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329B1 -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329B1
KR101840329B1 KR1020160003545A KR20160003545A KR101840329B1 KR 101840329 B1 KR101840329 B1 KR 101840329B1 KR 1020160003545 A KR1020160003545 A KR 1020160003545A KR 20160003545 A KR20160003545 A KR 20160003545A KR 101840329 B1 KR101840329 B1 KR 10184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ction
operator
warn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465A (ko
Inventor
김철용
이용자
문재필
이석기
윤덕근
양충헌
진민수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래도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3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공사구간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사구간을 구획하는 안전구조물과, 상기 안전구조물의 일 단부에 이동수단에 의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검지장치와, 상기 검지장치에서 검지한 상기 차량이 근접하면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자의 주변에 배치되는 경고장치와, 상기 경고장치에서 위험을 경고할 때 상기 작업자가 착용한 장비를 진동시켜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진동장치와, 상기 검지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경고장치 및 상기 진동장치에서 경고신호를 표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Danger Avoidance System of Road Work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도로작업자 및 운전자에게 인식시켜 회피 행동할 시간을 제공하여 사고위험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수요의 증가 및 보다 질 좋은 도로 서비스 요구 증대로 인해 도로 유지관리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02~04'년 서울시 도로점용 공사현황을 살펴보면, 평균 하루 320여건 도로점용공사 시행되고 있고, 이러한 공사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다.
하지만 도로점용공사로 인해 도로의 본질적인 기능 저하로 교통소통뿐만 아니라 도로 이용자의 안전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주행 중인 자동차에 위험 노출로 인해 도로작업자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사망사고 발생률이 일반구간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도로작업자의 안전은 교통안전분야의 저명한 잡지에서도 도로 공사장(work zone)에서의 위험 상황을 2015년 3월의 주요 주제로 선정했으며, 2시간에 한명 정도로 도로 공사장에서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여, 공사장에서의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이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사항이다.
도로점용공사 중 단시간 및 이동공사의 특성(신속한 작업진행 요구)은 임시 안전시설의 간소화 혹은 교통관리 기준 미준수로 인해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고정공사에 비해 사고위험과 치사율이 높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전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도로작업자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도로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대부분 운전자의 부주의(예: 휴대전화, DMB 조작 등 전방주시 태만, 졸음운전)로 인한 도로 작업장 침범이 주 원인이며, 충돌사고는 주로 도로 작업 중 혹은 임시 통제시설 설치 및 철거 작업시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열악한 도로 작업 환경에서 존재하는 도로작업자 안전문제를 효과적으로 방호 및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장비 및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인력 확보는 제한적인 인원 및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28574호(2012.07.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공사구간의 작업자 및 운전자 보호하기 위하여 도로 작업장에 침입하는 차량을 사전에 검지하여 위험을 작업자 및 운전자에게 경고시켜 회피 행동할 시간을 제공하는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공사구간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사구간을 구획하는 안전구조물과, 상기 안전구조물의 일 단부에 이동수단에 의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검지장치와, 상기 검지장치에서 검지한 상기 차량이 근접하면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자의 주변에 배치되는 경고장치와, 상기 경고장치에서 위험을 경고할 때 상기 작업자가 착용한 장비를 진동시켜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진동장치와, 상기 검지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경고장치 및 상기 진동장치에서 경고신호를 표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구조물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구간과, 상기 작업구간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상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을 완충시키는 완충구간과, 상기 완충구간의 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을 다른 차선으로 유도하는 유도구간과, 상기 작업구간의 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구간의 종결을 안내하는 종결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는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지장치를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물과, 상기 지지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전면검지기와, 상기 전면검지기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의 측면으로 주행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측면검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검지기와 상기 측면검지기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영상검지기 및 레이더를 이용한 레이더검지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회피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공사구간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위치 및 거리를 표출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내용을 표출하는 전광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밴드, 신발, 벨트,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진동으로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지장치에서 검지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를 주의구간, 경고구간, 위험구간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은 (a) 도로의 공사구간에 안전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b) 이동수단을 활용하여 상기 공사구간의 전면에 검지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상기 검지장치에서 검지하는 단계; (d)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상기 검지장치를 통해 수집하는 단계; (e)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최소정지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차량의 최소정지거리가 상기 차량과 상기 안전구조물의 거리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주의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경고장치에서 