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85B1 -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85B1
KR101841485B1 KR1020170126906A KR20170126906A KR101841485B1 KR 101841485 B1 KR101841485 B1 KR 101841485B1 KR 1020170126906 A KR1020170126906 A KR 1020170126906A KR 20170126906 A KR20170126906 A KR 20170126906A KR 101841485 B1 KR101841485 B1 KR 10184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ttern
brick
length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두한
Original Assignee
김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한 filed Critical 김두한
Priority to KR102017012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ditional pattern brick stacking structure to stack a beautiful pattern, and a traditional pattern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icks are classified into a large stone, a small stone, a joint stone, an arced stone, and a crossing stone. First and second small stones are disposed adjacent to a central part of left and right longitudinal sides of the large stone, and third and fourth small stones are disposed adjacent to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arge stone, wherein the third small stone is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part of a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large stone and the fourth small stone is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large stone. A fifth small stone is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art of the first small stone and a sixth small stone is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part of the second small stone. First to fourth joint stones are disposed adjacent respectively to the third, sixth, fourth, and fifth small stones, first to fourth arced stones are disposed adjacent respectively to the first to fourth joint stones, and third and fourth crossing stones are disposed adjacent respectively to the third and fourth arced stones. Accordingly, a unit pattern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laminate certain patterns without errors.

Description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및 전통문양 시공 구조{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전통문양의 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문양을 벽돌로 구성하여 수려한 담벽 및 미려한 집벽, 그리고 바닥면을 시공할 때에 시공하는 것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traditional pattern, and is a technique relating to construction of a brick wall, a beautiful wall, and a floor when a floor pattern is constructed.

6도에서는 외장벽돌 부착용 가이드판재와 줄눈 시공용 가이드판재를 함께 이용한 외장벽돌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는 선행문헌인 특허등록번호 10-1559106(20156.10.02)호에 대한 기술이다. 6 show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xterior brick using a guide plate for external brick attachment and a guide plate for joint construction.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it is a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1559106 (20156.10.02).

종래기술에서는 우선 외장벽돌(3)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1) 전면에 상기 외장벽돌 부착용 가이드판재(10)를 부착한 다음, 외장벽돌(3)의 후면 또는 벽돌삽입공 내의 벽면(1)에 접착제를 바른 후, 벽돌문양판의 벽돌삽입공에 외장벽돌(3)을 삽입하여 벽면(1)에 부착한다.In the prior art, the exterior brick mounting guide plate member 10 is first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 to which the exterior brick 3 is to be installed, and the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rior brick 3 or the wall surface 1 in the brick- After applying the adhesive, the exterior bricks (3) are inserted into the brick insertion holes of the brick pattern plate and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1).

다음으로, 판재 형상으로 줄눈이 시공될 위치에 복수의 줄눈삽입공이 형성된 줄눈문양판으로 구성되는 줄눈 시공용 가이드판재(20)를 상기 벽면(1)에 부착된 외장벽돌(3)의 전면에 부착한다.Next, a guide plate member 20 for joint construction, which is formed of a joint patter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joint insertion hole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joint is to be formed in a plate shape,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brick 3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1 do.

상기 줄눈 시공용 가이드판재(20)는 피스, 볼트, 못 등의 결합부재 또는 줄눈문양판 후면의 접착층에 의하여 바탕면인 외장벽돌(3) 전면에 부착된다.The guide plate member 20 for joint construc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brick 3 as a base by a joining member such as a piece, a bolt, a nail, or an adhesive layer on the back side of the joint pattern plate.

물론, 상기 외장벽돌 부착용 가이드판재(10)는 벽면(1)에 그대로 존치시킬 수도 있다. Of course, the external brick attachment guide plate 10 may be left intact on the wall surface 1.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무늬를 나타내는 외장벽돌은 부착용으로 되는 것이나 전통문양을 벽돌로 직접 적층하는 것에 관한 기술은 알려지지 않았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s, the exterior bricks exhibiting the pattern are for attachment, and the technique for directly laminating the traditional patterns with the bricks is not known.

이에 본 발명인은 전통적인 담이나 집벽 또는 바닥면에 직접 문양을 내면서 벽돌로 적층하여 쌓는 기술 및 압착시공 구조를 개발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technique of stacking and stacking bricks with a pattern directly on a traditional wall, a house wall, or a floor surface, and a crimping construction structure.

대한민국특허청공개특허공보 10-2005-0035534(2005.04.18)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035534 (Apr. 18, 2005) 대한민국특허청공개특허공보 특1992-0001046(1992.01.29)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0001046 (1992.01.29)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공보 10-1559106(20156.10.02)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559106 (20156.10.02)

4개의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상이한 벽돌로 일정한 패턴의 무늬를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수려한 문양의 쌓기를 위한 것이다.It is for the purpose of stacking patterns with a uniform pattern with four bricks of the same width and different lengths repeatedly to build up the overall pattern.

길이와 폭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일정한 문양을 오차없이 적층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And to adjust the length and width appropriately so that a certain pattern can be laminated without error.

벽돌의 크기를 적절히 재단하여 외부에서는 벽돌과 벽돌간에 시멘트 줄눈이 없이 밀접하게 접하여 구성하고 일부면에서는 시멘트 줄눈을 두는 등 미려함과 견고함을 동시에 갖도록 벽돌을 재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utting a brick so that the brick is trimmed appropriately so that the brick and brick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cement joint and a cement joint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brick.

대석과 교석의 상부에 수평선을 연결하여 정확하게 조적하는 것이다.The horiz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ster and the master to precisely mate.

바닥면이나 수직면에 전통문양을 압착시공할 때에 시공기준선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정확한 시공을 하는 것이다.When the traditional pattern is squeezed on the floor or the vertical surface, the construction baseline is accurately found and the construction is done correctl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ructure.

