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759B1 -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759B1
KR101843759B1 KR1020170029384A KR20170029384A KR101843759B1 KR 101843759 B1 KR101843759 B1 KR 101843759B1 KR 1020170029384 A KR1020170029384 A KR 1020170029384A KR 20170029384 A KR20170029384 A KR 20170029384A KR 101843759 B1 KR101843759 B1 KR 10184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rotation
gear portion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석
김주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7002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마련된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샤프트와 평행하게 마련된 중간 샤프트; 상기 중간 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1기어부와, 상기 하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1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기어부 일측의 상기 중간 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2기어부와 상기 상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샤프트와 상부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상기 제2회전결합부 일측의 상기 상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상부 기어부와, 상기 상부 기어부에 연결된 상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상부 힌지베이스; 상기 제2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상기 제1회전결합부 타측의 상기 하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하부 기어부와, 상기 하부 기어부에 연결된 하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부 힌지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Bending Hin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본 발명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를 360도 회전 틸팅 할 수 있는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키패드와 같은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 케이스와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힌지 장치로 연결되어 접거나 펼쳐지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로써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05894호(2007.04.03.)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케이스 사이를 360도 회전 틸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전체적으로 하나의 얇은 평판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평행하게 마련된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샤프트와 평행하게 마련된 중간 샤프트; 상기 중간 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1기어부와, 상기 하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1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기어부 일측의 상기 중간 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2기어부와 상기 상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샤프트와 상부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상기 제2회전결합부 일측의 상기 상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상부 기어부와, 상기 상부 기어부에 연결된 상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상부 힌지베이스; 상기 제2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상기 제1회전결합부 타측의 상기 하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하부 기어부와, 상기 하부 기어부에 연결된 하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부 힌지베이스를 포함하는 밴딩 힌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밴딩 힌지 장치는 상기 제2회전결합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상부 회전캠; 상기 상부 샤프트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상부 회전캠에 캠 결합하도록 밀착되는 상부 고정캠; 상기 제1회전결합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하부 회전캠; 및 상기 하부 샤프트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하부 회전캠에 캠 결합하도록 밀착되는 하부 고정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캠은 상기 제2회전결합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하부 회전캠은 상기 제1회전결합부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밴딩 힌지 장치는 상기 상부 고정캠을 상기 상부 회전캠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에 끼워지는 상부 디스크 스프링; 및 상기 하부 고정캠을 상기 하부 회전캠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하부 샤프트에 끼워지는 하부 디스크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밴딩 힌지장치를 통해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힌지장치는 상부 체결부가 결합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체결부가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 사이를 360도 회전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상부, 하부, 중간 샤프트와 각 샤프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케이스 사이의 360도 회전 틸팅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본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케이스 사이가 단차가 없이 180도 로 펼쳐진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전체적으로 하나의 얇은 평판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의 측면도로, 밴딩 힌지 장치에 의한 전자기기의 회전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가 제2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자기기가 제3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밴딩 힌지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밴딩 힌지 장치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밴딩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밴딩 힌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밴딩 힌지 장치(4)는 태블릿, 노트북,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이용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3)와,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3)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밴딩 힌지 장치(4)를 구비한다.
전자기기(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5)가 상부 케이스(2)를 이루고, 본체 케이스(6)가 하부 케이스(3)를 이루는 노트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6) 내면에는 터치패드(6a), 키보드(6b) 등이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케이스(5) 내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5a)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5a)은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 내부에는 전자기기(1)의 동작 제어를 위한 회로모듈(미도시)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모듈(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밴딩 힌지 장치(4)는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 사이를 360도 회전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사용상태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 사이는 그 내면이 마주한 상태로 닫히는 0도 위치에서 그 배면이 마주한 상태로 접히는 360도까지 회전 틸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0도와 360도 사이에서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는 상호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패널(5a)과 키보드(6b)가 함께 상부를 향하게 되는 180도 위치를 거치게 된다.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 사이가 0도, 180도, 360도를 이룬 상태를 전자기기(1)의 제1자세, 제2자세, 제3자세라 할 수 있다.
