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533B1 -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533B1
KR101842533B1 KR1020160156753A KR20160156753A KR101842533B1 KR 101842533 B1 KR101842533 B1 KR 101842533B1 KR 1020160156753 A KR1020160156753 A KR 1020160156753A KR 20160156753 A KR20160156753 A KR 20160156753A KR 101842533 B1 KR101842533 B1 KR 101842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le
housing
push button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대
Original Assignee
(주)영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창기업 filed Critical (주)영창기업
Priority to KR102016015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설비의 작동 제어 등을 위한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에 있어서, 푸시버튼의 조립성 향상 및 푸시버튼의 베젤부가 노출되는 두께를 최대한 얇게 유지함으로써 조작 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승강홀과 상기 승강홀을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승강홀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끼움공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 상기 하우징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베젤부가 끼워지는 노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을 모두 덮으면서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베젤부와 누름부재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CONTROL PANEL EQUIPPED WITH PUSH-BUTT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설비의 작동 제어 등을 위한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에 있어서, 푸시버튼의 조립성 향상 및 푸시버튼의 베젤부가 노출되는 두께를 최대한 얇게 유지함으로써 조작 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승강홀과 상기 승강홀을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승강홀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끼움공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 상기 하우징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베젤부가 끼워지는 노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을 모두 덮으면서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베젤부와 누름부재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2-009275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종 설비의 작동 제어 등을 위한 조작 패널에는, 각종 버튼, 스위치, 조그다이얼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터치 패널 방식이 아닌 기계식 조작 패널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푸시버튼이 있다.
푸시버튼이란, 탄성 지지되는 누름부재를 눌러서, 조작 패널의 제어기판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기능 내지 작동 등을 ON/OFF 시켜 제어하는 것으로,
종래의 푸시버튼은, 누름부재가 결합된 하우징의 전면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조작 패널의 전면에 상기 전면 테두리가 걸리도록 푸시버튼이 버튼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작 패널의 배면으로 돌출된 하우징에 너트부재 등을 체결함으로써, 전면 테두리와 너트부재 사이에 조작 패널이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 경우, 푸시버튼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선, 전면 테두리와 너트부재, 특히 전면 테두리가 일정 면적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즉 전면 테두리의 내외측 폭 너비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바,
종래의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의 경우,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전면 테두리의 두께가 두꺼워져 조작 패널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전면 테두리의 두께 확보를 위해 푸시버튼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밖에 없어 다수개의 푸시버튼이 구비된 조작 패널은 그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은, 각각의 푸시버튼이 조작 패널에 직접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푸시버튼들 배면 측에 이들과 연결된 제어기판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어기판의 교체 내지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조작 패널 전체 부품을 분해 후 재조립해야 하고,
특히 조작의 편의를 위해 소정 개수의 푸시버튼들로 이루어진 버튼 군(群) 복수개가 조작 패널의 일정 영역별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게 되면, 교체 내지 수리 등이 필요 없는 버튼 군(群) 까지도 함께 분해 및 재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푸시버튼의 조립성 향상 및 푸시버튼의 베젤부가 노출되는 두께를 최대한 얇게 유지함으로써 조작 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승강홀과 상기 승강홀을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승강홀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끼움공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 상기 하우징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베젤부가 끼워지는 노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을 모두 덮으면서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베젤부와 누름부재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푸시버튼의 탈부착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푸시버튼의 하우징에 후크부를 구비하여, 푸시버튼이 리어 패널의 장착공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의 결합이 쉬우면서, 프론트 패널의 전면으로 체결부재가 돌출 형성되지 않으며, 체결부재를 제어기판의 결합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을 구비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전단부에 연결된 접시머리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가, 프론트 패널의 전면에서 압입되어 프론트 패널과 접시머리부가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결합되며, 리어 패널에 상기 몸통부가 억지 끼움되면서 결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어 있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조작 패널을 저렴한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제작 가능하며, 필요 시 저가의 시트지 교체를 통해 푸시버튼들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전면에 승강홀과 상기 승강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승강홀에서 승하강하도록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프론트 패널, 리어 패널 및 시트지로 구성된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리어 패널에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공을 천공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 상기 하우징의 크기에 대응되는 끼움공을 천공하고, 상기 시트지에 상기 베젤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노출공을 천공하는, 패널 및 시트지 가공 단계; b) 상기 푸시버튼의 하우징을 상기 리어 패널의 장착공에 끼워서 장착하는, 푸시버튼 조립 단계; c)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b) 단계의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패널 결합 단계; 및 d) 상기 시트지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을 모두 덮도록 부착하는, 시트지 부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베젤부와 누름부재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은,