전통문양을 벽돌 쌓기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대석, 소석, 접석, 호석 및 교석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되,       The brick is constructed by dividing a traditional pattern into brick, stone, stone, stone, and stone,

상기 대석;       The Daesung;

상기 대석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의 중앙부에 각각 제1소석 및 제2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A first fulcrum and a second fulcrum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s,

상기 대석의 상하에 제3 소석 및 제4 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되, 상기 대석을 중심으로 좌측상부에 상기 제3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대석의 우측 하부에 제4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며,Wherein the third and fourth quarts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edrock in such a manner that the third bedro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edrock and the fourth bedro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edrock,

상기 제1소석의 하부에 제5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2소석의 상부에 제6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며,Placing a fifth fence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ence, placing a sixth fence adjacent to the second fence,

상기 제3소석, 상기 제6소석, 상기 제4소석 및 상기 제5소석에 각각 제1접석 내지 제4접석을 접하여 배치하며,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hird stone, the sixth stone, the fourth stone and the fifth stone, respectively,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에 각각 제1호석, 제2호석,제3호석 및 제4호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3호석 및 상기 제4호석에 접하여 각각 제3교석 및 제4교석을 배치하여 단위 패턴을 구성한다.The first stone, the second stone, the third stone, and the fourth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respectively, and the third stone and the fourth stone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stone stone and the fourth stone stone, To constitute a unit pattern.

여기서 상기 대석과 상기 제6소석사이, 상기 대석과 상기 제5소석사이, 상기 제1소석과 상기 제3소석사이 및 상기 제2소석과 상기 제 4소석사이에 줄눈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joints between the magnets and the sixth magnets, between the magnets and the fifth magnets, between the first magnets and the third magnets, and between the second magnets and the fourth magnets.

또한 상기 제1호석과 상기 제3소석의 일부와 상기 대석의 일단부 및 제6소석사이,And a part of the first stone and the third stone, and between one end of the stone and the sixth stone,

상기 제2호석과 상기 제6소석의 일부와 상기 제2소석 및 상기 제4소석사이,Between the part of the second stone and the sixth stone and the second stone and the fourth stone,

상기 제3호석과 상기 대석의 타단부, 상기 제4소석의 일부 및 상기 제5소석사이,Between said third stone and said other end of said stone, between said part of said fourth stone and said fifth stone,

상기 제4호석과 상기 제3소석,상기 제1소석과 상기 제5소석의 일부사이에 줄눈을 배치하는 것이다.And a joint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stone and the third stone, and between the first stone and the fifth stone.

여기서 상기 줄눈은 내민줄눈으로 치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joint is preferably embellished with a welded joint.

여기서 상기 내민줄눈의 폭은 벽돌 폭의 60%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ealing joint is not more than 60% of the width of the brick.

여기서 상기 벽돌의 폭은 상기 줄눈폭의 3배인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width of the brick is preferably three times the joint width.

여기서 상기 제1 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의 벽돌의 크기는 상기 제1내지 상기 제6소석과 동일한 것이 좋다.Here, the size of the bricks of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o sixth marble.

여기서 상기 3 교석 및 상기 제 4교석은 상기 1호석 내지 상기 제4호석 보다 길이가 짧은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and fourth quadrants are preferably shorter than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여기서 상기 대석,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 상기 제1호석 내지 상기 제4호석 및 상기 제3 교석 내지 상기 제4교석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노출되지 않은 후면까지는 사면 가운데 어느 일면 또는 둘이상의 면을 테이퍼 형태로 들여서 깍기를 하여 보다 견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gnets, the first to sixth magnets, the first to fourth magnets, the first to fourth magnets, and the third to fourth magnets.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two of the slopes are tapered so as to be made more rigid.

여기서 상기 벽돌의 노출되는 면을 폭과 길이로 구분하되 상기 폭의 길이는 상기 대석, 상기 소석, 상기 접석, 상기 호석 및 상기 교석이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xposed surface of the brick is divided into a width and a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width is preferably the same as that of the stone, the stone, the stone, the stone, and the stone.

여기서 상기 소석의 길이는 소석의 폭에 줄눈폭을 더한 길이이다.Here, the length of the stone is the length of the stone plus the joint width.

여기서 상기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의 상기 대석과 상기 교석의 상단부에 맞춘 수평선이 시공기준선으로 구성하여 오차없이 쌓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tack the barrier ribs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unit patterns are continuous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orizontal lines aligned with the upper ends of the bricks.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의 상기 대석 하나와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이 포함되는 패턴기준은 정사각형으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상기 대석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한 길이와 같은 것으로 구성하여 전통문양쌓기를 오차없이 할 수 있는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pattern reference includes one of the above-mentioned unit patterns in which the unit pattern is continuou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the pattern reference that includes the first to sixth columns are square, And the length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raditional pattern can be built without error.

여기서 상기 패턴기준과 또 다른 패턴기준사이의 간격을 패턴간격으로 정사각형으로 상기 패턴간격은 가로세로의 길이가 교석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해준 길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reference and another pattern reference is a square with a pattern interval, and the pattern interval has a length equal to a length obtained by adding a width of a horizontal length and a length of a length of the edge.

여기서 시공기준선으로 상기 패턴기준과 상기 패턴간격을 수평 켜나누기를 하여 오차없이 전통문양벽돌을 쌓거나 수직면 및 수평면에 전통문양을 압착시공하는 것이다.Here,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interval are horizontally divided by the construction reference line so as to accumulate the traditional pattern bricks without any error or to press the traditional pattern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4개의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상이한 벽돌로 일정한 패턴의 무늬를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수려한 문양의 쌓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t is a brick which has four identical widths and has different lengths, repeatedly laminating patterns of a certain pattern, and there is an effect of accumulating a pattern which is entirely fine.

길이와 폭 및 줄눈폭을 규칙을 가지고 재단하고 적절하게 조정하여 일정한 문양을 오차없이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length, the width and the joint width can be trimmed with the rule and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a certain pattern can be stacked without error.

