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97B1 -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 Google Patents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97B1
KR101590397B1 KR1020150132985A KR20150132985A KR101590397B1 KR 101590397 B1 KR101590397 B1 KR 101590397B1 KR 1020150132985 A KR1020150132985 A KR 1020150132985A KR 20150132985 A KR20150132985 A KR 20150132985A KR 101590397 B1 KR101590397 B1 KR 10159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ng pipe
auxiliary
connection pipe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5013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파이프(120)와, 제1연결파이프(110)에 고정결합되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와, 제1덮개판(140) 및 제1바닥판(150)과, 제1벤치(160)을 포함하는 제1놀이모듈(10)과;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는 제2연결파이프(210)와,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와,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하측의 각 일단부위는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2지지파이프(220)와, 제2덮개판(240) 및 제2바닥판(250)과, 제2벤치(260)을 포함하여,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 각각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2설치봉(222)에 의해 지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는 상기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체결모듈(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놀이모듈(20)로; 이루어지는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Module type complex facilities}
본 발명은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물로서 이용하는 어린이 및 보호자를 위한 휴식공간이 마련되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놀이시설물은 어린이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뿐 아니라 놀이를 통해 모험심이나 용기를 자연스럽게 고취시킬 수 있는데, 종래 놀이시설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이 그네, 미끄럼틀 등과 같은 개별 놀이기구나, 이들 각각을 적절하게 조합한 놀이기구이다. 하지만,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그 구성이 너무 단조로워 어린이들이 싫증을 쉽게 느끼는 등 놀이시설물로는 부족한 점이 많아, 도 5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곳곳에 배치하고 이들 각각을 계단 또는 출렁다리, 사다리 등으로 연결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복합 놀이시설물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놀이시설물은 어린이만을 위한 시설물이라는 인식이 강하여 지금까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놀이시설물에는 어린이들을 동반하여 놀이시설물을 찾아온 보호자들을 위한 어떠한 휴식공간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성인에 비해 체력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야외에서 놀이를 즐기는 어린이들에게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한편, 근자 다양한 형태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된 놀이시설물이 전국에 설치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놀이시설물은 기존의 설계 내용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시공되고 있다. 놀이시설물이 설치되는 현장은 지역에 따라 그 규모가 달라짐은 물론 동일한 규모의 현장이라고 할지라도 주변 여건과의 자연스러운 조화도 필요한데 기존의 시공방식은 이러한 현장 여건을 전혀 감안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89-000012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놀이시설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방식으로 이루어져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이용하는 어린이 및 보호자를 위한 휴식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설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110)와,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한쌍의 상기 제1연결파이프(110)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에 고정결합되는 제1지지파이프(120)와,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부위는 한쌍의 상기 제1연결파이프(110) 중 타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에 고정결합되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지지파이프(120)의 상부측 개구 공간 및 후면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덮개판(140)과, 상기 제1지지파이프(120)의 하부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설치되는 제1바닥판(150)과, 상기 제1바닥판(15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벤치(160)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연결파이프(11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1네트(180)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보조네트(19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파이프(120) 각각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설치봉(122)에 의해 지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놀이모듈(10)과;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는 제2연결파이프(210)와,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 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와,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하측의 각 일단부위는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2지지파이프(220)와,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상부측 개구 공간 및 후면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덮개판(240)과,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하부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2바닥판(250)과, 상기 제2바닥판(25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벤치(260)와,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상측부위와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2네트(280)과,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하측부위와 연결되는 상기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보조네트(290)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 각각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2설치봉(222)에 의해 지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는 상기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체결모듈(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놀이모듈(2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모듈(3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단부위가 제1연결파이프(110)의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단(320)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단(320)의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되 일단부위는 제1연결파이프(110)의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단(360)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단부위가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3결합단(340)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3결합단(340)의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되 일단부위는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4결합단(380)과, 상호 교차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2, 3, 4결합단(320, 360, 340, 380)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을 밀폐하는 제1, 2반캡(310, 3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놀이모듈(10)의 제1덮개판(140) 외면에는 제1암벽놀이기구(170)가 마련되며, 상기 제2놀이모듈(20)의 제2덮개판(240) 외면에는 제2암벽놀이기구(27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놀이모듈 및 제2놀이모듈 각각을 별개로 구성하고 이들을 체결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시공 현장의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놀이시설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되어 시설물을 이루는 제1놀이모듈 및 제2놀이모듈 각각에 휴식공간을 마련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보호자 또는 어린이들은 햇볕이나 바람을 피하며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 가능한 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 가능한 시설물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 가능한 시설물의 개략적인 또 다른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에 있어 체결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모듈에 있어 제1, 2, 3, 4결합단이 상호 교차된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5는 종래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 가능한 시설물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1놀이모듈(10)과, 제1놀이모듈(1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놀이모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모듈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놀이모듈(10)은 제1연결파이프(110) 및 제1보조연결파이프(130), 제1지지파이프(120), 제1덮개판(140) 및 제1바닥판(150), 제1벤치(160), 제1네트(180) 및 제1보조네트(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놀이시설 및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제1연결파이프(110)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한다. 제1보조연결파이프(130)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부위는 한쌍의 제1연결파이프(110) 중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에 고정결합된다.