제1자세에서 전자기기(1)는 비사용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자세의 전자기기(1)는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 사이가 단차가 없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얇은 평판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는 제2자세에서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의 배면이 함께 바닥에 지지된 안정적인 자세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 전자기기(1)는 제1자세의 디스플레이 케이스(5)가 완전히 반전된 상태에서 제3자세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의 전자기기(1)는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의 배면이 상호 포개어져 지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패널(5a)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통상의 테블릿과 같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밴딩 힌지 장치(4)는 간소한 구성을 기반으로 본체 케이스(6)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 사이를 360도 회전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 힌지 장치(4)는 상호 평행하게 마련된 상부 샤프트(10) 및 하부 샤프트(20)와, 상부 샤프트(10)와 하부 샤프트(20)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마련된 중간 샤프트(30)를 구비한다.
상부 및 하부 샤프트(10,20)는 각각 헤드부(11,21)와 다리부(12,22)를 구비한다. 다리부(12,22)는 상부 및 하부 샤프트(10,20)의 회전력 전달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둘레의 일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평탄면(12a,22a)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 샤프트(30)는 헤드부(31)와 다리부(32)를 구비하고, 다리부(32)는 원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샤프트(30)와 하부 샤프트(20) 사이는 제1링크부재(40)를 통해 연결되고, 중간 샤프트(30)와 상부 샤프트(10) 사이는 제2링크부재(50)를 통해 연결된다.
제1링크부재(40)는 중간 샤프트(30)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1기어부(41)와, 하부 샤프트(20)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1회전결합부(42)와, 제1기어부(41)와 제1회전결합부(4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재(40)에 있어서, 제1기어부(41)와 제1회전결합부(42)의 중심에는 각각 중간 샤프트(30)와 하부 샤프트(20)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공(41a,42a)이 마련되고, 제1기어부(41) 둘레에는 제1기어부(41)의 기어운동을 위한 치형(41b)이 가공될 수 있다.
또 제2링크부재(50)는 제1기어부(41) 일측의 중간 샤프트(30)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2기어부(51)와, 상부 샤프트(10)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2회전결합부(52)와, 제2기어부(51)와 제2회전결합부(5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3)를 구비한다.
제2기어부(51)와 제2회전결합부(52)의 중심에는 각각 중간 샤프트(30)와 상부 샤프트(10)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공(51a,52a)이 마련되고, 제2기어부(51) 둘레에는 제2기어부(51)의 기어운동을 위한 치형(51b)이 가공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40)와 제2링크부재(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밴딩 힌지 장치(4)는 디스플레이 케이스(5)에 결합하는 상부 힌지베이스(60)와, 본체 케이스(6)에 결합하는 하부 힌지베이스(70)를 포함한다.
상부 힌지베이스(60)는 제1기어부(41)와 치합하도록 제2회전결합부(52) 일측의 상부 샤프트(10)에 결합하는 상부 기어부(61)와, 상부 기어부(61)에 연결된 상부 체결부(62)를 포함하고, 하부 힌지베이스(70)는 제2기어부(51)와 치합하도록 제1회전결합부(42) 타측의 하부 샤프트(20)에 결합하는 하부 기어부(71)와, 하부 기어부(71)에 연결된 하부 체결부(72)를 포함한다.