벽돌 하나를 전면부와 후면부의 접속면을 테이퍼 형태로 재단하여 외부에서는 벽돌과 벽돌간에 시멘트 줄눈이 없이 밀접하게 접하여 구성하고 일부면에서는 시멘트 줄눈을 두는 등 미려함과 견고함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One brick is cut in a tapered shape in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so that the brick and brick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cement joint, and a cement joint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brick. .

수평선을 잇는 줄을 대석과 교석의 상부에만 구성하여 정확하게 조적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line connecting the horizon is composed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epicenter and the center of gravity.

여기서 상기 패턴기준과 상기 패턴간격을 시공기준선으로 수평 켜나누기를 하여 오차없이 전통문양벽돌을 쌓거나 수직면 및 수평면에 전통문양을 압착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Here,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interval are horizontally divided by the construction reference line to accumulate the traditional patterned bricks without any error, or to apply the traditional pattern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제1도는 전통문양쌓기를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단위패턴과 각 벽돌의 크기를 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각 벽돌의 크기를 줄눈 간격과 대비하여 정교하게 오차 없이 쌓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평줄눈을 쌓는 방법과 벽돌의 재단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내민줄눈을 쌓는 방법과 벽돌의 재단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제3c도는 벽돌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재단방법에 따른 쌓기를 구체적으로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전통문양쌓기의 좌우구간을 나누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쌓기 위한 좌우측 동일한 켜를 연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제5a도에 따라 실제로 쌓는 순서를 보이는 도이다.
제5c도는 패턴기준을 보이는 도이다.
제5d도는 패턴기준을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기술과 관련된 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building of traditional patterns.
Figure 2a shows the unit pattern of Figure 1 and the size of each brick.
Figure 2b is a diagram that shows the stacking of each brick without any error, compared to the gap between the bricks.
Figure 3a shows how to build flat joints and how to cut bricks.
Figure 3b shows how to build joints and how to cut bricks.
FIG. 3c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acking according to the cutting method of the invisible portion of the brick.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division of the left and right sections of the traditional pattern building.
Figure 5a is a diagram showing the same left and right connections for stacking.
Figure 5b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stacking order according to Figure 5a.
Figure 5c is a diagram showing the pattern reference.
Figure 5d is a view of the pattern reference.
Figure 6 is a diagram related to the prior 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벽돌쌓기를 도면을 따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oncrete brick-lay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용어의 정의를 하면 하기와 같다.First, the definition of terms is as follows.

단위패턴 : 전통문양벽돌쌓기 문양은 서로 연결되기 위해 들어가는 최소 개수의 조각들로 호석4개, 소석10개(접석4개포함), 대석1개, 교석 2개로 구성된다.Unit Patterns: Traditional Patterns A brickwork pattern consists of a minimum number of piec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four piles, ten piles (including four piles), one facet, and two facets.

대석(臺石) : 대석은 단위 패턴의 중심이 되는 벽돌.Dae-seok: Dae-seok is the center of the unit pattern.

소석(素石) : 문양의 형태를 이루는 벽돌로 가장 작은 조각이며, 대석에 붙여 시공하거나, 소석과 소석을 붙여서 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Stone: It is the smallest piece of brick in the shape of a pattern. It is used for construction by attaching it to a great stone, or by attaching a stone and a stone.

접석(接石) : 접석은 소석에서 연결되어 호석과 연결되는 소석을 말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소석을 칭할 때 접석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A stone is a stone that is connected to a stone and connected to a stone. Unless otherwise specified below, stone shall be included when referring to stone.

호석(互石) : 문양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 접석에 붙여서 시공하는 벽돌로 중간크기임. Kishi (stone): It is a medium-sized brick that is attached to a ston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교석(橋石) : 호석과 호석사이에 시공되는 벽돌로 일정한 치수로 정하여 시공하는 조각임.Gyeongseok (brick stone): This is a brick constructed between a stone pavement and a stone pavement.

교호(交互)부 : 두 개의 문양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 호석, 교석, 호석으로 연결된 부분을 말한다.Alternate part: refers to a part connected by a stone, stone or stone to connect two patterns.

제1도는 전통문양쌓기를 보이는 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building of traditional patterns.

벽돌 쌓기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대석, 소석, 접석, 호석 및 교석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되,       The bricks are divided into a marble, a stone, a stone, a stone and a stone,

상기 대석(100);       The magnesite 100;

상기 대석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의 중앙부에 각각 제1소석(210) 및 제2소석(220)을 접하여 배치하고,The first and second fountains 210 and 22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gne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대석의 상하에 제3소석(230) 및 제4소석(240)을 접하여 배치하되, 상기 대석을 중심으로 좌측상부에 상기 제3소석(230)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대석의 우측 하부에 제4소석(240)을 접하여 배치하며,The third stone 230 and the fourth stone 24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gnets, the third magnets 23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magnets about the magnets, 4 quartz (240)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소석의 하부에 제5소석(250)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2소석(220)의 상부에 제6소석(260)을 접하여 배치하며,The first And a sixth fossil (26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fossil (220) above the second fossil (220)

상기 제3소석(230), 상기 제6소석(260), 상기 제4소석(240) 및 상기 제5소석(250)에 각각 제1접석 내지 제4접석(310,320,330,340)을 접하여 배치하며,The first to fourth seats 310, 320, 330 and 34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third seam 230, the sixth seam 260, the fourth seam 240 and the fifth seam 250, respectively,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310,320,330,340)에 각각 제1호석(410), 제2호석(420),제3호석(430) 및 제4호석(440)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3호석(430) 및 상기 제4호석(440)에 접하여 각각 제3교석(530) 및 제4교석(540)을 배치하여 단위 패턴을 구성한 것이다.The first stone stone 410, the second stone stone 420, the third stone stone 430 and the fourth stone stone 44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310, 320, 330 and 340, respectively, The third grids 530 and the fourth grids 54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ourth stone poles 430 and 440 to form a unit pattern.

