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701B1 -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701B1
KR101842701B1 KR1020170116101A KR20170116101A KR101842701B1 KR 101842701 B1 KR101842701 B1 KR 101842701B1 KR 1020170116101 A KR1020170116101 A KR 1020170116101A KR 20170116101 A KR20170116101 A KR 20170116101A KR 101842701 B1 KR101842701 B1 KR 10184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server
data
voic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지화선
Original Assignee
씨제이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이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관객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관객이 착용한 표시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을 통해 심리적인 변화를 시각화함으로써 새로운 방송연출포인트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Broadcasting system of Broadcasting system using heart rate measurement technology}
본 발명은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박수 측정을 통해 사람의 심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방송 콘텐츠들이 시청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청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기존의 오디션 형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포맷의 음악 버라이어티 쇼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두뇌예능프로그램 등 새로운 유형의 심리 서바이벌 쇼들이 탄탄한 구성으로 젊은 시청자의 몰입을 이끌어 내고 있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원하는 시청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출 방식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본 발명을 통해 더 많은 시청자들이 몰입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청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콘텐츠에 몰입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관객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관객이 착용한 표시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관객반응정보로 심박동수를 수집하는 경우,
심박동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심박동측정기는 심박동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심박동수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심박동 수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표시부의 색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측정부에서 측정된 심박동수 및/또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와 대응하는 색을 발광하는 표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박동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심박동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최고 심박수나 최저 심박수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심박동 수에 대해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심박동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합하여 각 시간대에 대한 평균 심박동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각 심박동측정기마다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합하여 각 시간대에 대한 평균 심박동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의 심박동 수의 평균값을 구해 각 심박동측정기의 평균값들의 합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심박동측정기는 측정된 심박동수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객 반응정보로 관객들의 음성신호를 수집하는 경우, 음성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측정기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측정부; 음성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음성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성 신호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표시부의 색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성 신호 및/또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와 대응하는 색을 발광하는 표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각 음성측정기마다 측정된 최고 데시벨을 추출하여 그 합산 값을 산출하거나, 모든 음성측정기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데시벨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의 데시벨의 평균값을 구해, 각 음성측정부의 평균값들의 합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각 음성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최고 데시벨이나 최저 데시벨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데시벨에 대해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음성측정기는 측정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방송화면에 합성하여 송출하는 방송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제어부는 부조정실을 구성하는 영상 스위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무대에서 특수효과를 구현하거나 무대화면에 표시되는 무대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제어부는 FOH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제어하여 무대에서 특수효과를 구현하거나 무대화면에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심리적인 변화를 시각화하여 새로운 방송 연출 포인트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기존 관객의 수동적인 공연 참여 및 관람 형태를 능동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출연자 및 공연자가 느끼는 심리변화를 시청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심박동측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분배기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심박동측정기와 서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무대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다른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음성측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음성측정기와 서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음성측정기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무대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관객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관객이 착용한 표시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방송시스템이다.
상기 관객반응정보는 관객의 심박동수나 음성데이터(함성소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화면이나 무대의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관객반응정보로 관객의 심박동수를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심박동측정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서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방송 제어부(42) 및/또는 무대 제어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심박동측정기(10)는 착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신체부위, 바람직하게는 손목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서버(20)에 심박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심박동측정기(10)는 이동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박동측정기(10)는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될 수 있고, 이 웨어러블 기기를 연출의도에 따라 출연자나 방청객에게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는 기존 제품 중 Galaxy Gear 시리즈, Apple Watch 시리즈 등 와치(Watch)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심박동측정기(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심박동측정기(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심박동측정기(10)는 측정부(1), 설정부(3), 제어부(5) 및 발광부(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박동측정기(10)는 측정된 심박동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는 착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1)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심박동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부(1)는 피부에 표출하는 색채에 의해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맥을 측정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는 광학센서 또는 심장박동이 발생할 때마다 생성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센서의 배열 형태와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측정하고자 하는 심박수 정보 패턴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는, 예를 들어 PPG(Photoplethysmography)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PPG( Photoplethysmography) 센서는 신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3)는 1분 간의 심박동수 즉, 심박수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심박수 구간 광 표시 정보
60BPM ~ 100BPM 녹색
101BPM 이상 적색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3)에서 설정하는 심박수 구간은 두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심박수 구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심박수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은 심박수의 구간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를 참조하면, 심박수가 60BPM 이상 100BPM 이하인 경우 광 표시 정보는 녹색일 수 있고, 심박수가 101BPM 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는 적색일 수 있다.
