zh) * | 2021-01-19 | 2024-11-01 | 威乐水泵有限公司 | 管紧固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3736Y1 (ko) | 냉각 효과를 갖춘 조합식 케이스 구성 | |
RU2006133680A (ru) |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атываемой детали | |
KR101845894B1 (ko) | 펌프 | |
JP2006015113A (ja) | 吸引口組立体と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 |
BRPI1013170B1 (pt) | filtro de ar suspenso | |
KR101136025B1 (ko) | 여과막모듈 | |
TWI673193B (zh) | 扣組式土除支撐架 | |
KR200480232Y1 (ko) | 피가공물 고정용 지그 | |
JP2016165363A (ja) | デスク装置 | |
JP2016217603A (ja) | 空気調和機及びフィルタ部材 | |
US8657125B2 (en) | Tray clea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s | |
KR100756321B1 (ko) |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 |
CN205648290U (zh) | 一种电路板组件 | |
CN208607579U (zh) | 一种计算机预装组件 | |
US9808139B2 (en) | Dishwasher placemat basket and support structure | |
KR102105895B1 (ko) | 석션박스 클린 지그장치 | |
JP7161185B2 (ja) | 木材加工機の吸着テーブル | |
TWI417026B (zh) | 電子裝置殼體 | |
CN211810767U (zh) | 托架 | |
KR101546375B1 (ko) | 착유기 | |
KR101330678B1 (ko) | 파티션 어셈블리 | |
IT201800004428A1 (it) | Scaffalatura | |
KR100561746B1 (ko) | 디브이알 냉각장치 | |
JP6801097B2 (ja) | 濾過装置用フランジ装置 | |
CN106206387A (zh) | 用于传送基板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