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341B1 -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341B1
KR101844341B1 KR1020160030064A KR20160030064A KR101844341B1 KR 101844341 B1 KR101844341 B1 KR 101844341B1 KR 1020160030064 A KR1020160030064 A KR 1020160030064A KR 20160030064 A KR20160030064 A KR 20160030064A KR 101844341 B1 KR101844341 B1 KR 101844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love
coating
coating liquid
neop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677A (ko
Inventor
강영춘
강민성
홍동녘
김수환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신성메이저글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메이저글러브 filed Critical (주)신성메이저글러브
Priority to KR102016003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34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oves (AREA)

Abstract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 polyurethan dispersion) 수지와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네오프렌(neoprene)을 이용하여 장갑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슬립(slip)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킨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물과 질산칼슘 또는 물과 산 계열로 이루어진 전처리 용액과 코팅액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침적한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건조된 장갑의 표면의 일부에 패턴을 형성하도록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코팅된 부분의 표면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네오프렌, 라텍스 및 물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슬립을 방지하면서 매끄러운 촉감을 유지하므로, 세밀한 작업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Gloves for work having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 polyurethan dispersion) 수지와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네오프렌(neoprene)을 이용하여 장갑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슬립(slip)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킨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장갑은 농촌, 일반 가정, 각종 건설현장 및 공장 등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장갑들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실로 직조하여 제조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얀의 형태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면사 또는 아라미드사 등의 실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섬유를 단순 직조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은 작업대상물과의 슬립이 발생하기 쉬워 물건을 취급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갑의 표면에 고무액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오래전부터 알려졌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갑을 코팅액에 일정 시간 함침 시킨 후 꺼내어 건조함으로써 장갑의 표면에 고무 코팅층을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장갑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코팅액은 주로 우레탄이나 PVC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지들은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팅액의 주재로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수지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즉, NBR수지를 주재로 하는 코팅액에 장갑의 내피를 침적시킨 다음 건조하여 코팅 장갑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NBR 수지를 주재로 하는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사용분야가 다양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한 침적방법에 의해 장갑을 제조하는 경우 NBR 수지 코팅액이 장갑의 내부 깊숙이 침투하여 경화됨에 따라 착용감이 떨어져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작업과정에서 손에서 발생하는 땀이 장갑에 흡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라텍스(NR, NBR 등)를 발포시켜 가황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합성고무 장갑의 경우는 고속 교반을 통한 기계 발포(foam) 형태로 통기성과 착용감은 개선이 되지만, 큰 기공(pore)으로 인한 외부 오염물질의 내부 유입이 용이한 문제점과 응고제(염화칼슘, 질산칼슘 등)의 세척을 위한 공정이 불가피하여 폐수 발생이 유발되고, 반드시 가황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길어지게 된다.
한편, 수분산 형태의 수지에 물리/화학적 발포제를 첨가하거나 고가의 호모믹서를 이용한 기계적인 발포를 통한 장갑 개발에 대한 보고가 있으나, 물리/화학적 발포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핵 물질로서 저온 휘발성 용제를 열가소성 고분자 막이 구형체를 형성한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 또는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 형태의 물리 발포제 및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 ADCA),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Benzenesulfonylhydrazide ; BSH) 등의 화학적 발포제가 사용되지만, 발포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표면 이행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150℃ 이상 되는 발포제의 분해온도로 인해 장갑의 소재로 사용되는 나일론 및 다이니마 등과 같은 소재에 노화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용 장갑을 우레탄이나 PVC로 이루어진 고무 코팅액에 일정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꺼내어 건조함으로써 장갑 표면에 고무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고무코팅층에 의해 잡고자 하는 물건과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지만, 고무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고무코팅액은 내약품성이 취약하여 사용범위가 한정되고, 접착성이 약하여 고무코팅층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고무 코팅층이 두껍고 투박하기 때문에 그립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호용 장갑의 산업분야에서 기존 보호용 PU, PUD 또는 NBR 코팅 장갑의 내구성을 유지 및 개선 시키는 기능성 장갑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a) 폴리우레탄수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수지 9-90 중량%, (b)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소포제, 탈DMF제, 정포제, 증점제, 가교제, 폼안정제, 가황촉진조제, 가교조제 및 분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3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 2-61 중량%, (c) 화산석 분말 또는 겔상의 화산석 분말 8-30 중량%를 포함하는 장갑 코팅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을 금형에 끼운 뒤, 12-17 몰%의 칼슘염 농도를 갖는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2~5초간 침적한 다음 건조시키는 전처리 단계(S1), 상기 전처리 단계(S1)에서 건조시킨 장갑을 NBR 수지를 주재로 하는 코팅용액에 5~10초간 침지시킨 뒤, 잔액을 처리하여 고무 코팅시키는 코팅 단계(S2), 상기 고무 코팅시킨 장갑의 표면에 글루탐산나트륨과 당분과 저온화학발포제로 이루어진 표면처리 분말을 도포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표면처리를 하는 표면처리 단계(S3), 상기 표면처리된 장갑을 세척하고, 120~135℃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다음 탈형하는 후처리 단계(S4)를 포함하여 고무 코팅층(10)이 마련된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820호(2013.10.