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878B1 - 손떨림 상쇄 손잡이 - Google Patents

손떨림 상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878B1
KR101841878B1 KR1020170106372A KR20170106372A KR101841878B1 KR 101841878 B1 KR101841878 B1 KR 101841878B1 KR 1020170106372 A KR1020170106372 A KR 1020170106372A KR 20170106372 A KR20170106372 A KR 20170106372A KR 101841878 B1 KR101841878 B1 KR 10184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ibration
coupling
canceling
sh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왕
박재흔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이건왕
박재흔
김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왕, 박재흔, 김유경 filed Critical 이건왕
Priority to KR102017010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Landscapes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상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떨림으로 인한 외부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수전증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보호자 없이 식사나 요리를 할 경우 손떨림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떨림 상쇄 손잡이{DEVICE FOR CANCELING HAND VIBRATION}
본 발명은 손떨림 상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선천적 또는 과도한 음주와 같은 후천적 요인으로 수전증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수전증 환자들의 경우 손떨림으로 인하여 정교한 작업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5680호(공개일자: 2009. 09.10일)에는 '손떨림 보정과 자동초점 기능을 일체화한 영상촬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사용자의 손떨림이 발생될 경우 피사체로부터의 광진행 방향에 위치한 가동거울을 전자기적인 힘을 통해 2축 틸트 구동하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영상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수전증 환자들을 위한 식기나 주방용품들은 출시되지 않고 있어 수전증 환자들이 주방에서 요리를 하거나 식사를 하는 경우 큰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떨림으로 인한 외부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수전증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보호자 없이도 식사를 하거나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손떨림 상쇄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식기 및 주방용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손떨림 상쇄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단부에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식기의 일단이 내삽되는 손잡이 결합부(100);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외부 응력에 따라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며, 외부 진동을 상쇄하는 손떨림 방지부(200);를 포함하는 손떨림 상쇄 손잡이(1)를 포함하는 손떨림 상쇄 손잡이를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는, 원주방향으로 2 이상 분할되어 상기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식기의 일단이 내삽되는 결속대(110); 및 상기 결속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결속대(110)의 내경을 조절하는 조임쇠(160);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손떨림 방지부(200)는, 외부 진동(240)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센서(250); 상기 움직임 센서(250)로부터 상기 진동신호를 전달받아 파형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파형 데이터를 상기 외부 진동(240)과 위상이 반전된 진동상쇄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보드(270); 및 상기 제어보드(270)로부터 상기 진동상쇄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 진동(240)이 상쇄되도록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를 제어하는 서보 모터(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하면, 손떨림으로 인한 외부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수전증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보호자 없이 식사나 요리를 할 경우 손떨림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식기 및 주방용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떨림 상쇄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떨림 상쇄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떨림 상쇄 손잡이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손떨림 상쇄 손잡이에 주방 용품의 손잡이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떨림 상쇄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떨림 상쇄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떨림 상쇄 손잡이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손떨림 상쇄 손잡이에 주방 용품의 손잡이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떨림 상쇄 손잡이(1)는 전단부에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식기(미도시)의 일단이 내삽되는 손잡이 결합부(100); 및 손잡이 결합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외부 응력에 따라 손잡이 결합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며, 외부 진동을 상쇄하는 손떨림 방지부(200);를 포함여 구성된다.
