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911B1 -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9911B1 KR101839911B1 KR1020157031892A KR20157031892A KR101839911B1 KR 101839911 B1 KR101839911 B1 KR 101839911B1 KR 1020157031892 A KR1020157031892 A KR 1020157031892A KR 20157031892 A KR20157031892 A KR 20157031892A KR 101839911 B1 KR101839911 B1 KR 101839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sing
- piece
- plate
- bending
- ris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1—Joining superposed plates by locally deforming without slitting or piercing
- B21D39/032—Joining superposed plates by locally deforming without slitting or piercing by fitting a projecting part integral with one plate in a hole of the other p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7—Interlocking butt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21D53/9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axle-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2—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L-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2—Shaping by stam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Forg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판재 조각들을 적절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판재 조각들을 적절하게 일치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품의 중량을 무겁게 하게 않는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랭크재 B를 절곡함으로써, 블랭크재를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제1 판재 조각(10)과 제2 판재조각(20)으로 분할하며, 절곡함으로써 제1 판재조각과 제2 판재조각을 당접시켜서 형성한 프레스 성형품(100)에 있어서, 제1 판재조각 및 제2 판재조각은 블랭크재를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부(11), (21)과, 펀칭부의 연부를 상승하여 형성한 제1 상승부(12) 및 제2 상승부(22)를 가지며, 제1 판재조각의 제1 상승부와 제2 판재조각의 제2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제1 판재조각과 제2 판재조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4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블랭크재 B를 절곡함으로써, 블랭크재를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제1 판재 조각(10)과 제2 판재조각(20)으로 분할하며, 절곡함으로써 제1 판재조각과 제2 판재조각을 당접시켜서 형성한 프레스 성형품(100)에 있어서, 제1 판재조각 및 제2 판재조각은 블랭크재를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부(11), (21)과, 펀칭부의 연부를 상승하여 형성한 제1 상승부(12) 및 제2 상승부(22)를 가지며, 제1 판재조각의 제1 상승부와 제2 판재조각의 제2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제1 판재조각과 제2 판재조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40)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가공은, 주조 등과 같이 금속 등이 액체화된 물질을 성형틀에 흘려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과는 달리, 한 장의 평판으로 절곡 성형이나 드로잉 성형을 행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이 때문에,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 예를 들면 중공 형상의 제품을 성형할 때에는, 블랭크재에 제품이 되는 중공 형상의 약 절반의 형상을 짝이 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에서는 제품에 대응하는 중공 형상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을 판재 조각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블랭크재에 형성된 짝이 되는 판재 조각의 형상을 가장 맞도록 구부리고, 짝이 되는 판재 조각의 형상을 일치시키는 등의 기술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위와 같은 중공 형상을 가지는 제품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짝이 되는 판재 시편의 형상은 구부렸을 때 일치시킬 필요가 있지만, 편차 등에 의해 판재 조각의 형상을 일치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판재 조각의 형상이 변할 때에도 판재 조각들이 일치할 수 있도록 판재 조각들을 일치시키는 플랜지부 등의 형상을 크게 형성한 것에는, 부품의 중량이 필요 이상으로 무거워 져버리는, 부품 중량을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판재 조각들을 적절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판재 조각들을 적절하게 일치할 수 있는 경우에도 제품의 무게를 무겁게 하지 않는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블랭크재를 절곡함으로써 블랭크재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으로 분할하고, 절곡에 의해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을 당접시켜 형성한 프레스 성형품이다. 해당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판재 조각 및 제 2 판재 조각은 블랭크재를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부와, 상기 펀칭부의 연부를 상승하여 형성한 상승부를 각각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판재 조각의 상승부와 제 2 판재 조각의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이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블랭크재를 절곡함으로써 블랭크재를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으로 분할하고, 절곡에 의해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을 당접시켜 형성한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블랭크재를 구부려 분할되었을 때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의 해당 부위에 각각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고 펀칭부를 형성하는 펀칭 공정과, 펀칭부의 연부를 상승시키는 프레스 가공을 행하여 제 1 판재 조각에 제 1 상승부를 형성하고, 제 2 판재 조각에 제 2 상승부를 형성하는 상승부 형성 공정과, 블랭크재를 구부리고, 해당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을 당접시키는 절곡 공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절곡 공정에서는 제 1 상승부와 제 2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1 판재 조각의 제 1 상승부와 제 2 판재 조각의 제 2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 및 제 2 판재 조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마련한다. 이 때문에 판재 조각들을 당접시키고 위치 결정부에 의해 적절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는 블랭크재에 펀칭부를 마련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에 의해 판재 조각들을 적절하게 일치시키면서도 프레스 성형품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프레스 성형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블랭크재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제품의 장착 구멍 및 펀칭부가 되는 부위를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상승부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의 상승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의 상승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와 제 2 상승부의 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와 제 2 상승부의 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2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에서 있다.
