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20B1 -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20B1
KR101842620B1 KR1020160113717A KR20160113717A KR101842620B1 KR 101842620 B1 KR101842620 B1 KR 101842620B1 KR 1020160113717 A KR1020160113717 A KR 1020160113717A KR 20160113717 A KR20160113717 A KR 20160113717A KR 101842620 B1 KR101842620 B1 KR 10184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nonwoven fabric
wrinkle
polyes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659A (ko
Inventor
진용원
김용길
박미라
김경도
Original Assignee
지에이치신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이치신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이치신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 시트의 주름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와 아크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Nylon, PE, 및 PET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편직물 메쉬를 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Sheet for Wrinkle-Free Leath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직포, 특히 가죽의 이면에 부착하여 가죽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는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소파나, 차량용 시트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덮는 쿠션재와 쿠션재를 감싸서 마감하는 표면재로 구성되며, 표면재는 직물 시트 또는 가죽시트의 것들이 있다.
종래의 가죽시트는 가죽부재의 이면에 스펀지를 전체 면적에 걸쳐 부착하는 형태의 것들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가죽시트는 가죽 부재에 부착되는 스펀지가 탄성에 따른 복원력 및 반발력이 있어서, 2개 이상의 굽힘이 있는 곡면인 복곡면이나 표면이 접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진 역곡면에 적용시에는 꺾임이나 잔주름이 발생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5월 4일자 NON-WOVENS INDUSTRY에는 지글러(Ziegler) 사에서 Hacoflex라는 상표명으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게시가 있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성 05-337258호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쿠션층으로 구성하고, 측지와 쿠션 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열접착 성분으로 한 열접착성 부직포가 배치되어 일체화된 차량용 좌석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주름방지 기능이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쿠션과 복원력이 부족하였다.
일본특허공개 평성 05-33725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주름방지 성능이 탁월하고, 쿠션과 복원력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와 아크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와 아크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Nylon, PE, 및 PET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편직물 메쉬가 합지된 부직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가죽 시트의 이면에 부착하게 되면 시트의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쿠션과 복원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반복압축 복원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종래 주름 방지용 폴리우레탄 폼의 반복압축 복원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최대의 쿠션(Cushion)감과 압축복원력을 가지는 주름 방지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아크릴 섬유에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를 혼합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에 의해 쿠션감을 극대화하고 복원력을 부여하여 가죽의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섬유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 섬유와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크릴 섬유나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섬도 3~15데이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성 섬유는 스파이럴 크림프(Spiral(OMEGA) 또는 마운틴 크림프(Mechanical(Mountin) Crimp) 형태 등 크림프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속이 비어 있는 중공사인 것이 높은 수축력과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상품으로 E-FLEX, HCS, AIRCLO, PBT 등이 있다.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는 섬도 3~15데니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부직포의 중량은 250~800gsm, 두께는 3~12m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부위에 따라, 중량과 두께는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일반 섬유와 기능성 섬유 원료를 혼합하고 소면(carding) 공정을 거친 후 니들 펀칭 후 열 경화하는 것이다. 섬유 혼합공정은통상 2회, 소면 공정을 1~2회를 거친다.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일반 섬유와 기능성 섬유의 비율은 30~60:7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기능성 섬유만 사용한 것에 비해, 오히려 일번섬유를 일정량 섞어 주는 것이 모양이 서로 다르므로 기능성 섬유 사이의 고안을 풍부하게 만들어 타성 및 수축력을 우수하게 만든다. 또한, 기능성 섬유도 한가지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모양과 기능이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했을 때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Plex 10~40%, HCS 30~60%, PET 30~60%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부직포는 니들 펀칭에 의해 메쉬를 합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메쉬는 Nylon, PE, 및 PET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편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메쉬의 재질이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직물 메쉬를 합지하게 되면 더욱 높은 탄성회복력을 가지고 요철 미발생에 의한 접착력이 상승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E-Plex 20%, HCS 40%, PET 40%의 중량비로 섬유를 혼합하고 소면 공정을 거쳤다.
1차 니들 펀칭은 RPM 350, 속도 3min/m, 심도 11mm(Down Punching)로 실시하고 2차 니들 펀칭은 RPM 300, 속도 2.3min/m, 심도 6.5mm(Down Punching)로 실시하였다. 2차 니들 펀칭에서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표면만 니들링을 실시하여 밀도를 낮추었다. 분위기 온도 250℃에서 2분간 열 경화하였다. 제조된 부직포의 중량은 300gsm이었다.
실시예 2
E-Plex 20%, HCS 40%, PET 40%의 중량비로 섬유를 혼합하고 소면 공정을 거쳤다.
1차 니들 펀칭은 RPM 350, 속도 3min/m, 심도 11mm(Down Punching)로 실시하고 2차 니들 펀칭은 RPM 300, 속도 2.3min/m, 심도 6.5mm(Down Punching)로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 편직물로 제조된 메쉬를 합지하고 분위기 온도 250℃에서 2분간 열 경화하였다. 제조된 부직포의 중량은 300gsm이었다.
시험 예 1 반복압축 복원력
실시 예 1의 제품의 반복압축 복원력을 평가하여 도 1에 게시하였고 도 2의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반복압축 복원력과 비교하였다.
시험 방법은 UTM 반복압축복원력 평가로 시료가 받는 압력에 대한 반발력 및 힘을받는 위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힘, 압축거리, 속도를 동일하게 하여 내구성을 확인하였으며, 시료가 초기에 받는 힘, 1차 항복점, 2차 항복점 및 최종 탄성을 모두 비교한 결과 도 1 및 도 2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폴리우레탄 발포체 대비 실시 예 1 제품의 경우 초기, 중기, 말기의 복원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험 예 2 영구압축 줄음률
실시예 1의 제품을 영구압축 줄음률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게시하였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영구압축 줄음률과 비교하였다. 영구압축 줄음률은 10kg의 하중을 가지는 분동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방치 전/후의 두께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줄음률
실시 예 1 8.4mm 7.9mm 약 6%
폴리우레탄 발포체 8.2mm 7.3mm 약 11%
도 1, 2의 비교와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 제품은 기존 제품에 비해 훨씬 우수한 주름 방지 성능을 나타내고 우수한 쿠션감 및 복원력을 나타낸다.

