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821B1 -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821B1
KR101840821B1 KR1020170055455A KR20170055455A KR101840821B1 KR 101840821 B1 KR101840821 B1 KR 101840821B1 KR 1020170055455 A KR1020170055455 A KR 1020170055455A KR 20170055455 A KR20170055455 A KR 20170055455A KR 101840821 B1 KR101840821 B1 KR 10184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insulating shee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욱
유정호
Original Assignee
빌드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드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드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박막층과 상기 금속박막층 상에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박막층에 다수의 타공을 형성한 절연시트를 제공하여,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구성되는 금속박막층에 의해 온도변환에 구애되지않고 타공에 의해 바탕면에 절연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바탕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온도에 의한 방수층의 열화 및 수증기에 의한 들뜸 등을 방지시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탕면에 시트방식으로 포설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절연시트에 있어서, 바탕면(1) 상에 위치되어 상기 바탕면(1)과 방수층 사이의 온도차이에 대한 열적변형을 방지하고 절연부분을 형성하여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들뜸방지를 수행하는 금속박막층(210); 및 상기 금속박막층(210) 상에 구성되는 메쉬층(220)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박막층(210)은, 일정두께로 형성되는 금속층(212)과; 상기 금속층(212)에 일정두께 도포되는 제1접착층(214)과; 상기 제1접착층(214)에 도포되어 금속층(212)의 질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섬유층(216); 및 상기 금속층(212)과 섬유층(216)을 관통하여 바탕면(1) 상에 포설될 때 절연부분을 형성하는 타공(2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complex water proof structure and its waterproof method using overlapping joint inter insulation waterproof sheets}
본 발명은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박막층과 상기 금속박막층 상에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박막층에 다수의 타공을 형성한 절연시트를 제공하여,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구성되는 금속박막층에 의해 온도변환에 구애되지않고 타공에 의해 바탕면에 절연부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바탕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온도에 의한 방수층의 열화 및 수증기에 의한 들뜸 등을 방지시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슬라브, 지붕,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가 가지는 흡수성과 건조수축 및 거동에 의한 균열로 인하여 빗물 또는 지하수가 스며들게 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진행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철근이 부식되어 부피팽창으로 구조물의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기술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어 왔으며, 방수기술로는 도막방수와 시트방수 공법이 있다.
상기 도막방수는 도료 상의 액상재료를 방수 바탕에 도포하거나 뿜칠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바탕균열 추종성과 부착성, 온도 적응성 및 복잡한 형상에 시공성이 우수하고, 국부적인 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바탕의 평면 평활도의 영향으로 균열시공이 어렵고, 충격에 약하며, 휘발성 유기용제 사용에 의한 화재 등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트방수는 접착제 또는 토치로 가열하여 바탕에 접착하는 공법으로서, 두께가 균일하고 미려함과 함께, 시공이 간단하고 운반이 용이하여 공해가 저감되는 장점이 있으나, 누수시 국부적인 보수가 곤란하고 방수시트 이음부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결함의 우려가 있고, 온도에 민감하여 박리,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도막방수와 시트방수의 장점을 혼합하여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두께가 균일한 방수시트를 시공하고, 그 상부에 도막방수재, 무기질 탄성 고무재, 우레탄 등을 도포한 복합방수층을 형성하는 복합방수공법이 최근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복합방수공법의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869167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계 시트의 두께가 0.8 ~ 1.2mm인 시트 상부에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열융착으로 접합되고, 시트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바탕체에 두 개의 시트가 5 ~ 10mm의 맞대어진 이음부를 갖도록 하부점착용 도막재와 상부점착용 도막재로 상기 방수시트를 고정하되, 이음부와 관통홀을 통해 접착용 도막재가 바탕체와 접착되는 방수시트 고정방법과, 방수시트의 조인트 상부 즉, 이음부 상부에 우레탄 필름을 접착시키고, 상면에 우레탄 도막재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고 황변현상 방지를 위한 탑코트층으로 구성된 노출용 방수구조이다.