제1지지파이프(130)는 휴식공간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한쌍의 제1연결파이프(110)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에 고정결합된다.
제1지지파이프(120) 각각의 하측부위에는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는 제1설치봉(122)이 마련된다. 제1설치봉(122)의 일단부위는 제1지지파이프(120) 각각의 하측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지면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도면에는 제1지지파이프(120)를 이루는 하측부위 각각의 일단부위가 지면에 고정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부위 인근지점에 제1설치봉이 설치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제1덮개판(140)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제1지지파이프(120)의 상부측 개구 공간 및 후면측 개구 공간을 밀폐한다. 제1바닥판(150)은 제1지지파이프(120)의 하부측 개구 공간을 밀폐한다. 제1덮개판(140) 및 제1바닥판(150)에 의해 제1지지파이프(120)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휴게공간이 확보된다.
제1벤치(160)는 제1바닥판(150)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제1벤치(160)는 개별 의자의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일정길이를 가지는 판상 의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판상 의자가 설치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제1덮개판(140) 및 제1바닥판(150)에 의해 확보되는 공간에 제1벤치(160)가 마련되면, 보호자 또는 어린이들은 햇볕이나 바람을 피하며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제1덮개판(140) 외면에는 제1암벽놀이기구(17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일정 곡률을 이루며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제1덮개판(140)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놀이기구를 더 부가함으로써, 시설물의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어린이들은 재미있는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제1네트(180)는 상호 대향하는 제1연결파이프(11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며, 제1보조네트(190)는 상호 대향하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된다. 제1네트(180) 및 제1보조네트(190)는 어린이들이 놀면서 이동하는 수단으로, 제1네트 및 제1보조네트 각각에는 도면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제2놀이모듈(20)은 제1놀이모듈(1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놀이시설 및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제2놀이모듈(20)은 제2연결파이프(210) 및 제2보조연결파이프(230), 제2지지파이프(220), 제2덮개판(240) 및 제2바닥판(250), 제2벤치(260), 제2네트(280) 및 제2보조네트(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연결파이프(210)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한다. 제2보조연결파이프(230)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연결파이프(210)에 비해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제2연결파이프(2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제2지지파이프(220)는 전술한 제1지지파이프(120)와 동일하게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나,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연결파이프(210)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하측의 각 일단부위는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차이가 있다.
제2지지파이프(12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은 제2연결파이프(210) 제2보조연결파이프(230) 각각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별개로 제작되어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지지파이프(220) 각각의 하측부위에는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는 제2설치봉(222)이 마련된다. 제2설치봉(222)의 일단부위는 제2지지파이프(220) 각각의 하측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지면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제2설치봉의 구성은 전술한 제1설치봉과 대동소이하다.
제2덮개판(240)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제2지지파이프(220)의 상부측 개구 공간 및 후면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며, 제2바닥판(250)은 제2지지파이프(220)의 하부측 개구 공간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제2덮개판(240) 및 제2바닥판(250)에 의해 제2지지파이프(220)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휴게공간이 확보된다.
제2벤치(260)는 제2바닥판(250)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도면에는 1개의 판상 의자가 설치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놀이모듈(10)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2놀이모듈(20)의 경우에도 제2덮개판(240) 외면에 제2암벽놀이기구(27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2벤치 및 제2암벽놀이기구 각각에 의한 기대효과는 제1벤치 및 제1암벽놀이기구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제2네트(280)는 제2지지파이프(220)의 상측부위와 연결되는 제2연결파이프(21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고, 제2보조네트(290)는 제2지지파이프(220)의 하측부위와 연결되는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된다. 제2네트 및 제2보조네트 각각에는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은 체결모듈(30)을 이용하여 제1놀이모듈(10)과 제2놀이모듈(20)을 연결하게 되는데, 체결모듈(30)의 일례가 도 4a에 개시되어 있다.
