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29B1 -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29B1
KR101840229B1 KR1020160179394A KR20160179394A KR101840229B1 KR 101840229 B1 KR101840229 B1 KR 101840229B1 KR 1020160179394 A KR1020160179394 A KR 1020160179394A KR 20160179394 A KR20160179394 A KR 20160179394A KR 101840229 B1 KR101840229 B1 KR 10184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or
spindle
anvil
hous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훈
권남진
김순창
이지원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8Gear boxes, clutches, bearings, feeding mechanisms or lik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유닛과; 상기 감속유닛과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며 일측 외면에 궤적부가 구비된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궤적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전방에 걸림턱이 형성된 임팩터와; 상기 임팩터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회전 구동하는 앤빌과; 상기 감속유닛과 상기 임팩터 사이의 상기 스핀들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팩터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탄성이 축적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핀들과 상기 임팩터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앤빌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팩터가 후방으로 이동됨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상기 임팩터와 상기 앤빌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앤빌이 지속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는 드릴 전환부를; 포함함으로써, 임팩터가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후진함을 억제하여 임팩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임팩트 전동공구를 선택적으로 드릴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IMPACTOR HAVING CHAANGING PART INTO DRILL}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팩터를 이용하여 드릴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라 함은 햄머 드릴, 핸드 드릴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철 구조물 또는 철판 등에 조립 홀을 천공하거나, 돌출부를 파쇄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전동공구는 본체 내측으로 구동 모터가 설치되고,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토크를 얻기 위해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박스를 장착하게 된다.
전동공구의 기어박스 내부에는 감속 유닛, 스핀들, 스프링, 임팩트 볼, 임팩터(Impactor), 앤빌(Envil) 등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부품을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하기 위해 메커니즘 구성 후 기어부분을 지지하는 기어박스 캡과 기어박스 하우징의 체결을 통해서 패키지(Packaging)화 하여 하나의 기어박스 조립체로 제조한다.
도 1은 종래의 임팩트 전동공구의 임팩터와 앤빌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공구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유닛(10)과, 감속유닛(10)과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미도시)과, 상기 스핀들에 설치되는 임팩터(20)와 앤빌(30) 및 감속유닛(10)과 임팩터(20) 사이의 상기 스핀들 외면에 설치되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유닛(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와 치합되는 링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팩터(20)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일측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측면에 타격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재(21)가 구비되어 있다.
앤빌(30)은 일측면에 임팩터(20)에 형성된 돌출부재(21)의 타격면과 접촉되는 피타격면이 형성된 연장부재(3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동공구가 작동하는 방법은 반 시계 방향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의해 감속유닛(10)이 작동되어 상기 스핀들(미도시)을 회전시킴으로써 앤빌(30)의 단부에 연결된 공구가 체결요소를 죄게 된다.
상기 체결요소가 최대로 조여지게 되면, 앤빌(30)에 반력 토크가 발생하여 상기 스핀들과 임팩터(20)를 움직이는 v홈에 있는 임팩트 볼에 의해 스프링(40)을 압축하고, 임팩터(20)도 같이 후퇴된다.
그리고, 후퇴 된 임팩터(20)는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전진하면서 탄성력과 회전력에 의해 돌출부재(21)의 타격면이 앤빌(30)의 연장부재(31)에 형성된 피타격면과 충돌하면서 임팩팅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임팩트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은 메카니즘에 의하여 임팩팅이 수행되기 때문에 임팩팅이 발생하기 전부터 임팩팅이 발생하는 순간까지의 토크는 사용할 수 있지만, 임팩팅이 발생한 순간 이후부터 임팩팅이 완료되는 순간까지의 토크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드릴 기능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임팩터가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후진함을 억제하여 임팩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임팩트 전동공구를 선택적으로 드릴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유닛과; 상기 감속유닛과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며 일측 외면에 궤적부가 구비된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궤적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전방에 걸림턱이 형성된 임팩터와; 상기 임팩터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회전 구동하는 앤빌과; 상기 감속유닛과 상기 임팩터 사이의 상기 스핀들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팩터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탄성이 축적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핀들과 상기 임팩터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앤빌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판면이 절개 형성된 절개면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면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임팩터가 후방으로 이동됨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임팩터와 상기 앤빌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앤빌이 지속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절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 전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면의 주연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절개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드릴 전환부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부채꼴 형상의 조각이 일체로 형성된 전환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레버는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개방부와,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임팩터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환레버는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게 형성된 개방부,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부 및 상기 거리가 상기 개방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로 형성되어 상기 임팩터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전환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개방부가 상기 절개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부의 타단이 상기 수용부재의 타측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절개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팩터가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후진함을 억제하여 임팩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임팩트 전동공구를 선택적으로 드릴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임팩트 전동공구의 임팩터와 앤빌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드릴 전환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가 작동하는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드릴 전환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가 작동하는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유닛(100)과; 상기 감속유닛(100)과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며 일측 외면에 궤적부가 구비된 스핀들(200)과; 상기 스핀들(20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궤적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200)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전방에 걸림턱(310)이 형성된 임팩터(300)와; 상기 임팩터(3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310)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10)가 형성되어 회전 구동하는 앤빌(400)과; 상기 감속유닛(100)과 상기 임팩터(300) 사이의 상기 스핀들(200)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탄성이 축적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스핀들(200)과 상기 임팩터(300)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앤빌(4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600)과; 상기 하우징(600)의 외면 일측에는 판면이 절개 형성된 절개면(610)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면(610)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6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됨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임팩터(300)와 상기 앤빌(400)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앤빌(400)이 지속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절개면(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 전환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감속유닛(100)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와 치합되는 링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핀들(200)의 일단은 감속유닛(100)과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며 그 외면 일측에는 임팩터(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궤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궤적부의 외면에 임팩터(300)가 궤적부와 맞물리게 설치된다.