전면에 승강홀과 상기 승강홀을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승강홀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끼움공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
상기 하우징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베젤부가 끼워지는 노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을 모두 덮으면서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베젤부와 누름부재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에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장착공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나사공을 구비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전단부에 연결된 접시머리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가, 프론트 패널의 전면에서 압입되어 프론트 패널과 접시머리부가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결합되며,
상기 리어 패널은, 상기 몸통부가 억지 끼움되면서 결합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전면에 승강홀과 상기 승강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승강홀에서 승하강하도록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프론트 패널, 리어 패널 및 시트지로 구성된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리어 패널에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공을 천공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 상기 하우징의 크기에 대응되는 끼움공을 천공하고, 상기 시트지에 상기 베젤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노출공을 천공하는, 패널 및 시트지 가공 단계;
b) 상기 푸시버튼의 하우징을 상기 리어 패널의 장착공에 끼워서 장착하는, 푸시버튼 조립 단계;
c)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b) 단계의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패널 결합 단계; 및
d) 상기 시트지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을 모두 덮도록 부착하는, 시트지 부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베젤부와 누름부재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저가의 비용으로 조작 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조작 패널을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푸시버튼의 조립성 향상 및 조작 패널의 유지, 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저가의 시트지 사용을 통해 조작 패널의 푸시버튼 배치 등을 쉽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패널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패널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패널의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을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도 2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평면도인 도 1, 본 발명의 단면도인 도 2, 본 발명의 사시도들인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P)은, 크게 푸시버튼(10), 프론트 패널(20), 리어 패널(30), 시트지(40)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버튼(10)은, 조작 패널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제어기판(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되어, 푸시버튼(10)의 누름부재(17)를 가압함에 따라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ON/OFF 함으로써, 조작 패널의 제어 내지 기능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조작 패널 내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누름부재(17)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은,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5)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몸체(11)는,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된 승강홀(12)과, 전면부의 전면에 상기 승강홀(12)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12a)를 구비하고, 이 승강홀(12)에 누름부재(17)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베젤부(12a)가 누름부재(17)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전면 테두리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재(17)는, 후단부 외측에 돌출된 걸림부(17a)를 구비하여, 승강홀(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부(17a)가 승강홀(12) 내주면에 걸리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누름부재(17)가 승강홀(12)의 전면으로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누름부재(17)는, 제어기판과 선택적으로 접촉 내지 단속(斷續)되는 지지부재(18)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누름 하강 후 자동으로 상승 복귀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스위치이다.
상기 하부 몸체(15)는,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홀(15a)을 구비하고, 이 연결홀(15a)에 지지부재(18)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18)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가요성 소재로 제작된 접촉부(18a)를 구비하여, 접촉부(18a)가 누름부재(17)를 승강홀(12)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며,
접촉부(18a)는 누름부재(17)의 가압에 따라 제어기판의 접속부에 물리적인 접촉 내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ON/OFF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푸시버튼(10)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 패널(30)에 천공된 장착공(31)에 끼워져 장착된다.
