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138B1 - 광케이블 탈피 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탈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138B1
KR101840138B1 KR1020160157973A KR20160157973A KR101840138B1 KR 101840138 B1 KR101840138 B1 KR 101840138B1 KR 1020160157973 A KR1020160157973 A KR 1020160157973A KR 20160157973 A KR20160157973 A KR 20160157973A KR 101840138 B1 KR101840138 B1 KR 10184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unit
knife
knife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조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5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탈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광케이블을 절개하는 나이프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나이프부의 파손 여부를 원격에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 탈피 장치{APPARATUS FOR STRIPPING OPTICAL FIBER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 탈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절개하는 나이프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나이프부의 파손 여부를 원격에서 파악할 수 있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내부의 광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금속재질로 된 내피와, 내피 둘레에 압착되어 있는 PE 등의 재질로 된 외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폐기 처리되는 광케이블은 각 소재 종류별로 재활용을 하기 위하여 PE 등의 재질의 외피를 벗겨내서 외피와 내피를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외피는 내피 둘레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피를 내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된 광케이블의 탈피작업을 칼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매우 떨어져서 폐기 광케이블의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원형 칼날이 부착된 폐 전선의 탈피기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할 수도 있으나, 광케이블의 외피가 내피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져서 폐기된 광케이블을 대량으로 외피를 분리하는데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폐기된 광케이블의 외피를 태워서 내피만을 수거할 수는 있으나, 외피의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하고, 외피는 재활용할 수 없고 내피만을 재활용하게 되어 재활용 효율이 떨어져서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폐 전선 탈피방법을 이용하여 외피인 PE의 녹는 점까지 열을 발산시켜 외피를 녹여서 내피와 분리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도 대량으로 폐 광케이블의 외피와 내피를 분리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39209호에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나이프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적절히 조절되어야 하지만, 상술한 한국등록특허문헌에는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광케이블을 절개하는 나이프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나이프부의 파손 여부를 원격에서 파악할 수 있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케이블이 이송됨에 따라 광케이블의 피복을 절개하는 나이프부; 나이프부가 결합되며, 나이프부와 광케이블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되는 거치암부; 및 전원공급부를 통해 거치암부에 가해진 전류가 나이프부와 광케이블을 통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거치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광케이블을 절개하는 나이프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나이프부의 파손 여부를 원격에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탈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투입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주파 유도가열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부, 전원공급부, 제어부 사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서 센싱부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탈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투입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주파 유도가열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부, 전원공급부, 제어부 사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탈피 장치(100)는, 광케이블(401)이 이송됨에 따라 광케이블(401)의 피복(403)을 절개하는 나이프부(405); 나이프부(405)가 결합되며,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되는 거치암부(407); 및 전원공급부(111)를 통해 거치암부(407)에 가해진 전류가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을 통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거치암부(407)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탈피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광케이블 탈피 장치(100)는, 광케이블 투입부(105), 고주파 유도가열부(101), 절개부(107), 전원공급부(111), 제어부(103), 탈피부(109), 측정부(113)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5)를 포함한다.
광케이블 투입부(105)는 인입되는 광케이블(401)을 직선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광케이블 투입부(105)는, 광케이블(401)을 이송하면서 직선화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롤러부(201)와 제2롤러부(203)를 포함한다.
물론, 제1롤러부(201)의 롤러몸체부(205)와 제2롤러부(203)의 롤러몸체부(207)는 모두 외주면 둘레에 회전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광케이블(40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부(201)와 제2롤러부(203)를 통과하면서 직선화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광케이블(401)의 직선화시 슬립을 방지하도록, 롤러몸체부(205)의 외주면과 롤러몸체부(207)의 외주면은 널링처리될 수 있다.