여기서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310,320,330,340)의 벽돌의 크기는 상기 제1소석 내지 제6소석(210,220,230,240,250,260)과 동일하며 모든 접석 및 소석들은 폭과 길이에 있어서 크기가 동일하다 Here, the bricks of the first to fourth floors 310, 320, 330 and 340 are the same as the bricks of the first to sixth brim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and all the bricks and the bricks are the same in width and length

여기서 상기 제3교석(530) 및 상기 제4교석(540)은 상기 제1호석 내지 상기 제4호석(410,420,430,440)보다 길이가 짧게 구성한다.The third and fourth grids 530 and 540 are shorter than the first to fourth seals 410, 420, 430 and 440.

각 호석의 폭과 길이가 동일하며 각 교석의 길이와 폭도 서로 동일하다.The width and length of each stone are the same, and the length and width of each stone are the same.

제2a도는 제1도의 단위패턴과 각 벽돌의 크기를 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2a shows the unit pattern of Figure 1 and the size of each brick.

제2b도는 각 벽돌의 크기를 줄눈 간격과 대비하여 정교하게 오차없이 쌓기에 적합한 길이를 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2b shows how to set a length suitable for stacking without any errors, compared to the spacing of each brick.

상기 대석(100)과 상기 제6소석(260)사이, 상기 대석(100)과 상기 제5소석사이(250), 상기 제1소석(210))과 상기 제3소석(230) 사이 및 상기 제2소석(220)과 상기 제4소석(240) 사이에는 간격이 있도록 배치구성하되 시멘트 줄눈을 배치하여 두면에서 줄눈으로 부착되도록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구성으로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And between the seam 100 and the sixth seam 260, between the seam 100 and the fifth seam 250, between the first seam 210 and the third seam 230,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raditional pattern brick stacking structure having a spacing between the two stones 220 and the fourth stones 240 and having the same spacing so that cement joint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ones.

여기서 상기 제1호석(410)과 상기 제3소석(230)의 일부와 상기 대석의 일단부 및 제6소석(260)사이,Here, the first stone 410, a part of the third stone 230, the one end of the stone and the sixth stone 260,

상기 제2호석(420)과 상기 제6소석(260)의 일부와 상기 제2소석(220) 및 상기 제4소석(240)사이,The second stone 80 and a part of the sixth stone 260 and between the second stone 220 and the fourth stone 240,

상기 제3호석(430)과 상기 대석(100)의 타단부, 상기 제4소석(240)의 일부 및 상기 제5소석(250) 사이,And between the third stone guard 430 and the other end of the stone guard 100, a part of the fourth stone 240 and the fifth stone 250,

상기 제4호석(440)과 상기 제3소석(230), 상기 제1소석(210)과 상기 제5소석(250)의 일부 사이에 줄눈을 배치하도록 이격하여 배치하여 각각의 벽돌을 적어도 두면 이상에서 줄눈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전통문양을 벽체에 일체화시킨다.The fourth stone residence 440, the third stone 230, the first stone 210 and the fifth stone 2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arrange joints, And the traditional pattern is integrated into the wall.

줄눈의 간격(g)과 대석의 길이는 c이며 대석에 접하는 소석을 합한 길이도c이다. 소석의 길이는 a이면 소석의 폭은 e이다. 호석의 길이는 b에 해당하고 교석의 길이는 d에 해당하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The gap (g) of the joint and the length of the epicenter are c, and the total length of the epigraphs facing the epicenter is also c. If the length of the stone is a, the width of the stone is e. The length of the stone is b and the length of the stone is d.

특히 도면2b에서는 소석의 길이가 a이고 소석의 폭이 e이며 줄눈의 간격이 g에 해당되는 것으로 a=e+g이며 e=3g로 소석의 길이가 줄눈의 폭과 소석의 폭을 더한 경우를 보이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FIG. 2b, the length of the feldspar is a, the width of the feldspar is e, and the spacing of the gaps corresponds to g, where a = e + g and e = 3g. It will look.

대석의 길이c=11g에 해당하고 교호부i=25g의 길이에 상당하다.The length of the epicenter corresponds to c = 11g and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alternate part i = 25g.

또한 호석의 길이 b=9g에 해당하고 교석의 길이는 d=7g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it corresponds to b = 9g and the length of the pit corresponds to d = 7g.

제3a도는 평줄눈을 쌓는 방법과 벽돌의 재단방법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3a shows how to build flat joints and how to cut bricks.

상기의 대석, 소석들과 접석들, 호석들과 교석들의 벽돌을 쌓되 줄간격은 g로 구성하되 벽돌의 폭은 e로 구성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The bricks of stone, stone and stone, stone, stone and stone are piled up, and the spacing is g, but the width of the brick is composed of e.

또한 보이지 않는 벽돌은 4mm정도 뒷부분을 재단하되 앞면에서부터 뒤면까지 테이퍼 형태로 점차적으로 재단하여 마치 보이지 않는 면에서 보면 사다리꼴 형태로 벽돌을 재단하여 시멘트 줄눈의 양을 많게 구성하여 벽돌끼리 일체화 되도록 구성하고 벽돌과 벽돌끼리 접하여 쌓을 때에 밀접하게 부착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invisible brick is trimmed to about 4mm in length, and gradually cut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a tapered shape so that the bricks are cut in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invisible side to constitute a large amount of cement joints, And the brick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stacked closely.

제3b도는 내민줄눈을 쌓는 방법과 벽돌의 재단방법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3b shows how to build joints and how to cut bricks.

벽돌과 벽돌을 쌓되 면가공을 하여 내부면에서 시멘트의 줄눈의 양이 많아서 견고하며 외부적인 힘에도 벽돌이 서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If bricks and bricks are piled up, it is processed so that the amount of cement joints on the inner surface is large and firm, and brick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by external forces.