도 13은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프레스 성형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블랭크재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제품의 장착 구멍 및 펀칭부가 되는 부위를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상승부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의 상승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의 상승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와 제 2 상승부의 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와 제 2 상승부의 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2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에서 있다.
도 13은 동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및 용어의 의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형편상 과장되어 있으며 실제 비율은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 프레스 성형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서 블랭크재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서 제품의 장착 구멍 및 펀칭부가 되는 부위를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동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상승부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100)은 하나의 블랭크재 B를 절곡함으로써 블랭크재 B를 절곡부(30)를 사이에 두고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으로 분할하고, 블랭크재 B의 절곡부(30)를 원통과 같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을 당접시켜 형성된다.
제 1 판재 조각(10) 및 제 2 판재 조각(20)은 각각 블랭크재 B의 임의의 부분을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부(11), (21) 및 펀칭부(11), (21)의 연부를 상승하여 형성 한 제 1 상승부(12) 및 제 2 상승부(22)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스 성형품(100)은 제 1 판재 조각(10)의 제 1 상승부(12)와 제 2 판재 조각(20)의 제 2 상승부(22)를 계합(engaging)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의 위치 설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40)(positioning portion)를 가진다. 또한, 프레스 성형품(100)에는 다른 부품과 연결하기 위한 장착 구멍(23),(24)이 제공된다. 프레스 성형품(100)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서스펜션 구성 부품인 서스펜션 링크 등에 사용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다.
제 1 판재 조각(10) 및 제 2 판재 조각(20)은 블랭크재 B의 절곡부(30)를 사이에 두고(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레스 성형품(100)의 형상 중에 약자 절반에 해당한다. 제 1 판재 조각(10)에는 제 2 판재 조각(20)과 달리 다른 부품의 장착 구멍(23),(24)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프레스 성형품(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제 1 판재 조각(10)에도 제 2 판재 조각(20)과 같이 장착 구멍(23),(24)의 형상을 마련해도 좋다.
펀칭부(11), (21)는 펀칭된 제 1 판재 조각(10) 또는 제 2 판재 조각(20)의 대략 중앙부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펀칭부(11), (21)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스 성형품(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펀칭부(11), (21) 형상은 원형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성형이 곤란하지 않다면 다각형 등의 기타 형상 일 수 있다.
제 1 상승부(12) 및 제 2 상승부(22)는 제 1 판재 조각(10), 제 2 판재 조각(20)의 펀칭부(11), (21)의 연부를 대략 직각으로 상승시키고, 구부릴 때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승하여 형성한다. 제 1 상승부(12) 및 제 2 상승부(22)는 평면에서 봤을 때(위에서 봤을 때)의 외형이 원형이며, 제 1 상승부(12) 쪽이 제 2 상승부(22)보다 크게 형성되어있다. 제 1 상승부(12)는 본 실시예에서 제 2 상승부(22)와 감합하고, 이를 통해 위치 결정부(40)가 구성되어있다. 위치 결정부(40)는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를 감합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을 위치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40)는 상기와 같이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를 감합 등과 같이 계합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 결정을 행하나, 이 위치 맞추기 방법은 감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프레스 성형에서 제 1 상승부와 제 2 상승부와의 위치 결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위치 결정부(40)를 구성하는 제 1 상승부(12) 및 제 2 상승부(22)는 편차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고려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제 2 상승부(22)는 제 1 상승부(12)에 대해 유격을 가지도록(play), 도 10 (A)와 같이 제 1 상승부(12)에 삽통시킨다. 