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074호(2011.11.07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그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용 장갑의 표면의 거칠기를 유지하도록 코팅액에 입자를 도포하므로, 사용 도중 코팅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입자가 분리되어 떨어진다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장갑은 건설현장 또는 공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할 수 있지만, 농촌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입자가 분리되어 식품 위생상의 문제 또는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고, 작업용 장갑의 표면 거칠기가 과다하여 세밀한 작업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여 농촌이나 가정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균일한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시에도 코팅 부분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팅 부분에서 슬립을 방지하면서도 매끄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제조 방법은 장갑을 금형 내에 장착하여 자동으로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물과 질산칼슘 또는 물과 산 계열로 이루어진 전처리 용액과 코팅액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침적한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건조된 장갑의 표면의 일부에 패턴을 형성하도록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코팅된 부분의 표면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네오프렌, 라텍스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코팅액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해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55~65 중량부, 네오프렌 13~18 중량부, 라텍스 13~18 중량부 및 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의 비율로 혼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코팅액은 교반기에 의하여 처음 부피보다 비율이 15~30% 증가된 상태로 사용되고, 코팅액의 점도는 1.5~3dPa·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은 물과 질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침적한 후 건조하고,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의 비율로 혼합된 코팅액을 장갑의 일부분에 디핑하여 코팅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한 후 건조하고, 세척을 실행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폼 수지를 사용하므로, 발포체가 유기용제에 녹아 발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PUD가 유기용제가 함유되어있지 않아 VOC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또한 부드럽고 연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고, 염소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연소 시에 다이옥신을 배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천연고무에 비하여 신축성이 뛰어나고,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耐候性),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이 뛰어난 네오프렌을 코팅액으로 사용하므로,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코팅된 부분의 균열을 방지하고, 슬립을 방지하면서 매끄러운 촉감을 유지하므로, 세밀한 작업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업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사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사진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3에 따라 제조된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사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4~5에 따라 제조된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의 사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은 먼저, 메탄올와 질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전처리 용액과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네오프렌, 라텍스 및 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각각 별도로 마련한다(S10).
이러한 전처리 용액은 예를 들어 물 100Kg에 대해 질산칼슘 1.5~3Kg이 혼합된 혼합액으로 마련한다. 물 100Kg에 대해 질산칼슘이 1.5Kg 미만으로 되는 경우, 코팅액이 장갑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침투 및 응고 속도가 저하되며, 물 100Kg에 대해 질산칼슘이 3Kg을 초과하면 코팅 후 코팅액의 경화가 지나치게 빨라짐으로 인해 코팅층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 및 장갑과 코팅층의 분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 단계에서 도포되는 분말이 충분히 고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 100Kg에 대해 산 계열(개미산, 빙초산, 사과산 등) 2kg~5kg이 혼합된 혼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코팅액은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55~65 중량부, 네오프렌 13~18 중량부, 라텍스 13~18 중량부 및 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며, 교반기에 의하여 처음 부피보다 비율이 15~30% 증가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 polyurethan dispersion)은 오염원을 차단하고, 식중균 균이나 부패균이 장갑 표면에서 생존할 수 없게 하며, 우수한 착용감과 통기성이 뛰어나며, 미끄럼 방지, 보풀 방지 및 먼지 방지의 기능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PUD가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 55 중량부 미만이며, 네오프렌 또는 라텍스가 과도하게 혼합되어 코팅 과정인 디핑에서 코팅액이 물처럼 흘러내려 원하는 코팅을 할 수 없고, 6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네오프렌 또는 라텍스의 혼합량이 적어져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네오프렌은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합성고무로서, 천연고무에 비하여 신축성이 뛰어나고,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耐候性),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네오프렌이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 13 중량부 미만이면 패턴이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고 신축성이 저하하여 코팅 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18 중량부를 초과하면 패턴이 미세하게 형성되고 원하는 그립성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라텍스는 각종의 유기 및 무기물의 수용액을 분산매로 하고 고무를 분산질로 한 일종의 콜로이드 졸로서,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가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 13 중량부 미만이면 디핑 과정에서 코팅액이 물처럼 흘러내려 원하는 코팅을 할 수 없고, 18 중량부를 초과하면 디핑 과정에서 코팅액의 흐름이 저하되어 균일한 코팅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물은 상수를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정제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코팅액이 흘러내려 원하는 코팅을 할 수 없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용액과 코팅액은 별도로 마련된다.