이어서, 고주파 유도가열부(101)는 광케이블(401)을 고주파 유도가열하여 광케이블(401)의 피복(403)을 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고주파 유도가열부(101)는 구동장치(301)와 유도 코일(303)을 포함하며, 유도 코일인 고주파 전류운반 컨덕터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금속 부분의 온도를 올리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광케이블(401)은 유도 코일(303)을 통과하면서 금속 부분인 내피(403a)가 가열되고, 그 온도에 의해 외피(403b)가 연화되면서 내피(403a)에 압착되어 있던 외피(403b)가 내피(403a)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어서, 절개부(107)는 고주파 유도가열부(101)을 통과한 광케이블(401)을 절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절개부(107)는, 광케이블(401)이 이송됨에 따라 광케이블(401)의 피복(403)을 절개하는 나이프부(405); 및 나이프부(405)가 결합되며,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되는 거치암부(407);를 포함한다.
나이프부(405)는 이송되는 광케이블(401)의 피복(403, 상술한 내피(403a) 및 외피(403b)를 포함)을 절개하도록 마련되는데, 일예로 나이프부(405)는 원형 칼날로 제공될 수 있다.
거치암부(407)는 나이프부(405)가 결합되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데, 거치암부(407)는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나이프부(405)는, 광케이블(401)의 피복(403)이 양측에서 절개되도록, 광케이블(401)을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거치암부(407a, 407b)에 각각 구비된다.
즉, 나이프부(405a)는 거치암부(407a)에 결합되고, 나이프부(405b)는 거치암부(407b)에 결합되며, 광케이블(401)은 나이프부들(405a, 405b) 사이로 이송되면서 양측으로 절개된다.
또한, 거치암부(407)는 구동부(411)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거치암부(407a)와 거치암부(407b) 사이의 간격은 구동부(411)의 구동력에 의해 조절된다.
이어서, 전원공급부(111)는 거치암부(407)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전원공급부(111)는 일예로, 배터리, 대용량 에너지 스토리지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3)는 전원공급부(111)를 통해 거치암부(407)에 가해진 전류가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을 통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부(41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거치암부(407)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광케이블(401)의 피복(403)을 구성하는 내피(403a)는 금속 부분을 포함하므로, 전류가 인가된 상태의 거치암부(407)가 광케이블(401) 쪽으로 이동하여서 나이프부(405)와 내피(403a)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비로소 폐회로가 만들어져 전류의 통전이 이뤄지므로, 이 시점을 나이프부(405)의 적정 절개 위치로 산정하고, 이 위치까지 거치암부(407)가 이동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어부(103)가 전원공급부(111)를 통해 나이프부(405)의 적정 절개 위치를 셋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공정의 편리성, 효율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탈피부(109)는 피복(403)이 절개된 광케이블(401)의 내피(403a)와 외피(403b)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탈피부(109)는 일예로, 콘 타입의 탈피칼날을 포함하도록 이뤄진다.
이어서, 측정부(113)는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 사이의 통전 저항 크기 변화를 측정한다.
즉, 나이프부(405)의 마모 정도가 커지거나, 파손됨으로 인해 나이프부(405)와 광케이블(401)(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피(403a)) 사이의 접촉면적이 변하게 되면, 이에 따라 통전 저항의 크기도 변하게 되므로, 측정부(113)는 이러한 통전 저항 크기의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15)는 상술한 전류의 통전 여부 또는 상술한 통전 저항의 크기 변화를 표시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15)에 전류의 통전 여부, 통전 저항의 크기 변화 등의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나이프부(405)의 현재 상태를 원격에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탈피 장치(100)는, 광케이블(401)에 대한 나이프부(405)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센싱부(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501)는 거치암부(407)에 구비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센싱부(501)는 거치암부(407)에 투광부(501a)와 수광부(501b)가 구비된 적외선센서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투광부(501a)에서 투광된 적외선은 광케이블(401)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501b)로 수광되며, 광케이블(401)에 대한 나이프부(405)의 상대위치는 투광되는 적외선과 반사되어 수광되는 적외선 사이의 관계를 통하여 측정된다.
또한, 다른 예로, 센싱부(501)는 한쌍의 거치암부(407a, 407b) 중 어느 한쪽 거치암부(407a)에 발산부(501a')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 거치암부(407b)에 수신부(501b')가 구비된 초음파센서를 포함한다.