이러한 방수구조는 방수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관통홀로 인해 구조물의 신축 작용이나 거동시에도 상부 점착용 도막재와 하부 점착용 도막재가 고정되어 파손이나 박리 들뜸 균열이 방지되나, 방수시트를 바탕체와의 접착시공함으로써 발생되는 모체 함습으로 인한 수증기 발생으로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 및 결로 현상으로 인한 방수층의 파단 및 열화현상으로 인한 하자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탕체와 방수시트가 고정된 부분에서 바탕체의 신축 팽창에 대한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방수시트와 우레탄 필름과 상부 도막재간의 신장력의 차이로 인한 들뜸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대한민국 특허 제10-1586035호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수의 관통공(121)이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층(120)을 중심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층(120)의 상부에 장섬유로 이루어진 상부부직포층(110)이 열융착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층(120)의 하부에 장섬유로 이루어져 걸림고리 형태로 기모처리된 하부부직포층(130)이 열융착된 통기성 방수시트가 다수 구비되어 콘크리트 바닥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방수시트(100) 하부면에 벨크로 타입의 조인트부재가 접착되어 인접한 방수시트(100) 간을 연결하는 복합방수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방수시트는 함침성이 우수한 장섬유로 이루어진 상부부직포층(110)이 플라스틱 필름층(120)의 상면에 상기 상부부직포층(110)을 형성하는 장섬유의 형태와 다르게 단면이 걸림고리 형태로 제조된 장섬유로 이루어진 하부부직포층(130)이 플라스틱 플름층(120)의 하면에 열융착되어 있고, 상기 플라스틱 플름층(120)에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콘크리트 바탕체와 절연되어 방수시트(100)의 부풀음이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바탕체의 균열로 인한 방수층 균열 파단 등의 하자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수구조에서 제공되는 구멍 뚫린 방수시트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바탕체와 도막방수재 사이에 방수시트가 위치될 경우, 바탕체 즉, 건물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 차이에 의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방수시트가 쉽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수시트의 열화로 인해 시트의 뒤틀림, 수축으로 인한 방수층의 울렁울렁한 상태가 되어 방수층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457861호(2004.11.26.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949479호(2010.03.2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431380호(2014.08.18.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박막층과 상기 금속박막층 상에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박막층에 다수의 타공을 형성한 절연시트를 제공하여,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구성되는 금속박막층에 의해 온도변환에 구애되지않고 타공에 의해 바탕면에 절연부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바탕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온도에 의한 방수층의 열화 및 수증기에 의한 들뜸 등을 방지시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탕면에 시트방식으로 포설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절연시트에 있어서, 바탕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온도차이에 대한 열적변형을 방지하고 절연부분을 형성하여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들뜸방지를 수행하는 금속박막층; 및 상기 금속박막층 상에 구성되는 메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박막층은, 일정두께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에 일정두께 도포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에 도포되어 금속층의 질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섬유층; 및 상기 금속층과 섬유층을 관통하여 바탕면 상에 포설될 때 절연부분을 형성하는 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층은, 0.05 ~ 0.2(mm)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접착층은, 열융합 접착제의 일종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층은, 0.01 ~ 0.02(mm) 두께를 가지는 탄화섬유 또는 탄소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층에는, 부식 및 질김성에 대한 물성 강화와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일정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E)로 코팅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공은, 금속박막층의 1m2당 30 ~ 70% 비율에 해당되는 타공면적을 가지도록 다수 형성되고; 직사각형상이면서, 가로 1 : 세로 1.1 ~ 1.3 비율로 형성되며; 모서리부분에 유선형의 라운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박막층은, 금속층 상에 제1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의 제1접착층 상에 섬유층을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과 섬유층을 열 가압시켜 상기 제1접착층에 의해 상기 금속층 및 섬유층이 접착되도록 하는 열가압단계; 및 열가압에 의해 일체화된 금속층과 섬유층에 30 ~ 70% 비율의 타공면적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쉬층에는, 바탕면에 포설할 때 임시 점착이 이루어져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접착층은, 수분산 우레탄계 아크릴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쉬층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메쉬로 