광 표시 정보는 일반적으로 익숙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경험에 따라 심박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색의 광 표시정보로부터 흥분되어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심리적인 변화를 시각화함으로써, 그에 따른 극적인 효과를 방송 및 무대에서 새로운 연출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심박동 수에 근거하여 색상이 노출되는 효과를 심사위원과 관객들이 함께 출연하는 방송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무대공연자가 무대에서 공연을 하는 동안 관객(착용자)들의 심박동 수에 근거하여 관객들이 착용하고 있는 심박동 측정기(10)가 표시부(7)를 통해 광 표시정보에 따른 색상으로 발광되기 때문에 무대 공연자는 무대의 분위기를 보다 적극적으로 느낄 수 있고, 관객들도 이전에는 없는 새로운 몰입감 및 흥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연자는 공연을 하면서 관객들의 몰입 상태 등을 발광색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즉각적으로 공연을 연출할 수 있다.
더불어, 오디션 등과 같은 서바이벌 프로그램 같은 경우, 무대를 심사하는 심사위원들은 관객들의 몰입 상태에 근거하여 그 무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생방송 시 특정 아티스트의 심박동 수 변화를 측정해 시청자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아티스트의 심박동을 진동이나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체감하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아티스트를 좋아하는 시청자가 해당 아티스트 공연 시 스마트디바이스(smart device)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아티스트의 심박동 정보를 수신하여, 심박동 수와 유사한 진동을 특정 시간(공연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시청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심리적으로 동기화되는 경험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부(3)는 표시부(7)를 통해 광을 표시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부(3)는 심박동측정기(10)가 탑재된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기기의 분리가 감지되면, 표시부(7)를 통하여 일정시간 동안 광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이 표시되는 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착용자가 특정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광의 표시를 멈추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는 측정부(1)에서 측정한 데이터와 설정부(3)에서 설정한 데이터 테이블을 비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표시부(7)에 지시하여 비교한 결과값에 대응하는 광 표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전송부(9)에 지시하여 일정시간간격으로 측정부(1)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7)는 측정부(1)에서 측정된 심박동 수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에서 지시한 신호에 대응하는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심박동 수가 속하는 심박수 구간에 대응하는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하는 색상에 따라 LED는 선택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색상의 LED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를 통해 표시되는 심박수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는, 심박수 구간에 대응되는 광의 점멸 시간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광의 점멸 시간은, 심박동 수가 59BPM 이하인 경우에 광 표시 정보는 표시부(7)가 400ms 동안 점등되고, 200ms 소등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심박동 수가 60BPM 이상 100BPM 이하인 경우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는 표시부(7)가 250ms 점등되고, 150ms 동안 소등되는 것일 수 있다. 심박동 수가 101BPM 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는 표시부(7)가 150ms 동안 점등되고, 50ms 동안 소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박수 구간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7)는 측정된 심박동 수와 동일한 주기를 점멸 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측정된 심박동 수가 60BPM인 경우 분당 60번 점멸되도록, 표시부(7)가 600ms 동안 점등되고, 400ms 동안 소등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9)는 상기 측정부(1)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제어부(5)에서 설정한 시간대 별로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9)는 통신 기능 또는 근거리 통신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작환경에 따라 블루투스, LTE, Wifi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20)는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성별이나 시간대 별로 최고 심박수나 최저 심박수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이나 시간대별로 심박동 수에 대한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합하여 각 시간대에 대한 평균 심박동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 중 뮤지션이 한 곡의 노래를 약 3분 동안 부른다고 했을 때, 각 노래에 따라 심박동 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 노래에 대한 심박동 수에 대한 평균값을 구해서 각 심박동 수 평균값들의 합산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착용자들의 각각의 심박동측정기(10)에서 최고 심박수를 추출하여 합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20)는 착용자들의 모든 심박동측정기(10)에서 가장 최고 심박수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치 외에 가공한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는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하는 데 있어서,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심사위원 및 관객들이 입장 가능한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 등에 활용될 수 있는데, 오디션 서바이벌 공연을 보러 온 모든 관객들에게 심박동 측정기(10)를 제공하고 각 공연자의 무대마다 모든 관객들의 심박동 수를 측정한 뒤 심박동 수 측정값들의 합산점수를 디스플레이부(전광판)을 통해 노출시킴으로써 서바이벌 심사 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심사의 결과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없는 공정한 심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심박동 수 측정값들의 합산 점수뿐만 아니라, 가장 최고 심박수가 측정된 해당 공연에 대해 어드밴티지(advantage)를 적용하는 등 본 발명을 활용한 다양한 서바이벌 규칙을 통해 새로운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출연자의 심리적 상태가 주요한 포인트로 작용하는 프로그램에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여 시청자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줄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은 연출자의 의도에따라
특정 출연자의 심박동 변화가 방송화면에 합성되어 시각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줄 수 있다.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웹 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C 등의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 또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된 값을 수신하고 해당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 또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내의 앱(App)은 기능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UI(User Interface) 디자인적인 측면도 중요하다. 해당 UI가 그대로 방송에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심미감은 물론, 방송에 합성되어도 위화감이 없도록 UI의 디자인은 간결해야 한다.
