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97B1 -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97B1
KR101841497B1 KR1020160179035A KR20160179035A KR101841497B1 KR 101841497 B1 KR101841497 B1 KR 101841497B1 KR 1020160179035 A KR1020160179035 A KR 1020160179035A KR 20160179035 A KR20160179035 A KR 20160179035A KR 101841497 B1 KR101841497 B1 KR 10184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golf
unit
information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호
박건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마인드
Priority to KR102016017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인코딩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로부터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시작 단계; 상기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가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의 골프공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골프공 위치 결정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의 홀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홀 위치 결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부터 획득된 3D 그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퍼팅 라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GOLF PUTTING LINE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WITH LIDAR}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다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서 퍼팅(Putting)의 경우, 골프 그린의 핀(홀컵) 주변의 경사도 등의 정보(이하, 핀 위치 주변 정보)를 골퍼가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세기와 방향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볼을 홀컵(pin)에 집어넣어야 한다.
따라서, 퍼팅은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골프 경기에서 핀의 위치 주변 정보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어 왔고, 수많은 골퍼들은 그린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이러한 핀 위치 주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골프공 뒤편으로 몇 발자국 물러나 앉아서 또는 거의 지면과 눈높이를 일치시켜서 그린의 경사도를 관찰한다. 이때, 골프공과 홀컵 간의 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해, 좌측 또는 우측에서 관찰하기도 하고, 홀컵 뒤편 또는 후면에서도 관찰하기도 하며, 심지어 홀컵 주위에서의 미세한 경사도를 파악하기도 한다.
그러나, 골퍼 또는 캐디가 이렇게 실제 그린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핀의 위치 주변의 경사도 등의 정보를 전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수평측정 보조장치를 이용하거나, 실측을 통하여 그린의 대한 3차원 형상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하는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수평측정 보조 장치는 볼 마커(ball marker)에 수평을 재는 장치를 부착하여 골프공의 위치에서 그린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홀 컵 위치에서 경사도를 측정하여 퍼팅 방향각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측정 보조적인 장치에서는 두 지점 사이의 경사도는 측정할 수 있으나, 골프공과 핀 사이의
그린에 대한 전체적인 지형의 경사도는 측정이 어렵다.
그래서, 최근에는 볼 마커 대신에, 기울기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폰에 경사도 측정 앱을 탑재하여 활용하는 방법이 등장하였으나, 이는 볼 마커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서, 측정 수단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된 것에 불과하여, 여전히 골프공과 핀 사이의 그린에 대한 전체적인 지형의 경사도는 측정이 어렵다.
한편, 그린의 대한 3차원 형상정보를 실측을 통해서 획득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가장 정확하게 그린의 경사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고정밀 레이저 스캐너로 수 cm 간격의 그린상의 그리드 포인트에 대한 위치(위도, 경도) 및 고도(높이)를 측정하여 전체 그린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를 획득한 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필드의 골퍼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고정밀 레이저 스캐너는 휴대하기 어렵고, 따라서 3차원 형상정보가 미리 획득된 골프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형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3차원 형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치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나 검퓨터 프로그램 또한 함께 개발 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적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인코딩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로부터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가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의 골프공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의 홀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부터 획득된 3D 그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및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팅 기능을 가지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 단말, 서버, 모바일 단말, 이동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 카메라부(110), 제어부(120), 위치정보 획득부(130), 각속도 센서부(140), 출력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네트워크부(170), 연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존재하거나 이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린 탐지 라이다(LIDAR) 센서부(100),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골프 그린을 촬영하여 제어부(120)로 하여금 공의 위치 정보 및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카메라부(110) 및 상기 획득한 3D 그린 이미지, 상기 획득한 공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한 홀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유닛(122)을 포함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모바일 단말기(1000)의 적어도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모바일 단말기(1000)의 적어도 일 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100)는 모바일 단말기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레이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 송신 유닛(101),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집속 시키는 광 수신 유닛(102) 및 상기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광 감지 유닛(10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춤으로써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펄스 신호를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감지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물체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송수신 일체형 광학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대상체로부터 산란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골프장 그린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01)에서 조사된 광(예를 들어, 레이저 등)은 물체로부터 산란됨으로써, 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신호는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focusing)될 수 있고, 집속된 광신호는 광 감지 유닛(103)에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송신 유닛(101)에서 조사된 광은 골프장 그린에 있는 잔디나 암석, 흙 등에 의해 산란됨으로서 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산란된 광신호는 다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로 조사될 수 있고, 조사된 광신호는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 되고, 광 감지 유닛(103)에서 감지 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01)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송신 유닛(101)는 위상, 출력, 파장, 스펙트럼 특성, 펄스 폭 및 펄스 모양 등이 다양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송신 유닛(101)는 다양한 모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01)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 파장의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광원, 저전력이 가능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수신 유닛(102)는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광 감지 유닛(103)이 감지할 수 있도록, 산란된 레이저를 집속(focusing)시킬 수 있다.
