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563B1 -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 Google Patents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563B1
KR101842563B1 KR1020180029581A KR20180029581A KR101842563B1 KR 101842563 B1 KR101842563 B1 KR 101842563B1 KR 1020180029581 A KR1020180029581 A KR 1020180029581A KR 20180029581 A KR20180029581 A KR 20180029581A KR 101842563 B1 KR101842563 B1 KR 10184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ground
plate
end portions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8002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0Chutes; Helter-skelters with spiral trac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방향의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되는 제1지지봉(11), 지면으로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판상의 제1놀이판(13), 제1놀이판(13) 수직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판상의 제2놀이판(15),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 부위는 제1, 2놀이판(13, 15)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직이동통로(17), 제1지지봉(11)의 외면을 감싸는 안전네트(19)가 구비되는 제1놀이기구(10);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제1지지봉(11)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가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되는 제2지지봉(21), 일측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점진적으로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연장되어 제2지지봉(21) 내부에 설치되는 계단(23)이 구비되는 제2놀이기구(20); 하방으로 볼록한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되, 일측 부위는 제1놀이기구(10)의 제1놀이판(13)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제2놀이기구(20)의 계단(23) 타단 부위와 연결되는 제3놀이기구(30);를 포함하는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Children play facilities having feature of crescent-shaped}
본 발명은 어린이 놀이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놀이기구를 연결하여 구름에 가려진 초승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을 구성함으로써, 어린이들의 동심을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를 통해 모험심을 배양할 수 있는 어린이 놀이시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린이들의 놀이시설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보급된 것이 통상적인 그네, 미끄럼틀 등과 같은 개별 놀이기구가 하나의 시설물에 적절하게 조합된 도 6과 같은 형식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놀이시설은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을 위한 단순한 유희기구로서 그 구성이 너무 단조로워 어린이들이 싫증을 쉽게 느끼는 등 놀이시설물로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곳곳에 배치하고 이들 각각을 계단 또는 출렁다리, 사다리 등으로 연결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복합 놀이시설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설치되고 있는 놀이시설의 대부분이 복수 개의 놀이기구를 단순히 서로 조합한 구조로서, 어린이들의 정서 함양과는 전혀 무관하게 놀이 그 자체에만 치중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267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6365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어린이 놀이시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의 동심을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를 통해 모험심을 배양할 수 있는 어린이 놀이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방향의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되는 제1지지봉(11), 지면으로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판상의 제1놀이판(13), 제1놀이판(13) 수직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판상의 제2놀이판(15),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 부위는 제1, 2놀이판(13, 15)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직이동통로(17), 제1지지봉(11)의 외면을 감싸는 안전네트(19)가 구비되는 제1놀이기구(10); 제1지지봉(11)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제1지지봉(11)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가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되는 제2지지봉(21), 일측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점진적으로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연장되어 제2지지봉(21) 내부에 설치되는 계단(23)이 구비되는 제2놀이기구(20); 하방으로 볼록한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되, 일측 부위는 제1놀이기구(10)의 제1놀이판(13)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제2놀이기구(20)의 계단(23) 타단 부위와 연결되는 제3놀이기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놀이판(13, 15)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지면으로 연결되는 미끄럼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2놀이기구를 달의 일부분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제3놀이기구로서 연결하여 놀이시설물 자체를 구름에 반쯤 가린 달 모양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어린이들의 동심을 자극하여 장시간 싫증을 내지 않고 보다 적극적인 놀이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주며, 나아가 놀이 과정을 통해 어린이들의 정서가 보다 건강하게 함양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일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후면구성도.
도 6은 종래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각각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평면구성도, 일측면구성도, 정면구성도, 후면구성도 각각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 3놀이기구(10, 20, 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놀이기구(10)는 하측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는 놀이기구로서, 제1지지봉(11), 제1놀이판(13), 제2놀이판(15), 수직이동통로(17), 안전네트(19)를 포함한다.
제1지지봉(11)은 제1놀이기구(1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복수 개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 각각과 같이,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일방향으로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각 타측 부위의 단부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된다.
도면부호 111, 112 각각은 제1지지봉(11)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봉이다. 특히 도면부호 112는 도 1과 같이 후술할 제3놀이기구(30)의 일측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지지봉(1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지지봉(도 3에서 우측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놀이판(13)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으로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제2놀이판(15) 역시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놀이판(13) 수직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제1, 2놀이판(13)은 어린이들의 놀이 공간을 제공하며,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제2놀이판(15) 수직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3놀이판(152)이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제1지지봉(11)의 수직 높이에 따라 형성되는 놀이판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수직이동통로(17)는 지면으로부터 제1, 2놀이판(13, 15) 각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그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하고, 그 타단 부위는 제1, 2놀이판(13, 15)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172는 제2, 3놀이판(15, 152) 상호 간을 연결하는 이동통로이다.
안전네트(19)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놀이판(13, 15)으로부터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지지봉(11)의 외면을 감싸는 설치된다. 도면부호 131은 경사네트로서 지면과 제1놀이판(13)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한편, 제1, 2놀이판(13, 15)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미끄럼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이 중에서 제2놀이판(15)과 연결되는 미끄럼대(14) 및 제3놀이판(152)과 연결되는 제2미끄럼대(142)가 마련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제2놀이기구(20)는 하측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는 놀이기구로서 제1놀이기구(10)오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제2놀이기구(20)에는 제2지지봉(21) 및 계단(23)이 구비된다.
제1지지봉(11)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2지지봉(21)은 전술한 제1지지봉(11)과 유사하게,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1지지봉(11)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각 타측 부위의 단부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된다. 이때, 제2지지봉(21)의 수직 높이는 도 3과 같이 제1지지봉(11)의 수직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23)은 제2놀이기구(20)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통로로서 제2지지봉(21) 내부에 설치되며, 도 1 및 도 5 각각과 같이 그 일측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는 점진적으로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제2지지봉(21) 내부로 연장된다.
제3놀이기구(30)는 제1, 2놀이기구(10, 20) 각각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도 1 및 도 3 각각과 같이 하방으로 볼록한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일측 부위는 제1놀이기구(10)의 제1놀이판(13)의 일측과 연결되고, 그 타측 부위는 제2놀이기구(20)의 계단(23) 타단 부위와 연결된다.
제1, 2놀이기구(10, 20) 각각이 하방으로 볼록한 판상 구조를 이루는 제3놀이기구(30)에 의해 연결되면,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은 도 3과 같이 하측 부위가 지면 아래에 잠긴 형상의 달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때, 지면과 접하는 제1, 2, 3놀이기구(10, 20, 30) 각각의 하측 부위에 구름 형상의 시설물을 부가하게 되면 매우 용이하게 구름 사이로 내비친 달 모양으로 형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놀이시설물 자체를 구름에 반쯤 가린 달 모양으로 형상화함으로서, 어린이들의 동심을 자극하여 보다 적극적인 놀이 활동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를 통해 어린이들의 정서가 보다 건강하게 함양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놀이기구 20 : 제2놀이기구
30 : 제3놀이기구