체결모듈(30)은 제1, 2, 3, 4결합단(320, 360, 340, 380) 및 제1, 2반캡(310, 350)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 중의 어느 하나와 제2놀이모듈(20)의 제2연결파이프(210) 각 일단부위에 매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단(32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제1연결파이프(110)의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된다. 제2결합단(32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결합단(320)의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되, 일단부위는 제1연결파이프(110)의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된다.
제3결합단(34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된다. 제4결합단(38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 구조로 이루어져, 제3결합단(340)의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되, 일단부위는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1, 2, 3, 4결합단(320, 360, 340, 380) 각각은 도 4b와 같이 상호간에 교차 삽입이 가능하다. 제1, 2, 3, 4결합단(320, 360, 340, 380) 각각이 상호간에 교차 삽입되면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이들 각각은 일체로 긴밀하게 구속된다. 도면부호 322, 342, 362, 382 각각은 볼트 체결공이다.
제1, 2반캡(310, 350) 각각은 상호간에 교차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구속된 제1, 2, 3, 4결합단(320, 360, 340, 380)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을 밀폐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제1반캡(310)은 제1, 3결합단(320, 340)의 상부를 밀폐하고, 제2반캡(350)은 제2, 4결합단(360, 380)의 상부를 밀폐한다. 도면부호 112, 132와 116, 136 그리고 도면부호 212, 216 각각은 제1, 2반캡(310, 350)의 고정을 위한 볼트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2놀이모듈(10, 20) 각각을 별개로 구성하고 이들을 체결모듈(30)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도 1과 같이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에 제2놀이모듈(20)을 연결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도 2와 같이 제1놀이모듈(10)의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에 제2놀이모듈(20)을 연결함으로써 시공 현장의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시설물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 가능한 또 다른 시설물을 보여준다. 이 시설물은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를 따라 복수 개의 제2놀이모듈(20)이 연속하여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 가능한 또 다른 시설물로서, 이 시설물은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 및 제1보조연결파이프(130) 각각에 제2놀이모듈(20)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면부호 42, 44, 46, 47, 48 각각은 보조놀이모듈이며 이들 역시 체결모듈(30)에 매개되어 제1, 2놀이모듈(10, 20) 각각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놀이모듈 20 : 제2놀이모듈
30 : 체결모듈 42, 44, 46, 47, 48 : 보조놀이모듈
110 : 제1연결파이프 120 : 제1지지파이프
130 : 제1보조연결파이프 140 : 제1덮개판
150 : 제1바닥판 160 : 제1벤치
170 : 제1암벽놀이기구 180 : 제1네트
190 : 제1보조네트 210 : 제2연결파이프
220 : 제2지지파이프 230 : 제2보조연결파이프
240 : 제2덮개판 250 : 제2바닥판
260 : 제2벤치 270 : 제2암벽놀이기구
280 : 제2네트 290 : 제2보조네트
310 : 제1반캡 320 : 제1결합단
340 : 제3결합단 350 : 제2반캡
360 : 제2결합단 380 : 제4결합단

Claims (3)

  1.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110)와,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한쌍의 상기 제1연결파이프(110)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에 고정결합되는 제1지지파이프(120)와,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부위는 한쌍의 상기 제1연결파이프(110) 중 타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파이프에 고정결합되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지지파이프(120)의 상부측 개구 공간 및 후면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덮개판(140)과, 상기 제1지지파이프(120)의 하부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설치되는 제1바닥판(150)과, 상기 제1바닥판(15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벤치(160)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연결파이프(11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1네트(180)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보조네트(19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파이프(120) 각각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설치봉(122)에 의해 지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놀이모듈(10)과;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으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는 제2연결파이프(210)와,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 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와, 각각이 ⊂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의 각 일단부위는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하측의 각 일단부위는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2지지파이프(220)와,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상부측 개구 공간 및 후면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덮개판(240)과,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하부측 개구 공간을 밀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2바닥판(250)과, 상기 제2바닥판(25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벤치(260)와,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상측부위와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2네트(280)과,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의 하측부위와 연결되는 상기 제2보조연결파이프(230)의 개구 공간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보조네트(290)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지지파이프(220) 각각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2설치봉(222)에 의해 지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는 상기 제1놀이모듈(10)의 제1연결파이프(110)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체결모듈(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놀이모듈(20)로;