광 수신 유닛(102)는 다양한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 유닛(102)는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감지 유닛(103)은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감지 유닛(103)는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된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광 감지 유닛(103)는 감지된 광신호에 대한 정보를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에 전송할 수 있다.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은 광 감지 유닛(300)에서 감지된 광신호들을 조합하여 3D 이미지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광을 조사하고,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되는 광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복수회 반복할 수 있고,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은 복수 회 동안 수집된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단일 또는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회전 또는 미러 주사(mirror-scanning)의 방식으로 주변 공간에 있는 사물의 거리 정보 등을 수집함으로써, 2차원 및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단일 레이저 빔을 골프장 그린에 동시에 확대 조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광을 다중 배열 수신소자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세분화된 화소별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골프장 그린에서의 현재 센싱되는 위치를 골프장 그린 상에 표시하는 포인터 유닛(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터 유닛(105)은 모바일 단말기(1000) 일면에 부착되어 골프장 그린에 광신호를 조사하여 현재 센싱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 유닛이 조사하는 광신호는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 유닛(105)은 골프장 그린에서 현재 센싱되는 위치와 출력부에 나타난 화면 중심과 일치하도록 광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포인터 유닛(105)은 광 송신 유닛(101)이 조사하는 광신호가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광신호를 골프장 그린에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부 통신 유닛(106)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부 전력 유닛(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106)은 광 감지 유닛(103)에 의해 감지된 광신호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 통신 유닛(106)은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에 의해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제어부 등으로 송신 할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106)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이 유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연결부(180)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부 전력 유닛(107)은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서부 전력 유닛(107) 연결부(180)를 이용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부 전력 유닛(107)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모바일 단말기(1000)의 적어도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에서,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되는 면과 상기 카메라가 형성된 면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카메라가 형성된 면이 동일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센싱하는 골프장 그린 방향과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부(110)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를 촬영하는 동시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제 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골프장 그린 센싱을 시작하고 그리고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골프장 그린 센싱을 종료함으로써 3D 그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는 시점을 카메라부(110)가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상기 카메라부(110)가 형성된 면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부(110)가 촬영하는 방향과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센싱하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적인 동작없이 카메라부가 제어부로 하여금 골프공 위치 정보와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가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는 수평으로 360도 센싱이 가능하여 카메라부가 골프공 위치 정보를 획득한 다음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까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골프장 그린을 촬영하여 제어부(120)로 하여금 공의 위치 정보 및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을 시작하여 골프장 그린을 촬영하여 출력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골프장 그린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골프공 위치 정보 및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가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면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카메라가 형성된 면이 동일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센싱하는 골프장 그린 방향과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부(110)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를 촬영하는 동시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골프공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골프공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16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터치스크린의 일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50) 화면에 표시된 골프공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화면에 표시된 골프공의 위치를 골프장 그린에서의 골프공의 위치로 결정하여 골프공 위치 정보로 획득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50) 화면에 표시된 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화면에 표시된 홀의 위치를 골프장 그린에서의 홀의 위치로 결정하여 홀 위치 정보로 획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와 송수신 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가 작동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와 여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작동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연결하거나 다시 연결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또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부(110)를 동작시킴으로서, 촬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획득한 촬영 정보를 출력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촬영 정보는 카메라부가 촬영하고 있는 다양한 피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골프공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제1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출력부(150)에 표시된 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제2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부(110)가 촬영하는 화면을 분석하여 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식된 홀의 위치를 출력부(15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인식된 골프공의 위치를 골프공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획득한 3D 그린 이미지, 획득한 공의 위치 정보 및 획득한 홀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하는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부(120)를 포함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유닛(122)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의해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에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골프공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정합하고, 공지의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의 방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거친 후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하게 되며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 방법은 아래와 같다.