이때 푸시버튼(10)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장착공(31)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도 2 및 도 4에서는, 상부 몸체(11)의 전면부 배면에서 후방측으로 돌출 연결된 제1 후크(13)가 구비되어, 상부 몸체(11)의 전면부와 제1 후크(13)의 걸림돌기 사이에 리어 패널(30)이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의 전면부가 프론트 패널(20)의 끼움공(21)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상부 몸체(11)의 전면부가 리어 패널(30)이 걸림 가능한 정도로 최소한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어, 푸시버튼(10)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 조작 패널 전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몸체(11)와 상기 하부 몸체(15)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예를 틀어 볼트 결합 등)으로 구현 될 수 있는데, 하우징 전체의 소형화, 하우징의 조립성 향상 및 누름부재(17)나 지지부재(18) 교체 등의 편의를 위해,
몸체들 중 어느 하나에 제2 후크(16)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후크(16)의 걸림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후크 결합공(14)을 구비하여,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5)가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하부 몸체(15)에 제2 후크(16)가 구비되고, 제2 후크(16)에 대응하여 상부 몸체(11)에 후크 결합공(1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의 구성 또한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조작 패널의 전체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푸시버튼(10)의 하우징, 특히 상기 상부 몸체(11)의 전면부가 끼워지는 장착공(31)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전후 두께가, 상기 상부 몸체(11)의 전면부 전후 두께(D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리어 패널(30)에 의해 상부 몸체(11)의 전면부가 끼움공(21)에 끼워질 때, 상기 상부 몸체(11)(보다 엄밀하게는 전면부)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베젤부(12a)가 상기 끼움공(21)으로 끼워지면서 끼움공(21)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프론트 패널(20)의 끼움공(21)은, 상부 몸체(11) 전면부의 크기와 1:1 대응하는 크기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어, 푸시버튼(10)의 장착을 보조함과 아울러,
베젤부(12a)를 제외한, 프론트 패널(20)의 전면 전체가 플랫(flat)한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리어 패널(30)은, 상기 푸시버튼(10)이 장착되어, 푸시버튼(10)을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끼움공(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보다 엄밀하게는 상부 몸체(11)의 제1 후크(13))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공(31)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착공(31)에, 푸시버튼(10)의 후크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30)은, 상부 몸체(11) 전면부와 제1 후크(13)의 걸림돌기 사이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제작되며,
이때 장착공(31)의 크기는, 제1 후크(13)들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연장선 둘레의 크기와 1:1 대응하는 크기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푸시버튼(10)을 장착공(31)의 전면에서 후방측으로 끼워서 후크 결합한 상태에서, 이러한 푸시버튼(10)과 리어 패널(30)의 조립체를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 결합하면,
장착공(31)을 관통하면서 끼워진 상부 몸체(11)의 전면부가 끼움공(21)에 끼워지면서, 베젤부(12a)를 제외한 프론트 패널(20)의 전면 전체가 플랫하게 연결되고, 베젤부(12)가 끼움공(21) 전면으로 돌출되며,
푸시버튼(10)은, 제1 후크(13)를 이용한 걸림 결합 및 끼움공(21)의 끼움 결합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3의 미설명 도면 부호 21a, 31a 는 버튼의 ON/OFF 표시 내지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가 구비되는 램프공이다.
이어서 상기 시트지(40)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덮으면서 각 푸시버튼(10)의 표시 문자 내지 기호, 각 기능의 설명 내지 표시 등, 조작 패널의 기본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베젤부(12a)가 끼워지는 노출공(41)을 구비하여, 상기 베젤부(12a)(누름부재(17) 포함)를 제외한 상부 몸체(11)의 전면부와 프론트 패널(20) 모두를 덮으면서 부착된다.
즉, 상기 시트지(40)의 노출공(41)은, 상기 베젤부(12a)의 크기와 1:1 대응하는 크기 관계를 갖는다.