Claims (2)

  1.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방향의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되는 제1지지봉(11), 지면으로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판상의 제1놀이판(13), 제1놀이판(13) 수직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1지지봉(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판상의 제2놀이판(15),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 부위는 제1, 2놀이판(13, 15)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직이동통로(17), 제1지지봉(11)의 외면을 감싸는 안전네트(19)가 구비되는 제1놀이기구(10);
    제1지지봉(11)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제1지지봉(11)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곡률을 이루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가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만나 연결되는 제2지지봉(21), 일측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점진적으로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연장되어 제2지지봉(21) 내부에 설치되는 계단(23)이 구비되는 제2놀이기구(20);
    하방으로 볼록한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되, 일측 부위는 제1놀이기구(10)의 제1놀이판(13)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제2놀이기구(20)의 계단(23) 타단 부위와 연결되는 제3놀이기구(30);를
    포함하는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놀이판(13, 15)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지면으로 연결되는 미끄럼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KR1020180029581A 2018-03-14 2018-03-14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KR10184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81A KR101842563B1 (ko) 2018-03-14 2018-03-14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81A KR101842563B1 (ko) 2018-03-14 2018-03-14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563B1 true KR101842563B1 (ko) 2018-03-27

Family

ID=6187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581A KR101842563B1 (ko) 2018-03-14 2018-03-14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950B1 (ko) 1999-04-16 2001-09-22 김진곤 어린이용 복합 놀이기구
KR200337167Y1 (ko) 2003-08-13 2004-01-07 이은희 시소와 시소 겸용 미끄럼틀
KR101361807B1 (ko) 2013-01-23 2014-02-11 이석제 복합놀이기구
KR101590397B1 (ko) 2015-09-21 2016-02-01 (주)신흥이앤지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950B1 (ko) 1999-04-16 2001-09-22 김진곤 어린이용 복합 놀이기구
KR200337167Y1 (ko) 2003-08-13 2004-01-07 이은희 시소와 시소 겸용 미끄럼틀
KR101361807B1 (ko) 2013-01-23 2014-02-11 이석제 복합놀이기구
KR101590397B1 (ko) 2015-09-21 2016-02-01 (주)신흥이앤지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65361A (en) Nursery play apparatus
US2853301A (en) Toy racing game
US2899757A (en) Add-up block toy for teaching arithmetic
KR101743082B1 (ko)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US4553749A (en) Toy and game apparatus
KR101731796B1 (ko) 팔 다리 복합 운동이 가능한 놀이터 적용 안전 유희 구조물
US20130190137A1 (en) Children's Playground with Trampoline
KR101842563B1 (ko)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US1471465A (en) Climbing structure
US3201120A (en) Jumping board
US2126636A (en) Playground apparatus
JP2004208844A (ja) 空気膜マットを用いた遊戯具
US2610854A (en) Game device simulating a western rodeo
KR20120121461A (ko) 웨이브 놀이대
DE925096C (de) Klettergeruest mit Rutschbahn
US3283440A (en) Amusement device with toppling playing pieces
KR101529125B1 (ko) 삼각구조 공법으로 지지되는 놀이시설물
CN208799758U (zh) 一种冒险滑滑梯
CN212440023U (zh) 缺口平台装置及包含其的儿童体能游乐教育设施
US2686386A (en) Ball rollway toy
US3830492A (en) Amusement slide adapted to be used simultaneously by two persons
US2089726A (en) Table game apparatus
CN219662846U (zh) 一种水滴飞行器构造的游乐设施
CN211215396U (zh) 一种花朵型儿童乐园
US1718455A (en)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