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은 일반적으로 힘의 원칙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게 되는데, 골프공 타격시 가해진 힘, 골프공과 그린과의 사이에 적용되는 정지마찰력, 골프공이 굴러가면서 발생하는 운동마찰력(translation friction과 rotational friction으로 구별됨), 그리고 그린의 경사에 따라서 발생하는 중력 등을 고려하여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서 시간축 대비 볼의 위치(위도, 경도, 고도)를 산출한다. 이때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가기 위한 최소 속도와 최대 속도를 사전에 지정하면, 퍼팅 타격 세기에 따라서 다른 궤적을 그리면서 홀컵에 골프공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타격 후의 골프공은 밀려가기도 하지만 회전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때리는 타법에 의하여 골프공은 초기에는 밀려가다가 그린의 마찰력 및 중력에 의해서 회전(Spin)이 발생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굴려치는 타법에 의한 골프공은 초기부터 회전이 발생하여 경사도에 민감하게 반등하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때리는 타법에 의한 괘적과 굴리는 타법에 의한 궤적은 다른 형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현재 위치 정보 및 각속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3D 그린 이미지 보정 유닛(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치 정보 획득부(130)에 의해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각속도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의 각속도를 기초로 3D 그린 이미지 보정 유닛(121)으로 하여금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는 중에 모바일 단말기(1000)의 위치 변화가 있거나 센싱하는 각도가 급격하게 변경되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와 각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제거하여 3D 그린 이미지 보정 유닛(121)으로 하여금 상기 오차가 반영되어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보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유닛(122)은 서버로부터 사전획득한 골프장의 코스 정보에 추가적으로 기초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서버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의해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는 네트워크부(170)에 의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작업을 통해 미리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골프장 그린의 잔디 상태나 종류에 관한 정보나 골프장이 위치한 곳의 날씨 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골프장의 코스 정보는 서버에 저장된 여러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골프장의 코스 정보는 네트워크부(170)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000)로 수신될 수 있다.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유닛(122)은 상기 골프장의 코스 정보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130)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각속도를 획득하기 위한 각속도 센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각속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3D 그린 이미지 보정 유닛(121)으로 하여금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보정하게 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13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치 정보 획득부(130)는 GPS 수신부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 획득부(130)는 GPS 위성으로부터 중계 또는 처리된 무선 신호(즉, GPS 신호)를 복조하여 모바일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속도 센서부(14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000)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각속도 센서부는 지구의 회전과 관계없이 물체가 항상 일정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0)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각속도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속도 센서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각속도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및/또는 회전각 센서 등)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00)는 각속도 센서, GPS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속도,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그린 이미지 정보 및/또는 퍼팅 라인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이러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지도 정보와의 정합을 통하여 임의의 지도의 형태로 퍼팅 라인 정보 및 그린 이미지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센서들은 일례에 불과할 뿐,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센서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와 각속도를 기초로 3D 그린 이미지 보정 유닛(121)으로 하여금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는 중에 모바일 단말기(1000)의 위치 변화가 있거나 센싱하는 각도가 급격하게 변경되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와 각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제거하여 3D 그린 이미지 보정 유닛(121)으로 하여금 상기 오차가 반영되어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보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하는 출력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제 1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적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여러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10)가 촬영하고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리나 냄새, 진동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 제 1사용자 입력과 제 2 사용자 입력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사용자 입력 후에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0)를 조작하는 경우에, 출력부(150)는 현재 화면 중심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 상의 위치가 이전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경우에 미리 결정된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표시는 붉은 점일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표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 간 거리, 센싱되고 있는 골프장 그린에서의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네트워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7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17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연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80)는 유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연결되는 케이블은 5pin 데이터 케이블, micro 8pin 케이블, 30pin 케이블일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106)는 연결부(18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 전력 유닛(107)은 연결부(180)를 통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자석을 이용하거나, 고정장치를 이용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에 씌울 수 있는 케이스를 이용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않고 부착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모바일 단말기(10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도3에서 도시하듯이 스마트폰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제외한 구성요소가 스마트폰 이용하여 동작하고,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 연결될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다양한 장치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포함하여 일체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시작 단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는 출력부에 미리 결정된 시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골프 퍼팅 라인 생성을 요청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내에 