이때 시트지(40)의 전후 두께는, 베젤부(12a)의 돌출 높이(D2)와 동일하거나, 베젤부(12a)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트지(40)를 부착하면, 베젤부(12a)를 제외한 상부 몸체(11)의 전면부 및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시트지(40)가 가리면서,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10)의 베젤부(12a)와 누름부재(17)만이 노출되어,
조작 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푸시버튼(10)들 사이의 간격을 종래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조작 패널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을 이용한, 푸시버튼(10)의 2단 결합 구조를 통해, 푸시버튼(10)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푸시버튼(10)의 조립성 향상 및 푸시버튼(10)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지(40)는, 조작 패널의 정보가 인쇄된 일반 종이나 필름 재질로 제작 가능하나, 시트지(40) 자체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얇은 박판의 금속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어 패널(30)은, 상기 프론트 패널(20)과 동일 또는 상응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나, 조작 패널에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푸시버튼(10)들이 일정 영역에 군집하여 하나의 버튼 군(群)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리어 패널(30)은, 하나의 버튼 군(群)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복수개 제작하여, 각 리어 패널(30)이 하나의 프론트 패널(20) 배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푸시버튼(10) 배치에 따라, 하나의 프론트 패널(20)에 하나의 리어 패널(30)이 대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프론트 패널(20)에 복수개의 이러 패널(30)이 대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의 결합은 볼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20) 전면에 시트지(40)가 부착되는 바, 볼트 사용 시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이 플랫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부착되는 시트지(40) 역시 플랫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20)의 플랫한 전면을 형성하면서, 푸시버튼(10)과 연결되는 제어기판을 리어 패널(30)의 배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도 2의 원내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나사공(23a)을 구비한 몸통부(23A)와 상기 몸통부(23A)의 전단부에 연결된 접시머리부(23B)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3)가,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에서 압입되어 프론트 패널(20)과 접시머리부(23B)가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결합되며,
상기 리어 패널(30)은, 상기 프론트 패널(20)을 관통하여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몸통부(23A)가 억지 끼움되면서 결합되는 결합공(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23)는, 일종의 무두볼트 내지 접시머리볼트로써, 다각 형상의 접시머리부(23B)가 압입에 의해 프론트 패널(20)에 매립되면서,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플랫하게 유지하고,
이렇게 결합된 결합부재(23)의 몸통부(23A)에, 리어 패널(30)의 결합공(32)이 억지 끼움되면서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며,
이때 결합부재(23)의 몸통부(23A)에 구비된 나사공(23a)은, 제어기판의 볼트 결합에 사용된다.
이러한 결합부재(23)는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의 전체 형상 내지 크기 관계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23)가 패널 조립체의 외측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결합부재(23)를 사용하는 경우, 이에 억지 끼움된 리어 패널(3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승강홀(12)과 상기 승강홀(12)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12a)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승강홀(12)에서 승하강하도록 누름부재(17)를 포함하는 푸시버튼(10), 프론트 패널(20), 리어 패널(30) 및 시트지(40)로 구성된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리어 패널(30)에 상기 하우징(보다 엄밀하게는 상부 몸체(11)의 전면부)이 장착되는 장착공(31)을 천공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상기 하우징보다 엄밀하게는 상부 몸체(11)의 전면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끼움공(21)을 천공하고, 상기 시트지(40)에 상기 베젤부(12a)의 크기에 대응되는 노출공(41)을 천공하는, 패널 및 시트지 가공 단계;
b) 상기 푸시버튼(10)의 하우징(보다 엄밀하게는 상부 몸체(11)의 전면부)을 상기 리어 패널(30)의 장착공(31)에 끼워서 장착하는, 푸시버튼 조립 단계;
c) 상기 하우징(보다 엄밀하게는 상부 몸체(11)의 전면부)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베젤부(12a)가 상기 끼움공(21)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b) 단계의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 결합하는, 패널 결합 단계; 및