경고내용을 표출하는 단계; (f)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충돌시간이 작업자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경고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장치에서 경고음을 제공하는 단계; (g)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충돌시간이 상기 작업자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위험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진동장치를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단계 내지 (g)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지장치에서 검지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를 주의구간, 경고구간, 위험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안전구조물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구간과, 상기 작업구간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상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을 완충시키는 완충구간과, 상기 완충구간의 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을 다른 차선으로 유도하는 유도구간과, 상기 작업구간의 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구간의 종결을 안내하는 종결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는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지장치를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물과, 상기 지지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전면검지기와, 상기 전면검지기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의 측면으로 주행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측면검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회피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공사구간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위치 및 거리를 표출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내용을 표출하는 전광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밴드, 신발, 벨트,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진동으로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검지장치에서 사전 도로 작업자 침입 차량을 검지하고 위험상황이라 판단하면 작업자 및 운전자에게 경고장치 및 진동장치로 위험을 인지시켜 회피 행동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에서 검지하는 검지범위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차로의 도로 공사구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위험 정도를 구분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에서 검지하는 검지범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은 도로(10)를 주행하는 차량(30)의 운전자에게 공사구간(40)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사구간(40)을 구획하는 안전구조물(100)과, 상기 안전구조물(100)의 일 단부에 이동수단(20)에 의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30)을 검지하는 검지장치(200)와, 상기 검지장치(200)에서 검지한 상기 차량(30)이 근접하면 작업자(50)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자(50)의 주변에 배치되는 경고장치(300)와, 상기 경고장치(300)에서 위험을 경고할 때 상기 작업자(50)가 착용한 장비를 진동시켜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진동장치(400)와, 상기 검지장치(200)에서 상기 차량(30)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경고장치(300) 및 상기 진동장치(400)에서 경고신호를 표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은 고속도로(10)와 같이 자동차 전용 도로(10)의 차선을 보수 및 공사를 진행할 때 공사구간(40)으로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30)이 접근을 알려 공사구간(40)의 작업자(50)가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경고할 수 있다.
이러한,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은 공사구간(40)을 도로(10)에서 주행하는 차량(30)의 운전자에게 인지시키며, 공사구간(40)을 구획하기 위하여 라바콘 등과 같은 안전구조물(1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전구조물(100)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자(50)가 작업하는 작업구간(110)과, 상기 작업구간(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30)이 충돌하였을 때 상기 작업자(5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30)을 완충시키는 완충구간(120)과, 상기 완충구간(120)의 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30)을 다른 차선으로 유도하는 유도구간(130)과, 상기 작업구간(110)의 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구간(40)의 종결을 안내하는 종결구간(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업구간(110)은 도로(10)의 공사구간(40)으로 작업자(50)가 작업하는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작업구간(110)에는 상기 공사구간(40)의 차선과 공사를 하지 않는 차선 사이에 상기 안전구조물(100)을 구비하여 도로(10)를 주행하는 차량(30)이 공사구간(40)을 침범하지 않고 옆 차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간(120)은 상기 작업구간(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30)이 전면에서 안전구조물(100)에 최초 충돌했을 때 브레이크를 밟는 등의 조치를 취한 후 완충되어 작업구간(110)까지 도달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완충구간(120)은 작업구간(110)과 동일하게 상기 안전구조물(100)을 차선의 경계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도구간(130)은 상기 완충구간(120)의 전면에 구비하여 작업자(50)가 작업하는 차선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을 다른 차선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구비되어 차량(30)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결구간(140)은 상기 작업구간(110)의 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며 공사구간(40)의 후면에 상기 안전구조물(100)이 배치되어 공사구간(40)의 종결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결구간(140)은 공사구간(40)의 종결을 의미하므로 사선으로 배치되어 공사구간(40)을 피해 주행하던 차량(30)이 다시 차선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200)는 상기 이동수단(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지장치(200)를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물(210)과, 상기 지지물(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30)을 검지하는 전면검지기(220)와, 상기 전면검지기(220)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40)의 측면으로 주행하는 상기 차량(30)을 검지하는 측면검지기(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200)를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수단(20)은 트레일러와 같이 바퀴가 구비되어 차량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어 공사구간(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물(210)의 하단은 상기 