임팩터(300)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일측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측면에 타격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3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임팩터(300)는 스핀들(200)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상기 궤적부와 맞물도록 설치됨으로써 스핀들(20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궤적부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앤빌(400)의 일측면에는 임팩터(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의 타격면과 접촉되는 피타격면이 형성된 걸림부재(410)가 구비되어 있다.
앤빌(400)의 단부는 하우징(6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단부에는 임팩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500)은 감속유닛(100)과 상기 임팩터(300) 사이의 상기 스핀들(200)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탄성이 축적되도록 함으로써 임팩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우징(600)은 스핀들(200)과 임팩터(300)가 내부에 구비되고 앤빌(4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임팩트 전동공구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임팩터(300)의 후단이 위치하는 하우징(600)의 외면에는 판면이 절개된 복수의 절개면(610)이 구비됨으로써 드릴 전환부(70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하우징(6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임팩터(300)의 후단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스핀들(20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함을 방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앤빌(4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임팩터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드릴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면(610)의 주연부에는 상기 하우징(6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절개면(610)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62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드릴 전환부(700)는 일부가 하우징(6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부채꼴 형상의 조각이 일체로 형성된 전환레버(7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전환레버(710)는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개방부(711)와,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임팩터(3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림부(7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환레버(710)가 개방부(711)와 걸림부(712)로 구성된 경우에 걸림부(712)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환레버(710)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개방부(711)는 회전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짧게 형성된 영역으로서 개방부(711)의 판면은 임팩터(300)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걸림부(712)는 절개면(610)를 통하여 하우징(600)의 내부로 인입시에 임팩터(300)의 후단과 접촉되도록 하여 임팩터(300)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레버(710)는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게 형성된 개방부(711),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부(713) 및 상기 거리가 개방부(711)와 조작부(713) 사이로 형성되어 임팩터(3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림부(712)로 이루어지는 전환레버(7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전환레버(710)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전환레버(710)의 경우에도 개방부(711)는 회전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짧게 형성된 영역으로서 개방부(711)의 판면은 임팩터(300)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걸림부(712)는 절개면(610)를 통하여 하우징(600)의 내부로 인입시에 임팩터(300)의 후단과 접촉되도록 하여 임팩터(300)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별도의 조작부(713)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전환레버(71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조작부(713)의 일단이 수용부재(620)의 일측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개방부(711)가 절개면(6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조작부(713)의 타단이 수용부재(620)의 타측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걸림부(712)가 절개면(6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가 작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임팩트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임팩팅 작업을 수행시에는 드릴 전환부(700)를 구성하는 전환레버(710)의 걸림부(712)가 하우징(60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절개면(610)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전환레버(7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즉, 개방부(711)가 절개면(6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전환레버(710)와 임팩터(30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의해 감속유닛(100)이 작동되어 스핀들(200)을 회전시킴으로써 앤빌(400)의 단부에 연결된 공구가 체결요소를 죄게 된다.