내민줄눈의 폭은 기호로 f로 표시하되 내민줄눈 상호간의 사이를 h로 규정한다.The width of the joint joint is indicated by the symbol f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joint joints is defined as h.

상기 내민줄눈의 폭(f)은 벽돌 폭(e)의 60%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f) of the sealing joint is 60% or less of the brick width (e).

60%를 넘으면 마치 줄눈폭이 더크게 보이는 현상으로 심미적인 효과가 반감된다.If it exceeds 60%, the joint width becomes larger, and the aesthetic effect is reduced.

내민줄눈이 벽돌의 일단으로부터 4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 joint is 4 mm or less from one end of the brick.

벽돌면에서 내민줄눈의 두께는 7mm 이하로 시공하고, 그 이유는 벽돌이 위로 많이 올라갈수록, 두꺼워질수록 줄눈 탈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The thickness of the joints exiting from the brick surface is less than 7mm because the more the bricks go up and the thicker the bricks becom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he joints getting lost.

제3c도는 벽돌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재단방법에 따른 쌓기를 구체적으로 보이는 도이다.FIG. 3c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acking according to the cutting method of the invisible portion of the brick.

상기 벽돌의 폭(e)은 상기 줄눈폭(g)의 3배로 구성하였다.       The width (e) of the brick is configured to be three times the joint width (g).

줄눈폭(g)과 소석폭(e)의 합은 소석의 길이 a가 되며, 가능하면 정수배가 나오게 하여 추후 다른 조각의 계산이 쉽도록 한다.The sum of the joint width (g) and the fence width (e) becomes the length a of the stone, and if possible, it is an integer multiple so that calculation of other fragments can be made later.

4mm 정도 들여서 후면을 재단하여 줄눈시공을 하는 첫번째 이유가 하중분산과 조적벽체를 일체화해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이고, 두번째가 치장목적이다. 또한 담장의 경우 여러가지 이유로 벽체에 균열이 발생하는데, 대다수의 경우가 줄눈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데, 뒷부분에 넓게 시멘트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균열에 견디는 힘도 높아지게 된다.The first reason to cut the rear surface by 4mm is to consolidate the load distribution and the masonry wall to improve the stability. In the case of fences, cracks are generated in the walls for various reasons. In most cases, cracks occur along the joints. However, since the cement is widely bonded to the backside, the strength against cracks is increased.

또한 줄눈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지할 수 있는 이유 줄눈 시공 전에 벽돌과 벽돌사이의 몰탈이 일부 튀어나온 부분을 일정한 깊이로 제거하는 줄눈파기를 한 후 줄눈시공을 하는데, 줄눈파기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벽돌과 벽돌 사이의 몰탈에 줄눈이 밀착되지 않고 줄눈과 몰탈사이에 빈공간이 있는 상태로 겉으로만 줄눈시공이 되며, 이런 경우 여러가지 이유로 군데 군데 이빨 빠지듯 줄눈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joints from falling out. Why you can prevent it Before the joint construction, the mortar between the bricks and the bricks removes the part of the protruding part to a certain depth. After the joint destruction, the joint is applied. If the joint is not broken properly, the joint between the bricks and the bricks If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joint and the mortar, it will be jointed to the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 joint will fall off because of various reasons.

그러나 4mm 정도 들여서 후면을 재단하게 되는 경우에는 뒷부분이 넓고 앞부분이 좁아지는 형태라 그러한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rear surface is cut by about 4 mm, the rear part is wide and the front part is narrowed, thereby preventing such a case.

제3c도는 제1도에서 3번소석(230)과 1번소석(210)은 대석(100)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적층되고 5번소석(250)은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확대한 도이다. In FIG. 3c, in FIG. 1, the third stone 230 and the first stone 210 are stack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rble 100 and the fifth marble 250 is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3번소석(230)과 1번소석(210)의 벽돌의 폭은 45mm이고 벽돌사이의 줄눈의 길이는 벽돌폭의 1/3인 15mm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The width of the bricks of No. 3 stones 230 and No. 1 stones 210 is 45 mm and the length of the joints between the bricks is 15 mm which is 1/3 of the width of the bricks.

또한 전면부에 대하여 후면부에는 4mm를 재단하여 내부에서 벽돌과 벽돌끼리 서로 일체화 되고 벽체나 벽돌끼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하측면만을 4mm씩 재단하여 벽돌의 폭이 45mm 에 대하여 41mm인 것을 보이고 줄눈이 15mm 인 것에 대하여 19mm인 것을 보이는 도이다.       In addition, it is seen that the brick and the bricks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e brick and the brick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utting 4 mm from the front part of the rear part. It is shown that the width of the brick is 41 mm with respect to 45 mm The figure shows that the joint is 15 mm and the joint is 19 mm.

1번 소석(210)과 5번 소석(250)은 서로 접하여 쌓는 것으로 5번소석(2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므로 60mm임을 보이는 것이다.The No. 1 stones 210 and the No. 5 stones 250 are tangent to each other. The No. 5 stones 250 are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y are 60 mm.

즉 소석의 길이(60mm)는 소석의 폭(45mm)에 줄눈(15mm)을 더하는 값을 가진다.That is, the length of the stone (60 mm) has a value of adding the joint (15 mm) to the width of the stone (45 mm).

또한 1번소석(210)과 5번소석(250)은 접하는 면이 밀접하게 접하도록 닿는 면적이 최소한이 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갈수록 점점 테이퍼형상으로 재단하여 접하는 면을 선으로 하여 밀접하게 접촉하는 효과와 함께 시멘트 줄눈이 없더라도 내부에서 시멘트로 견고하게 접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oles 210 and 250 are tapered so that the contact area of the poles 210 and 250 is taper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tapered manner, and gradually tapered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part. And it has the effect of firmly contacting with the cement inside even if there is no cement joint.