이동수단(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단(20)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검지장치(200)를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물(21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할 때는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도록 유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물(210)은 일반적으로 풍속에 영향이 없도록 견고하게 상기 이동수단(20)에 결합시키며, 상기 검지장치(200)가 5m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면검지기(220)와 상기 측면검지기(230)는 상기 전면검지기(220)와 상기 측면검지기(230)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영상검지기(240)와, 상기 차량(30)의 속도와 유무를 검지하기 위하여 레이더를 이용하는 레이더검지기(250)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을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검지기(220)는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을 검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차선을 검지하여 공사구간(40)과 동일한 차선뿐만 아니라 다른 차선의 차량(30)까지 검지하여 차량(30)이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면검지기(2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검지기(240)에 의하여 상기 차량(30)의 위치를 판단하며, 레이더검지기(250)를 활용하여 차량(30)의 속도와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검지기(240)와 상기 레이더검지기(250)는 별도의 보드에 의하여 상기 차량(30)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측면검지기(230)는 상기 공사구간(40)의 측면으로 주행하는 차량(30)이 상기 작업자(50) 방면으로 접근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검지하기 위하여 공사구간(40)과 다른 차선을 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검지기(220)와 동일하게 영상검지기(240)와 레이더검지기(250)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보드에서 차량(30)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경고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30)의 위치가 상기 제어장치(500)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50)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회피스피커(310)와, 상기 차량(30)의 운전자에게 상기 공사구간(40)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320)와, 상기 차량(30)의 위치 및 거리를 표출하며, 상기 차량(30)이 상기 작업자(50)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내용을 표출하는 전광판(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피스피커(310)는 상기 검지장치(200)에서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이 위험하다 판단되면 상기 작업자(50) 주변에 구비되어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경고스피커(320)는 상기 안전구조물(100)의 배치에 따라 형성되는 유도구간(130)에 구비되어 상기 검지장치(200)에서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이 위험하다 판단되면 상기 차량(30)의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송출하여 운전자가 상기 공사구간(40)을 인지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주의를 줄 수 있다.
상기 회피스피커(310)와 상기 경고스피커(320)는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고정물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자(50) 및 상기 운전자가 소음에 의하여 인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높은 출력으로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전광판(330)은 상기 회피스피커(310)와 결합되거나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자(50)가 상기 회피스피커(310)에서 전달되는 경고음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경고음을 확인하고 재확인시키기 위하여 경고내용을 표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광판(330)은 상기 차량(30)과 상기 안전구조물(100)과의 거리 및 도달시간 등 다양한 경고내용을 표출하여 상기 작업자(50)가 회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광판(330)은 상기 회피스피커(310)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고 지형물 및 외부물건 등에 의하여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고정물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400)는 상기 작업자(50)가 착용하는 안전모, 밴드, 신발, 벨트,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500)에 의하여 상기 차량(30)이 상기 작업자(50)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진동으로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400)는 상기 제어장치(500)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판단하면 상기 작업자(50)가 착용하여 안전모, 밴드, 신발, 벨트 또는 별도의 핸드폰과 같은 단말기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통신기능과 진동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장치(400)는 상기 작업자(50)에게 진동을 통해 직접 위험을 전달하므로 상기 작업자(50)가 진동을 느끼는 순간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검지장치(200)의 전면검지기(220)와 측면검지기(230)에서 검지한 차량(30)의 정보를 보드에서 처리한 후 수신받아 상기 경고장치(300) 및 상기 진동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장치(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검지기(220)의 영상검지기(240)에서 상기 차량(30)의 위치를 판단할 때 주의구간(510), 경고구간(520), 위험구간(530)으로 구분하여 상기 작업자(50)들에게 위험을 경고하여 회피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500)에서 설정한 주의구간(510)에 상기 차량(30)이 검지될 경우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작업자(50)들에게 1단계 경고로 전광판(330)의 조명을 깜빡일 수 있고, 상기 차량(30)이 경고구간(520)에서 검지될 경우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작업자(50)들에게 2단계 경고로 전광판(330)과 스피커에서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30)이 위험구간(530)에서 검지될 경우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작업자(50)들이 착용한 진동장치(400)를 이용하여 3단계 경고를 하여 상기 작업자(50)들이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차로 이상의 도로(10)의 중간에 공사구간(40)이 형성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구조물(100)을 도로(10)의 1차로와 3차로에 구비하여 차량(30)을 1차로와 3차로로 유도하고 검지장치(200)를 1차로와 3차로에 각각 더 구비하여 차량(30)이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10에서는 도로(10)의 공사구간(40)에 복수개의 안전구조물(1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안전구조물(100)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자(50)가 작업하는 작업구간(110)과, 상기 작업구간(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30)이 충돌하였을 때 상기 작업자(5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30)을 완충시키는 완충구간(120)과, 상기 완충구간(120)의 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30)을 다른 차선으로 유도하는 유도구간(130)과, 상기 작업구간(110)의 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구간(40)의 종결을 안내하는 종결구간(140)을 구비할 수 있다.
