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448B1 -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448B1
KR101845448B1 KR1020160084382A KR20160084382A KR101845448B1 KR 101845448 B1 KR101845448 B1 KR 101845448B1 KR 1020160084382 A KR1020160084382 A KR 1020160084382A KR 20160084382 A KR20160084382 A KR 20160084382A KR 101845448 B1 KR101845448 B1 KR 10184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res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598A (ko
Inventor
안부연
김대식
한인수
장경훈
이슬
조성민
장은화
김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48B1/ko
Priority to US15/364,769 priority patent/US20180002505A1/en
Publication of KR2018000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85Use of fibrou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95Mixtures of at least two compounding ingredients belonging to different one-do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4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4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 C08J9/105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2CO2-releasing, e.g. NaHCO3 and cit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4N2 releasing, ex azodicarbonamide or nitroso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22Expandable microspheres, e.g. Expanc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발포제 마스터 배치와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발포 품질이 우수하고 사출이 용이한 발포성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45 내지 65 중량%, 섬유강화제가 15 내지 30 중량% 및 발포제가 2내지 20 중량%인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Improving Foam Capability}
본 발명은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발포제 마스터 배치와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발포 품질이 우수하고 사출이 용이한 발포성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바, 산업 전 범위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료절감을 하는 방법을 찾아 나서고 있다. 연료 절감을 이룩하기 위하여,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으로 자동차 엔진의 효율을 좋게 하는 것과 자동차의 경량화를 하는 것이 있다. 차량을 경량화 하게 되면 자동차의 연비를 늘릴 수 있는 좋은 대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경량화를 하게 되면 차량에서 요구되는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것이 자동차 산업의 최대 목표가 되고 있다.
결국, 자동차 업계는 유럽규제 기준, 2021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재 대비, 27% 수준인 95 g/km으로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친환경 차량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2025년 미국 기업평균연비 규제치 (CAFE, 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54.5 mpg (23.2 km/l)를 만족하기 위해 자동차 메이커들은 다운사이징, 연비향상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자, 산업 분야에서 경량화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저비중을 갖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발포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저비중을 갖는 발포 수지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수지의 강성이 발포 후에는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발포 후 강성을 유지하는 것은 저비중 발포소재의 주요한 극복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포제 마스터 배치와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발포 품질이 우수하고 사출이 용이한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차량의 내장용 부품을 제조함으로써, 차량을 경량화하고 연비를 증가시키는 차동차의 내외장용 부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45,000 내지 180,000g/mol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50 내지 80 중량%, 섬유강화제가 15 내지 30 중량% 및 발포제가 2내지 20 중량%인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5 내지 12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100중량부일 때, 45 내지 6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에틸렌, 부틸렌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공단량체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블렌딩된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제는 5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제는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나노클레이, 휘스커,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카본 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마스터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징크 디벤젠술피네이트 및 징크 디톨루엔술피네이트,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지드 또는 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상용화제 또는 미세입자 중 2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외장용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발포 품질이 우수하고 사출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내장용 부품에 의하면, 차량을 경량화하고 연비를 증가시키는 차동차의 내장용 부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의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의 A-A'단면 확대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45,000 내지 180,000g/mol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50 내지 80 중량%, 섬유강화제가 15 내지 30 중량% 및 발포제가 2내지 20 중량%인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5 내지 12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100중량부일 때, 45 내지 6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에틸렌, 부틸렌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공단량체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블렌딩된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섬유강화제는 5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섬유강화제는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나노클레이, 휘스커,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카본 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포제는 마스터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발포제는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징크 디벤젠술피네이트 및 징크 디톨루엔술피네이트,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지드 또는 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상용화제 또는 미세입자 중 2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발포 사출 성형을 하는 경우 발포제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발포 품질과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을 가진 소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발포제 또는 캡슐발포제 마스터 배치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5 내지 12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고분자물질 내의 분자량의 분포를 의미하며, 중량평균분자량과 수평균분자량의 비를 흔히 사용한다. 상기 비가 1에 가까울수록 분포가 좁아진다.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5 내지 12인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과 상기 섬유강화제 간의 결합력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non controlled rheology, non C.R)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레올로지가 조절된(C.R)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유변학적 컨트롤(흐름성 제어)을 위해 첨가제 (peroxide)를 통해 분자량 낮춘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분자량 함유량이 높아 물성 불리하며, 용융장력이 낮아 발포성이 저하된다. 