Claims (7)

  1. 스파이럴 크림프(Spiral(OMEGA) Crimp)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메카니컬 크림프(Mechanical(Mountin) Crimp) PET 섬유를 포함하는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와 아크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주름방지용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고수축 고탄성의 기능성 섬유와 아크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40~70:30~60이며,
    상기 부직포는 편직물 메쉬가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방지용 부직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편직물 메쉬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방지용 부직포.
  7. 제1항의 부직포 및 발포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160113717A 2016-09-05 2016-09-05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84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17A KR101842620B1 (ko) 2016-09-05 2016-09-05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17A KR101842620B1 (ko) 2016-09-05 2016-09-05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659A KR20180027659A (ko) 2018-03-15
KR101842620B1 true KR101842620B1 (ko) 2018-03-30

Family

ID=6165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717A KR101842620B1 (ko) 2016-09-05 2016-09-05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4741A (ja) * 2012-08-08 2014-02-24 Daiwabo Holdings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ッション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4741A (ja) * 2012-08-08 2014-02-24 Daiwabo Holdings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ッション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659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060B1 (ko) 정숙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탄성 망상 구조체
US9266480B2 (en) Structure of terminal portion of product with cover
US7390374B2 (en) Leather or leather-like composite material
JP6691913B2 (ja) エンボス加工用複合材およびエンボス加工品
US8919887B2 (en) Elastic member made of expanded resin beads, laminated elastic structural body, and seat structure
KR102100683B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5837B1 (ko) 통풍 시트용 인조가죽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262889A (ja) クッション体
KR20170008063A (ko) 자동차의 내장 기재용 다층 복합재와 그 제조 방법
TWM577021U (zh) 墊體複合材結構、墊體及護具
CN109996674A (zh) 用于制造吸音隔音元件的方法,以及吸音隔音汽车装饰元件
KR101842620B1 (ko) 주름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E202009015059U1 (de) Verbundmaterial
US20120231203A1 (en) Non-woven fiber seating padding
KR20090034605A (ko) 친환경 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2667A (ko) 폴리에스테르 흡음재, 폴리에스테르 흡음재가 적용된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물
KR200472331Y1 (ko) 자발적 쿠션층이 형성된 카시트 원단
JP2006223707A (ja) 不織布構造体、シートクッション材及びそれからなる車両用シート
JP6782543B2 (ja) 車両用クッション材
KR101433322B1 (ko) 시트용 쿠션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의 제조방법
JP2016534784A (ja) 自動車内装用クッション部材
KR100743988B1 (ko) 인공 스웨이드 제조방법
US20060240732A1 (en) Formed mat
KR20160011386A (ko) 주름 방지용 부직포
TW202019683A (zh) 墊體複合材結構、墊體及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