다음에 장갑을 금형에 끼운 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액인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수초 간, 예를 들어 2~5초간 침적한 다음 건조한다(S20).
상기 장갑은 면사나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또는 아라미드사 등으로 제조된 일반적인 작업용 장갑을 사용하면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기타 여러 가지 합성섬유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갑은 손 모양을 갖는 금형과 같이 일반적으로 장갑의 표면에 코팅시 사용되는 금형에 끼워진 상태로 처리된다.
상기 단계 S20은 후술하는 코팅 단계에서 코팅액이 장갑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코팅용액의 경화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내피에 함유되어있는 물과 질산칼슘의 혼합액의 무게가 약 18~24g으로 유지되도록 잔액처리구간을 거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전처리용액 침적 후 코팅되기 전까지의 시간 약 1분 50초 정도 소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액에 장갑을 2~5초간 침적시킨 후 인출하여 약 18~24g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에 의해 전처리 용액 내의 수용성 칼슘이 장갑의 섬유 사이에 침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침적이 이루어진 후에는 건조를 통해 전처리 용액의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수용성 칼슘염이 섬유 내에 침투된 상태로 존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계 S20에서의 건조는 예를 들어 자동화를 위해 40~50℃의 열풍을 통해 장갑의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열풍건조를 함에 따라 장갑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의 양을 감소시켜 공정상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갑의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때 건조시간은 열풍의 온도에 따라 가변 되지만, 예를 들어 10~15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건조에 따라 금형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코팅 단계 시 코팅용액이 열로 인해 너무 빠르게 경화되고, 그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10~15분간 자연 건조를 실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단계 S20에서 건조된 장갑의 표면의 일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코팅액을 디핑하여 코팅한다(S30).
상기 단계 S30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의 점도는 1.5~3dPa·s 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S30에서는 코팅액이 장갑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계 S20에서 마련된 장갑을 코팅액에 약 5~10초간 침지시킨 뒤, 잔액을 처리한다. 이와 같은 잔액의 처리시 몰드의 하강속도는 상관이 없으나, 코팅 후 몰드의 상승속도는 천천히 하여 코팅 후 코팅액의 흐름성이 없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S30에서 코팅액의 점도를 1.5dPa·s 미만으로 하는 경우, 장갑에 코팅 되는 코팅액의 양이 저하하고, 코팅액의 점도가 3dPa·s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의 증가에 따라 장갑에 균일하게 수지를 코팅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코팅액에 친환경 안료 등을 첨가하여 장갑의 코팅 부위 색상을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안료, 옐로우 안료, 블루 안료, 그린 안료 및 레드 안료 등의 수성안료를 상기 코팅액에 혼합시켜 코팅하는 경우, 각각의 안료에 대응하는 색의 코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0이 완료되면, 약 80~100℃의 열풍으로 10분 이상 건조한다. 건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의 세척 단계에서 코팅액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 상기 건조 시간은 사용되는 코팅액의 점도 및 코팅 양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코팅액의 배합 비율에 대해 최적의 패턴 형성을 반복 실험을 하였다.
도 4a에서 (A)는 코팅액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0.3Kg 및 물 0.5Kg을 혼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단계 S30을 실행한 작업용 장갑을 찍은 사진으로서, 라텍스 양이 부족하여 코팅액이 물처럼 흘러 불규칙적인 패턴이 형성되었다.
도 4a에서 (B)는 코팅액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0.6Kg 및 물 0.5Kg을 혼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단계 S30을 실행한 작업용 장갑을 찍은 사진으로서, (A)보다는 비교적 균일한 패턴이 마련되었지만, 라텍스 양이 부족하여 일부분에서 불규칙적인 패턴이 형성되었다.