이루어지고; 2 ~ 5mm 간격으로 형성되며; 80 ~ 120mm 간격마다 형성되어, 재단선 효과 및 도막재의 도막두께의 기준이 설정되도록 하는 기준선메쉬(2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탕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절연시트를 포설한 후 상기 절연시트에 일정두께의 도막재를 도포하여 도막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탕면 상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절연시트를 포설하는 절연시트 포설단계; 및 상기 절연시트 포설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포설된 절연시트 상에 일정두께의 도막재를 도포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박막층과 상기 금속박막층 상에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박막층에 다수의 타공을 형성한 절연시트를 제공하여,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구성되는 금속박막층에 의해 온도변환에 구애되지않고 타공에 의해 바탕면에 절연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바탕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온도에 의한 방수층의 열화 및 수증기에 의한 들뜸 등을 방지시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시트을 구성하는 금속박막층에 타공이 형성되고, 메쉬층에 점착성을 가지는 제2접착제을 도포하여, 상기 절연시트를 바탕면에 포설할 때 외부환경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절연시트를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성을 만족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방수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시트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일례를 보인 방수시트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막층의 제조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시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시트가 적용된 복합방수구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시트가 적용된 복합방수공법의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시트가 적용된 복합방수구조에 대한 견본으로써,
10a는 평면이고, 10b는 저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금속 절연시트(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박막층(210), 및 메쉬층(220)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박막층(210)은 건축물의 슬라브 즉, 바탕면에 구성되어, 내, 외부온도의 차이에 의한 열적변형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고, 금속적 특징에 의해 바탕면의 표면 거칠기에 구애되지 않고 확고하게 밀착되어 밀착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방수층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금속박막층(210)은 금속층(212)과, 제1접착층(214)과, 섬유층(216) 및 타공(218)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층(212)은 가공성과 취급용이성 및 활용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금속적 특성을 살리면서 방수층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구리 등이다.
또한, 상기 금속층(212)은 필름으로 구성되는 기재층에 금속을 증착시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212)은 0.05 ~ 0.2(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경우, 0.05mm 미만이면 이송 등과 같은 작은 외력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0.2mm 초과하면 무게의 증가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두께에 따른 재료추가로 인해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접착층(214)은 상기 금속층(212)에 섬유층(216)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접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착층(214)은 열융합 접착제의 일종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금속층(212)과 섬유층(216)이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접착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섬유층(216)은 상기 금속층(212)에 접착되어, 상기 금속층(212)의 질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섬유층(216)은 0.01 ~ 0.02mm 두께로 형성된다. 이 경우, 0.01mm 미만이면 금속층(212)에 대한 질김성을 보강시킬 수 없고, 0.02mm 초과하면 금속층(212)이 바탕면에 밀착되는 것을 간섭하여 용이한 밀착면적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섬유층(216)은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고, 탄화섬유 또는 탄소섬유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섬유는 특수 아크릴 섬유를 소성, 탄화시킨 것으로서, 가볍고, 부드러우며, 피부자극이 없는 특징이 있다.
상기 탄소섬유는 탄성과 강도가 크기 때문에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특징이 있다. 또한, 원료에 따라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피치계, 레이온계로 분류되나 PAN계와 레이온계가 대부분이다. 상기 PAN계는 인장강도와 내열성이 강하고 가벼워 항공기의 동체나 날개 등의 구조재와 골프채나 라켓,낚시대의 소재로 주로 사용되고, 피치계는 값이 싸기 때문에 고온단열재나 보강재로 이용되는 것이며, 탄소섬유-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복합재료는 PEEK를 기질로 하고 탄소섬유를 강화재로 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항공기의 구조재료용 복합재료로 쓰이는 것으로, 피로수명이 다른 재료보다 100배나 길고, 60%로 다른 재료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취사선택한다.