상부 기어부(61) 중심에는 상부 샤프트(10)의 결합을 위해 상부 샤프트(10) 다리부(12)의 단면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의 축결합공(61a)이 마련되고, 상부 기어부(61) 둘레에는 제1기어부(41)의 치형(41b)과 치합하는 치형(61b)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기어부(71) 중심에는 하부 샤프트(20)의 결합을 위해 하부 샤프트(20) 다리부(22)의 단면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의 축결합공(71a)이 마련되고, 하부 기어부(71) 둘레에는 제2기어부(51)의 치형(51b)과 치합하는 치형(71b)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체결부(62)는 상부 기어부(61)의 둘레 일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고, 하부 체결부(72)는 하부 기어부(71)의 둘레 일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체결부(62,72)는 각각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에스(6)에 지지되고, 상부 및 하부 체결부(62,72)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체결부(62,72)에는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62a,7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힌지베이스(60)와 하부 힌지베이스(7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밴딩 힌지 장치(4)는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기어부(41)와 상부 기어부(61) 간의 치합에 따른 기어동작과, 제2기어부(51)와 하부 기어부(71) 간의 치합에 따른 기어동작이 상호 연계되어 이루어지면서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를 360도 회전 틸팅 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체결부(62)가 하부 체결부(72) 상부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전자기기(1)는 제1자세를 이루고, 상부 체결부(62)와 하부 체결부(72) 사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전자기기(1)는 제2자세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하부 체결부(72) 하부로 반전하도록 회전된 상부 체결부(62)가 하부 체결부(72) 하부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전자기기(1)는 제3자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 케이스(6)의 후단부와 디스플레이 케이스(5)의 후단부 사이를 외측에서 연결하는 밴딩 힌지 장치(4)는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이 적어 전자기기(1)에 3개 이상의 복수개로 채용되기가 용이하여 전자기기(1)의 회전동작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밴딩 힌지 장치(4)는 상호 이격 배치된 4개로 구성된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밴딩 힌지 장치(4)들 사이는 연결부재(200)를 통해 연결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밴딩 힌지 장치(4)는 전체적으로 한 몸을 이루는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200)는 제1상부 연결부재(211)와 제1하부 연결부재(212)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재(210)와, 제2상부 연결부재(221)와 제2하부 연결부재(222)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 연결부재(211)는 양쪽 단부에 상부 샤프트(1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211a)과, 중간 샤프트(3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211b)을 함께 구비하도록 마련되고, 제1하부 연결부재(212)는 양쪽 단부에 하부 샤프트(2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3체결공(212a)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제2상부 연결부재(221)는 양쪽 단부에 상부 샤프트(1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221a)을 구비하도록 마련되고, 제2하부 연결부재(222)는 양쪽 단부에 중간 샤프트(3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222a)과, 하부 샤프트(2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3체결공(222b)을 함께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210)와 제1연결부재(220)는 밴딩 힌지 장치(4)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밴딩 힌지 장치(4)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인접한 밴딩 힌지 장치(4)들 사이를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가 0 ~ 360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은 물론 프리스탑 될 수 있게 마련되고, 0도와 360도 근접해서는 클릭감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0도와 360도 근접해서는 클릭감을 갖는다는 것은 제1자세에서 그 사이가 미미한 각도로 벌어진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가 자동적으로 제1자세를 유지하도록 힘을 받게 되고, 제3자세에서 그 사이가 미미한 각도로 벌어진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가 자동적으로 제3자세를 유지하도록 힘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밴딩 힌지 장치(4)는 제2회전결합부(52)와 일체로 회전하는 상부 회전캠(81)과, 상부 샤프트(10)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부 회전캠(81)에 캠 결합하도록 밀착되는 상부 고정캠(91)과, 제1회전결합부(42)와 일체로 회전하는 하부 회전캠(82)과, 하부 샤프트(20)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하부 회전캠(82)에 캠 결합하도록 밀착되는 하부 고정캠(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캠(81)은 제2회전결합부(52)에 일체로 마련되고, 하부 회전캠(82)은 제1회전결합부(42)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밴딩 힌지 장치(4)는 클릭감 제공을 위한 구성의 간소화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갖게 된다.
회전캠(81,82)과 고정캠(91,92) 사이의 대응면 중 고정캠(91,92) 쪽에는 캠돌기(90a)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캠돌기(90a)와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캠(81,82) 쪽 대응면에는 캠홈(80a)이 마련될 수 있다. 캠돌기(90a)와 캠홈(80a)의 위치는 반대로 뒤바뀔 수 있다.