외부에서 보건데 다만 벽돌끼리 접하여 접촉하는 힘이 없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지만 사실은 내부에서 시멘트끼리 결착하여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부착하고 있는 것이다.From the outside,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ill be no contact force between the bricks but the fact is that the cement is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and firmly attached to each side.

미감도 좋게 하면서 튼튼하게 구성하는 것이다.But also to make it robust while improving the feeling of beauty.

상기 대석(100),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210,220,230,240,250,260),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310,320,330,340), 상기 제1호석 내지 상기 제4호석(410,420,430,440) 및 상기 제3 교석 내지 상기 제4교석(530,5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노출되지 않은 후면까지는 전면부에 대하여 벽돌의 전후 상하의 사면 가운데 어느 일면 즉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좌우측면 등 둘 이상의 면을 테이퍼 형태로 들여서 깍기를 하여 외부적으로 수려함과 함께 내부에서 견고하게 부착하는 이중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210, 220, 230, 240, 250, 260),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310, 320, 330, 340),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In the front part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fourth grindstones 530 and 540,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upper and lower slopes of the brick, that is,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tapered It has a double effect of being cut and externally attached and firmly attached inside.

상기 벽돌의 노출되는 면을 폭과 길이로 구분하되 상기 폭의 길이는 상기 대석, 상기 소석, 상기 접석, 상기 호석 및 상기 교석이 동일한 길이로 구성하여 전통문양벽돌을 쌓아 무늬로 인한 수려함과 견고함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The exposed surface of the brick is divided into a width and a length. The length of the brick is the same as that of the stone, the stone, the stone, the stone, and the stone. It is to be said.

제4도는 전통문양쌓기의 좌우구간을 나누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division of the left and right sections of the traditional pattern building.

상기 전통문양쌓기의 무늬는 4개의 단위패턴을 보건데 상하 좌우로 점선을 통하여 정확하게 1/2등분하여 나눌 수 있는 것이다.The pattern of the traditional pattern stacking is divided into four unit patterns, which can be precisely divided into two halves b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otted lines.

제5a도는 쌓기 위한 좌우측 동일한 켜를 연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5a is a diagram showing the same left and right connections for stacking.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의 상기 대석(100)과 상기 교석(530,540)의 상단부에 맞춘 수평선(4번켜,6번켜,9번켜)이 시공기준선으로 구성하여 4,6,9번 켜에 수평선을 띠게 되면 오차없이 문양을 쌓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horizontally aligned lines (4th, 6th, and 9th angles) of the facet 100 and the upper edges of the facets 530, On the 4th, 6th, and 9th lines, the horizon line will build the pattern without any error.

제5b도는 제5a도에 따라 실제로 쌓는 순서를 보이는 도이다.Figure 5b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stacking order according to Figure 5a.

4번켜에 수평선을 구성하게 되면 대석(4,14)의 상단부는 모두 동일한 위치를When the horizon is formed on the 4th parallel, the upper ends of the horizons (4, 14)

가지게 되어 수평선과 동일하게 된다.And become equal to the horizontal line.

만약 수평선과 동일선상인 시공기준선에 있지 않게 되면 벽돌의 치수가 오류가 있거나 줄눈의 간격을 더 많거나 적게 한 것이 되어 바로 오차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If the line is not on the same line as the horizon, the size of the brick will be erroneous or the interval of the joints will be more or less spaced, so that the error can be corrected immediately.

또한 6번켜에 수평선을 구성하게 되면 교석(40,41)의 상단부로써 모든 벽돌이 동일한 선상에서 수평으로 만나게 되어 수평이 되지 않는 벽돌이 있게 되면 바로 수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line is formed on the sixth beam, all the bricks are horizontally align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ends of the grids 40 and 41, so that the bricks that can not be leveled can be directly modified.

또한 9번켜에 수평선을 구성하게 되면 대석(42,50)의 상단에 구성한 것으로 모든 벽돌의 상단부가 9번켜의 수평선에서 상단부가 일치되고 다만 9번켜에서는 호석(68,71)이 줄눈만큼 상부에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line is formed at the 9th parallel, it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 (42,50), and the upper end of all the bricks is aligned with the upper end from the horizontal line of 9th parallel. do.

호석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장 늦게 쌓는 것임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avilion is the most late accumulation.

즉 67,68,69와 70,71,72의 벽돌을 가장 늦게 쌓는 것임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bricks of 67,68,69 and 70,71,72 are stacked at the latest.

시공기준선은 켜나누기로 1,4,6,9번켜로 나누되 상기 켜나누기는 패턴기준과 패턴간격을 기준으로 켜나누기를 하여 벽돌을 쌓은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The construction baseline is divided into 1, 4, 6, and 9 by turn division, and the turn division is based on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interval.

제5c도와 제5d도는 패턴기준을 보이는 도이다Figures 5c and 5d show pattern standards.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상기 대석(100) 하나와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210,220,230,240,250,260)이 포함되는 패턴기준은 정사각형으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상기 대석(100)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한 길이(c+g)와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The unit pattern is continuous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attern reference including one of the master 100 and the first, second, and seventh fin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is a square, And the length (c + g) obtained by adding the joint width to the length.

상기 패턴기준(600)과 또 다른 패턴기준(600)사이의 간격을 패턴간격(700)의 정사각형으로 상기 패턴간격은 가로 세로의 길이가 교석의 길이에 줄눈 폭을 더해준 길이(d+g)와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reference 600 and another pattern reference 600 is a square of the pattern interval 700 It can be seen that the pattern interval is equal to the length (d + g)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added to the length of the core is added.

전통문양으로 쌓을 때에 또는 압착시공이나 평면에 전통문양을 나타내고자 할 때에 시공기준선으로 상기 패턴기준과 상기 패턴간격을 수평 켜나누기를 하여 오차없이 쌓거나 압착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pattern is piled up with a traditional pattern, or when a traditional pattern is to be displayed on a pressurized construction or a flat surface,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interval are divided horizontally by a construction reference line.