또한, 서버(2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버(20)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서버(20)에서 구동되는 앱(App)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연출 의도에 따라 방송 영상을 송출하는 경우 방송제어부(4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무대에서의 연출이 필요한 경우 무대제어부(44)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무대에서의 공연을 방송영상으로 송출하는 경우 상기 서버(20)는 가공된 데이터를 방송 제어부(42) 및 무대 제어부(44)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송제어부(42)는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연출 의도에 따라 방송 영상에 합성하여 송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제어부(42)는 부조정실(Sub Control Room, SCR)의 구성인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를 제어할 수 있다.
부조정실(Sub Control Room, SCR)은 방송 스튜디오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총괄 감독하고 조정하는 곳으로서, 방송 프로그램 성격에 따라 많은 설비들이 배치된다. 그 설비들 중에서 상기 방송제어부(42)는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는 비디오 믹싱장치라고도 하며, 모든 영상장치로부터 영상자료를 받아 재 처리되어 최종 완성된 영상을 송출한다.
상기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는 관객들의 몰입 정도에 근거하여 자막을 자동으로 생성하고(예컨대, 관객들의 심박동 수의 총 SCORE, 발광색을 숫자로 표시(초록 10명, 붉은색 30명 등)) 그 자막과 영상을 믹싱(mixing)처리하여 완성된 영상이 방송으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는 부조정실 장비 스위쳐의 기능을 활용한 예로 서버에 구현된 수치 등의 디스플레이를 스위처(switcher)나 CG(Computer Graphics)를 통해 방송화면의 형식에 맞게 합성해 방송화면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서버 디스플레이상에서 변동되는 부분은 실시간으로 방송화면의 형식에 맞게 합성된 부분에 반영된다.
상기 방송제어부(42)를 통해 수신 받은 데이터를 영상과 합성하여 최종 완성된 영상을 방송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제어부(44)는 서버(20)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출 의도에 따라 특수효과를 무대에서 구현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무대 제어부(44)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객들이 볼 수 있도록 무대화면(전광판)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대제어부(44)는 FOH(front of house)의 구성을 제어할 수있다.