따라서 회전결합부(52,42)에 의해 회전캠(81,82)이 회전하게 되면, 상호 인접하게 되는 캠돌기(90a)와 캠홈(80a)이 상호 맞물리는 과정에서 회전결합부(52,42)는 고정력을 얻게 되고, 이와 같은 회전결합부(52,42)의 고정력은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에 닫힘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클릭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캠돌기(90a)와 캠홈(80a)의 설계위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가 0 도에서 30 도 사이와, 330 도에서 360 도 사이에서 각각 담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0도에서 30도 사이는 제1클릭구간을 이루고, 330도에서 360도 사이는 제2클릭구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밴딩 힌지 장치(4)는 상부 고정캠(91)을 상부 회전캠(81)으로 압박하도록 상부 샤프트(10)에 끼워지는 상부 디스크 스프링(101)과, 하부 고정캠(92)을 하부 회전캠(82)으로 압박하도록 하부 샤프트(20)에 끼워지는 하부 디스크 스프링(102)을 구비한다.
상부 및 하부 디스크 스프링(101,102)은 고정캠(91,92)을 대응하는 회전캠(81,82)으로 밀착시킴은 물론, 고정캠(91,92)과 회전캠(81,82)의 압박력을 증대시켜 캠돌기(90a)와 캠홈(80a)이 맞물리지 않는 구간에서도 회전결합부(52,42)가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밴딩 힌지 장치(4)가 채용된 전자기기(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6) 사이가 제1 및 제2클릭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 구간에 해당하는 30도에서 330도 사이의 구간에서 자유롭게 프리스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디스크 스프링(101)은 상부 고정캠(91)과 함께 상부 샤프트(10)에 결합되고, 하부 디스크 스프링(102)은 하부 고정캠(92)과 함께 하부 샤프트(20)에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 샤프트(10,20)의 다리부(12,22) 말단에는 고정너트(110)의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가공된 체결부(12b,22b)가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샤프트(10,20)에 결합된 각각의 고정캠(91,92)과 디스크 스프링(101,102)은 고정와셔(120)가 개재된 상태로 체결부(12b,22b)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10)를 통해 해당 링크부재(50,40) 쪽으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샤프트(30)의 다리부(32)에는 고정홈(32a)이 형성되고, 제1링크부재(40)와 제2링크부재(50)는 고정홈(32a)에 체결되는 스냅링(130)을 통해 중간 샤프트(30)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1: 전자기기 2: 상부케이스
3: 하부케이스 4: 밴딩 힌지 장치
5: 디스플레이 케이스 6: 본체 케이스
10: 상부 샤프트 20: 하부 샤프트
30: 중간 샤프트 40: 제1링크부재
41: 제1기어부 42: 제1회전결합부
50: 제2링크부재 51: 제2기어부
52: 제2회전결합부 60: 상부 힌지베이스
61: 상부 기어부 62: 상부 체결부
70: 하부 힌지베이스 71: 하부 기어부
72: 하부 체결부 81: 상부 회전캠
82: 하부 회전캠 91: 상부 고정캠
92: 하부 고정캠 101: 상부 디스크 스프링
102: 하부 디스크 스프링

Claims (5)

  1. 상호 평행하게 마련된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샤프트와 평행하게 마련된 중간 샤프트;
    상기 중간 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1기어부와, 상기 하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1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기어부 일측의 상기 중간 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단의 제2기어부와 상기 상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타단의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샤프트와 상부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상기 제2회전결합부 일측의 상기 상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상부 기어부와, 상기 상부 기어부에 연결된 상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상부 힌지베이스;
    상기 제2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상기 제1회전결합부 타측의 상기 하부 샤프트에 결합하는 하부 기어부와, 상기 하부 기어부에 연결된 하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부 힌지베이스를 포함하는 밴딩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결합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상부 회전캠;
    상기 상부 샤프트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상부 회전캠에 캠 결합하도록 밀착되는 상부 고정캠;
    상기 제1회전결합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하부 회전캠; 및
    상기 하부 샤프트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하부 회전캠에 캠 결합하도록 밀착되는 하부 고정캠을 더 포함하는 밴딩 힌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캠은 상기 제2회전결합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하부 회전캠은 상기 제1회전결합부에 일체로 마련된 밴딩 힌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캠을 상기 상부 회전캠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에 끼워지는 상부 디스크 스프링; 및
    상기 하부 고정캠을 상기 하부 회전캠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하부 샤프트에 끼워지는 하부 디스크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밴딩 힌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밴딩 힌지장치를 통해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힌지장치는 상부 체결부가 결합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체결부가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 사이를 360도 회전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자기기.