    이루어지는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모듈(3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단부위가 제1연결파이프(110)의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단(320)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단(320)의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되 일단부위는 제1연결파이프(110)의 각 일단부위 또는 제1보조연결파이프(130)의 각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단(360)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단부위가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3결합단(340)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3결합단(340)의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되 일단부위는 제2연결파이프(210)의 각 일단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4결합단(380)과, 상호 교차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2, 3, 4결합단(320, 360, 340, 380)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을 밀폐하는 제1, 2반캡(310, 3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놀이모듈(10)의 제1덮개판(140) 외면에는 제1암벽놀이기구(170)가 마련되며, 상기 제2놀이모듈(20)의 제2덮개판(240) 외면에는 제2암벽놀이기구(27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KR1020150132985A 2015-09-21 2015-09-21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KR10159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985A KR101590397B1 (ko) 2015-09-21 2015-09-21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985A KR101590397B1 (ko) 2015-09-21 2015-09-21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97B1 true KR101590397B1 (ko) 2016-02-01

Family

ID=5535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985A KR101590397B1 (ko) 2015-09-21 2015-09-21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563B1 (ko) 2018-03-14 2018-03-27 (주)신흥이앤지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KR101855415B1 (ko) * 2017-12-21 2018-05-08 (주)인플레이 네트 놀이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29A (ko) 1987-06-26 1989-03-11 이춘재 당구큐대의 손잡이 부분 제조방법
JPH0739604A (ja) * 1993-08-02 1995-02-10 P-Puru Kk 組み立て型ジャングルジムのパイプコネクタ
KR200244778Y1 (ko) * 2001-04-12 2001-10-11 김상기 의자가 형성되어 있는 2층 어린이용 놀이기구
KR200329196Y1 (ko) * 2003-07-02 2003-10-08 채순석 종합놀이대
KR200371027Y1 (ko) * 2004-04-30 2004-12-29 장봉진 조합놀이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29A (ko) 1987-06-26 1989-03-11 이춘재 당구큐대의 손잡이 부분 제조방법
JPH0739604A (ja) * 1993-08-02 1995-02-10 P-Puru Kk 組み立て型ジャングルジムのパイプコネクタ
KR200244778Y1 (ko) * 2001-04-12 2001-10-11 김상기 의자가 형성되어 있는 2층 어린이용 놀이기구
KR200329196Y1 (ko) * 2003-07-02 2003-10-08 채순석 종합놀이대
KR200371027Y1 (ko) * 2004-04-30 2004-12-29 장봉진 조합놀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15B1 (ko) * 2017-12-21 2018-05-08 (주)인플레이 네트 놀이대
KR101842563B1 (ko) 2018-03-14 2018-03-27 (주)신흥이앤지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886B1 (ko)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
KR101590397B1 (ko)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KR101743082B1 (ko)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KR101648037B1 (ko)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KR101679315B1 (ko) 조립 방식의 복합 구조물
KR20130000204A (ko) 룸 설치형 프레임 방식 어린이 놀이 구조물
JP6899264B2 (ja) 屋根架構を有した建築構造物
KR20170003836U (ko)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RU106552U1 (ru)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KR102221934B1 (ko) 녹지공간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부상식 놀이시설
JP5569997B1 (ja) 屋内において区画間仕切りが可能な二段ベツト
US20200391067A1 (en) Geometric play structure
JP4466387B2 (ja) 耐震免震体験解説装置
CN206220578U (zh) 四瓣花树屋
KR200470642Y1 (ko) 기둥형상의 방음구조물
JP2018035516A (ja) カプセルベッド
WO2013011160A1 (es) Construcción infantil plegable
JPH0332399Y2 (ko)
KR102376316B1 (ko)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KR200411737Y1 (ko) 조립식 펜스
KR102219002B1 (ko) 터널식 어드벤처 놀이시설
CN203220713U (zh) 摇摇马
KR20140052504A (ko) 실내 놀이터용 벽면 조립체
CN203370277U (zh) 户外滑梯
KR200442130Y1 (ko) 조립식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