압착시공을 벽면이나 평면에 할 때에도 전통문양벽돌을 쌓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Even when the crimping process is performed on a wall or a flat surface,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a traditional pattern brick.

압착시공은 얇은 두께의 형상을 결합제로 결합하는 것으로 문양의 오류없이 압착시공하기 위하여는 시공기준선이 중요하다.The compression bonding is the bonding of the thin thickness shape with the bonding agent, and the construction baseline is important for the crimp construction without error of the pattern.

이것은 벽돌쌓기와 동일하게 켜나누기로 압착시공하되 패턴기준과 패턴간격을 기준으로 시공기준선을 켜나누기로 하여 시공하는 것이다.This is the same as brick piling, but the construction is done by applying pressure division by dividing the construction baseline by the pattern standard and the pattern interval.

편의상 압착시공에 사용하는 것도 벽돌로 호칭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it is also referred to as brick for use in crimping construc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a:소석의 길이 b:호석의 길이 c:대석의 길이 d:교석의 길이
f:면회줄눈 폭 g:줄눈폭
h:소석의 폭에서 면회 줄눈이 소석을 덮은 부분을 제외한 부분
i:두개의 호석과 교석을 합한 길이
100:대석
210:제1소석 220:제2소석 230:제3소석 240:제4소석 250:제5소석
260:제6소석
310:제1접석 320:제2접석 330:제3접석 340:제4접석
410:제1호석 420:제2호석 430:제3호석 440:제4호석
530:제3교석 540:제4교석 600:패턴기준 700:패턴간격
a: length of the stone b: length of the stone pile c: length of the stone wall d: length of the stone
f: Cross-section joint width g: Joint width
h: Part of the width of the stone, excluding the part where the tunnel joint is covered with the stone
i: Length combined with two stone and stone
100: Dae Suk
210: first fountain 220: second fountain 230: third fountain 240: fourth fountain 250: fifth fountain
260: 6th floor
310: first fold 320: second fold 330: third fold 340: fourth fold
410: first stone 420: second stone 430: third stone 440: fourth stone
530: Third Tee 540: Fourth Tee 600: Pattern standard 700: Pattern interval

Claims (16)

벽돌 쌓기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대석, 소석, 접석, 호석 및 교석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되,
상기 대석;
상기 대석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의 중앙부에 각각 제1소석 및 제2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대석의 상하에 제3소석 및 제4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되, 상기 대석을 중심으로 좌측상부에 상기 제3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대석의 우측 하부에 제4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1소석의 하부에 제5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2소석의 상부에 제6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3소석, 상기 제6소석, 상기 제4소석 및 상기 제5소석에 각각 제1접석 내지 제4접석을 접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에 각각 제1호석, 제2호석, 제3호석 및 제4호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3호석 및 상기 제4호석에 접하여 각각 제3교석 및 제4교석을 배치하여 단위 패턴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bricks are divided into a marble, a stone, a stone, a stone and a stone,
The Daesung;
A first fulcrum and a second fulcrum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s,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quarts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edrock in such a manner that the third bedro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edrock and the fourth bedro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edrock,
Placing a fifth fence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ence, placing a sixth fence adjacent to the second fence,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hird stone, the sixth stone, the fourth stone and the fifth stone, respectively,
The first stone, the second stone, the third stone, and the fourth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respectively, and the third stone and the fourth stone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stone stone and the fourth stone stone, To form a unit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석과 상기 제6소석사이, 상기 대석과 상기 제5소석사이, 상기 제1소석과 상기 제3소석사이 및 상기 제2소석과 상기 제 4소석사이에 줄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rranging a joint between the magnets and the sixth magnets, between the magnets and the fifth magnets, between the first magnets and the third magnets, and between the second magnets and the fourth magnets Characteristic traditional pattern brick build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석과 상기 제3소석의 일부와 상기 대석의 일단부 및 제6소석 사이,
상기 제2호석과 상기 제6소석의 일부와 상기 제2소석 및 상기 제4소석 사이,
상기 제3호석과 상기 대석의 타단부, 상기 제4소석의 일부 및 상기 제5소석사이,
상기 제4호석과 상기 제3소석,상기 제1소석과 상기 제5소석의 일부사이에 줄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one and the third stone are partly sandwiched between the one end of the stone and the sixth stone,
Between the part of the second stone and the sixth stone and the second stone and the fourth stone,
Between said third stone and said other end of said stone, between said part of said fourth stone and said fifth stone,
And a joint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stone and the third stone, and between the first stone and the fifth ston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줄눈은 내민줄눈으로 치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structure of claim 2 or 3, wherein the joint is embellished with a joint joi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민줄눈의 폭은 벽돌 폭의 6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5] The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the width of the sealing joint is 60% or less of the width of the brick.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의 폭은 상기 줄눈폭의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The structure of claim 2 or 3, wherein the width of the brick is three times the joint wid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의 벽돌의 크기는 상기 제1내지 상기 제6소석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bricks of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are the same size as the first to sixth bri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교석 및 상기 제 4교석은 상기 1호석 내지 상기 제4호석 보다 길이가 짧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build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creases are shorter than the first and fourth quar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석,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 상기 제1호석 내지 상기 제4호석 및 상기 제3 교석 내지 상기 제4교석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노출되지 않은 후면까지는 사면 가운데 어느 일면 또는 둘이상의 면을 테이퍼 형태로 들여서 깍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method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the first stone to the sixth stone,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and the third stone to the fourth stone Wherein the slope is formed by tapering one or both sides of the slope from the exposed front to the uncovered r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의 노출되는 면을 폭과 길이로 구분하되 상기 폭의 길이는 상기 대석, 상기 소석, 상기 접석, 상기 호석 및 상기 교석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brick pil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osed surface of the brick is divided into a width and a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brick is the same as that of the brick, the brick, the stone, the brick, and the bri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석의 길이는 소석의 폭에 줄눈폭을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3] 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stone is added to the width of the s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의 상기 대석과 상기 교석의 상단부에 맞춘 수평선이 시공기준선으로 구성하여 오차없이 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The stack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unit pattern is continuou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the horizontal line alig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enter of gravity is constructed as a reference baseline and stacked without e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의 상기 대석 하나와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이 포함되는 패턴기준은 정사각형으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상기 대석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한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2] The lithograph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reference including the one facet and the first facet and the sixth facet constituted by the unit patterns continuous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 square,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pattern brick building characterized by the width plus the length.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기준과 또 다른 패턴기준사이의 간격을 패턴간격으로 정사각형으로 상기 패턴간격은 가로세로의 길이가 교석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해준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14.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reference and another pattern reference is a square of a pattern interval, and the pattern interval is a length obtained by adding a width of an aspect ratio of the length of the cross- rescue.
제14항에 있어서 시공기준선으로 상기 패턴기준과 상기 패턴간격을 수평 켜나누기로 하여 오차없이 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15. The structure of claim 14, wherein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spacing are horizontally divided by a construction reference line without error.
압착시공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대석, 소석, 접석, 호석 및 교석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되,
상기 대석;
상기 대석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의 중앙부에 각각 제1소석 및 제2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대석의 상하에 제3소석 및 제4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되, 상기 대석을 중심으로 좌측상부에 상기 제3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대석의 우측 하부에 제4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1소석의 하부에 제5소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2소석의 상부에 제6소석을 접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3소석, 상기 제6소석, 상기 제4소석 및 상기 제5소석에 각각 제1접석 내지 제4접석을 접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1접석 내지 상기 제4접석에 각각 제1호석, 제2호석, 제3호석 및 제4호석을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3호석 및 상기 제4호석에 접하여 각각 제3교석 및 제4교석을 배치하여 단위 패턴을 구성하되,
상기 단위 패턴이 상하 좌우로 연속되어 있는 구성의 상기 대석 하나와 상기 제1소석 내지 상기 제6소석이 포함되는 패턴기준은 정사각형으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상기 대석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한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패턴기준과 또 다른 패턴기준사이의 간격을 패턴간격으로 상기 패턴기준과 상기 패턴간격은 정사각형으로 상기 패턴간격은 가로세로의 길이가 교석의 길이에 줄눈폭을 더해준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패턴기준과 상기 패턴간격을 시공기준선으로 수평 켜나누기를 하여 오차없이 압착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 시공 구조.