상기 타공(218)은 상기 금속층(212) 및 섬유층(216)이 접착된 상태의 금속박막층(210)과 바탕면 사이에 절연부분을 형성하여,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 함께, 온도차이 등에 의해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되는 수분 또는 공기가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들뜸 또는 에어포켓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공(218)은 상기 금속박막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도막층의 도막재 일부가 바탕면과의 접착되도록 하여, 상기 금속박막층(210)이 바탕면 전체에 접착되지 않고 미접착부분을 가지는 절연부분이 형성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타공(218)은 금속박막층(210)의 1m2당 30 ~ 70% 비율에 해당되는 타공면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중 60% 비율의 타공면적일 경우 적합한 부착강도를 발휘하였다.
타공 면적(%) 전단접착력(N/mm)
30 2.3
40 2.1
50 2.0
60 1.8
70 0.8
또한, 상기 타공(218)은 직사각형상이 적합하다.
이는, 타공면적을 60%로 하고,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3가지의 형상을 가지고 전단접착력을 측정하였다.
타공형상 전단접착력(N/mm)
원형 1.6
정사각형 1.8
직사각형 1.9
즉, 위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단접착력에 있어서 근소한 차이로 원형 < 정사각형 < 직사각형 순서로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수증기 이동 용이성 및 타공작업성과 편리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직사각형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공(218)의 직사각형은 가로 1 : 세로 1.1 ~ 1.3 비율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는 수증기의 이동경로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 2가지 형태로 되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의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합한 구조라 할 것이다.
또한, 타공(218)의 직사각형상은 끝단 즉 모서리 부분이 직각형태로 형성되면 노치에 의한 응력집중으로 쉽게 찢어질 수 있음으로써, 모서리부분에 응력을 분산시켜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유선형의 라운딩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타공(218)은 금속박막층(210)의 1m2 당, 가로 12 ~ 15mm이고, 세로 13.2 ~ 19.5mm의 크기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전체면적에 30 ~ 70% 해당하는 면적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속층(212)의 표면에는 부식 및 질김성에 대한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표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E)를 코팅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고, 또는 금속층(212)의 표면 물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코팅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 PETE 코팅은 상기 금속층(212)이 바탕면(1)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바탕면(1)에 금속층(212)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켜 상기 금속층(212)이 산화 등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PETE 코팅에 의해 금속박막층(210)의 타공(218)을 통해 도막재의 일부가 상기 금속박막층(210)의 금속층(212) 하단부로 스며든다하더라도 상기 PETE 코팅의 이형효과에 의해 상기 금속층(212)이 바탕면(1)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시켜 수증기의 분산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한 금속박막층(210)에 대한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일정두께의 PETE 코팅 처리된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금속층(212)의 상면에 LLDPE의 접착제를 도포한 제1접착층(214)을 형성하는 단계(S1)와, 상기 금속층(212)의 상면에 PETE코팅된 섬유층(216)을 안착시키는 단계(S2)와, 상기 금속층(212)에 섬유층(216)이 안착시킨 후 일정온도의 열 및 프레싱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접착층(214)에 의해 금속층(212) 및 섬유층(216)이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S3) 및 상기 금속층(212) 및 섬유층(216)이 접착된 금속박막층(210)에 다수의 타공(218)이 형성되도록 펀칭 가공함으로써, 최종의 금속박막층(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이는, 하나의 실시 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금속층(212)과 섬유층(216) 및 타공(218)이 형성된 금속박막층(21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메쉬층(22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금속박막층(210) 상에 구성하여 크랙추종성 및 도막재와의 사용성이 우수하도록 물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쉬층(220)은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메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쉬층(220)은 2 ~ 5mm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메쉬간격(mm)
부착강도(N/mm2) 침투상태
1 0.5 미침투
2 0.7 중간
3 1.2 우수
4 1.5 옆면까지 침투
5 1.6 옆면까지 침투
또한, 상기 메쉬층(220)은 1mm 두께로 형성한다.