이에 반하여, non C.R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이 높아 물성이 좋으며, 용융장력이 높아 발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결국 분자량 분포를 통하여 흐름성을 제어 즉, 흐름성을 향상시키므로 가공에 유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섬유강화제의 함침을 높이기 위해 C.R 고유동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지만 분자량의 분포가 좁아 용융장력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발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Non C.R(Controlled Rheology)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섬유강화제와 폴리프로필렌 수지간 함침성을 향상시키고 용융장력을 높여 발포특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100중량부일 때, 45 내지 6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45중량부 미만이면 성형가공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65중량부 초과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의 충격강도가 감소하는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제는 5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섬유강화재의 길이가 5mm 미만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섬유강화제의 길이가 20mm 초과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생산성 및 함침성이 저하되어 사출기에 원료를 투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제는 15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강화제는 발포제 분산성 향상 및 상호 간섭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나노클레이, 휘스커,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카본 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제는 마스터배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징크 디벤젠술피네이트 및 징크 디톨루엔술피네이트,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지드 또는 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포제는 2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발포제가 2중량% 미만일 경우 발포제 함량이 너무 적어 발포성능이 저하되어 경량화 효과가 작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제가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비중이 낮은 발포제의 함량이 너무 많아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시 발포 기핵 작용에 문제가 있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관점에 살펴보면, 어느 하나의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외장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의 사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의 A-A'단면 확대사진도이다. 도1과 같은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도2와 같이 부품의 발포셀이 다량 존재하게 되어 경량화 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B-PP A
(중량%)
- - - 62 -
B-PP B
(중량%)
80 62 62 - 62
유리섬유 A
(중량%)
- - - 20 20
유리섬유 B
(중량%)
- - 20 - -
탈크(중량%) 20 20 - - -
충격보강제인 고무(중량%) - 10 18 18 18
소듐카보네이트 (중량%) - 3 3 3 3
상기 표1은 종래기술인 비교예1 내지 4과 본 발명 실시예1에 포함된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1의 B-PP A 는 C.R 고유동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융용지수 : 30 g/10min)이며 복합재 제조에 필요한 기본 수지에 해당한다. 또한, B-PP B 는 Non C.R 고유동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융용지수 : 30g/10min)이며 복합재 제조에 필요한 기본 수지에 해당한다. 나아가, 유리섬유 A 는 단면 직경 15 ㎛이며 길이 11mm인 섬유강화제이다. 또한, 유리섬유 B 는 단면 직경 15 ㎛, 길이 4mm인 섬유강화제이다. 더불어, 탈크는 단면 직경 5.5 ㎛으로 섬유강화제이다. 또한, 상기 충격보강제인 고무는 MI 12g/10min, 중량평균 분자량 105,000g/mol이다. 추가적으로, 발포제는 소듐카보네이트이다. 상기 용융지수(MI, Melting Index)는 ASTM D1238기준에 따라 230oC, 2.16kg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상기 실시예1과 비교평가를 위해 발포제 및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섬유강화제를 상이하게 사용하였다.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비교예 2는 상기 실시예1과 비교평가를 위해 섬유강화제만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인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상기 비교예 3은 본 발명인 실시예1과 비교평가를 위해 섬유강화제의 길이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상기 비교예 4는 상기 실시예1과 비교평가를 위해 기본 수지(C.R 유동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상기 표1의 종래기술인 비교예1 내지 4과 본 발명 실시예1의 성분에 따라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2는 종래기술인 비교예1 내지 4과 본 발명 실시예1의 물성을 나타낸 표이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비중 1.07 1.04 1.01 1.01 1.01
인장강도(MPa) 26 17 37 45 51
굴곡강도(MPa) 35 23 42 58 63
굴곡탄성률(MPa) 2,380 2,016 2,435 2,750 2,917
충격강도(@23℃)(J/m) 65 115 225 275 327
상기 표 2의 인장강도 는 ASTM D638에 따라 시험시편을 제조 및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굴곡탄성율은 ASTM D790에 따라 시험시편을 제조 및 측정하였다. 나아가, 상기 충격강도는 ASTM D256에 따른 시험시편을 제조 및 측정하였다. 나아가, 상기 비중은: ASTM D792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C/pad core 부품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동차용C/pad core 부품
두께(mm) 3.5 3.5
제품의 중량(g) 1636 1309
경량화(%) 기준 20
상기 표3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C/pad core 부품과 본 발명인 실시예1에 따른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의 두께, 제품의 중량 및 경량화를 비교한 표이다. 종래기술은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은 3.5mm두께를 갖고 제품의 중량이 1636g이었지만, 본 발명인 실시예1에 따른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은 동일한 두께에 무게는 1309g으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20%가 경량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2와 같이 자동차용C/pad core 부품의 절단면의 발포셀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종래기술에 비하여 경량화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발포제 마스터 배치와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성이 향상되며 저비중을 가지면서 높은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며 균일한 중량 및 조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섬유강화제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발포소제가 가지는 발포 후 강성 저하의 문제를 극복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자동차 부품 적용을 통해 경량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45,000 내지 180,000g/mol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50 내지 80 중량%, 섬유강화제가 15 내지 30 중량% 및 발포제가 2내지 20 중량%인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레올로지가 조절되지 않은 용융지수 30g/10min의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이고,
    상기 섬유강화제는 5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5 내지 12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100중량부일 때, 45 내지 6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에틸렌, 부틸렌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공단량체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블렌딩된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제는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나노클레이, 휘스커,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카본 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마스터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징크 디벤젠술피네이트 및 징크 디톨루엔술피네이트,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지드 또는 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상용화제 또는 미세입자 중 2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하나의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외장용 부품.