KR1020170029384A 2017-03-08 2017-03-08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843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84A KR101843759B1 (ko) 2017-03-08 2017-03-08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84A KR101843759B1 (ko) 2017-03-08 2017-03-08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759B1 true KR101843759B1 (ko) 2018-04-02

Family

ID=6197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384A KR101843759B1 (ko) 2017-03-08 2017-03-08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7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6437A (zh) * 2019-03-13 2020-09-2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折叠显示装置
EP3889452A4 (en) * 2019-02-25 2022-0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URN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KR102382619B1 (ko) * 2021-03-31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코넥 힌지 장치
KR102403503B1 (ko) * 2021-01-15 2022-05-31 주식회사 서진시스템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2007809B2 (en) 2019-02-25 2024-06-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otat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416A (ja) * 2006-01-24 2007-08-09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249209A (ja) 2009-04-14 2010-11-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小型電子機器の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小型電子機器
JP2012141656A (ja) 2010-12-28 2012-07-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2014189958A (ja) * 2013-03-26 2014-10-06 Shimano Manufacturing Co Ltd 二軸ヒンジ
JP5704613B2 (ja) * 2012-05-30 2015-04-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
JP2015158216A (ja) * 2014-02-21 2015-09-03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シカタ 二軸ヒンジ装置
JP2016110588A (ja) * 2014-12-10 2016-06-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ヒンジ機構及び電子機器
KR20160087754A (ko) * 2015-01-14 2016-07-22 켐 홍콩 유한회사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416A (ja) * 2006-01-24 2007-08-09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249209A (ja) 2009-04-14 2010-11-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小型電子機器の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小型電子機器
JP2012141656A (ja) 2010-12-28 2012-07-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5704613B2 (ja) * 2012-05-30 2015-04-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
JP2014189958A (ja) * 2013-03-26 2014-10-06 Shimano Manufacturing Co Ltd 二軸ヒンジ
JP2015158216A (ja) * 2014-02-21 2015-09-03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シカタ 二軸ヒンジ装置
JP2016110588A (ja) * 2014-12-10 2016-06-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ヒンジ機構及び電子機器
KR20160087754A (ko) * 2015-01-14 2016-07-22 켐 홍콩 유한회사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9452A4 (en) * 2019-02-25 2022-0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URN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11550358B2 (en) 2019-02-25 2023-01-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otat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EP4219963A1 (en) * 2019-02-25 2023-08-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otat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EP4219962A1 (en) * 2019-02-25 2023-08-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otat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12007809B2 (en) 2019-02-25 2024-06-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otating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CN111696437A (zh) * 2019-03-13 2020-09-2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折叠显示装置
KR102403503B1 (ko) * 2021-01-15 2022-05-31 주식회사 서진시스템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2619B1 (ko) * 2021-03-31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코넥 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759B1 (ko)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540855B2 (en) Biaxial hing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1692197B (zh) 双轴铰链模块与可携式电子装置
US9442533B2 (en) Triaxial gear-typed hinge assembly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US9265166B2 (en) Parallelism control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US9388614B2 (en) Parallelism fixing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US2014021787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11066B2 (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20150316959A1 (en) Moveable keyboard latt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684657B2 (en) Multi-axis hing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WO2009034484A2 (en) Hinge for fold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fold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TWI488569B (zh) 轉軸模組與電子裝置
CN115076218B (zh) 电子设备和折叠装置
CN112814992B (zh) 双轴式枢轴机构与包括其的电子装置
US20180035565A1 (en) Multi-axis rotary shaft link device
US20200011101A1 (en) Rotating part hinge and mobile terminal
US20110099757A1 (en) Hinge
CN104121275A (zh) 转轴组件与电子装置
TWI774302B (zh) 升降式雙軸鉸鏈及應用此升降式雙軸鉸鏈的終端機器
JPWO2021210075A5 (ko)
CN219691983U (zh) 一种多段开合转轴
EP4354835A1 (en) F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N210715544U (zh) 变扭力结构及阻尼转轴
KR20220008020A (ko) 접이식 전자 장치를 위한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6838702A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