따라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을 입력(예를 들어 화면을 터치)을 하는 것으로 시작 단계는 수행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작 단계(200)는 제어부(120)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와 송수신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20)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와 여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작동하는지 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연결하거나 다시 연결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또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는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골프공 위치 결정 단계(210)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가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부를 동작시켜 촬영 정보를 출력부에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카메라부로 골프공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공 위치 결정에 응답하여 골프공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공 위치 결정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공 위치 결정 단계(210)는 제어부(120)가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부(110)를 동작시켜 촬영 정보를 출력부에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정보는 카메라부가 촬영하고 있는 다양한 피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결정된 시작 화면에서 화면을 터치하여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을 하면, 제어부는 카메라부(110)를 동작시켜 골프장 그린, 골프공 등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 정보로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카메라부로 골프공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는 카메라부(110)가 촬영 정보를 출력부(150)에 표시하면 출력부(150) 화면 상단에 골프공의 위치가 화면 중심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문구(501)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가 화면 중심에 놓이도록 모바일 단말기(1000)를 움직이면, 제어부(120)는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로 결정 될 수 있는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골프공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는 위치가 인식되면 사용자에게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위치에 골프공 아이콘(512)을 깜빡이게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는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 화면을 터치하여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안내하는 문구(511)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화면을 터치)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공 위치 결정 단계(210)는 제어부(120)가 제1사용자 결정에 응답하여 골프공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부(15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가 제1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을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공의 위치를 골프공의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골프공 아이콘(512)을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에 깜박이지 않게 표시하여 출력부(150)에 골프공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1000)는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홀 위치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카메라부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출력부에 표시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며, 제어부가 상기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 위치 결정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 위치 결정 단계(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출력부(150)에 표시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1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출력부(150) 화면 상단에 홀의 위치가 화면 중심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문구(611)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홀의 위치가 화면 중심에 놓이도록 모바일 단말기(1000)를 움직이면, 제어부(120)는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로 결정 될 수 있는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홀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는 위치가 인식되면 사용자에게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위치에 홀 깃발 아이콘(632)을 깜빡이게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는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 화면을 터치하여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안내하는 문구(631)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화면을 터치)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 위치 결정 단계는 제어부가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가 제2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을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장에서 홀의 위치를 홀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홀 깃발 아이콘(632)을 상기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에 깜박이지 않게 표시하여 출력부(150)에 홀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사용자에 의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로부터 획득된 3D 그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하는 퍼팅 라인 출력 단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는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제어부가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 생성을 시작하도록 하고, 제어부가 제2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 생성을 종료하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공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한 홀의 위치 정보를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에 정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하고,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 및 상기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팅 라인 출력 단계(230)는 하기와 같이 단계를 수행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 생성을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 제어부가 제2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 생성을 종료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는 카메라부가 형성된 면과 같은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360도 범위로 센싱 가능하여 카메라부의 촬영 범위보다 넓기 때문에,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으로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획득한 골프공의 위치 정보 및 획득한 홀의 위치 정보를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에 정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3D 그린 이미지는 골프장 그린의 특정 지점에서 경사도와 고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D 그린 이미지에 제어부가 획득한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정합하여, 3D 그린 이미지 상에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3D 그린 이미지와 골프공의 위치 정보, 홀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공지의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의 방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거친 후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생성하게 되며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 방법은 아래와 같다.