상기 FOH(front of house)는 무대와 관련하여 모든 장비를 조정하는 장소로서, 음향, 조명 등을 통제할 수 있는 장비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측정된 심박동이 특정 심박수 구간에 이르렀을 때 무대 제어부(44)는 FOH의 장비를 제어하여 조명 색의 변화, 폭죽 또는 불꽃 등의 특수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객들이 볼 수 있도록 무대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부(1)에서 측정된 심박동 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예컨대, 심박동 수 평균값이 150 정도가 되어 관객들 모두가 최고로 몰입하고 흥분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무대제어부(44)는 폭죽을 터트려 그 무대를 더 극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심박동 수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에 의해 무대 효과를 주기 때문에 서바이벌 프로그램 등에서 공연에 대한 평가를 진행 시 공신력 있는 평가를 할 수 있고, 해당 평가는 관객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무대를 연출하는 연출자의 입장에서도 다양한 무대효과(폭죽, 불꽃 등)가 적재적소에 연출되기 때문에 업무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분배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제어부(42) 및 무대 제어부(44)는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식이 서버(2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 형식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로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기(30)는 상기 서버(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방송제어부(42) 및/또는 무대 제어부(44)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분배기(30)에서 상기 서버(20)의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는 SDI(Serial Digital Interface)신호로 변환하여 방송제어부(42) 및/또는 무대제어부(44)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심박동측정기(10)와 서버(20)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박동측정기(10)은 착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는 서버(2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서버(2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공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심박동측정기(10)를 구성하는 제어부(3)는 기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과 측정된 심박동수를 비교하여,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와 측정된 데이터를 수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심장박동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은 관객 참여 오디션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으며, 관객 참여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심박동수의 변동치를 활용하여 관객들이 해당 프로그램에 더 몰입되는 연출적 구성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심장박동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시스템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으며,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일부 또는 전체 출연자의 심박동수 변동치를 활용하여 기존 방송에 없었던 연출적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경쟁관계에 있는 출연자들의 심박동 수를 측정하고, 서로의 공연 및 무대를 보며 변동되는 심박동 수를 시각적으로 관객 또는 시청자들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은 (a) 심박동측정기에서 착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하는 단계; (b) 서버에서 심박동측정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c) 서버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방송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방송화면에 합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심박수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하고, 측정된 심박동 수를 표시하고, 측정된 심박동 수가 해당되는 심박수 구간에 대응하는 색을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박동측정기(10)는 착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20)는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성별이나 시간대 별로 최고 심박수나 최저 심박수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이나 시간대별로 심박동 수에 대한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심박동측정기(10)에서 시간대별로 측정된 데이터를 합하여 각 시간대별로 평균 심박동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일정 시간 동안의 심박동 수의 평균값을 구해 각 심박동측정기(10)의 평균값들의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각 심박동측정기(10)마다 측정된 최고 심박수를 추출하여 그 합산 값을 산출하거나, 모든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심박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에서 심박동측정기(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하는 데 있어서,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서버(20)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부(42)는 부조정실을 구성하는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를 제어하여 연출의도에 따라 분배기(3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방송화면에 합성하여 송출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c) 단계 내지 (d) 단계는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대 제어부(44)로 전송하는 단계 및 무대 제어부(44)에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대에서 특수효과를 구현하거나, 무대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제어부(44)는 FOH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제어하여 연출의도에 따라 특수효과를 무대에서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무대 제어부(44)는 상기 서버(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객들이 볼 수 있도록 무대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심박동이 특정 심박수 구간에 이르렀을 때 무대 제어부(44)는 FOH의 장비를 제어하여 무대에서 조명 색의 변화, 폭죽 또는 불꽃 등의 특수효과를 구현시켜 관객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제작방법은 관객 참여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방법일 수 있다.
오디션 또는 경연무대 시작 전, 관객 및/또는 뮤지션에게 해당 심박동측정기(10)가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착용시킨다.
무대 시작과 함께 실시간으로 심박동측정기(10)는 착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한다. 관객의 흥분도가 고조됨에 따라 심박동 수치가 올라가고, 상기 심박동측정기(10)에서는 측정된 심박동수가 해당되는 심박수 구간에 상응하는 색이 발광될 수 있다.
서버(20)에서 관객들의 심박동 수의 합계를 산출하고, 그 합계 치에 따라 무대 제어부(44)를 통해 특수효과(불꽃, 조명 외)를 무대에서 구현할 수 있다.