특히, 상기 메쉬층(220)은 80 ~ 120mm 간격마다 2mm 두께를 가지는 기준선메쉬(222)를 구성한다.
상기 기준선 메쉬(222)는 전체 메쉬층(220)에 대하여 80 ~ 120mm 간격마다 형성함에 따라 재단선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또한 1mm의 메쉬층(220)에서 2mm의 기준선메쉬(22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준선메쉬(222)에 의해 도막재의 도막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막재에 대한 균일한 도막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선 메쉬(222)는 매쉬층(220)에서 확연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색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황색, 적색 또는 검정색 등의 색체를 가지도록 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도의 색체 또는 구조나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속박막층(210)과 메쉬층(220) 사이에는 상기 금속박막층(210)에 메쉬층(220)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2접착층(224)을 포함한다.
상기 제2접착층(224)은 내수성이 우수한 수분산 우레탄계 아크릴 점착제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쉬층(220)의 표면에 수분산 우레탄계 아크릴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2접착층(22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접착층(224)인 수분산 우레탄계 아크릴 점착제는 끈끈한 점착성(tacky)을 가지므로써, 상기 메쉬층(220)의 금속박막층(210)에 접착되면, 상기 금속박막층(210)에 형성된 타공(218)에 상기 메쉬층(220)의 제2접착층(224)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수분산 우레탄계 아크릴 점착제는 Tg(유리전이 온도)가 -20℃로 수분산 우레탄의 내수성과 아크릴 접착력을 동시에 발현한 제품으로서, 제조과정은 변성 아크릴 점착제를 60℃로 유지하면서 수분산 우레탄을 드롭 방식으로 분당 1리터를 200rpm으로 혼합 교반하여 안정화하여 제조한다. 이 경우, 온도가 60℃ 이하이거나 드롭을 빨리하면, 층간분리 현상으로 자재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연시트(200)는 바탕면에 포설할 때 금속박막층(210)의 타공(218)에 일부 노출된 메쉬층(220)의 제2접착층(224)의 점착성에 의해 임시 점착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다는 용이성으로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옥상과 같이 외부 환경 즉, 바람이 많이 부는 시공공간에서도 바탕면에 절연시트(200)의 포설이 용이하게 이루짐으로써, 작업성에 대한 더욱 향상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포설할 때 방수시트에 점접착 방식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임시 접착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상기 방수시트의 포설이 잘못될 경우 점접착된 부분에서 방수시트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되나, 본 발명은 점착성을 가지는 제2접착층(224)에 의해 절연시트(200)를 바탕면에 포설한 후 재포설하기 위해 바탕면에 절연시트(200)가 용이하게 탈락됨에 따라 상기 절연시트(200)의 재포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방수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 상에 절연시트(200) 및 도막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도막층(300)은 중도층(310)과 상도층(320) 및 탑코팅층(330)을 포함한다.
상기 중도층(310)은 절연시트(200) 상에 일정두께 형성하여 상기 절연시트(200)에 형성된 타공(218)으로 도막재의 일부가 침투되어 바탕면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바탕면 상에 절연부분을 형성에 따라 건물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과 함께 바탕면 상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절연시트(200)의 절연부를 통해 분산됨에 따라 들뜸(air-pocket) 현상이 방지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도층(310)은 상기 절연시트(200)의 타공(218)에 용이하게 침투되어 바탕면(1)와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칙소성을 부여한 우레탄 도막재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중도층(310)은 우레탄 도막재에 우레탄계 증점제 0.5 ~ 3 중량부를 첨가하여, 1000rpm 고속 교반하여 제조한다.