단계 S1120은 상기 안전구조물(100)이 배치된 완충구간(120)과 유도구간(130) 사이에 검지장치(20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200)는 공사구간(40)의 전면과 측면의 차량(30)을 검지하기 위하여 차선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200)는 상기 이동수단(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지장치(200)를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물(210)과, 상기 지지물(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30)을 검지하는 전면검지기(220)와, 상기 전면검지기(220)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40)의 측면으로 주행하는 상기 차량(30)을 검지하는 측면검지기(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는 단계 S1120에서 배치한 상기 검지장치(200)에서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을 검지할 수 있다.
단계 S1140은 상기 검지장치(200)에서 검지한 차량(30)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제어장치(500)에서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150은 상기 제어장치(500)에서 차량(30)의 위치에서 정지를 하였을 때 정지할 수 있는 최소정지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1160은 단계 S1150에서 산출한 최소정지거리로 차량(30)과 안전구조물(100)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최소정지거리가 차량(30)과 안전구조물(100) 거리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작업자(50)가 위험할 수 있다 판단하여 단계 S1170과 같이 1단계 경고로 전광판(330)에서 경고내용이 깜빡이는 등의 위험을 작업자(50)가 인지하도록 표출할 수 있다.
하지만, 최소정지거리가 차량(30)과 안전구조물(100) 거리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단계 S1140에서 제어장치(500)에서 차량(30)의 정보를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단계 S1180에서 차량(30)의 충돌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1190은 단계 S1180에서 산출한 차량(30)의 충돌시간과 작업자(50)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30)의 충돌시간이 작업자(50)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작업자(50)가 위험할 수 있다 판단하여 단계 S1200과 같이 2단계 경고로 회피스피커(310)를 통해 경고음이 송출되어 위험을 작업자(50)가 인지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30)의 충돌시간이 작업자(50)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단계 S1210와 같이 3단계 경고로 작업자(50)가 착용하는 진동장치(400)를 통해 위험을 작업자(50)가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의 운전자에게는 경고스피커(320)를 통해 위험상황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10 내지 단계 S1140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구조물(100)을 공사구간(40)에 설치하여 검지장치(200)를 활용하여 차량(30)을 검지하여 제어장치(500)로 차량(30)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100에서는 차량(30)이 제어장치(500)에서 설정한 주의구간(510)에서 검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30)이 주의구간(510)에서 검지될 경우 단계 S2200과 같이 1단계 경고로 1단계 경고로 전광판(330)에서 경고내용이 깜빡이는 등의 위험을 작업자(50)가 인지하도록 표출할 수 있다.
단계 S2300은 단계 S2100에서 차량(30)이 검지되지 않을 때 상기 차량(30)이 주의구간(510)을 지나 경고구간(520)에서 검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30)이 경고구간(520)에서 검지될 경우 단계 S2400과 같이 2단계 경고로 회피스피커(310)를 통해 경고음이 송출되어 위험을 작업자(50)가 인지할 수 있다.
단계 S2500은 단계 S2300에서 차량(30)이 검지되지 않을 때 상기 차량(30)이 경고구간(520)을 지나 위험구간(530)에서 검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30)이 위험구간(530)에서 검지될 경우 단계 S2600과 같이 3단계 경고로 작업자(50)가 착용하는 진동장치(400)를 통해 위험을 작업자(50)가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사구간(40)으로 접근하는 차량(30)의 운전자에게는 경고스피커(320)를 통해 위험상황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단계 S2700에서는 단계 S2500에서 차량(30)이 검지되지 않을 때 차량(30)이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30) 검지를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안전구조물 200: 검지장치
210: 지지물 220: 전면검지기
230: 측면검지기 240: 영상검지기
250: 레이더검지기 300: 경고장치
310: 회피스피커 320: 경고스피커
330: 전광판 400: 진동장치
500: 제어장치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도로의 공사구간에 안전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b) 이동수단을 활용하여 상기 공사구간의 전면에 검지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상기 검지장치에서 검지하는 단계;
    (d)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상기 검지장치를 통해 수집하는 단계;
    (e)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최소정지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차량의 최소정지거리가 상기 차량과 상기 안전구조물의 거리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주의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경고장치에서 경고내용을 표출하는 단계;
    (f)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충돌시간이 작업자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경고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장치에서 경고음을 제공하는 단계;
    (g)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충돌시간이 상기 작업자가 회피할 수 있는 안전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위험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진동장치를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검지장치는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지장치를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물과,
    상기 지지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전면검지기와,
    상기 전면검지기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구간의 측면으로 주행하는 상기 차량을 검지하는 측면검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구조물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구간과,
    상기 작업구간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상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을 완충시키는 완충구간과,
    상기 완충구간의 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을 다른 차선으로 유도하는 유도구간과,
    상기 작업구간의 후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구간의 종결을 안내하는 종결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회피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공사구간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위치 및 거리를 표출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경고내용을 표출하는 전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밴드, 신발, 벨트,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판단되면 진동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방법.