그리고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를 맞추도록 제 2 상승부(22)를 제 1 상승부(12)에 마주보게 위치한 후 용접, 접착, 헴 가공 또는 코킹 가공 등의 방법에 의해 제 1 판재 조각(10) 제 2 판재 조각(20)을 연결하여 접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는 유격을 가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하여 헴 가공 및 코킹 가공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의 위치가 변할 때에도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을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2(A), (B)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상승부(12)는 대략 직각으로 상승하여 형성되어 있다고 말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상승부(12a)는 제 2 상승부(22a)의 삽통을 안내하는 형상의 안내부를 가지도록 해도 좋고,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함으로써 제 2 상승부(22a)의 제 1 상승부(12a)에 삽통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A)와는 별도로 제 1 상승부(12b)에 삽입된 제 2 상승부(22b)를 도 12(B)와 같이 계단의 단차 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서도 제 1 상승부(12b)로의 삽통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착 구멍(23),(24)은 프레스 성형품(100)을 다른 부품(예를 들면 서스펜션 서브 프레임과 타이어의 너클 등)와 연결하기 위한 형상이다. 장착 구멍은 본 실시예에서 장착 구멍(23),(24)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장착 구멍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곡부(30)는 프레스 성형품(100)을 형성할 때의 절곡이 되는 부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절곡부(30)가 부서지지 않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절곡부(30)는 장착 구멍(23),(24)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예를 들면 서스펜션 서브 프레임)의 장착 구멍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30)에 대한 위치 결정부(40)는 도 2와 같이 동일 프레스 성형품(100)을 평면으로 봤을 때 절곡부(30)가 형성하는 절곡 영역 A를 블랭크재 B의 절곡 방향 d1에 따라 연장한 범위 R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40)를 마련함으로써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을 위치 결정(위치 맞추기) 할 때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의 위치가 변할 때도 절곡부(30)의 중공 형상이 뒤틀리기 어려워지고, 절곡부(30)의 중공 형상의 진원도(out-of-roundness) 등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30)에 다른 부품이 양호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A),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의 상승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 (B) 및 도 10(A),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성형에 있어서 절곡 공정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A), (B) 및 도 10(A), (B)의 단면도는 도 7과 같은 위치에서의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100)의 제조 방법은 설명하면 펀칭 공정과, 상승부 형성 공정과, 절곡 공정을 가진다. 다음에 각 공정에 대해 상술한다.
먼저, 압연 강판 등의 블랭크재는 프레스 공정에서 도 4, 도 5와 유사한 외형으로 펀칭 되어 장착 구멍(23),(24) 및 펀칭부(11), (21)가 형성된다. 프레스 공정은 공지의 방법에 속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상승부 형성 공정에서 먼저 도 8(A)와 같이 블랭크재 B의 펀칭부(11), (21)의 연부 근방을 프레스 몰드(201),(202)에 의해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펀치(203)를 블랭크재 B의 펀칭부(11), (21)에 접근시켜 소위 버링 가공을 실시하고, 도 8(B)와 같이 펀칭부(11), (21)의 연부를 상승시킨다(도 8(A),(B)의 화살표 d2 참조). 그러면 펀칭부(11)에는 제 1 상승부(12)가 형성되고, 펀칭부(21)에는 제 2 상승부(22)가 형성된다. 또한, 도 8(A), (B)는 펀칭부(21)에 대해 도시하지만, 펀칭부(11)에 대해서는 펀칭부(21)와 방향이 다를 뿐이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절곡 공정에서는 도 9(A)와 같이 먼저 제 2 상승부(22)에 대응하는 오목부(204a) 및 절곡부(30)에 대응하는 오목부(204b)가 마련된 고정 몰드(204)에 블랭크재 B를 적재한다. 그리고 절곡부(30)가 되는 부위를 오목부(204b)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고정 몰드(204)의 오목부(204b)에 끝이 원통형의 절반의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몰드(205)를 접근시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도 9(A), (B)의 화살표 d3 참조). 따라서 블랭크재 B는 도 9(B)와 같이 절곡부(30)를 기점으로하여 구부려지고, 제 1 판재 조각(10), 제 2 판재 조각(20)이 가동 몰드(205) 측면에 접근하게 상승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0(A)와 같이 블랭크재 B의 절곡부(30)의 내부에 코어(211)를 배치한다. 다음, 블랭크재 B를 절곡부(30)에 대응하는 오목부(212a)를 가지는 고정 몰드(212)에 재치하고 블랭크재 B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 1 상승부(12)에 대응하는 오목부(213a) 및 절곡부(30)에 대응하는 오목부(213b)를 가지는 가동 몰드(213)를 고정 몰드(212)에 향해 접근하고, 블랭크재 B에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 (도 10(A),(B)의 화살표 d4 참조).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이 일치할 때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에 의해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가 교정되고, 디자인에 맞게 양 판재 조각을 당접시킬 수 있다.