In the compression bonding, the bricks are divided into seismic rocks, rocks, rocks, rocks and gypsum,
The Daesung;
A first fulcrum and a second fulcrum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s,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quarts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edrock in such a manner that the third bedro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edrock,
Placing a fifth fence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ence, placing a sixth fence adjacent to the second fence,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hird stone, the sixth stone, the fourth stone and the fifth stone, respectively,
The first stone, the second stone, the third stone, and the fourth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tone to the fourth stone, respectively, and the third stone and the fourth stone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stone stone and the fourth stone stone, To form a unit pattern,
The pattern reference includ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ours and the sixth fountain in which the unit pattern is continuou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s a square, and the length and the length are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ace and the joint width The sam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reference and another pattern reference is a pattern interval,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interval are square, and the pattern interval is equal to a length obtained by adding lengths of length and width to the length of the core,
Wherein the pattern reference and the pattern spacing are horizontally divided by a construction reference line so that they are compressed and installed without error.









KR1020170126906A 2017-09-29 2017-09-29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KR101841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06A KR101841485B1 (en) 2017-09-29 2017-09-29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06A KR101841485B1 (en) 2017-09-29 2017-09-29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85B1 true KR101841485B1 (en) 2018-03-23

Family

ID=6191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06A KR101841485B1 (en) 2017-09-29 2017-09-29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546B1 (en) 2018-12-10 2019-09-10 김두한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KR102020542B1 (en) 2018-12-10 2019-09-10 김두한 Traditional brick unit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32B1 (en) 2013-12-12 2014-11-13 송규정 a traditional flower wall constructing method and the traditional flower wall using thereof
KR101559106B1 (en) 2014-05-08 2015-10-13 창의건축연구소(주) Construction method of face bri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32B1 (en) 2013-12-12 2014-11-13 송규정 a traditional flower wall constructing method and the traditional flower wall using thereof
KR101559106B1 (en) 2014-05-08 2015-10-13 창의건축연구소(주) Construction method of face bri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546B1 (en) 2018-12-10 2019-09-10 김두한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KR102020542B1 (en) 2018-12-10 2019-09-10 김두한 Traditional brick uni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281B2 (en) Veneer connectors,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walls
CA2447646C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stone masonry wall
US7743574B2 (en) System of blocks for use in forming a free standing wall
US20160090705A1 (en)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KR101264920B1 (en) Earthquake-proof mortarless interlocking modular block system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1841485B1 (en)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KR20120020254A (en) Earthquake-proof mortarless interlocking modular block system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WO2017042856A1 (en) Assembly block
KR101848893B1 (en) The traditional brick stacking structure at 45 degree angle
KR20150135659A (en)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KR20180106715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101117176B1 (en) Pannel for producing ground concrete work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H11159030A (en) Skeleton wal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material
CN211286252U (en) Tenon-and-mortise type stone expansion wall block and combined wall thereof
KR102047837B1 (en)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525258B2 (en) Masonry block anchor system
CN105064539B (en) New wall and old wall connector
CN100445501C (en) Fixed parts of outside wall panel,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reof
TWI426169B (en) Structural improvement with brick wall
JP5597861B1 (en) Civil masonry structure with natural stone patter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6592816A (en) Novel tenoned stone wall and stone wall building method
KR20140123791A (en) Concrete block with a marble tile
KR102006630B1 (en) Traditional fence reinforcement structure, traditional fence comprising 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