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은 일반적으로 힘의 원칙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게 되는데, 골프공 타격시 가해진 힘, 골프공과 그린과의 사이에 적용되는 정지마찰력, 골프공이 굴러가면서 발생하는 운동마찰력(translation friction과 rotational friction으로 구별됨), 그리고 그린의 경사에 따라서 발생하는 중력 등을 고려하여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서 시간축 대비 볼의 위치(위도, 경도, 고도)를 산출한다. 이때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가기 위한 최소 속도와 최대 속도를 사전에 지정하면, 퍼팅 타격 세기에 따라서 다른 궤적을 그리면서 홀컵에 골프공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타격 후의 골프공은 밀려가기도 하지만 회전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때리는 타법에 의하여 골프공은 초기에는 밀려가다가 그린의 마찰력 및 중력에 의해서 회전(Spin)이 발생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굴려치는 타법에 의한 골프공은 초기부터 회전이 발생하여 경사도에 민감하게 반등하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때리는 타법에 의한 괘적과 굴리는 타법에 의한 궤적은 다른 형태를 갖게 된다.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는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홀의 위치까지 퍼팅시 골프공의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퍼팅 궤적 물성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골프공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퍼팅시 타격의 방향, 세기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 및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230)는 제어부(120)가 획득한 골프공 위치 정보와 획득한 홀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골프공과 홀 간의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제어부가 3D 그린 이미지 상에서 골프공의 위치 홀의 위치 간 거리를 계산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골프공과 홀 간의 거리는 퍼팅시 골프공의 경로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 상기 3D 그린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지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 3D 그린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지형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형정보는 골프장 그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지점에서 고도, 경사도 포함할 수 있고, 두 지점간의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형정보는 출력부에 등고선으로 표시될 수 있고, 명암이나 색을 이용하여 높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지형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D 폴리곤, 그리드 경사도, 포인트 기울기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 상기 3D 그린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지형정보를 표시하여 증강현실을 가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2사용자 입력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621)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제 1사용자 입력과 제 2 사용자 입력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621)을 출력부(150)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사용자 입력 후에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0)를 조작하는 경우에, 출력부(150)는 현재 화면 중심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 상의 위치가 이전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이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 간 거리, 센싱되고 있는 골프장 그린에서의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도3에서 도시하듯이 스마트폰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제외한 구성요소가 스마트폰 이용하여 동작하고,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 연결될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다양한 장치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포함하여 일체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레이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 송신 유닛(101),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집속 시키는 광 수신 유닛(102) 및 상기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광 감지 유닛(10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춤으로써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펄스 신호를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감지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물체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송수신 일체형 광학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대상체로부터 산란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는, 레이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 송신 유닛(101),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집속 시키는 광 수신 유닛(102) 및 상기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광 감지 유닛(103)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01)에서 조사된 광(예를 들어, 레이저 등)은 물체로부터 산란됨으로써, 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신호는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focusing)될 수 있고, 집속된 광신호는 광 감지 유닛(103)에서 감지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01)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송신 유닛(101)는 위상, 출력, 파장, 스펙트럼 특성, 펄스 폭 및 펄스 모양 등이 다양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송신 유닛(101)는 다양한 모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01)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 파장의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광원, 저전력이 가능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수신 유닛(102)는 골프장 그린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광 감지 유닛(103)이 감지할 수 있도록, 산란된 레이저를 집속(focusing)시킬 수 있다.
광 수신 유닛(102)는 다양한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 유닛(102)는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감지 유닛(103)은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감지 유닛(103)는 광 수신 유닛(102)에 의해 집속된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광 감지 유닛(103)는 감지된 광신호에 대한 정보를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감지된 광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은 광 감지 유닛(300)에서 감지된 광신호들을 조합하여 3D 이미지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광을 조사하고, 물체로부터 산란되는 광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복수회 반복하며, 복수 회 동안 수집된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단일 또는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회전 또는 미러 주사(mirror-scanning)의 방식으로 주변 공간에 있는 사물의 거리 정보등을 수집함으로써, 2차원 및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단일 레이저 빔을 관측 대상 공간에 동시에 확대 조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광을 다중 배열 수신소자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세분화된 화소별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골프장 그린에서의 현재 센싱되는 위치를 골프장 그린 상에 표시하는 포인터 유닛(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터 유닛(105)은 모바일 단말기(1000) 일면에 부착되어 골프장 그린에 광신호를 조사하여 현재 센싱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 유닛이 조사하는 광신호는 사람의 눈으로 인식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 유닛(105)은 골프장 그린에서 현재 센싱되는 위치와 출력부에 나타난 화면 중심과 일치하도록 광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포인터 유닛(105)은 광 송신 유닛(101)이 조사하는 광신호가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광신호를 골프장 그린에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부 통신 유닛(106)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부 전력 유닛(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106)은 