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이 당접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제 1 판재 조각(10) 및 제 2 판재 조각(20)의 외주 연부 등에 용접이나 헴 가공 또는 코킹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절곡부(30)의 형상이 완성되고, 프레스 성형품(100)이 완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스 가공으로 중공 형상을 가지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경우 블랭크재를 소정 부위에 구부려서 판재 조각들을 이른바 모나카 같이 당접시켜 접합하는 방법이 있지만, 판재 조각 형상의 편차에 의해 판재 조각들이 잘 접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에 대한 대응으로서 판재 조각을 일치시키는 부위가 되는 플랜지와 같은 형상을 더 크게 형성하면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판재 조각(10) 및 제 2 판재 조각(20)에 형성한 펀칭부(11), (21)의 연부를 상승하여 제 1 상승부(12), 제 2 상승부(22)로 하고, 제 1 상승부(12) 및 제 2 상승부(22)를 계합시킴으로써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을 위치 맞추기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을 위치 맞추기 하는 형상에는 펀칭부(11), (21)가 반드시 마련되기 때문에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 맞추기를 적절하게 행하면서 중량의 증가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판재 조각(10)의 제 1 상승부(12)에 제 2 상승부(22)의 삽통을 안내하는 테이퍼 형상 등과 같은 안내 형상을 마련한 경우,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의 위치 맞추기를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랭크재 B의 절곡부(30)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서스펜션 링크 등 용접되는 칼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칼라를 블랭크재에 용접하는 경우 기존 칼라를 블랭크재의 단부에 용접하고, 접촉 부분은 블랭크재의 두께의 크기밖에 없기 때문에 칼라를 용접하여도 접촉 면적이 작고, 접합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절곡부(30)를 칼라로 사용하면 절곡부(30)가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접촉 면적은 블랭크재의 단부에 칼라를 용접한 경우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랭크재의 단부에 별도 칼라를 용접한 경우에 비해 마련 부분의 인장 강도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40)는 프레스 성형품(100)을 평면으로 봤을 때 절곡부(30)가 형성하는 절곡 영역 A를 블랭크재 B의 절곡 방향 d1에 따라 연장한 범위 R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의 위치가 변할 경우에도 절곡부(30)가 형성하는 칼라로서의 중공 형상이 뒤틀리게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30)에 장착하는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40)는 제 2 상승부(22)가 제 1 상승부(12)와 유격을 가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 맞추기를 행하기 위해 제 2 상승부(22)를 제 1 상승부의 내측면의 일부에 접촉시켜 연결하는 것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의 위치가 변할 경우에도 제 2 상승부(22)가 제 1 상승부(12)의 내부에서 적당한 위치에서 제 1 상승부(12)와 당접하여 연결함으로써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 맞추기를 할 수 있으며, 편차가 생겨도 위치 맞추기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승부(12) 및 제 2 상승부(22)는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기존의 공법을 이용하여 해당 형상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스 성형품(100)의 비용 절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40)는 프레스 성형품(100)에 복수 개 마련하여도 좋고, 그 경우 부품 무게를 더욱 절감이 가능하며 제 1 판재 조각(10)과 제 2 판재 조각(20)과의 위치 맞추기를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품의 제 1 상승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상승부(12)와 제 2 상승부(22)는 같은 방향으로 상승 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과 같이 제 1 상승부 (12c)와 제 2 상승부 (22c)가 대향하는 상태에서 양자가 계합하여 위치 결정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1 상승부(12c)와 제 2 상승부(22c)를 대향시켜 계합시킨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형상을 테이퍼 형상이나 계단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10 제 1 판재 조각
100 프레스 성형품,
11 제 1 펀칭부
12, 12a, 12b 제 1 상승부
20 제 2 판재 조각
21 제 2 펀칭부
22,22a, 22b 제 2 상승부
23, 24 장착 구멍
201,202 프레스 몰드
203 펀치
204,212 고정 몰드
204a, 204b, 212a, 213a, 213b 오목부
205,213 가동 몰드
211 코어
30 절곡부
40 위치 결정부
A 절곡 영역
B 블랭크재
d1 절곡 방향
d2 ~ d4 가동 몰드의 이동 방향,
R 절곡 영역을 연장한 범위
100 프레스 성형품,
11 제 1 펀칭부
12, 12a, 12b 제 1 상승부
20 제 2 판재 조각
21 제 2 펀칭부
22,22a, 22b 제 2 상승부
23, 24 장착 구멍
201,202 프레스 몰드
203 펀치
204,212 고정 몰드
204a, 204b, 212a, 213a, 213b 오목부
205,213 가동 몰드
211 코어
30 절곡부
40 위치 결정부
A 절곡 영역
B 블랭크재
d1 절곡 방향
d2 ~ d4 가동 몰드의 이동 방향,
R 절곡 영역을 연장한 범위
Claims (14)
- 블랭크재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블랭크재를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으로 분할하고, 절곡에 의해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을 당접시켜 형성하는 프레스 성형품이며,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은 상기 블랭크재를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부와, 상기 펀칭부의 연부를 상승시켜 형성한 상승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 1 판재 조각의 상승부와 상기 제 2 판재 조각의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이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판재 조각의 상승부는 상기 제 2 판재 조각의 상승부를 상기 제 1 판재 조각의 상승부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재의 절곡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스 성형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프레스 성형품을 평면으로 볼 때 상기 절곡부가 형성하는 절곡 영역을 상기 블랭크재의 절곡 방향을 따라 연장한 범위에 포함된 프레스 