도 4a에서 (C)는 코팅액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을 혼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단계 S30을 실행한 작업용 장갑을 찍은 사진으로서, 많은 양의 패턴이 규칙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b에서 (D)는 코팅액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0.3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을 혼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단계 S30을 실행한 작업용 장갑을 찍은 사진으로서, 네오프렌의 양이 부족하여 기포가 터지면서 거친 패턴이 형성되었다.
도 4b에서 (E)는 코팅액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0.6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을 혼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단계 S30을 실행한 작업용 장갑을 찍은 사진으로서, (D)보다는 비교적 균일한 패턴이 마련되었지만, 네오프렌 양이 부족하여 일부분에서 불규칙적인 패턴이 형성되었다.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팅액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을 혼합한 경우가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여 가정용 및 농촌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장갑을 금형 내에 장착하여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물과 질산칼슘 또는 물과 산 계열로 이루어진 전처리 용액과 코팅액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침적한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건조된 장갑의 표면의 일부에 코팅 과정에서 패턴을 형성하도록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코팅된 부분의 표면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네오프렌, 라텍스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코팅액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해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55~65 중량부, 네오프렌 13~18 중량부, 라텍스 13~18 중량부 및 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의 비율로 혼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코팅액은 교반기에 의하여 처음 부피보다 비율이 15~30% 증가된 상태로 사용되고, 코팅액의 점도는 1.5~3dPa·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5. 물과 질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전처리 용액에 장갑을 침적한 후 건조하고,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4Kg, 네오프렌 1Kg, 라텍스 1Kg 및 물 0.5Kg의 비율로 혼합된 코팅액을 장갑의 일부분에 디핑하여 코팅함으로써 일정한 패턴이 형성된 뒤, 건조하고, 세척을 실행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KR1020160030064A 2016-03-14 2016-03-14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64A KR101844341B1 (ko) 2016-03-14 2016-03-14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64A KR101844341B1 (ko) 2016-03-14 2016-03-14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77A KR20170106677A (ko) 2017-09-22
KR101844341B1 true KR101844341B1 (ko) 2018-04-02

Family

ID=6003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064A KR101844341B1 (ko) 2016-03-14 2016-03-14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71B1 (ko) * 2018-02-20 2019-08-28 최승호 전도성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EP3636828A1 (en) * 2018-10-12 2020-04-15 Henkel AG & Co. KGaA Coated textile obtainable by a spraying proc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74B1 (ko) 2009-06-09 2011-11-16 강영춘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업용 장갑
KR101527462B1 (ko) 2014-12-30 2015-06-11 (주)신성메이저글러브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74B1 (ko) 2009-06-09 2011-11-16 강영춘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업용 장갑
KR101527462B1 (ko) 2014-12-30 2015-06-11 (주)신성메이저글러브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77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62B1 (ko)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EP2181826B1 (en) Production of coated gloves
CA2630647C (en) Cut resistant glove and apparel
EP2143551B1 (en) Gloves having recesses different in size on the surface
KR101349820B1 (ko) 손바닥 부분과 손가락 부분을 코팅면으로 포함하는 코팅 장갑 제조방법
CN106666879A (zh) 一种丁腈超细发泡手套的制备方法
KR101279108B1 (ko) 장갑의 손끝 부분에 엔비알 또는 천연 라텍스가 코팅된 코팅 장갑의 제조방법
CN106835720A (zh) 一种丁腈胶乳磨砂手套的制备方法
KR100988075B1 (ko) 발수성이 뛰어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가 도포된 발포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56390B (zh) 一种防滑防化磨砂手套的制作方法
KR101844341B1 (ko) 패턴이 형성된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US11891755B2 (en) Preparation method of safety gloves with special coating
AU2014300750A1 (en) Coated fabrics
KR101083074B1 (ko)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업용 장갑
KR101211488B1 (ko) 수성 폴리우레탄이 도포된 코팅 장갑의 제조방법
EP3268532B1 (en) Textured polymeric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WO2017197429A3 (en) Grip surfaces
CN111421729B (zh) 一种丁腈微孔透气发泡手套的制备方法
JP3944457B2 (ja) 防振手袋の製造方法
KR100971202B1 (ko) 코팅층 표면에 도트를 형성시킨 폴리우레탄 코팅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2068120B1 (ko) 합성고무 라텍스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셀 폼을 구비한 고분자 직물의 제조방법
EP2527123B1 (en) Method for making gloves
KR20080041776A (ko) 수분산 고분자 수지가 도포된 피복물과 그 제조방법
CN114149602A (zh) 一种超强抗穿刺手套及其制备方法
AU2009230758B2 (en) Production of coated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