광 감지 유닛(103)에 의해 감지된 광신호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 통신 유닛(106)은 그린 3D 그린 이미지 생성 유닛(104)에 의해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를 제어부 등으로 송신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 통신 유닛(106)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이 유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연결부(180)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부 전력 유닛(107)은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서부 전력 유닛(107) 연결부(180)를 이용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부 전력 유닛(107)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모바일 단말기(1000)의 적어도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에서,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되는 면과 상기 카메라가 형성된 면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카메라가 형성된 면이 동일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센싱하는 골프장 그린 방향과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부(110)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를 촬영하는 동시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제 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골프장 그린 센싱을 시작하고 그리고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골프장 그린 센싱을 종료함으로써 3D 그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는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는 시점을 카메라부(110)가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상기 카메라부(110)가 형성된 면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부(110)가 촬영하는 방향과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센싱하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적인 동작없이 카메라부가 제어부로 하여금 골프공 위치 정보와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가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는 수평으로 360도 센싱이 가능하여 카메라부가 골프공 위치 정보를 획득한 다음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까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골프장 그린을 촬영하여 제어부(120)로 하여금 공의 위치 정보 및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을 시작하여 골프장 그린을 촬영하여 출력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골프장 그린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골프공 위치 정보 및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가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면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부착되는 면과 카메라가 형성된 면이 동일하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센싱하는 골프장 그린 방향과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 정보와 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부(110)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를 촬영하는 동시에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가 골프장 그린을 센싱하여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연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80)는 유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연결되는 케이블은 5pin 데이터 케이블, micro 8pin 케이블, 30pin 케이블일 수 있다. 센서부 통신 유닛(106)는 연결부(18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 전력 유닛(107)은 연결부(180)를 통해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자석을 이용하거나, 고정장치를 이용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에 씌울 수 있는 케이스를 이용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않고 부착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모바일 단말기(10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가 부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0)는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의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에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골프장의 그린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에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골프장의 그린과 함께 특정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문구는 사용자의 행동을 지시하는 문구일 수 있다(501).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에 표시된 특정 문구에 따라, 사용자는 골프공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 되는 골프공이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촬영 되는 골프공이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0)는 골프공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의 특정 영역에 골프공이 위치한 것은 인식한 경우,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게 하는 제1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사용자 입력 요청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제1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출력부(150) 화면상에 골프공의 위치가 인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안내하는 문구(511)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출력부(150)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제1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2사용자 입력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621)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제 1사용자 입력과 제 2 사용자 입력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621)을 출력부(150)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사용자 입력 후에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0)를 조작하는 경우에, 출력부(150)는 현재 화면 중심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 상의 위치가 이전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이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 간 거리, 센싱되고 있는 골프장 그린에서의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0)는 사용자에 의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출력부(150)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의 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위치 결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20)는 골프공 위치 결정하는 제1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는 문구를 모바일 단말기(10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0)는 표시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모바일 단말기(1000)에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기(110)는 촬영 되는 화면을 출력부(150)에 표시하며, 출력부(150)의 상단에 홀의 위치가 화면 중심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문구(61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홀의 위치가 화면 중심에 놓이도록 모바일단말기를 움직이면, 모바일 단말기(1000)는 카메라부(110)가 촬영하는 골프장의 그린 화면을 분석하여, 홀의 위치로 결정 가능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20)는 인식된 홀의 위치로 결정 가능한 위치에 홀 깃발 아이콘(632)이 깜박이는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00)에 의해 홀의 위치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출력부(150)상에 홀의 위치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으로 제어부(120)가 홀의 위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는 홀의 위치로 결정 가능한 위치가 인식되면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게 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사용자 입력 요청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제2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기(10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의 