손잡이 결합부(100)는 전단에 후라이팬, 냄비, 식도와 같은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수저, 젓가락, 포크와 같은 식기의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손잡이 결합부(10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 결합부(100)는 원주방향으로 2 이상 분할되어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식기의 일단이 내삽되는 결속대(110); 및 결속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며 결속대(110)의 내경을 조절하는 조임쇠(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손잡이 결합부(100)는 결속대(110)의 후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고정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속대(110)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손잡이 삽입홀(1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2 이상 분할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결속대(110)가 원주방향으로 3 분할된 예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손잡이 삽입홀(150)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주방용품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대(110)는 전체 또는 일부분에 후술할 조임쇠(16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13)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113)는 일예로 전단 부분에 후단에서 전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부(113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테이퍼부(113a)가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결속대(110)는 조임쇠(160)가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내경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이어서, 조임쇠(160)는 결속대(110)에 결합되는데, 결속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속대(110)의 나사부(113)에 나사결합된다.
즉, 조임쇠(160)는 내주면에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결속대(110)의 나사부(113)와 나사결합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테이퍼부(113a)로 이동되는 경우 손잡이 삽입홀(150)에 주방용품 손잡이나 식기가 결합되도록 결속대(110)의 내경이 작아지게 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테이퍼부(113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손잡이 삽입홀(150)로부터 주방용품 손잡이나 식기가 분리될 수 있도록 결속대(110)의 내경이 커지게 한다.
이어서, 삽입고정부(112)는 결속대(110)의 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손떨림 방지부(200)의 전단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삽입고정부(112)는 일예로 결속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삽입고정부(112)는 손떨림 방지부(2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손떨림 방지부(200)는 손잡이 결합부(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외부 응력에 따라 손잡이 결합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며 손떨림 등으로 인한 외부 진동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손떨림 방지부(20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떨림 방지부(200)는 케이스부(220)와, 외부 진동(240)을 감지하여 진동신호(i1)를 출력하는 움직임 센서(250); 움직임 센서(250)로부터 진동신호(i1)를 전달받아 파형데이터로 변환하고, 파형데이터를 외부 진동(240)과 위상이 반전된 진동상쇄데이터(d1)로 변환하는 제어보드(270); 및 제어보드(270)로부터 진동상쇄데이터(d1)를 전달받아 외부 진동(240)이 상쇄되도록 손잡이 결합부(100)를 제어하는 서보 모터(2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부(220)는 내부에 수용공간(미도시)이 형성되되, 전단에 손잡이 결합부(100)의 삽입고정부(1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속대삽입홀(210)이 형성되며, 상부에 삽입고정부(11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탈부착 버튼(230)이 구비된다.
여기서, 탈부착 버튼(230)은 일예로 케이스부(22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결속대삽입홀(210)에 삽입고정부(112)가 고정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결속대삽입홀(210)로부터 삽입고정부(112)가 분리되도록 한다.
움직임 센서(250)는 케이스부(22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데, 손떨림 등으로 인한 외부 진동(240)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220)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센서(250)는 손떨림 등으로 인한 외부 진동(240)을 감지하여 진동신호(i1)를 출력하며, 출력된 진동신호(i1)를 후술할 제어보드(27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보드(270)는 움직임 센서(205)와 함께 케이스부(22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보드(270)는 움직임 센서(250)로부터 출력된 진동신호(i1)를 전달받아 진동신호(i1)와 대응되는 파형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보드(270)는 진동신호(i1)를 파형데이터로 변환한 후, 파형데이터를 외부 진동(240)과 위상이 반전된 진동상쇄데이터(d1)로 변환하여 후술할 서보 모터(281)로 전송한다.
서보 모터(281)는 제어보드(270)로부터 전동상쇄데이터(d1)를 전달받아 외부 진동(240)이 상쇄되도록 손잡이 결합부(100)의 삽입고정부(112)를 제어한다.
또한, 손떨림 방지부(200)는 응력센서(260) 및 솔레노이드 모터(2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응력센서(260)는 움직임 센서(250)와 함께 케이스부(22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되, 손잡이 결합부(100)로부터 전해지는 외부 응력(245)을 감지하여 응력신호(i2)를 출력하며, 출력된 응력신호(i2)를 제어보드(27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보드(270)는 응력센서(260)로부터 응력신호(i2)를 전달받아 응력제어데이터(d2)를 출력하며, 출력된 응력제어데이터(d2)를 후술할 솔레노이드 모터(282)로 전송한다.
이어서, 솔레노이드 모터(282)는 제어보드(270)로부터 응력제어데이터(d2)를 전달받아 손잡이 결합부(1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모터(282)는 손잡이 결합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다양한 주방용품(300) 또는 식기를 본 발명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손떨림 상쇄부(200)로 전해지는 모멘트 값이 허용 응력을 초과하면 삽입고정부(112)를 손떨림 상쇄부(200)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손잡이 결합부(100)의 전체 길이를 줄여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전증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보호자 없이 식사나 요리를 할 경우 손떨림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기 및 주방용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손떨림 상쇄 손잡이
100 : 손잡이 결합부 110 : 결속대
112 : 삽입고정부 113 : 나사부
113a : 테이퍼부 150 : 손잡이 삽입홀
200 : 손떨림 방지부 210 : 결속대삽입홀
220 : 케이스부 230 : 탈부착 버튼
240 : 외부 진동 250 : 움직임 센서
260 : 응력센서 270 : 제어보드
281 : 서보 모터 290 : 외부 응력