d) 상기 시트지(40)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모두 덮도록 부착하는, 시트지 부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P)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10)의 베젤부(12a)와 누름부재(17)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패널 및 시트지 가공 단계는, 일종의 부품 준비 단계로써,
리어 패널(30)에 천공되는 장착공(31)의 크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후크(13)들의 전체 범위에 1:1 대응하게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0)에 천공되는 끼움공(21)의 크기는 상기 상부 몸체(11)의 전면부 전체 크기와 1:1 대응하게 형성되고,
시트지(40)에 천공되는 노출공(41)의 크기는 사기 베젤부(12a)의 전체 크기와 1:1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패널(20), 리어 패널(30), 시트지(40)의 각 전후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10)의 부위별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c) 패널 결합 단계 및 d) 시트지 부착 단계를 거쳤을 때, 시트지(40) 전체가 플랫하게 부착되면서, 푸시버튼(10)의 베젤부(12a)만이 시트지(40)의 노출공(41)을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b) 푸시버튼 조립 단계는, 푸시버튼(10)을 리어 패널(30)에 1차 조립하는 단계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10)의 제1 후크(13)를 이용해, 푸시버튼(10)을 장착공(31)의 전면에서 후방측으로 밀어서, 푸시버튼(10)이 리어 패널(30)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c) 패널 결합 단계는, 푸시버튼(10)과 리어 패널(30)의 조립체를,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 결합하는 단계로써,
프론트 패널(20)에 상기 결합부재(23)를 압입하여, 결합부재(23)의 접시머리부(23B)가 프론트 패널(20)의 안착홈(22)에 매립되도록 하며,
프론트 패널(20) 배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23)의 몸통부(23A)에, 리어 패널(30)의 결합공(32)을 억지 끼움하여,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을 결합한다.
이때,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을 먼저 결합한 후에, 프론트 패널(20)의 끼움공(21)을 통해 푸시버튼(1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러한 단계별 순서가 달라지는 것으로 인해 본원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d) 시트지 부착 단계는, 접착제를 이용해 시트지(40)를 프론트 패널(20) 전면 전체에 부착하는 단계로써,
이때 사용되는 시트지(40)는, 얇은 두께의 금속소재가 사용되어, 금속 접착용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지(40)는, 금속소재의 패널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만약 푸시버튼(10)의 구조 변경 내지 배치 형태 변경이 필요한 경우, 그에 맞게 노출공(41)이 천공된 새로운 시트지(40)를 프론트 패널(20) 전면에 교체하여 부착하더라도 비용 부담이 적으며,
알루미늄과 같은 얇은 두께의 금속 시트지(40)의 경우, 그 자체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보장하기 때문에, 특정 푸시버튼(10)을 제거한 상태에서 금속 시트지(40)를 부착하더라도, 끼움공(21)을 덮는 부위가 눌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푸시버튼 11 : 상부 몸체
11a : 전면부 12 : 승강홀
12a : 베젤부 13 : 제1 후크
14 : 후크 결합공 15 : 하부 몸체
15a : 연결홀 16 : 제2 후크
17 : 누름부재 17a : 걸림부
18 : 지지부재 18a : 접촉부
20 : 프론트 패널 21 : 끼움공
22 : 안착홈 23 : 결합부재
23A : 몸통부 23a : 나사공
23B : 접시머리부 30 : 리어 패널
31 : 장착공 21a, 31a : 램프공
40 : 시트지 41 : 노출공

Claims (4)

  1. 전면에 승강홀(12)과 상기 승강홀(12)을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12a)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승강홀(12)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누름부재(17)를 포함하는 푸시버튼(10);
    끼움공(21)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20);
    상기 하우징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공(31)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21)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패널(30); 및
    상기 베젤부(12a)가 끼워지는 노출공(41)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모두 덮으면서 부착되는 시트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10)의 베젤부(12a)와 누름부재(17)만이 노출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나사공(23a)을 구비한 몸통부(23A)와 상기 몸통부(23A)의 전단부에 연결된 접시머리부(23B)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3)가,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에서 압입되어 프론트 패널(20)과 접시머리부(23B)가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결합되며,
    상기 리어 패널(30)은, 상기 몸통부(23A)가 억지 끼움되면서 결합되는 결합공(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0)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장착공(31)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3. 삭제