즉, 상기 중도층(310)은 30 ~ 35 중량부의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35 ~ 50 중량부의 충전제와, 3 ~ 4 중량부의 희석제와, 0.3 ~ 0.5중량부의 레벨링제와, 1 ~ 2 중량부의 제습제와, 0.2 ~ 0.5 중량부의 소포제, 및 0.5 ~ 3 중량부의 아크릴 우레탄계 증점제로 이루어진 주제, 및 15 ~ 20 중량부의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경화제로 조성된다.
상기 상도층(320)은 상기 중도층(310) 상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상기 중도층(310)의 보호 및 방수성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상도층(320)은 상기 중도층(310)의 친화력에 의한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우레탄계 도막재로 형성된다.
상기 탑코팅층(330)은 상기 상도층(320)이 외부환경 즉, 자외선 등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 ~ 5 중량부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탑코팅층(330)에는 10 ~ 15 중량부의 규사를 포함하여 표면거칠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도막층(300)은 우레탄계 도막재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중도층(310)과 상도층(320) 및 탑코팅층(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을 가지는 도막방수층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막층(300)은 상기 중도층(310)을 다수 도포하여 방수 도막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방식은 도막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식 방수시공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노출식 방수시공방법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고, 이 경우, 순환 슬래그를 사용한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재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노출식 또는 비노출식 방수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도막재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방수구조에 대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방수공법은 바탕면 정리단계(S10)와, 프라이머 도포단계(S20)와, 절연시트 포설단계(S30) 및 도막층 형성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S10)는 방수층을 시공하고자 하는 바탕면(1)을 정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탕면(1)에 잔존하는 레이턴스와 같은 잔존물 또는 이물질을 물을 이용한 세척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세척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탕면(1)을 정리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0)는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S10)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1)에 프라이머를 일정두께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프라이머는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재와의 친화력을 고려하여,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프라이머 도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시트 포설단계(S30)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0)를 통해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1) 상에 절연시트(200)를 포설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절연시트(200)는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웃하는 절연시트(200)를 맞댐방식으로 연속하여 포설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연시트(200)의 이음부분을 일정폭 겹쳐지도록 겹침이음방식으로 포설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시트(200)는 금속박막층(210)에 형성된 30 ~ 70%의 면적비율을 가지는 타공(2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공(218) 부분에 하단에 제2접착층(224)이 형성된 매쉬층(220)이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바탕면(1)에 절연시트(200)를 포설할 때 상기 제2접착층(224)의 점착성에 의해 부착된다.
이어서, 상기 바탕면(1)에 포설된 절연시트(200)의 포설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바탕면(1)에서 절연시트(200)를 탈락시켜 재포설하게 되고, 이 경우, 제2접착층(224)의 점착성이 유지됨에 따라 재포설시에도 점착성에 의해 용이하게 절연시트(200)가 바탕면(1)에 부착되는 부착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막층 형성단계(S40)는 상기 절연시트 포설단계(S30)를 통해 바탕면(1)에 절연시트(200)의 포설이 완료되면, 상기 절연시트(200)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층(3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도막층(300)은 중도층(310)과 상도층(320) 및 탑코팅층(330)을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탑코팅층(330)을 생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도막재에 의한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탕면(1)에 포설된 절연시트(200)의 메쉬층(220)에는 일정구간에 기준선 메쉬(222)가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중도층(310)의 도포두께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막층(300)의 도막두께를 좀더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절연시트(200)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면, 