KR1020160003545A 2016-01-12 2016-01-12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45A KR101840329B1 (ko) 2016-01-12 2016-01-12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45A KR101840329B1 (ko) 2016-01-12 2016-01-12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65A KR20170084465A (ko) 2017-07-20
KR101840329B1 true KR101840329B1 (ko) 2018-03-20

Family

ID=5944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45A KR101840329B1 (ko) 2016-01-12 2016-01-12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1245B (zh) * 2018-12-29 2021-03-16 南京奥杰智能科技有限公司 道路作业人员安全预警系统
US11508239B2 (en) * 2020-05-19 2022-11-22 The Auto Club Group Road-side detection and alert system and method
KR102251111B1 (ko) * 2020-07-01 2021-05-11 김중섭 표지판과 가변신호등을 이용한 차량의 주행 차선변경 안내시스템
KR102556152B1 (ko) * 2020-12-22 2023-07-19 한국도로공사 공사구간의 오진입 차량에 반응하는 에어백 안전조끼 작동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102581604B1 (ko) * 2021-05-18 2023-09-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에서의 공사 중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CN114463935B (zh) * 2022-02-07 2023-09-26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警示方法及警示系统
CN114973713B (zh) * 2022-05-23 2023-11-14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一种用于公路改扩建工程的防误闯智能预警系统及方法
CN116645778A (zh) * 2023-04-07 2023-08-25 赵剑 一种公路施工用预警监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637A (ja) * 2008-04-01 2009-10-29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ansai Kk 車両事故防止ロボット及び車両事故防止システム
JP2012128574A (ja) * 2010-12-14 2012-07-05 Saftec Co Ltd 警報システム、警報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警報方法
JP2014235485A (ja) * 2013-05-31 2014-12-15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道路作業領域の警告システム及び警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637A (ja) * 2008-04-01 2009-10-29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ansai Kk 車両事故防止ロボット及び車両事故防止システム
JP2012128574A (ja) * 2010-12-14 2012-07-05 Saftec Co Ltd 警報システム、警報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警報方法
JP2014235485A (ja) * 2013-05-31 2014-12-15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道路作業領域の警告システム及び警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65A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329B1 (ko)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CA2343435C (en) Dynamic work zone safety system
EP2133851B1 (en) Safe driving assisting device
KR20140046953A (ko) 충돌 경고 장치 및 충돌 경고 방법
CN112258894A (zh) 一种高速公路施工作业主动安全防撞系统及方法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JP5360076B2 (ja) 障害物報知装置
KR102168689B1 (ko) 차량높이 감지시스템
JP4645507B2 (ja) 携帯用電子機器及び車載用電子機器
KR101762126B1 (ko) 도로 작업자 위험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100825761B1 (ko) 무선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비신호 교차로에서 차량의 정지및 통과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비신호 교차로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GB2436916A (en) System for detecting and warning other road users that they pose a hazard to a vehicle or its passengers
CN105957401A (zh) 基于车路协同的交叉路口行人防碰撞方法及其装置
KR101661553B1 (ko) 차량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0034B1 (ko) 이동형 IoT 통합 기반 안전 운행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JP2015108926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CN209168403U (zh) 超限高车辆预警系统
KR102508510B1 (ko) 도로설치 기반 도로표면 레이저 마킹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4830A (ko) 운전자 시선추적과 교통정보를 이용한 도로상황 경보시스템 및 방법
CN105336216A (zh) 无信号交叉路口防碰撞预警方法及终端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3237A (ko) 도로공사 현장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CN110626259A (zh) 三角警示架及其撞击预警方法
KR101799917B1 (ko)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