무대가 끝난 후 해당 심박동수치는 연출의도에 따라 심사점수에 합산하거나, 방송 제어부(42)를 통해 참고수치로 시청자들에게 방송을 통해 공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심장박동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제작방법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제작방법일 수 있다.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일부 출연자에게 벌칙으로 심박동측정기(10)를 착용시키고 하루 종일 생활하도록 한다. 심박동측정기(10)를 차고 있는 일부 출연자들을 제외한 출연자들은 무대나 스튜디오에서 해당 심박동수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는, 경쟁관계에 있는 출연자들에게 심박동측정기(10)를 착용시킨다. 상대 출연자의 공연이나 무대를 보고 심리적으로 흥분한 경쟁관계에 있는 출연자의 심장 박동치는 크게 변동하고, 이에 해당 심박수 구간에 대응되는 색이 발광될 수 있다. 심리적으로 불안한 해당 출연자는 자신의 차례의 무대에서 실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통해 출연자의 심리변화를 심장박동 수치변화를 통해 시각화하여, 해당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연출적 구성이 가능하다.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음성측정기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관객반응정보로 음성신호를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음성측정기(50) 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측정기(50)는 착용자의 음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신체부위에 착용되어 음성을 측정하여 서버(20)로 음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체부위는 목 또는 손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음성측정기(50)는 목걸이 형태로 목에 착용될 수 있고, 밴드 형태로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측정기(50)는 이동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테블릿 PC(tablet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측정기(50)는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x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음성측정기(50)는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될 수 있고, 이 웨어러블 기기는 연출의도에 따라 방청객에서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는 기존 제품 중 Galaxy Gear 시리즈, apple watch 시리즈 중 와치(watch)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8를 참조하여, 음성측정기(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음성측정기(50)의 구성은 상기 심박동측정기(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음성측정기(50)는 측정부(51), 설정부(53), 제어부(55), 표시부(57)를 포함한다.
또한,상기 음성측정기(50)는 측정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1)는 착용자의 음성신호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51)는 착용자의 음성의 세기(dB)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51)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음성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3)는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음성신호 구간 광 표시 정보
50dB ~ 70dB 녹색
70dB 이상 적색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53)에서 설정되는 음성신호 구간은 두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음성신호 구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은 음성의 세기(dB)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은 이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소리의 세기가 50dB 이상 70dB 이하인 경우, 광 표시 정보는 녹색일 수 있고, 심박수가 70dB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는 적색일 수 있다.
광 표시 정보는 일반적으로 익숙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경험에 따라 음성신호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색의 광 표시정보로부터 착용자가 흥분 및 몰입되어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객 또는 참여자의 심리적인 변화를 시각화함으로써, 그에 따른 극적인 효과를 방송 및 무대에서 새로운 연출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음성신호에 근거하여 색상을 노출되는 효과를 무대에 적용할 수 있다.
공연자가 무대에서 공연을 하는 동안 관객(착용자)들의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관객들이 착용하고 있는 음성측정기(50)가 표시부(57)를 통해 광 표시정보에 따른 색상으로 발광되기 때문에 무대 공연자는 같이 노래를 따라 부르는 관객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관객들도 이전에는 없는 새로운 몰입감 및 흥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연자는 공연을 하면서, 관객들의 참여도 등을 발광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객들의 참여도에 따른 즉각적인 공연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더불어, 오디션 등과 같은 서바이벌 프로그램 같은 경우, 무대를 심사하는 심사위원들은 관객들의 참여도에 근거하여 그 무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방송 시 특정 아티스트의 공연의 관객들의 함성을 측정해 그 무대에 대한 평가 시 평가 항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측정기(50)의 구성인 설정부(53), 제어부(55) 및 전송부(59)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서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서버(20)는 상기 각 음성측정기(50)마다 측정된 최고 데시벨을 추출하거나, 모든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데시벨(dB)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일정 시간 동안의 데시벨(dB)의 평균 값을 구해, 각 음성측정기(50)의 평균값들의 합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상기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대 별로 최고 데시벨이나 최저 데시벨(dB)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시간대 별로 데시벨(dB)에 대해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 중 뮤지션이 한 곡의 노래를 약 3분 동안 부른다고 했을 때, 각 노래에 따라 관객들이 지르는 함성소리의 최고 데시벨을 추출하거나, 관객마다 함성소리의 최고 데시벨(dB)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노래를 부르는 3분동안 관객들의 함성소리의 평균 데시벨(dB)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는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하는 데 있어서, 서술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웹 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C 등의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 또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내의 앱(App)은 기능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UI(User Interface) 디자인적인 측면도 중요하다. 해당 UI가 그대로 방송에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심미감은 물론, 방송에 합성되어도 위화감이 없도록 UI의 디자인은 간결해야 한다.