  4. 전면에 승강홀(12)과 상기 승강홀(12)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베젤부(12a)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승강홀(12)에서 승하강하도록 누름부재(17)를 포함하는 푸시버튼(10), 프론트 패널(20), 리어 패널(30) 및 시트지(40)로 구성된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리어 패널(30)에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공(31)을 천공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상기 하우징의 크기에 대응되는 끼움공(21)을 천공하고, 상기 시트지(40)에 상기 베젤부(12a)의 크기에 대응되는 노출공(41)을 천공하는, 패널 및 시트지(40) 가공 단계;
    b) 상기 푸시버튼(10)의 하우징을 상기 리어 패널(30)의 장착공(31)에 끼워서 장착하는, 푸시버튼(10) 조립 단계;
    c)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이 서로 높이 단차를 갖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가 상기 끼움공(21)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b) 단계의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 결합하는, 패널 결합 단계; 및
    d) 상기 시트지(40)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모두 덮도록 부착하는, 시트지(40) 부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조작 패널의 전면으로, 상기 푸시버튼(10)의 베젤부(12a)와 누름부재(17)만이 노출되고,

    나사공(23a)을 구비한 몸통부(23A)와 상기 몸통부(23A)의 전단부에 연결된 접시머리부(23B)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3)를 포함하여,
    상기 c) 패널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재(23)의 접시머리부(23B)가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에 매립되도록 압입하고,
    프론트 패널(20) 배면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부재(23)의 몸통부(23A)에, 리어 패널(30)의 결합공(32)을 억지 끼움하여,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60156753A 2016-11-23 2016-11-23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3A KR101842533B1 (ko) 2016-11-23 2016-11-23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3A KR101842533B1 (ko) 2016-11-23 2016-11-23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533B1 true KR101842533B1 (ko) 2018-03-27

Family

ID=6187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53A KR101842533B1 (ko) 2016-11-23 2016-11-23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94A1 (ko) * 2021-10-28 2023-05-04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KR20240021531A (ko) 2022-08-10 2024-02-19 이강대 메탈 커버가 구비된 푸시 버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9670A (ja) * 2010-09-13 2012-03-22 Tokai Rika Co Ltd パネル埋込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9670A (ja) * 2010-09-13 2012-03-22 Tokai Rika Co Ltd パネル埋込スイッ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94A1 (ko) * 2021-10-28 2023-05-04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KR20230061666A (ko) * 2021-10-28 2023-05-09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KR102615952B1 (ko) 2021-10-28 2023-12-22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KR20240021531A (ko) 2022-08-10 2024-02-19 이강대 메탈 커버가 구비된 푸시 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890B1 (en) Button structur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8046032B2 (en) Panel construction for housing keypads of mobile computing device
US7378609B1 (en) Metal dome switch assembly with enhanced snap ratio
US8270158B2 (en) Housing construc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842533B1 (ko) 푸시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6768070B2 (en) Switches
US7335842B2 (en) Housing device with fixing member for push button
JP2008016220A (ja) キーシート
US5578802A (en) Keypad structure including switches with external metal dome like spring operating members
KR100863212B1 (ko) 벽면매입타입용 터치스위치유닛
JPH06209849A (ja) 調理器
US20040203514A1 (en) Mobile phone with detachable covers
CN108779780B (zh) 电风扇
KR10068101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탈돔 체결구조
JP3006120U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CN103935853A (zh) 一种电梯专用控制按钮装置
CN215773079U (zh) 一种触控按键模组和控制面板
JP4717787B2 (ja) 押釦スイッチの構造
JP2005141922A (ja) スイッチおよび板状スイッチの表側部材
KR200403542Y1 (ko) 오버몰딩된 이엘 일체형 박막 키패드
JPH0726655Y2 (ja) 測定器
KR101657476B1 (ko) 공작기계용 터치형 조작반
KR20030079363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US20030235297A1 (en) Mobile phone with detachable covers
KR100533263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