상기 체결요소가 최대로 조여지게 되면, 앤빌(400)에 반력 토크가 발생하여 스핀들(200)에 형성된 궤적부를 따라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500)을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으로 이동된 임팩터(300)는 스프링(500)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전진하면서 탄성력과 회전력에 의해 걸림턱(310)의 타격면이 앤빌(400)에 형성된 걸림부재(410)에 형성된 피타격면과 충돌하면서 임팩트를 가하여 임팩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작업자가 임팩트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시에는 드릴 전환부(700)의 전환레버(710)에 형성된 걸림부(712)가 하우징(600)의 외면에 형성된 절개면(61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전환레버(7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면 감속유닛(100)이 작동되어 임팩터(30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임팩커(300)의 후단이 걸림부(712)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임팩터(300)는 궤적부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구동모터가 회전구동하더라도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면 임팩터(300)에 형성된 걸림턱(310)과 앤빌(400)에 형성된 걸림부재(410)가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앤빌(400)이 지속적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므로 임팩트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드릴링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는, 상기 임팩터가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후진함을 억제하여 임팩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임팩트 전동공구를 선택적으로 드릴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감속유닛 200 : 스핀들
300 : 임팩터 310 : 걸림턱
400 : 앤빌 410 : 걸림부재
500 : 스프링 600 : 하우징
610 : 절개면 620 : 수용부재
700 : 드릴 전환부 710 : 전환레버
711 : 개방부 712 : 걸림부
713 : 조작부

Claims (5)

  1.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유닛(100)과;
    상기 감속유닛(100)과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며 일측 외면에 궤적부가 구비된 스핀들(200)과;
    상기 스핀들(20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궤적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200)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전방에 걸림턱(310)이 형성된 임팩터(300)와;
    상기 임팩터(3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310)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10)가 형성되어 회전 구동하는 앤빌(400)과;
    상기 감속유닛(100)과 상기 임팩터(300) 사이의 상기 스핀들(200)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탄성이 축적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스핀들(200)과 상기 임팩터(300)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앤빌(4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600)과;
    상기 하우징(600)의 외면 일측에는 판면이 절개 형성된 절개면(610)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면(610)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6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임팩터(300)가 후방으로 이동됨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임팩터(300)와 상기 앤빌(400)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앤빌(400)이 지속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절개면(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 전환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면(610)의 주연부에는 상기 하우징(6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절개면(610)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620)가 구비되고,
    상기 드릴 전환부(700)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6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부채꼴 형상의 조각이 일체로 형성된 전환레버(7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710)는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개방부(711)와,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임팩터(3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림부(7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710)는 회전의 중심에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게 형성된 개방부(711),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부(713) 및 상기 거리가 상기 개방부(711)와 상기 조작부(713) 사이로 형성되어 상기 임팩터(3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림부(712)로 이루어지는 전환레버(7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713)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재(620)의 일측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개방부(711)가 상기 절개면(6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부(713)의 타단이 상기 수용부재(620)의 타측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712)가 상기 절개면(6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KR1020160179394A 2016-12-26 2016-12-26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KR10184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394A KR101840229B1 (ko) 2016-12-26 2016-12-26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394A KR101840229B1 (ko) 2016-12-26 2016-12-26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229B1 true KR101840229B1 (ko) 2018-03-21

Family

ID=6190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394A KR101840229B1 (ko) 2016-12-26 2016-12-26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2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080A (ja) 2004-10-28 2006-05-18 Makita Corp インパクト工具
JP2015024474A (ja) * 2013-07-26 2015-02-05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KR101515883B1 (ko) 2013-12-19 2015-05-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KR101546797B1 (ko) 2014-06-27 2015-08-24 계양전기 주식회사 해머드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080A (ja) 2004-10-28 2006-05-18 Makita Corp インパクト工具
JP2015024474A (ja) * 2013-07-26 2015-02-05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KR101515883B1 (ko) 2013-12-19 2015-05-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KR101546797B1 (ko) 2014-06-27 2015-08-24 계양전기 주식회사 해머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9956B (zh) 冲击工具以及旋转工具
JP4405900B2 (ja) インパクトドライバ
US7048075B2 (en) Power tool
US7549484B2 (en) Power tool
US10046450B2 (en) Mode change knob assembly
JP4391921B2 (ja) 震動ドリル
KR101840229B1 (ko)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US10232449B2 (en) Combination tool
JP2003220569A (ja) インパクト回転工具
US20230118960A1 (en) Power tool
KR101840228B1 (ko) 드릴 전환부를 구비한 임팩트 전동공구
JP5888505B2 (ja) 締め付け工具
KR101628251B1 (ko) 전동공구 비트 교체 장치
KR101922640B1 (ko) 전동공구 비트 착탈 장치
JP5857267B2 (ja) 電動工具
JP5403309B2 (ja) 回転打撃工具
JP2021532998A (ja) 手持ち工具機械、特にインパクトドライバ
JP2014151421A (ja) インパクト工具
JP5503452B2 (ja) ロック解除用アクチュエータ
CN218397961U (zh) 冲击电钻
US3633684A (en) Tool bit retainer
JP2005066728A (ja) インパクト回転工具
JP6054761B2 (ja) 回転打撃工具
JP2004082289A (ja) 振動ドリルドライバ
KR101606407B1 (ko) 임팩터 이상타격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