상기 절연시트(200)에 구성된 타공(218)으로 도막재의 일부가 침투되어 상기 바탕면(1) 상에 접착됨에 따라 도막재에 의해 고정력이 발휘된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 상에 금속박막층(210)의 메쉬층(220)이 도막재에 의해 바탕면(1)에 함께 접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바탕면(1)과 도막층(300) 사이의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과 절연시트(200) 사이에는 절연부분이 형성되어, 내,외부적 환경 등에 의해 상기 바탕면(1)과 절연시트(200) 사이에 수증기가 발생되면, 발생된 수증기가 절연부분을 통해 분산됨으로써, 상기 바탕면(1)과 절연시트(200) 사이에 들뜸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금속 절연시트와 이 금속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절연시트 210: 금속박막층
212: 금속층 214: 제1접착층
216: 섬유층 218: 타공
220: 메쉬층 222: 기준선 메쉬
224: 제2접착층 300: 도막층
310: 중도층 320: 상도층
330: 탑코팅층

Claims (12)

  1. 바탕면(1) 상에 위치되어 상기 바탕면(1)과 방수층 사이의 온도차이에 대한 열적변형을 방지하고 절연부분을 형성하여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들뜸방지를 수행하는 금속박막층(210) 및 상기 금속박막층(210) 상에 구성되는 메쉬층(220)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박막층(210)은 일정두께로 형성되는 금속층(212)과, 상기 금속층(212)에 일정두께 도포되는 제1접착층(214)과, 상기 제1접착층(214)에 도포되어 금속층(212)의 질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섬유층(216) 및 상기 금속층(212)과 섬유층(216)을 관통하여 바탕면(1) 상에 포설될 때 절연부분을 형성하는 타공(218)을 포함하여, 바탕면에 시트방식으로 포설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절연시트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212)의 표면인 저면에는 바탕면(1)에 상기 금속층(212)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켜 부식 및 질김성에 대한 물성을 강화시키면서 바탕면(1)과의 직접 접촉에 따른 산화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고, 상기 타공(218)을 통해 도막재의 일부가 스며들더라고 바탕면(1)에 상기 금속층(212)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증기의 분산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일정두께로 코팅 처리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E)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착층(214)은, 열융합 접착제의 일종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며;
    상기 타공(218)은, 금속박막층(210)의 1m2당 30 ~ 70% 비율에 해당되는 타공면적을 가지도록 다수 형성되고, 직사각형상이면서, 가로 1 : 세로 1.1 ~ 1.3 비율로 형성되며, 모서리부분에 유선형의 라운딩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층(220)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메쉬로 이루어지고, 2 ~ 5mm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쉬층(220)은, 1mm두께로 형성되고;
    재단선 효과 및 도막재의 도막두께의 기준이 설정되도록 80 ~ 120mm 간격마다 2mm 두께로 형성되는 기준선메쉬(2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212)은,
    0.05 ~ 0.2(mm)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216)은,
    0.01 ~ 0.02(mm) 두께를 가지는 탄화섬유 또는 탄소섬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층(210)은,
    금속층(212) 상에 제1접착층(214)을 도포하는 단계(S1)와;
    상기 금속층(212)의 제1접착층(214) 상에 섬유층(216)을 안착하는 단계(S2)와;
    상기 금속층(212)과 섬유층(216)을 열 가압시켜 상기 제1접착층(214)에 의해 상기 금속층(212) 및 섬유층(216)이 접착되도록 하는 열가압단계(S3); 및
    열가압에 의해 일체화된 금속층(212)과 섬유층(216)에 30 ~ 70% 비율의 타공면적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타공(218)을 형성하는 단계(S4);
    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층(220)에는,
    바탕면(1)에 포설할 때 임시 점착이 이루어져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제2접착층(2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224)은,
    수분산 우레탄계 아크릴 점착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
  10. 삭제
  11. 바탕면에 청구항 1, 2, 4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시트(200)를 포설한 후 상기 절연시트(200)에 일정두께의 도막재를 도포하여 도막층(300)을 포함하고;
    상기 도막층(300)은 중도층(310)과 상도층(320) 및 탑코팅층(330)을 포함하며;
    상기 중도층(310)은 30 ~ 35중량부의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35 ~ 40중량부의 충전제와, 3 ~ 4중량부의 희석제와, 0.3 ~ 0.5중량부의 레벨링제와, 1 ~ 2중량부의 제습제와, 0.2 ~ 0.5중량부의 소포제 및 0.5 ~ 3중량부의 아크릴 우레탄계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주제와, 15 ~ 20중량부의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경화제로 조성되고;
    상기 상도층(320)은 상기 중도층(310)과의 친화력에 의한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우레탄계 도막재로 형성되며;
    상기 탑코팅층(330)은 우레탄계 도막재에 1 ~ 5중량부의 자외선 차단제 및 10 ~ 15중량부의 규사를 포함하여 조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12. 바탕면에 청구항 1, 2, 4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시트를 포설하는 절연시트 포설단계(S30); 및