성형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1 상승부에 상기 제 2 상승부를 삽통시키고, 상기 제 1 상승부와 상기 제 2 상승부를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제 2 상승부는 상기 제 1 상승부에 삽통시켰을 때에 상기 제 1 상승부에 대해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승부의 일부와 당접한 상태로 연결되는 프레스 성형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재 조각의 상승부 및 상기 제 2 판재 조각의 상승부는 버링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프레스 성형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복수 개 마련되는 프레스 성형품. - 블랭크재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블랭크재를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판재 조각과 제 2 판재 조각으로 분할하고, 절곡에 의해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을 당접시켜 형성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재를 절곡했을 때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의 해당 부위에 펀칭 가공을 실시하고 펀칭부를 형성하는 프레스 공정과,
상기 펀칭부의 연부를 상승시키는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판재 조각의 해당 부위에 제 1 상승부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의 해당 부위에 제 2 상승부를 형성하는 상승부 형성 공정과,
상기 블랭크재를 절곡하고, 해당 절곡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을 당접시키는 절곡 공정을 가지며,
상기 절곡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상승부와 상기 제 2 상승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판재 조각과 상기 제 2 판재 조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상승부는 상기 제 2 상승부를 상기 제 1 상승부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공정에서 상기 블랭크재의 절곡부는 중공 형상으로 성형된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프레스 성형품을 평면으로 볼 때 상기 절곡부가 형성하는 절곡 영역을 상기 블랭크재의 절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범위에 포함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1 상승부에 상기 제 2 상승부를 삽통시키고, 상기 제 1 상승부와 상기 제 2 상승부를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제 2 상승부는 상기 제 1 상승부에 삽통시켰을 때에 상기 제 1 상승부에 대해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승부의 일부와 당접한 상태에서 연결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승부 및 상기 제 2 상승부는 버링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복수 개 마련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60919 WO2014167687A1 (ja) | 2013-04-11 | 2013-04-11 | プレス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3589A KR20150143589A (ko) | 2015-12-23 |
KR101839911B1 true KR101839911B1 (ko) | 2018-03-19 |
Family
ID=5168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1892A KR101839911B1 (ko) | 2013-04-11 | 2013-04-11 |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343204B2 (ko) |
EP (1) | EP2985091B1 (ko) |
JP (1) | JP6029748B2 (ko) |
KR (1) | KR101839911B1 (ko) |
CN (1) | CN105324194B (ko) |
RU (1) | RU2624260C2 (ko) |
WO (1) | WO20141676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47754A1 (ja) * | 2013-03-19 | 2014-09-25 | 株式会社ヨロズ |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
JP7156677B2 (ja) * | 2018-09-21 | 2022-10-19 | 株式会社ミスズ工業 | 積層板材構造体の製造方法 |
US12097743B2 (en) * | 2020-09-29 | 2024-09-24 | Yorozu Corporation | Suspension structure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12705620B (zh) * | 2021-01-25 | 2022-11-04 | 宁波峰梅精密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异形铜排成型工艺 |
US11815180B2 (en) * | 2021-08-24 | 2023-11-14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Tensioner with stamped pivot pi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6325A (ja) | 1999-09-29 | 2001-04-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板金ケースの製造方法と製造された板金ケース |
JP2004359137A (ja) | 2003-06-05 | 2004-12-24 | Kyoho Mach Works Ltd | 車両用ドアのインパクトプロテクションビー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u曲げ方法 |
JP2010247757A (ja) | 2009-04-17 | 2010-11-04 | Yorozu Corp | 車両用のアーム部品と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RE21344E (en) * | 1935-09-23 | 1940-02-06 | Binding device | |
US3160131A (en) * | 1961-03-01 | 1964-12-08 | Flugzeugwerke Dresden Veb | Method of producing honeycomb structures |
US4306511A (en) * | 1979-12-03 | 1981-12-22 | Dofasco Inc. | Apparatus for the fastening together of sheet materials |
SE431519B (sv) * | 1980-03-04 | 1984-02-13 | Groko Maskin Ab | Sett att bocka profilerad plat samt anordning for genomforande av settet |