이처럼 센싱부(501)가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전원공급부(111)를 통한 나이프부(405)의 적정 절개 위치 셋팅을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광케이블을 절개하는 나이프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나이프부의 파손 여부를 원격에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케이블 탈피 장치
101 : 고주파 유도가열부
103 : 제어부
105 : 광케이블 투입부
107 : 절개부
109 : 탈피부
111 : 전원공급부
113 : 측정부
115 : 디스플레이부
201 : 제1롤러부
203 : 제2롤러부
205 : 롤러몸체부
207 : 롤러몸체부
301 : 구동장치
303 : 유도 코일
401 : 광케이블
403 : 피복
405 : 나이프부
407 : 거치암부
501 : 센싱부

Claims (4)

  1. 광케이블이 이송됨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절개하는 나이프부;
    상기 나이프부가 결합되며, 상기 나이프부와 상기 광케이블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되는 거치암부;
    전원공급부를 통해 상기 거치암부에 가해진 전류가 상기 나이프부와 상기 광케이블을 통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거치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나이프부의 현재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나이프부와 상기 광케이블 사이의 통전 저항 크기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의 통전 여부 또는 상기 통전 저항 크기 변화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부는,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이 양측에서 절개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을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상기 거치암부 각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피 장치.
KR1020160157973A 2016-11-25 2016-11-25 광케이블 탈피 장치 KR10184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73A KR101840138B1 (ko) 2016-11-25 2016-11-25 광케이블 탈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73A KR101840138B1 (ko) 2016-11-25 2016-11-25 광케이블 탈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138B1 true KR101840138B1 (ko) 2018-03-19

Family

ID=6191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73A KR101840138B1 (ko) 2016-11-25 2016-11-25 광케이블 탈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606B1 (ko) 2021-10-12 2022-11-17 주식회사 에스티엠산업 광케이블용 외피 탈피 장치
KR102471953B1 (ko) * 2022-01-28 2022-11-29 태형물산 주식회사 이동형 On-site 탈피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572B1 (ko) * 2009-08-21 2010-09-10 강호근 전선 절단 탈피장치
KR101039209B1 (ko) * 2011-02-11 2011-06-03 이경호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572B1 (ko) * 2009-08-21 2010-09-10 강호근 전선 절단 탈피장치
KR101039209B1 (ko) * 2011-02-11 2011-06-03 이경호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606B1 (ko) 2021-10-12 2022-11-17 주식회사 에스티엠산업 광케이블용 외피 탈피 장치
KR102471953B1 (ko) * 2022-01-28 2022-11-29 태형물산 주식회사 이동형 On-site 탈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138B1 (ko) 광케이블 탈피 장치
CA2677794C (en) Multi-electrode system
US73421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arc
US7555188B2 (en) Method of cleaning and stripping an optical fiber using an electrical arc, and associated apparatus
US9876338B2 (en) Device for stripping electric cables using violet or blue laser diodes
JP2016513565A5 (ko)
EP26919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pairing defects in an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rmal imaging
KR101719333B1 (ko) 광케이블 박피 및 재활용 장치어셈블리
KR101849472B1 (ko) 광케이블 탈피 장치
CN106573284B (zh) 凹痕去除装置
JP2013195840A (ja) 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方法
Wang et al. Waveform control of enhanced THz radiation from femtosecond laser filament in air
US10353149B2 (en) Universal optical fiber coating stripper using gliding plasma
JP2000354315A (ja) 被覆電線に対する切断刃の切り込み深さの検知方法と被覆電線の剥皮装置
CN205656336U (zh) 一种光纤处理系统
Duke et al. Benefits of CO2 laser heating for high reliability fiber splicing
US20230317321A1 (en) Method of Removing Foil Shield from Cable
US20220044847A1 (en) Method of Removing Foil Shield From Cable
WO2018207732A1 (ja)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
US20070081772A1 (en) Automatic current selection for single fiber splicing
JPH10201006A (ja) 無接触給電設備
US20160223775A1 (en) Fiber stripping methods and apparatus
CN221465785U (zh) 一种加热型剥纤装置
KR101762581B1 (ko) 휴대용 와이어 소선 접합용 디바이스
Cho et al. Characterisation of continuous arc discharge system as a fusion heat source for fused fiber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