위치로 결정 가능한 위치가 인식되었음을 출력부(150)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안내하는 문구(63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출력부(150) 화면을 터치하여 제2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기(1000)에 제공함으로써, 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0)는 사용자에 의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로부터 획득된 3D 그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사용자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출력부(150) 화면을 터치 하여 제2사용자 입력을 송신하면, 모바일 단말기(1000)는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100)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는 출력부(150)에 획득한 3D 그린 이미지에 골프공 위치 정보, 홀의 위치 정보를 정합하여 표시하고,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711)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는 출력부(150)에 골프공 위치 정보를 골프공 아이콘(512)으로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는 출력부(150)에 홀 위치 정보를 홀 깃발 아이콘(632)로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는 출력부(150)에 골프공의 위치와 홀의 위치 간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골프 퍼팅 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방향 정보 및 퍼팅 강도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1000)는 출력부(150)에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 골프 공 위치 정보 및/또는 홀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퍼팅 방향 정보 및 퍼팅 강도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방향 정보는, 골프 공이 타격되어야할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퍼팅 강도 정보는 볼이 타격되는 힘 또는 속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임의의 표현 방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가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골프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시작 단계;
    상기 골프 퍼팅 라인 정보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3D 그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상기 골프 퍼팅 라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부를 동작시켜 촬영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골프공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로 홀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로 하여금 3D 그린 이미지 생성을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로 하여금 상기 3D 그린 이미지 생성을 종료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골프공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한 홀 위치 정보를 상기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에 정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3D 그린 이미지 및 상기 생성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과 상기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사이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양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와 송수신하여 상기 그린 탐지 라이다 센서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골프공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한 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골프공과 상기 홀 간의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골프장 그린에 상기 3D 그린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지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골프 퍼팅 라인 정보, 상기 골프공 위치 정보 및 상기 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퍼팅 방향 정보 및 퍼팅 강도 정보를 상기 골프 퍼팅 라인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79035A 2016-12-26 2016-12-26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841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35A KR101841497B1 (ko) 2016-12-26 2016-12-26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35A KR101841497B1 (ko) 2016-12-26 2016-12-26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92A Division KR101974364B1 (ko) 2018-03-19 2018-03-19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97B1 true KR101841497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035A KR101841497B1 (ko) 2016-12-26 2016-12-26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561A (ko) * 2001-04-16 2002-10-28 (주)하이미디어통신 골프 스윙 셀프클리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7601A (ko) * 2010-03-25 2011-10-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3d 기반 골프 퍼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1083A (ko) * 2012-09-27 2014-04-04 김병천 이미지매칭에 의한 그린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7764B1 (ko) 2014-05-28 2015-12-1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561A (ko) * 2001-04-16 2002-10-28 (주)하이미디어통신 골프 스윙 셀프클리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7601A (ko) * 2010-03-25 2011-10-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3d 기반 골프 퍼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1083A (ko) * 2012-09-27 2014-04-04 김병천 이미지매칭에 의한 그린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7764B1 (ko) 2014-05-28 2015-12-1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082B2 (en) Position-based laser range finder
US1021722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ball spin
JP2019162447A (ja) ユーザがユーザ自身とランドマークとの間の距離を決定することを支援するシステム
KR101848892B1 (ko) 홀 컵과 깃대로 이루어진 홀 컵 구조물 기반의 골프장 거리 측정 시스템
CN105074776B (zh) 平面自然特征目标的原位形成
JP5365486B2 (ja) ゴルフスウィングの分類方法およびチャート
US20170010359A1 (en) Golf device with gps and laser rangefinder functionalities
JP5584961B2 (ja) ゴルフクラブの試打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クラブの試打方法
KR20180095588A (ko) 스포츠 기구의 운동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75711B2 (ja) ゴルフスイングの分類方法、分類システム、分類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08706B1 (ko) 골프스윙분석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전용 거치대
US20230085842A1 (en) Trajectory extrapolation and origin determination for objects tracked in flight and sensor coverage determination
US11964188B2 (en) Trajectory extrapolation for objects tracked in flight and sensor coverage determination
CN104204848A (zh) 具有测距相机的勘测设备
KR101974364B1 (ko)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0503461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KR101841172B1 (ko) 라이다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2018045B1 (ko) 라이다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2202594B1 (ko) 퍼팅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4549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KR101841497B1 (ko)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210008430A1 (en) Trajectory assistanc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102129129B1 (ko) 공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0158332A (ja) ゴルフクラブの選定方法
JP6710961B2 (ja) ゴルフスイングの解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