Claims (3)

  1. 전단부에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식기의 일단이 내삽되는 손잡이 결합부(100);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외부 응력에 따라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며, 외부 진동을 상쇄하는 손떨림 방지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는,
    원주방향으로 2 이상 분할되고, 전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줄어들도록 테이퍼부(113a)가 형성된 나사부(113)가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주방 용품(300)의 손잡이 또는 식기의 일단이 내삽되는 결속대(110); 및
    상기 나사부(113)에 나사결합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결속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속대(110)의 내경을 조절하는 조임쇠(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상쇄 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방지부(200)는,
    외부 진동(240)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센서(250);
    상기 움직임 센서(250)로부터 상기 진동신호를 전달받아 파형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파형 데이터를 상기 외부 진동(240)과 위상이 반전된 진동상쇄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보드(270); 및
    상기 제어보드(270)로부터 상기 진동상쇄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 진동(240)이 상쇄되도록 상기 손잡이 결합부(100)를 제어하는 서보 모터(28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상쇄 손잡이.
KR1020170106372A 2017-08-23 2017-08-23 손떨림 상쇄 손잡이 KR10184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72A KR101841878B1 (ko) 2017-08-23 2017-08-23 손떨림 상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72A KR101841878B1 (ko) 2017-08-23 2017-08-23 손떨림 상쇄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878B1 true KR101841878B1 (ko) 2018-03-26

Family

ID=6191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72A KR101841878B1 (ko) 2017-08-23 2017-08-23 손떨림 상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66048A1 (es) * 2018-12-11 2020-06-11 Queralt Santiago Carbonell Utensilio para facilitar el agarre de cubiertos
KR20210096797A (ko) * 2020-01-29 2021-08-0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떨림 방지 스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66048A1 (es) * 2018-12-11 2020-06-11 Queralt Santiago Carbonell Utensilio para facilitar el agarre de cubiertos
KR20210096797A (ko) * 2020-01-29 2021-08-0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떨림 방지 스틱
KR102293973B1 (ko) * 2020-01-29 2021-08-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떨림 방지 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878B1 (ko) 손떨림 상쇄 손잡이
JP6846643B2 (ja) 撮像装置
JP5663897B2 (ja)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20150281582A1 (en) Imaging apparatus
US20150281581A1 (en) Imaging apparatus
AU2002366166A1 (en) Infrared imaging with single aspheric-holographic lens
US10911675B2 (en) Method for providing shake correc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and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JP4871153B2 (ja) ヘッド分離型カメラおよびカメラヘッド
JP5589499B2 (ja) カメラシステム、交換レンズおよびカメラボディ
JPH11284900A (ja) テレビカメラの防振装置
WO2020000314A1 (zh) 跟焦器和具有其的云台
US8494359B2 (en) Imaging apparatus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US8659669B2 (en) Image stabilization circuit with high pass filter
WO2020017461A1 (ja)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情報送信方法
JP2015023351A (ja) 撮像装置
US9961263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for correcting image blur
JP3867359B2 (ja) ブレ補正装置
JP2014186344A (ja) カメラボディ
JP3948065B2 (ja) ブレ補正装置、光学装置、及び、ブレ補正方法
US7202999B2 (en) Electronic binoculars
US9146394B1 (en) Clip-on eye piece system for handheld and device-mounted digital imagers
JP2002131820A (ja) テレビレンズ装置
JP4315538B2 (ja) 内視鏡システム
CN106921832B (zh) 光学式图像稳定化模块以及相机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