또한, 서버(2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버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서버에서 구동되는 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ce)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연출 의도에 따라 방송 영상을 송출하는 경우 방송제어부(4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무대에서의 연출이 필요한 경우 무대제어부(44)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무대에서의 공연을 방송영상을 송출하는 경우 상기 서버(20)는 가공한 데이터를 방송 제어부(42) 및 무대제어부(44)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송제어부(42) 및 무대제어부(44)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음성측정기(50)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은 분배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분배기(30)에 대해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음성측정기(50)와 서버(20)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음성측정기(50)는 착용자의 음성을 측정한다.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서버(2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2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공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성측정기(50)를 구성하는 제어부(55)는 기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과 측정된 음성신호를 비교하여, 대응되는 광 표시 정보와 측정된 데이터를 수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측정기술을 활용한 방송시스템은 관객 참여 오디션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으며, 관객 참여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관객의 함성소리의 변동치를 측정하여, 오디션 무대에 대한 평가를 진행 시 해당 평가는 관객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측정부(51)에서 측정된 음성신호(dB)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무대제어부(44)는 불꽃, 폭죽 등 특수효과를 구현하여, 무대가 더 극적으로 연출될 수 있다.
무대를 연출하는 연출자의 입장에서 무대효과가 적재적소에 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무대공연자가 무대에서 공연을 하는 동안, 관객들이 착용하고 있는 음성측정기(50)가 표시부(57)를 통해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발광되기 때문에 무대 공연자는 무대의 분위기를 시각적으로도 느낄 수 있고, 관객들도 새로운 몰입감 및 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공연자는 공연을 하면서, 관객들의 공연참여도를 발광색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공연을 즉각적으로 연출하거나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음성측정기(50)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바람직한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측정기(50)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은 (a) 음성측정기에서 착용자의 음성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b) 서버에서 음성측정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c) 서버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방송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방송화면에 합성하여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음성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하고, 측정된 음성신호 데시벨(dB)를 표시하고, 측정된 음성신호가 해당되는 음성신호 구간에 대응하는 색을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측정기(50)는 착용자의 음성신호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20)는 상기 음성측정기(50)마다 측정된 최고 데시벨(dB)을 추출하여 그 합산 값을 산출하거나, 모든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데시벨(dB)을 추출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일정 시간 동안의 데시벨(dB)의 평균값을 구해, 각 음성측정기(50)의 평균값들의 합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상기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최고 데시벨(dB)이나 최저 데시벨(dB)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데시벨(dB)에 대해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에서 음성측정기(5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하는 데 있어서,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서버(20)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부(42)는 부조정실을 구성하는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를 제어하여 연출의도에 따라 분배기(3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방송화면에 합성하여 송출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c) 단계 내지 (d) 단계는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대 제어부(44)로 전송하는 단계 및 무대 제어부(44)에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대에서 특수효과를 구현하거나, 무대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제어부(44)는 FOH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제어하여 연출의도에 따라 특수효과를 무대에서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무대 제어부(44)는 상기 서버(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객들이 볼 수 있도록 무대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음성신호가 특정 음성신호 구간에 이르렀을 때 무대 제어부(44)는 FOH의 장비를 제어하여 무대에서 조명 색의 변화, 폭죽 또는 불꽃 등의 특수효과를 구현시켜 관객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음성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시스템의 제작방법은 여러 명의 공연자가 경합하는 관객참여 프로그램 제작방법일 수 있다.
경연무대 시작 전, 관객 및/또는 뮤지션에게 해당 음성측정기(50)를 착용시킨다.
무대 시작과 함께 실시간으로 음성측정기(50)는 착용자의 음성신호를 측정한다. 무대가 고조됨에 따라 관객들의 함성소리가 커지고, 상기 음성측정기(50)에서는 측정된 음성신호구간에 상응하는 색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관객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면 그 음성신호에 따른 음성신호구간에 상응하는 색이 발광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구간에 상응하는 색이 발광되는 것을 무대나 방송 연출로 활용할 수 있다.