    상기 절연시트 포설단계(S30)를 통해 바탕면에 포설된 절연시트 상에 일정두께의 도막재를 도포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층 형성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층(300)은 중도층(310)과 상도층(320) 및 탑코팅층(330)을 포함하며;
    상기 중도층(310)은 30 ~ 35중량부의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35 ~ 40중량부의 충전제와, 3 ~ 4중량부의 희석제와, 0.3 ~ 0.5중량부의 레벨링제와, 1 ~ 2중량부의 제습제와, 0.2 ~ 0.5중량부의 소포제 및 0.5 ~ 3중량부의 아크릴 우레탄계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주제와, 15 ~ 20중량부의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경화제로 조성되고;
    상기 상도층(320)은 상기 중도층(310)과의 친화력에 의한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우레탄계 도막재로 형성되며;
    상기 탑코팅층(330)은 우레탄계 도막재에 1 ~ 5중량부의 자외선 차단제 및 10 ~ 15중량부의 규사를 포함하여 조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0170055455A 2017-04-28 2017-04-28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84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55A KR101840821B1 (ko) 2017-04-28 2017-04-28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55A KR101840821B1 (ko) 2017-04-28 2017-04-28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821B1 true KR101840821B1 (ko) 2018-03-22

Family

ID=6190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55A KR101840821B1 (ko) 2017-04-28 2017-04-28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454B1 (ko) * 2020-06-02 2021-02-19 유도건 절연시트 및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373625B1 (ko) * 2021-01-28 2022-03-14 태하기업 주식회사 친환경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2438120B1 (ko) 2021-08-12 2022-08-30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접합부 상호결합형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2609A (ja) * 2004-07-09 2006-01-26 Toyobo Co Ltd 防水施工用シート状物および防水施工法
JP2010001617A (ja) * 2008-06-18 2010-01-07 Nitto Boseki Co Ltd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2609A (ja) * 2004-07-09 2006-01-26 Toyobo Co Ltd 防水施工用シート状物および防水施工法
JP2010001617A (ja) * 2008-06-18 2010-01-07 Nitto Boseki Co Ltd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454B1 (ko) * 2020-06-02 2021-02-19 유도건 절연시트 및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373625B1 (ko) * 2021-01-28 2022-03-14 태하기업 주식회사 친환경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2438120B1 (ko) 2021-08-12 2022-08-30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접합부 상호결합형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035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1644594B1 (en) Multi-layer covering
KR101840821B1 (ko) 절연시트와 이 절연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이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131031B1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9821537B2 (en) Moisture barrier membrane for concrete floors
KR101902830B1 (ko)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US9816265B2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panels
US9663952B2 (en) Web frame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912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공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20055567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시트 및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100707284B1 (ko) 방수 시공 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381084B1 (ko) 단열 및 방수용 시공 방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1039239B1 (ko)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KR102179600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시공 방법
KR102166241B1 (ko) 단열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JP7297205B2 (ja) 防水工法用通気緩衝シート
JP5764418B2 (ja)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KR20130096935A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20170021456A (ko)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KR101432938B1 (ko) 함침홀 타공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층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