DE19951468A1 (de) * | 1999-10-26 | 2001-05-10 | Bosch Gmbh Robert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m Querschnitt U-förmigen Bügels eines Scheibenwischers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
RU2269392C1 (ru) * | 2004-05-27 | 2006-02-10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нкостенных профилей из труднодеформируемых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
JP2006102773A (ja) * | 2004-10-05 | 2006-04-20 | Toyota Motor Corp | 金属加工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
JP2010080318A (ja) * | 2008-09-26 | 2010-04-08 | Smk Corp | コネクタ用シェル |
IT1398384B1 (it) * | 2009-02-05 | 2013-02-22 | Sistemi Sospensioni Spa | Braccio oscillante per sospensione di veicol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
CN201439292U (zh) * | 2009-08-12 | 2010-04-21 | 上海汇众汽车制造有限公司 | 汽车控制臂 |
-
2013
- 2013-04-11 KR KR1020157031892A patent/KR10183991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4-11 US US14/783,978 patent/US10343204B2/en active Active
- 2013-04-11 WO PCT/JP2013/060919 patent/WO201416768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11 RU RU2015147858A patent/RU2624260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4-11 JP JP2015511027A patent/JP6029748B2/ja active Active
- 2013-04-11 EP EP13881663.2A patent/EP298509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4-11 CN CN201380077127.7A patent/CN10532419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6325A (ja) | 1999-09-29 | 2001-04-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板金ケースの製造方法と製造された板金ケース |
JP2004359137A (ja) | 2003-06-05 | 2004-12-24 | Kyoho Mach Works Ltd | 車両用ドアのインパクトプロテクションビー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u曲げ方法 |
JP2010247757A (ja) | 2009-04-17 | 2010-11-04 | Yorozu Corp | 車両用のアーム部品と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3589A (ko) | 2015-12-23 |
US20160136713A1 (en) | 2016-05-19 |
JPWO2014167687A1 (ja) | 2017-02-16 |
RU2624260C2 (ru) | 2017-07-03 |
JP6029748B2 (ja) | 2016-11-24 |
EP2985091B1 (en) | 2017-07-05 |
RU2015147858A (ru) | 2017-05-15 |
WO2014167687A1 (ja) | 2014-10-16 |
EP2985091A4 (en) | 2016-04-06 |
CN105324194B (zh) | 2017-07-28 |
EP2985091A1 (en) | 2016-02-17 |
US10343204B2 (en) | 2019-07-09 |
CN105324194A (zh) | 2016-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9911B1 (ko) | 프레스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
EP1792671B1 (en) | Press-formed workpiece with an increased corner portion thicknes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 |
KR101486707B1 (ko) | 폐구조 부재의 제조 방법, 프레스 성형 장치 및 폐구조 부재 | |
KR102007557B1 (ko) |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금형 | |
CA2738292C (en) | Closed structure parts, method and press for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996155B1 (ko) | 성형품의 제조 방법, 금형 및 관상 성형품 | |
KR101644260B1 (ko) |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방법 및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장치 | |
KR101661837B1 (ko) | 이경관상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성형 금형 | |
EP2977240B1 (en) | Suspension link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416548B1 (ko) | 버링 구조를 가지는 리어 어퍼 암 제조방법 | |
CN113677447B (zh) | 连杆部件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 |
US20110252595A1 (en) | Fitting member | |
KR101642630B1 (ko) |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방법 및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장치 | |
KR101579028B1 (ko) | 폐단면 구조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장치 | |
JP4992048B2 (ja) |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部品のプレス成形方法 | |
US9981298B2 (en) | Method of producing polygonal closed cross-section structural component with a curved form and polygonal closed cross-section structural component produced by the method | |
JP2013035059A (ja) | プレス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US11130163B2 (en) | Press molding method and press molding apparatus | |
JP6966492B2 (ja) | パイプの製造方法 | |
EP3127783A1 (en) | Suspens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581250B1 (ko) | 프레스 금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