서버(20)에서 관객들의 음성신호(dB)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그 평균치가 해당 목표치에 다다르면, 무대 제어부(44)를 통해 특수효과(불꽃, 조명 외)를 무대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측정기술을 활용한 방송시스템 제작방법을 통해 무대에 따른 관객들의 음성신호를 시각화하여, 해당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연출적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되어질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 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측정부
3 : 설정부
5 : 제어부
7 : 표시부
9 : 전송부
10 : 심박동측정기
20 : 서버
30 : 분배기
42 : 방송제어부
44 : 무대제어부
50 : 음성측정기

Claims (18)

  1. 삭제
  2. 관객반응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으로서,
    각 관객 또는 출연 아티스트의 심박동수를 측정하는 심박동측정기;
    상기 심박동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방송제어부, 무대제어부 또는 시청자 스마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서버;
    부조정실을 구성하는 영상 스위처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방송화면에 합성하여 송출하는 방송제어부;
    FOH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제어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에 따라 무대에서의 특수효과를 구현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대 화면에 표시하는 무대제어부;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방송제어부 또는 상기 무대제어부에 전송하는 분배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시청자 스마트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심박동측정기는,
    심박동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적어도 2개 이상의 심박동수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심박동수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표시부의 색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심박동수 구간 별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을 발광하는 표시부; 및
    상기 측정된 심박동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는 상기 서버의 HDMI 신호를 SDI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시청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시청자가 지정한 특정 아티스트의 심박동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심박동 수와 유사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송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심박동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최고 심박수나 최저 심박수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심박동 수에 대해 합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심박동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합하여 각 시간대에 대한 평균 심박동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심박동측정기마다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합하여 각 시간대에 대한 평균 심박동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의 심박동 수의 평균값을 구해 각 심박동측정기의 평균값들의 합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각 관객 주변의 음성신호를 측정하는 음성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측정기는,
    음성신호를 측정하는 음성측정부;
    적어도 2개 이상의 음성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음성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성신호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표시부의 색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성신호 구간 별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을 발광하는 표시부; 및
    상기 측정된 음성신호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도 가공하는 방송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음성측정기마다 측정된 최고 데시벨을 추출하여 그 합산 값을 산출하거나, 모든 음성측정기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데시벨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의 데시벨의 평균값을 구해, 각 음성측정부의 평균값들의 합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음성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최고 데시벨이나 최저 데시벨에 대해 통계를 내거나 성별 또는 시간대 별로 데시벨에 대해 합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16101A 2017-09-11 2017-09-11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KR10184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01A KR101842701B1 (ko) 2017-09-11 2017-09-11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01A KR101842701B1 (ko) 2017-09-11 2017-09-11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701B1 true KR101842701B1 (ko) 2018-03-27

Family

ID=6187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01A KR101842701B1 (ko) 2017-09-11 2017-09-11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7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41A (ja) * 2003-03-19 2004-10-14 Denso Corp 生体状態改善装置
JP2005303722A (ja) * 2004-04-13 2005-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一体感を伝える通信システム
KR101307974B1 (ko) * 2013-04-10 2013-09-12 주식회사 에이엠피 일체형 디지털 통합 방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JP2017121373A (ja) * 2016-01-07 2017-07-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41A (ja) * 2003-03-19 2004-10-14 Denso Corp 生体状態改善装置
JP2005303722A (ja) * 2004-04-13 2005-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一体感を伝える通信システム
KR101307974B1 (ko) * 2013-04-10 2013-09-12 주식회사 에이엠피 일체형 디지털 통합 방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JP2017121373A (ja) * 2016-01-07 2017-07-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3413B2 (ja) 付加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6923245B2 (ja) 観衆ベースのハプティック
KR20200130231A (ko) 신경 상태의 검출을 위해 생체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라이브 엔터테인먼트를 디렉팅
JP2005528029A (ja) ローカライズされたオーディオ・ネットワークおよび関連するディジタル・アクセサリ
WO2014056000A1 (en) Augmented reality biofeedback display
JP6830829B2 (ja) プログラム、表示装置、表示方法、放送システム及び放送方法
JP7216394B2 (ja) ライブ演出システム、およびライブ演出方法
JP2004077277A (ja) 音源位置の可視化表示方法および音源位置表示装置
EP1582090A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feedback system and method
JP20240196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7002642A1 (ja) 情報機器及び表示処理方法
KR101842701B1 (ko) 심장박동 측정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WO202114502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
US20190019336A1 (en) Augmented Reality Biofeedback Display
US2012002139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Device
JP70405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139217A1 (en)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officiating and spectating flag football
JPWO201901305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14502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
US202300093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program
Hieda Mobile brain-computer interface for dance and somatic practice
US202203534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5462807A (zh) 显示装置及控制显示装置的方法
JP2020194030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Ozawa et al. Instantaneous evaluation of the sense of presence in audio-visual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