KR1020160084382A 2016-07-04 2016-07-04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4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382A KR101845448B1 (ko) 2016-07-04 2016-07-04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5/364,769 US20180002505A1 (en) 2016-07-04 2016-11-30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foaming cap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382A KR101845448B1 (ko) 2016-07-04 2016-07-04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98A KR20180004598A (ko) 2018-01-12
KR101845448B1 true KR101845448B1 (ko) 2018-05-18

Family

ID=6080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382A KR101845448B1 (ko) 2016-07-04 2016-07-04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002505A1 (ko)
KR (1) KR101845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00A (ko) 2018-10-05 2020-04-16 한화토탈 주식회사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3098A (zh) * 2018-08-23 2019-01-18 曹立军 用于汽车内饰件的发泡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028733A (zh) * 2019-04-12 2019-07-19 中广核博繁新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精密仪器包装用防静电epp粒子
CN110028695A (zh) * 2019-04-28 2019-07-19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聚丙烯发泡用高熔体强度发泡母料及其制备方法
CN110092926A (zh) * 2019-06-11 2019-08-06 吕智 碱式硫酸镁晶须母粒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748149A (zh) * 2020-07-03 2020-10-09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气味长玻纤增强微发泡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874630B (zh) * 2022-05-25 2023-08-11 浙江恒业成有机硅有限公司 一种高倍率铂金热硫化发泡硅橡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500A (ja) * 2007-07-12 2009-01-29 Japan Polypropylene Corp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3001747A (ja) 2011-06-14 2013-01-07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汚染物質吸着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6009A (en) * 1997-12-03 1999-11-16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s of polypropylenes
ES2600739T3 (es) * 2005-12-23 2017-02-10 Borealis Technology Oy Espuma de polipropileno reforzada con fibra
CN104769018B (zh) * 2012-10-31 2017-09-2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含宽分子量分布聚丙烯树脂的制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500A (ja) * 2007-07-12 2009-01-29 Japan Polypropylene Corp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3001747A (ja) 2011-06-14 2013-01-07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汚染物質吸着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00A (ko) 2018-10-05 2020-04-16 한화토탈 주식회사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98A (ko) 2018-01-12
US20180002505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448B1 (ko) 발포성능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9580585B2 (en) High-flow and high-impac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US9758654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vehicles using the same
US20170037214A1 (en) Foamable masterbatch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and direct metallizing property
KR101822144B1 (ko) 자동차 부품용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727018B1 (ko) 폴리올레핀과 폴리락트산의 혼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CN105504488A (zh) 一种汽车用新型聚丙烯复合树脂组合物
KR101786313B1 (ko) 자동차 발포에어덕트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복합재 조성물
KR101481218B1 (ko) 압출-사출 일체 성형공법을 이용한 직접 유리 장섬유 강화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81192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2672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7337841B (zh) 具有优异的触感和尺寸稳定性的聚丙烯的组合物
KR20160064389A (ko)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451146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229895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방법
CN115584079A (zh) 具有高刚性和低线性热膨胀系数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包含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KR20130053648A (ko)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발포 사출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69047A (ko) 발포 블로우 성형용 폴리올레핀 복합재 수지 조성물
KR101449147B1 (ko) 저광택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20160081466A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2391576B1 (ko)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1993702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rigidity and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KR101396039B1 (ko) 천연 충전재를 적용한 다기능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0883753B1 (ko) 다중 게이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